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공항/운항노선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주국제공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공항 파일:공항 픽토그램.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 펼치기 · 접기 ]
중추공항
인천
거점공항
김포(서울) · 제주 · 김해(부산) · 대구 · 청주 · 무안
일반공항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사천 · 군산 · 원주(횡성)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 광명역

사설·기타 비행장

울진 · 정석 · 태안 · 수색 · 잠실 헬리패드
군 전용공항
서울(성남) · 수원 · 오산 · 평택 · 이천 · 계룡 · 충주 · 예천 · 강릉 · 속초 · 전주 · 목포 · 진해 · 캠프 워커 · 현리(인제)

공사 중인 공항

울릉

착공예정 공항

가덕도(부산) · 대구 · 흑산 · 제주2 · 새만금(군산) · 백령

추진 중인 공항

경기남부(화성) · 포천 · 서산
폐쇄된 공항
여의도 · 수영 · 알뜨르 · 춘천 · 전주(송천동) · 충주(목행동) · 코엑스(도심공항)
군(軍)공항: ■ 육군, ■ 해군, ■ 공군, ■ 주한미군





1. 개요
2. 국내선
3. 국제선
4. 기타 사항



1. 개요[편집]


국내선은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모든 공항에 다 간다.[1] 그렇기에 제주에서 환승을 하여 국내 타 공항으로 갈 수도 있다.[2] 제주행 항공편이 매우 적은 사천공항은 제주행 혹은 제주발 항공편을 이용하기가 까다로웠으나, 2020년 하계 스케줄부터 대한항공이 매일 1회 운항으로 증회하기로 하면서 제주행 항공편을 이용하기가 한결 편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노선은 코로나 19 영향으로 대한항공이 사천공항에서 철수하며 잠시 단절되었다가, 2020년 12월부터 소형항공사 하이에어가 다시 운항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대한민국 최고의 관광지답게 중국, 일본의 주요 도시들에 정기 노선을 운항했었다. 코로나19 발생 이전 몇 년간 중국 노선망이 많이 증가했는데, 이는 외국인들 중 중화권 관광객 비중이 높고 제주 무사증 제도의 혜택을 많이 봤기 때문이다. 2015년 6월 정기편 기준으로 홍콩을 포함하여 중국 21개 도시에 운항했으며 캐세이드래곤항공도 들어왔다. 국내에서 제주공항보다 중국 노선이 많은 곳은 인천국제공항 뿐이다.

반면 일본 노선은 감소 추세에 있었는데. 나고야, 후쿠오카 노선이 사실상 단항되어 2개 노선만이 유지중이었다. 이후 대한항공이 2015년 10월 말부터 노선 중단을 밝히면서 일본행 노선이 완전히 사라질 뻔하다가 도쿄(나리타)[3], 오사카 노선이 복항되었다.

국내선과 국제선 둘 다 코로나19로 인해 승객수요가 감소했고, 국제선은 코로나19로 인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일원화하기로 결정하면서 제주공항 내의 모든 국제선이 사라진 상태이다. 하지만 국내선의 경우 2020년 중순부터 다시 회복세로 돌아섰고, 해외여행이 어려워지자 증가한 국내 여행수요로 인해 2021년 이후 완전히 회복되었다. [4]


2. 국내선[편집]


항공사
국가
편명
취항지
[파일:대한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컬러 화이트.svg[S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
서울(김포), 부산(김해), 대구, 청주, 광주, 울산, 여수, 진주(사천)
[파일:아시아나항공 CI_영문.svg[S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OZ
서울(김포), 대구, 청주, 광주, 여수
[파일:제주항공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C
서울(김포), 부산(김해), 대구, 청주, 광주
[파일:진에어 CI_좌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J
서울(김포), 부산(김해), 대구, 청주, 광주, 포항경주, 원주(횡성), 군산
[파일:티웨이항공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W
서울(김포), 부산(김해), 대구, 청주, 광주
[파일:에어부산 CI.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X
서울(김포), 부산(김해)
[파일:에어서울 CI.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S
서울(김포)
[파일:이스타항공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
서울(김포), 청주, 군산
[파일:에어로케이항공 CI.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F
청주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국내 공항 중 모든 국내 항공사가 취항하는 공항은 제주국제공항이 유일하다.[5] (에어프레미아, 에어인천 제외[6])

양양행은 가장 긴 국내선[7], 무안행은 가장 짧은 국내 착발 항공노선[8]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1번, 2번, 3번, 6번, 7번, 9번, 10번, 13번 탑승구는 탑승교가 설치되어있다. 1A번, 3A번, 4번, 5번, 8번, 11번, 12번 탑승구는 리모트[9] 탑승구이다.

