대한민국/정당/목록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대한민국/정당





1.1. 원내정당
1.1.1. 여당
1.1.2. 야당
1.2. 원외정당
1.3. 등록 연월일순 정렬
1.5. 북한의 정당
2. 과거에 존재했던 정당
2.2. 민주당계 정당[1]
2.11. 기타



1. 대한민국정당[편집]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35AA6; font-size: .8em"
제22대 국회}}} 2024.5.30. ~ 2028.5.29.'''
  • 정당의 순서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당에 대한 기호 배정방식 순서를 따르되, 이에 따라 순서를 매길 수 없는 것은 가나다순으로 한다. 원내정당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순으로, 원외정당은 가나다순으로 기재한다[2]. 원내정당의 의석수가 같으면 1. 통일기호 부여대상 정당 2.직전의 국회의원 비례대표선거 득표율이 높은 정당 순으로 우선한다. 원외정당이면서 통일기호 부여 대상인 정당이 생긴다면 다른 원외정당보다 맨 위에 배치한다.
  • 선관위 사이트에서 정당등록 현황을 볼 수 있으며, 이곳에 정식으로 등록된 정당만 기재되어 있다.
  • 선관위 사이버선거역사관[3]에서는 역대 대한민국의 정당 현황을 볼 수 있다.[4]


1.1. 원내정당[편집]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펼치기 · 접기 ]
'''
2024.5.30. ~ 2028.5.29.'''
여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108석
}}} ||
야당
>
170석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12석
파일:개혁신당 신 로고타입(반전).svg
>
3석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
3석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_좌우.svg
>
1석
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svg
>
1석
파일:사회민주당(2024년) 흰색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1석
무소속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1석

재적
300석




1.1.1. 여당[편집]


명칭상징대표의원창당
국민의힘파일:국민의힘 가로 로고.svg황우여[비대위원장]108석2020년


1.1.2. 야당[편집]


명칭상징대표의원창당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svg이재명171석2014년
조국혁신당파일:조국혁신당 로고.svg조국12석2024년
개혁신당파일:개혁신당 신로고.svg허은아3석2024년
진보당파일:진보당(2020년) 로고.svg윤희숙3석2017년
새로운미래파일:새로운미래 로고_상하.svg이석현[비대위원장]1석2024년
기본소득당파일:기본소득당 로고_베이직 민트.svg오준호[권한대행]1석2020년
사회민주당파일:사회민주당(2024년) 로고.svg송치용[권한대행]1석2024년


1.2. 원외정당[편집]





명칭대표창당
가가국민참여신당박정원2015년
파일:코리아당 아이콘.svg 가나반공정당코리아류승구2012년
가락당김준수2020년
공화당김재원2020년
파일:국가혁명당 아이콘.svg 국가혁명당권한대행 송순권2019년
파일:통합당 아이콘.png 국민대통합당김천식2015년
국민주권당박준의2023년
국민통합연대권혁민2023년
금융개혁당신미숙2024년
파일:기독당 새로고.png 기독당박두식2020년
기독대한당이석인2016년
기후민생당서진희2020년
내일로미래로박석우, 최창원2020년
파일:노동당(대한민국) 아이콘.svg 노동당이백윤2012년
파일:한국복지당 아이콘.svg 노인복지당이경열2016년
파일:녹색당(대한민국) 아이콘.svg 녹색당김찬휘2012년
대중민주당손수경2024년
대한국민당김종갑2021년
파일:대한민국당 아이콘.png 대한민국당김삼생2012년
대한상공인당정재훈2024년
파일:미래당 아이콘.png 미래당손상우2017년
파일:민중민주당 아이콘.png 민중민주당이상훈2016년
파일:새누리당 아이콘.png 새누리당성영애2017년
소나무당송영길2024년
파일:신한반도당 아이콘.png 신한반도당신재훈2017년
파일:여성의당 심볼.svg 여성의당비상대책위원장 박진숙2020년
파일:열린민주당 아이콘.svg 열린민주당김상균2022년
파일:우리공화당(2020년) 아이콘.svg 우리공화당조원진2020년
자유민주당고영주2021년
자유통일당장경동2016년
파일:정의당_아이콘(대선 이후).png 정의당권영국2012년
태건당방상용2024년
파일:통일한국당_기호.png 통일한국당이경희2021년
파일:한국국민당(2015년) 아이콘.svg 한국국민당윤영오2015년
한국농어민당김도건2023년
한국독립당조규면2007년
파일:한나라당 아이콘.svg 한나라당이태희2013년
파일:한류연합당.png 한류연합당김영종2021년
파일:한미연 아이콘.png 한반도미래당김정선2023년
파일:홍익당 아이콘.png 홍익당윤홍식2017년
히시태그국민정책당김중일, 이기남2024년
K정치혁신연합당이래경2022년


