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인우

덤프버전 :

파일:external/rokps.or.kr/711.jpg

申仁雨
1914년 4월 16일 ~ 1993년 11월 24일

1. 개요
2. 생애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정치인이다. 본관은 고령(高靈)[1].


2. 생애[편집]


1914년 4월 16일 강원도 정선군에서 아버지 신익휴(申翼休, 1889 ~ 1965. 5. 28)와 어머니 강릉 유씨 유청죽(劉靑竹, 1888. 9. 18 ~ 1966. 6. 22) 사이의 1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정선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한문을 수학하였다.

이후 강원도청 군속시험에 합격하여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총무처(현 행정자치부) 문서과 부과장, 서울특별시청 소방과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강원도 정선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유기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민주당 중앙위원, 강원도당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민주당 내에서 구파에 속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12월 민주당 구파 정치인들과 민주당을 탈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강원도 영월군-정선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엄정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민정당 강원도당 위원장을 지냈다. 1965년 민중당 정일형 국회의원한일기본조약 체결에 반발하여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자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이 때, 민중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정일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6년 정일형3.1 민주구국선언 사건에 연루되어 이듬해인 1977년 대법원 판결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고 같은 해 민주공화당 장기영 국회의원이 별세하자 그 해 6월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선거구에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오제도 후보와 정대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에 거주하다가 1993년 11월 24일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58 - 1960정계 입문

무소속

1960탈당[2]

ta-hash-start=w-079a397541e3aa20e03914372e71d3a7[[파일:신민당1960글자.png
1960 - 1961창당

무소속

1961 - 1963정당 해산[3]

ta-hash-start=w-966eaa9527eb956f0dc8788132986707[[파일:민정당 글자 수정.svg
1963 - 1965창당

ta-hash-start=w-cad8c8f8f8c4daba6304f28a5f0cad9d[[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5 - 1967합당[4]

ta-hash-start=w-3eb5238106ffa4378988e8191304a914[[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합당[5]

무소속

1967탈당[6]


1967 - 1970입당

ta-hash-start=w-7fd1b2b2c47abff68e7300061e48039b[[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70 - 1977합당[7]

무소속

1977 - 1993탈당
정계 은퇴
사망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종류선거구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여부비고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강원 10[8]

2,567 (10.63%)낙선 (3위)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7,500 (26.48%)당선 (1위)초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강원 5[9]
ta-hash-start=w-12092a75caa75e4644fd2869f0b6c45a[[파일:민정당 글자 수정.svg
5,062 (8.37%)낙선 (4위)
19651965년 재보궐선거서울 2[10]
ta-hash-start=w-8e5f8684f8d3789bfef81027fa2df33f[[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6,465 (27.20%)당선 (1위)재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2[11]

3,800 (7.05%)낙선 (3위)
19771977년 재보궐선거서울 1[12]
무소속

1,494 (8.62%)낙선 (9위)[13]


5. 여담[편집]


파일:Screenshot_20211220-225256_Hancom Office Viewer.jpg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 당시 선거공보의 사진에서 국회폭력 도중 담배를 물고 마이크를 잡아 팽겨치는 모습이 화제가 되었다. 마치 느와르 영화를 연상시키는 모습이었다.

물론 지금은 이런 행위가 사라졌지만 한때 대한민국은 윗 사진이 선거공보에 걸릴 정도로 자타공인 국회폭력이 최고로 심한 나라였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4:28:53에 나무위키 신인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귀래정공파 24세 우(雨) 항렬.[2]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3] 5·16 군사정변[4] 민주당과 신설 합당[5] 신한당과 신설 합당[6] 공천 불복으로 인한 탈당[7] 신민당으로의 흡수 합당[8] 정선군[9] 영월군,정선군[10] 중구[11] 중구[12] 종로구·중구[13] 전임자 정일형 의원직 상실 및 전임자 장기영 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