항공편이 많을 경우 임시로 일부 국제선 탑승구(14-18번)를 이용할 수 있다. 국제선 탑승구를 이용할 경우 15, 17, 18번은 탑승교가 설치되어 있으며, 14, 16번은 리모트 탑승구다. 하기시 보딩게이트는 연결하지 않고 스텝카로 하기해 버스로 이동해야 하며, 반대로 탑승시에는 보딩브릿지를 연결한다.


3. 국제선[편집]


항공사
국가
편명
취항지
[파일:대한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컬러 화이트.svg[S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
동북아시아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틀:국기|
]]
베이징(서우두)
[파일:제주항공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C
동북아시아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틀:국기|
]]
베이징(서우두)[10]
[[홍콩|
파일:홍콩 국기.svg
홍콩
]][[틀:국기|
]][[틀:국기|
]]
홍콩
[[마카오|
파일:마카오 국기.svg
마카오
]][[틀:국기|
]][[틀:국기|
]]
마카오
[파일:진에어 CI_좌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J
동북아시아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상하이(푸둥)
[파일:티웨이항공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W
동북아시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오사카(간사이)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틀:국기|
]][[틀:국기|
]]
타이베이(타오위안)
[파일:이스타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
동북아시아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틀:국기|
]][[틀:국기|
]]
타오위안
[파일:중국동방항공 로고.svg[ST]
파일:중국 국기.svg
MU
상하이(푸둥)
[파일:중국남방항공 로고.svg
파일:중국 국기.svg
CZ
다롄, 선양, 하얼빈, 장춘
[파일:길상항공 로고.svg [SA][11]
파일:중국 국기.svg
HO
상하이(푸둥), 베이징(다싱)
[파일:external/a3.att.hudong.com/01300542445734139443096787646.png
파일:중국 국기.svg
9C
상하이(푸둥), 선양, 닝보, 난징, 광저우, 다롄
[파일:룽에어 로고.jpg
파일:중국 국기.svg
GJ
항저우
[파일:홍콩익스프레스 로고.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UO
홍콩
[파일:ttw.png
파일:대만 국기.svg
IT
타이베이(타오위안)
[파일:스쿠트 항공 로고.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TR
싱가포르(창이)

15번, 17번, 18번, 20번 탑승구는 탑승교가 설치되어 있다. 14번, 16번, 19번 탑승구는 리모트[12] 탑승구이다.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는 중국 노선과 달리 일본 노선의 경우 상당히 오랫동안 정체 상태를 유지하였다. 2010년대 들어 한일관계 악화와 엔저로 인한 일본인 관광객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해 항공사들이 불어나는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하나둘씩 노선을 폐지하기 시작하였다. 잠시 운항했던 제주항공의 제주 - 오사카 노선이 2012년 12월을 끝으로 폐지된 것을 시작으로, 아시아나항공의 전통있는 노선이자 마지막 제주발 국제선이었던 제주 - 후쿠오카 노선마저 2014년 9월 폐지되었다. 급기야 대한항공마저 2014년 11월 제주 - 나고야 노선을 폐지하더니, 2015년 10월부터 마지막으로 남은 제주 - 오사카 노선과 제주 - 나리타 노선을 폐지한다고 밝히면서 제주공항의 일본 노선은 완전히 사라질 뻔했다. # 한라일보의 관련 논설. 그러나 제주도의 반발로 복항을 잠시 했지만, 대한항공 측에서 노선을 무기한 휴항한 이후, 2022년 8월 16일 기준으로 수요가 없는 관계로 복항할 가능성이 없다. 관련 기사# 최근 일본 노선의 수요가 감소했다고 하나 2014년에도 여전히 제주 공항에서 취항하는 해외 노선 중 6위를 차지한 제주 - 나리타 노선을 폐지한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처분이었다.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면 코드셰어가 일본항공 외에는 어떠한 스카이팀 항공사와도 되지 않아서 수요를 끌어모으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나리타 국제공항에는 델타 항공아에로멕시코가 들어오는데, 제주 ~ 나리타 노선은 델타와 아에로멕시코의 코드셰어가 걸려있지 않다는 것. 따라서 미국이나 멕시코에서 인천국제공항을 거치지 않고 제주도로 간다는 건 항공권을 별도로 사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 중국동방항공의 제주 ~ 상하이 노선에 KLM 네덜란드 항공[13]의 코드셰어가 걸려있는 것과 대조적.

사실 재일 한국인 중에 제주도 출신들이 정말 많다. 오사카에만[14] 최소 10만 명 이상의 제주 출신 재일 한국인이 남아있는데 일제시대에는 1920년대부터 제주~오사카 사이에 정기선 군대환이 다녔다. 그래서인지 재일 한국인의 일본노선 수요가 꽤 있는 상황이지만, 정작 노선이 줄어들고 있다.

