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길(1945)

덤프버전 :

>
>
파일:행정안전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임시정부 내무부장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안창호이동녕홍진김구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이유필이규홍김구최창식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윤기섭김구차이석조완구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차이석조소앙송병조조완구
제17대제18대제19대
홍진조완구신익희
내무부장관 (1948~1998)
초대
윤치영
2대
신성모
3대
김효석
4대
백성욱
5대
조병옥
6대
이순용
7대
장석윤
8대
이범석
9대
김태선
10대
진헌식
11대
백한성
12대
김형근
13대
이익흥
14대
장경근
15대
이근직
16대
민병기
17대
김일환
18대
최인규
19대
홍진기
20대
이호
21대
홍익표
22대
이상철
23대
현석호
24대
신현돈
25대
조재천
26대
한신
27대
박경원
28대
엄민영
29대
양찬우
30대
엄민영
31대
이호
32대
박경원
33대
오치성
34대
김현옥
35대
홍성철
36대
박경원
37대
김치열
38대
구자춘
39대
김종환
40대
서정화
41대
노태우
42대
주영복
43대
정석모
44대
김종호
45대
정호용
46대
고건
47대
정관용
48-49대
이상희
50대
이춘구
51대
이한동
52대
김태호
53대
안응모
54대
이상연
55대
이동호
56대
백광현
57대
이해구
58대
최형우
59대
김용태
60대
김우석
총무처와 통합
61대
서정화
62대
강운태
63대
조해녕
행정자치부장관 (1998~2008)
초대
김정길
2대
김기재
3대
최인기
4대
이근식
5대
김두관
6대
허성관
7대
오영교
8대
이용섭
9대
박명재

행정안전부장관 (2008~2013)
초대
원세훈
2대
이달곤
3대
맹형규
안전행정부장관 (2013~2014)
초대
유정복
2대
강병규
3대
정종섭
행정자치부장관 (2014~2017)
초대
정종섭
2대
홍윤식
3대
김부겸
행정안전부장관 (2017~현재)
초대
김부겸
2대
진영
3대
전해철
파일:행정안전부 MI.svg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eee,#222><width=33%> 초대
김정길 ||
||<-3><bgcolor=#fff,#1F2023> ||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svg 원내총무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width=33%> 초대
김정길 ||<width=33%> 권한대행·제2대
김덕규 ||<width=33%> 제3대
이철 ||
||<width=20%> 제4대
김태식 ||<width=20%> 제5대
신기하 ||<width=20%> 제6대
이철 ||
||<-5><bgcolor=#ffffff,#1f2023> ||



파일:민주당(2008년) 아이콘.svg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자치단체장 후보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rowbgcolor=#019E33> 서울시장 ||<width=25%> 부산시장 ||<width=25%> 대구시장 ||<width=25%> 인천시장 ||
|| 한명숙 || 김정길 || 이승천 ||<bgcolor=gold> 송영길 ||
||<rowbgcolor=#019E33> 광주시장 ||<width=25%> 대전시장 ||<width=25%> 울산시장 ||<width=25%> 경기지사 ||
||<bgcolor=gold> 강운태 || 김원웅 || 무공천 || 무공천 ||
||<rowbgcolor=#019E33> 강원지사 ||<width=25%> 충북지사 ||<width=25%> 충남지사 || 전북지사 ||
||<rowbgcolor=gold> 이광재 || 이시종 || 안희정 || 김완주 ||
||<rowbgcolor=#019E33> 전남지사 ||<width=25%> 경북지사 ||<width=25%> 경남지사 || 제주지사 ||
||<bgcolor=gold> 박준영 || 홍의락 || 무공천 || 고희범 ||
||<-5> ||



}}}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장두현고원훈최린박창하이동식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김규면신흥우유억겸윤치호유억겸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여운형유억겸정환범신익희신흥우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조병옥이기붕이철승김동하이주일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이효민관식김용우김택수박종규
제26대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조상호정주영노태우김종하김종열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김운용이연택김정길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이연택박용성김정행강영중이기흥
제41대
이기흥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채명신
제2대
박종태
제3대
최홍희
제4대
노병직
제5·6대
김용채
제7-14대
김운용
제15·16대
최세창
제17·18대
이필곤
제19·20대
김운용
제21대
구천서
제22·23대
김정길
제24·25대
홍준표
제26대
김태환
제27대
이승환
제28대
최창신
제29대
양진방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재정경제부장관 →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이규성강봉균이헌재진념전윤철
교육인적자원부장관 →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이해찬김덕중문용린송자이돈희한완상이상주
통일부장관강인덕임동원박재규임동원홍순영정세현
외교통상부장관박정수홍순영이정빈한승수최성홍
법무부장관박상천김태정김정길안동수최경원송정호김정길심상명
국방부장관천용택조성태김동신이준
행정자치부장관김정길김기재최인기이근식
과학기술부장관강창희서정욱김영환채영복
문화관광부장관신낙균박지원김한길남궁진김성재
농림부장관김성훈한갑수김동태
산업자원부장관박태영정덕구김영호신국환장재식신국환
정보통신부장관배순훈남궁석안병엽양승택이상철
보건복지부장관주양자김모임차흥봉최선정김원길이태복김성호
환경부장관최재욱손숙김명자
노동부장관이기호이상룡최선정김호진유용태방용석
여성부장관한명숙
건설교통부장관이정무이건춘김윤기오장섭김용채안정남임인택
해양수산부장관김선길정상천이항규노무현정우택유삼남김호식
기획예산처장관진념전윤철장승우