1.3. 등록 연월일순 정렬[편집]


정당등록연월일

2007-08-08[5]

[[대한민국당|
]]
2012-07-16[6]

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타입.svg
2012-10-22

[[녹색당(대한민국)|
파일:녹색당(대한민국) 흰색 로고타입.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2012-10-31
2012-11-13

[[한나라당(2014년)|
]]
2013-04-15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03-26[7]

[[한국국민당(2015년)|
파일:한국국민당(2015년) 노랑 로고타입.svg
]]
2015-08-04

파일:국민대통합당(2021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5-10-07

[[국민참여신당|
]]
2015-12-02
2016-02-15

[[자유통일당|
파일:자유통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6-03-16

2016-11-21
2017-03-20
2017-04-10
2017-04-15
2017-10-26
2019-09-11
2020-01-22
2020-02-18
2020-02-27
2020-03-06
2020-03-16
2020-03-24
2020-08-24
2020-12-14
2021-01-26
2021-03-15
2021-06-04
2022-09-30
2022-12-23
2023-05-15
2023-11-20
2023-12-20
2023-12-28
2024-01-25
2024-02-15
2024-02-19
2024-02-27
2024-03-07
2024-03-18
2024-03-21
  • 2024년 5월 13일 기준으로 50개의 정당이 존재한다.


1.4. 창당준비위원회[편집]






1.5. 북한의 정당[편집]



  • 북한의 정당으로, 정당법상 인정되는 정당이 아니다. 대한민국 헌법상으로는 "대한민국의 불법 정당"이다. [8]


2. 과거에 존재했던 정당[편집]


이전에는 정당법에 따라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당선인이 없고 정당득표율이 2% 미만인 경우 정당등록이 취소되다.[9] 이 섹션에 기재된 정당 중에는 이 이유로 정당등록이 취소된 정당도 있다.


2.1. 보수정당[편집]










2.2. 민주당계 정당[10][편집]











2.3. 진보정당[편집]








2.4. 제3지대 정당[편집]










2.5. 극우정당[편집]








2.6. 극좌정당[편집]



과거 대부분의 정당이 활동 금지되었다.

2.7. 종교정당[편집]






2.8. 민족주의 정당[편집]





2.9. 대중주의 정당[편집]




2.10. 단일쟁점 정당[편집]





2.11. 기타[편집]





[1] 시대에 따라 이념성향이 크게 오가므로 편의상 이렇게 지정한다.[2] 비례대표 투표용지에서 최대한 앞자리 기호를 노리고 있는 원외정당들은 가나다순의 제일 앞자리인 '가'를 많이 활용한다. 그렇다고 정당의 방향성을 이름에서 뺄 수는 없으니 이러한 것들을 다 우겨넣느라 이름이 길어지는 편.[3] 페이지가 없어진 관계로 아카이브 링크로 대체.[4] 5.16 군사정변 이후 설립된 정당들부터 나와있다. 다만 업데이트가 안된 것인지 마지막 정보가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직전을 기준으로 멈춰져 있다. 그 이후의 역사는 선관위 공고(2013년부터 있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전 기록도 간혹 잘못된 경우가 있는데, 이전 역사는 선관위 공지(2005년부터 있음)에도 있으니 교차검증을 해야한다.[비대위원장] A B [권한대행] A B [5] 현존 최고(最古) 정당.[6] 현존 최고(最古) 당명.[7] 원내 최고(最古) 정당.[8] 대한민국의 헌법상 영토내에서 멋대로 정치활동을 하기 때문이다.[9] 현재는 위헌법령 판결을 받고 개정되었다.[10] 시대에 따라 이념성향이 크게 오가므로 편의상 이렇게 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