같은 스카이팀인 델타 항공아에로멕시코와의 코드셰어가 되지 않고, 심지어 일본항공의 미취항으로 인한 아메리칸 항공[15]같은 동맹 항공편 선택이 불가하여[16] 인천을 경유하지 않고 제주 ~ 일본 ~ 미주 노선을 선택하는 건 다소 어렵기에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샤먼항공은 한때 잠시 취항했으나 Flightradar24에서 비행편이 확인되지 않아 단항한 것으로 보여진다.

2015년 이후 중화권으로 향하는 항공편이 약 25개 도시로 대폭 늘어났다. 제주도를 찾는 중국인들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인 듯. 위 정기 노선 외에 부정기/전세기 편성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중국으로 향하던 노선들이 대거 휴항하거나 감축되는 등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2017년 말에 중국이 사드 보복을 풀려는 조짐을 보이면서 중국 노선도 일부가 다시 재개항되었다. 그러나 전성기에 비하면 확실히 노선망이 반토막 났다.

2016년 11월 22일에 제주-타이베이 노선을 독점 운항하던 부흥항공이 해산 및 전면 운항중단을 발표함에 따라 해당 노선 역시 단항되었지만 타이거항공 타이완이 그 노선을 그대로 이어받아 운항중이다. 신규 취항했던 원동항공은 2019년 12월부터 전면 운항 중단하였으며 부흥항공처럼 해산될 가능성이 큰데다 그 사이 한국 항공사들이 운항을 개시한지라 당분간 대만 항공사는 타이거에어 타이완만 운항할 것으로 보인다.

동남아시아 노선은 이스타항공이 2015년 10월 1일부로 제주-방콕 정기편을 매일 운항하기 시작하였으나... 태국 관광 비수기와 수익성 약화로 인해 2016년 6월 7일부로 단항됐다. 제주관광공사는 태국 관광 성수기가 시작되는 9월부터 다시 재취항하기로 협의 중이며 이스타항공 측은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2016년 9월 21일부로 복항되었다가 2달여만인 2016년 12월 1일부로 다시 단항이 결정되었다. 그리고 2017년 11월 30일부터 2018년 3월 24일까지 동계스케줄로 복항이 결정되었다. 사실상 동계 시즌 전용 노선으로 운항 중이고, 2018년 하계에도 운휴하며 8월 31일부로 복항이 예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주항공 측에서 7월 19일부터 방콕-제주 노선도 개항했고 7월 29일에는 중국 노선도 증가시켰다.

2017년 3월 26일부터 필리핀항공마닐라행 노선이 주 2회(수/토) 운항하였으나 2018년 하계 스케줄에서는 사라졌다. 대신 에어아시아 엑스가 2017년 12월 12일부로 주 4회(월/화/수/토) 쿠알라룸푸르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하였다.

2019년 4월 9일 부로 티웨이항공에서 주 4회(화, 목, 금, 일) 운항하는 나고야 직항노선을 신설했다.

그리고 대한항공 발 도쿄(나리타), 오사카(간사이) 행이 11월 부로 무기한 단항에 들어간다. 제주도민들은 도착지가 나리타거나 간사이 노선이 아니면 무조건 인천이나 부산을 경유해야 한다.

2020년부터 코로나19가 퍼지기 시작하면서 제주공항에 있던 모든 국제선 노선이 중단되었다. # 그리고 제주공항 내의 국제선들이 전부 인천국제공항으로 일원화되었다. # 이후 춘추항공이 자국민 귀국 목적으로 상하이를 주 1회 임시적으로 운항했다. 진에어는 제주-시안 구간을 운항하였지만 귀국시에는 제주를 경유만 한 뒤 승객을 내리지 않고 인천에서 내려 방역 절차를 밟아야 했다. 즉, 여기로 일하러 가는 제주도민은 왕복편의 경우 비행기 3번을 타야 했다는 소리다.

2021년 11월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이 실시되었지만, 당시 제주공항의 국제선은 아직 운항되지 않고 있다가 2022년 8월 기준 일부 노선이 재개되었다. #

코로나19 팬데믹이 잠잠해진 이후, 제주공항의 국제선은 중국 노선, 대만 노선, 홍콩과 마카오 노선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내선 탑승장과 국제선 탑승장의 문을 개방해서 기존 국제선 탑승장을 국내선 탑승장으로 활용하고 있다.(14~18번 게이트가 있으며 국제선인걸 증명하듯 검역 구역이 있다.)