[ 펼치기 · 접기 ]
정무수석비서관 (1968~1973)
초대
조시형
제2대
김학렬
제3대
김상복
제4대
홍성철
정무제1수석비서관 (1973~1979)
초대
류혁인
정무제2수석비서관 (1973~1979)
초대
정상천
제2대
고건
정무수석비서관 (1979~1980)
초대
고건
제2대
김창식
정무제1수석비서관 (1980~1988)
초대
우병규
제2대
허화평
제3대
정순덕
제4대
허문도
제5대
김윤환
제6대
이진우
정무제2수석비서관 (1980~1988)
초대
김창식
제2대
김태호
제3대
안응모
제4대
유흥수
제5대
김용래
제6대
강우혁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중구·동구·영도구)
선거구 조정
왕상은[D]
안건일[D]
제12대
김정길

박찬종
선거구 조정
김광일[E]
노무현[F]
김정길[G]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영도구)
선거구 조정
김정길[H]
박찬종[H]
제13대
김정길
제14-18대
김형오

[D] A B 부산 제1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E] 부산 중구의 제13대 국회의원[F] 부산 동구의 제13대 국회의원[G] 영도구의 제13대 국회의원[H] A B 부산 중구·동구·영도구의 제12대 국회의원

대한민국 초대 행정자치부 장관
김정길
金正吉 | Kim Jeong-gil
파일:11058_22948_2217.jpg
출생1945년 5월 28일 (79세)
경상남도 통영군 장목면 율천리
(現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율천리)#
본관김해 김씨#
재임기간초대 행정자치부 장관
1998년 3월 3일 ~ 1999년 2월 5일
국민의 정부 제3대 정무수석비서관
1999년 2월 5일 ~ 1999년 11월 23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동아고등학교 (졸업)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 / 학사)
소속 정당
[[무소속|
무소속
]]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2, 13
약력부산대학교 총학생회장
제12-13대 국회의원
민주당 원내총무
민주당 최고위원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행정자치부 장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열린우리당 상임중앙위원
대한태권도협회 회장
대한체육회 회장
대한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1. 개요
2. 생애
2.1. 정계 활동
2.2. 정계은퇴 이후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제12, 13대 국회의원 및 초대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냈다.


2. 생애[편집]


1945년 경상남도 통영군 장목면(현 거제시 장목면) 율천리에서 태어났다. 동아고등학교(12회), 부산대학교를 졸업하였다. 부산대학교 총학생회장을 하던 중 박정희 퇴진을 요구하는 민주화 운동을 하다 구속되었다.

당시 구속적부심으로 석방결정이 내려져 석방되었는데, 그 구속적부심 판결을 내린 사람이 정치인 유승민의 아버지 유수호 판사였다. 이 판결로 유수호 판사는 박정희 정권에 미운털이 박혀 이후 1973년 '사법 파동'으로 법복을 벗게 된다.


2.1. 정계 활동[편집]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부산직할시 중구-영도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예춘호 후보와 신민당 김상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직할시 중구-동구-영도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왕상은 후보와 민주한국당 안건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박찬종에게 신한민주당 공천에서 밀리자 신한민주당을 탈당하여 민주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중선거구제 하에서 신한민주당 박찬종 후보와의 동반 당선을 위해 아빠는 신한민주당, 엄마는 민주한국당이라는 선거 구호를 사용하여 자신은 1등 당선되고 박찬종은 2등 당선되었다. 민주정의당 윤석순 후보는 당연히 낙선.[1] 당선 직후 다시 민주한국당을 탈당하여 신한민주당에 복당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영도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노무현 전 대통령이 통일민주당에 몸담으면서 그와 행동을 같이 하였다. 따라서 3당 합당에 따라가지 않은 1990년 이후에는 부산광역시에서 출마한 선거마다 계속 낙선하였다.