2022년 6월 15일 부터 스쿠트 항공이 매주 수/금/일 제주-싱가포르 운항을 시작했다.

2022년 11월 11일 부터 티웨이항공제주-오사카 운항을 시작했다. 제주 - 오사카 직항 노선 11월 11일 재개


4. 기타 사항[편집]


그 외에도 몽골노선이 한시적으로 개설되었으며, 한러 무비자 협정의 영향으로 심지어는 제주도에서는 최초로 2014년 6월 12일부터 9월 11일까지 야쿠티아 항공에서 운영하는 러시아 노선(하바롭스크노선)이 제주도에 처음으로 개설되었다. 게다가 싱가포르와 직항전세기가 2014년 12월 2일부터 생기고 차차 몽골, 러시아 야쿠츠크, 동남아 노선으로 확대될 예정이나 2022년 4월 6일 현재도 소식이 없다.[17] 메르스사태로 잠시 위축되었던 국제선도 차츰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한때 대한항공에서는 제주-오사카-괌 노선을 운항하고 있었으나 일본 노선 철수 사태 이후 인천 출발로 바뀌었다. 장기적으로 제주에서 , 사이판, 베트남[18] 등으로 향하는 직항편 개설을 고려 중에 있다. 하지만 2022년 4월 6일 현재도 소식이 없는데 무산 되었거나 여전히 추진중인 것으로 보인다.

인천국제공항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의 대체 공항으로, 이들 공항의 기상이 좋지 않은 경우 에어 캐나다, 아에로멕시코, 아메리칸 항공 등 한국 지방 공항에는 코빼기도 보이지 않는 항공사들이 제주국제공항에 오게 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3:10:54에 나무위키 제주국제공항/운항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간혹 인천>제주와 제주>인천편으로 정보가 뜨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 경우에는 화물노선으로 여객편하고는 상관이 없었다. 그러나 코로나19 대유행 이후에는 여객선에도 부정기편 국제선이 잠시 편성되기도 했었다.[2] 이를 테면 김포-제주 진에어 및 제주-부산 에어부산의 할인항공권을 이용하면 양 항공사의 김포-부산 항공료보다 저렴하다.[3] 현재 이 노선은 무기한으로 운항 중단 상태다.[4] 김포-제주 노선의 경우, 2021년에는 무려 1500만명이 이용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해외여행이 어려워지자 사람들이 발길을 제주로 돌리면서 코로나 특수를 보아 코로나 이전보다 오히려 이용객 수가 증가했다.[ST] A B C 스카이팀[SA] A B 스타얼라이언스[5] 양양국제공항,무안국제공항도 포함. 이는 플라이강원,하이에어가 경영난으로 인해 무기한 운항 중단을 했기 때문이다.[6] 무기한 운항 중지로 미취항인 항공사나 아직 운항 준비중이라 미취항인 항공사을 포함하면 플라이강원,하이에어,섬에어도 해당한다.[7] 양양 노선은 플라이강원이 경영난에 시달리면서 운항이 중단되었다.그래서 운항하지 않는 노선을 제외하면, 2023년 9월 현재 운항중인 국내선에서 제일 긴 노선은 원주(횡성) - 제주 노선이다.[8] 이 노선도 하이에어의 경영난으로 인해 운항이 중단되면서 이 노선도 현재 운항하지 않고 있다..[9] 항공기까지 버스로 이동[10] 2024년 1월 3일 재개[11] 스타얼라이언스 커넥팅 파트너[12] 항공기까지 버스로 이동[13] 제주 → 상하이청두 구간에만 걸려있다 (KL4821).[14] 정확히는 오사카시 이쿠노구에 거주비율이 많다.[15] 다만 아메리카 지역의 경우 대부분 국가는 90일 무비자로 대한민국에 들어올 수 있으며, 중남미에서 유일하게 한국인들에게 비자를 요구하는 볼리비아 출신자들도 제주도에는 30일 무비자로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쿠바 국민들은 제주도로 올 때도 비자가 필요하다)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 편이다.[16] 반대로 김해공항에서는 일본항공을 통해 아메리칸 항공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굳이 국적기를 타고 싶다면 환승내항기라는 옵션도 있다. 정작 제주에서는 환승내항기가 다니지 않고 있으며 인천을 가려면 제주도에서 김포로 가는 비행기를 탄 후 김포-인천 육로이동을 해야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차원에서 인천-제주 환승내항기 운행을 요구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진전은 없다. 일단 인천-제주간 일반 여객 노선이 운항한 적 자체는 있다.[17]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제재 참여로 비우호 국가로 등재되면서 영공 진입이 차단되어 있다.[18] 하노이, 호찌민, 다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