3당 합당 이후로 출마한 선거만 재보궐 포함 국회의원 선거 6번, 시장 선거 1번이다. 그만큼 진정성과 인지도는 있었지만 오직 지역정당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매번 눈물을 삼켰다. 특히 14~17대 총선에서 3번을 한나라당 후보인 김형오에게 깨졌고, 중간에 지역구를 바꾼 93년 재보궐선거와 15대 총선에서는 정치신인인 박종웅과 정의화에게 석패했다.

이후 정권이 교체되며 김대중 정부 때는 행정자치부 장관과 정무수석을 지냈고, 노무현 정부 때는 대한체육회장과 대한태권도협회[2]을 역임하였다. 여담으로 행정자치부 장관 시절 공직사회의 개혁을 주도했으며,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장관과의 대화방을 개설하여 국민과의 직접소통을 최초로 시도한 장관이기도 하다.

그래도 17대 총선에서는 현직 의원인 김형오를 맹추격해서 45%의 고무적인 성과를 올렸으며, 2010년 시장 선거에선 역대 부산시장 야권 후보 최다득표율을 기록했다. 2012년에는 자신의 정치적 기반인 영도를 양보하고[3] 부산진으로 선거구를 옮긴 게 패착이 되었다. 영도에서 당선된 이재균이 의원직을 상실하자 재보궐선거에 출마할 것으로 보였지만 불출마했다.

2013년 6월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


2.2. 정계은퇴 이후[편집]


한때 부산 서면역 근처에서 우동집을 운영하고 있었다. 당시 우동집 간판 요리사 중 하나가 전일본공수의 쉐프 출신이라 미칠듯한 고퀄리티의 맛집으로 호평이 자자했다.

2015년부터 우동집에 대한 글이 없는 것을 보아 문을 닫은 것으로 보인다. 정확히는 건물이 위치한 빌딩의 소유권을 두고 김 장관의 형제들끼리 분쟁이 붙어(...) 자리를 뺀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은 사단법인 재난안전드론협회 회장을 지내고 있으며, 자이툰 부대 파병으로 유명했던 아들 김창희 씨와 함께 서면 '경성여관'을 운영중이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무소속
]]
1978 - 1985정계 입문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85탈당[4]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5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85탈당[5]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 - 1987복당

[[무소속|
무소속
]]
1987탈당[6]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7 - 1990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90탈당[7]

파일:민주당 1990년 글자.svg
1990 - 1991창당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991 - 1995합당[8]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995 - 1997합당[9]

[[무소속|
무소속
]]
1997탈당[10]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7 - 2000입당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 - 2003합당[11]

[[무소속|
무소속
]]
2003탈당[12]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3 - 2007창당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7 - 2008합당[13]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합당[14]
2008 - 2011당명 변경
2011 - 2013합당[15]
2013당명 변경
2013 - 현재탈당
정계 은퇴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1[16]8,284 (6.09%)낙선 (4위)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43,554 (18.35%)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중·동·영도97,688 (37.42%)당선 (1위)초선[17]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영도47,433 (47.28%)재선[18]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25,492 (25.14%)낙선 (2위)
19934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부산 사하14,871 (20.28%)[19]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중·동22,400 (22.63%)낙선 (3위)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영도25,396 (29.13%)낙선 (2위)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36,695 (45.24%)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산광역시장619,565 (44.57%)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부산진 을33,786 (40.54%)


5. 둘러보기[편집]







[1] 당연한 낙선이 아니었다. 실제 야권1명 여권1명 대부분이 당선되는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였지만 이 윤석순 후보란 사람의 부친이 일제강점기 때의 악질친일파로 독립운동가들을 무수히 고문하고 죽인 사람으로 조선인 최초 종로경찰서서장으로 부임하고, 이후 황해도 경찰부장(지금 지방경찰청장임)을 역임한 윤종화로 알려지는 바람에 떨어진 것. 더 웃긴 건 그의 5촌 조카가 윤상현으로 전두환의 사위였다. 그러다 보니 어마어마한 금권선거를 하였으나 사람들이 전부 안찍어서 떨어진 것.[2] 후임자로 온 사람은 홍준표.[3] 이후 들어온 사람은 김비오. 그 역시 영도에서 정치적 기반을 쌓은 인물이다.[4]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5] 신한민주당 복당을 위한 탈당.[6]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7] 3당 합당에 대한 반발로 탈당.[8] 신민주연합당과 신설 합당.[9] 개혁신당과 신설 합당.[10]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신한국당-통합민주당 합당 반대)
[11]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12]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13]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14] 민주당(2007년)과 신설 합당.[15]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6] 중구 및 영도구[17] 신한민주당 박찬종 후보와 동반 당선
1985년 탈당, 신한민주당 입당
1987년 탈당, 통일민주당 입당
[18] 1990년 탈당(3당합당 반대)
민주당 합류
[19] 전임자 서석재 피선거권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