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즈 업(영화)

덤프버전 :

'클로즈 업'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1위잔느 딜망
2위현기증
3위시민 케인
4위동경이야기
5위화양연화
6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7위아름다운 직업
8위멀홀랜드 드라이브
9위카메라를 든 사나이
10위사랑은 비를 타고
11위선라이즈
12위대부
13위게임의 규칙
14위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15위수색자
16위오후의 올가미
17위클로즈 업
18위페르소나
19위지옥의 묵시록
20위7인의 사무라이
21위잔 다르크의 수난
만춘
23위플레이타임
24위똑바로 살아라
25위당나귀 발타자르
사냥꾼의 밤
27위쇼아
28위데이지즈
29위택시 드라이버
30위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31위8과 1/2
거울
싸이코
34위라탈랑트
35위아푸 제1부 - 길의 노래
36위시티 라이트
M
38위네 멋대로 해라
뜨거운 것이 좋아
이창
41위자전거 도둑
라쇼몽
43위스토커
양 도살자
45위배리 린든
알제리 전투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48위오데트
완다
50위400번의 구타
피아노
52위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집에서 온 소식
54위경멸
블레이드 러너
전함 포템킨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셜록 주니어
59위태양 없이
60위달콤한 인생
문라이트
먼지의 딸들
63위좋은 친구들
제3의 사나이
카사블랑카
66위투키 부키
67위안드레이 루블료프
방파제
분홍신
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메트로폴리스
72위정사
이탈리아 여행
이웃집 토토로
75위슬픔은 그대 가슴에
산쇼다유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78위선셋 대로
사탄탱고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모던 타임즈
천국으로 가는 계단
셀린느와 줄리 배타러 가다
84위블루 벨벳
벌집의 정령
미치광이 피에로
영화의 역사
88위샤이닝
중경삼림
90위기생충
하나 그리고 둘
우게쓰 이야기
레오파드
마담 드...
95위사형수 탈출하다
옛날 옛적 서부에서
열대병
흑인 소녀
제너럴
겟 아웃
101위리오 브라보
검은 집
방랑자
104위엄마와 창녀
컴 앤 씨
죠스
대부 2
108위안녕, 용문객잔
오즈의 마법사
산딸기
악의 손길
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
베이비 길들이기
114위사느냐 죽느냐
영향 아래 있는 여자
내쉬빌
쳐다보지 마라
118위아귀레, 신의 분노
순응자
텍사스 전기톱 학살
더 씽
122위데어 윌 비 블러드
매트릭스
석류의 빛깔
쟈니 기타
쉘부르의 우산
천사만이 날개를 가졌다
128위고양
129위화니와 알렉산더
그의 연인 프라이데이
분노의 주먹
펄프 픽션
133위아라비아의 로렌스
오명
멋진 인생
136위
천국의 아이들
와일드 번치
삼비장가
천국의 말썽
제7의 봉인
소매치기
시골에서의 하루
순정에 맺은 사랑
게르트루드
146위워터멜론 우먼
뱀파이어
에이리언
인디아 송
위대한 환상
차이나타운
152위트윈 픽스: 리턴
서인도 제도
천국의 나날들
구름에 가린 별
행복
157위철서구
내 어머니의 모든 것
올란도
비정성시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마태복음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아마코드
자기만의 인생
과거로부터
살다
잊혀진 사람들
169위지난 해 마리앙바드에서
안달루시아의 개
아웃 원
심바이오사이코택시플라즘: 테이크 원
히트
언더 더 스킨
학살의 천사
저개발의 기억
검은 수선화
붉은 사막
석양의 무법자
차룰라타
미지의 여인에게서 온 편지
히로시마 내 사랑
위대한 앰버슨가
185위매그놀리아
베를린 천사의 시
갈증
탐욕
사랑의 행로
꽁치의 맛
로슈포르의 숙녀들
파리, 텍사스
196위파리 이즈 버닝
머리 없는 여인
엉클 분미
트리 오브 라이프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자마
파장
전화의 저편
노스페라투
이중 배상
태양은 외로워
내가 가는 곳은 어디인가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블림프 대령의 삶과 죽음
어떤 방법으로
211위한계
레이더스
핑크 플라밍고
트윈 픽스 극장판
20년 후
멜랑콜리아
그림자 군단
디어 헌터
서스페리아
밀회
이브의 모든 것
식은 죽 먹기
고독한 영혼
저 푸른 바다로
225위군중
반딧불이의 묘
블루
크래시
해피 투게더
해상화
우연히 나는 아름다움의 섬광을 보았다
쁘띠 마망
녹색 광선
나, 너, 그, 그녀
협녀
나폴레옹
유로파 51
불타는 시간의 연대기
인톨러런스
스타워즈
외침과 속삭임
할란 카운티 USA
243위마지막 웃음
햇빛 속의 모과나무
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체리 향기
반다의 방
모번 켈러의 여행
개입자
징후와 세기
빛을 향한 노스탤지어
먼 목소리, 조용한 삶
오, 태양
포제션
비디오드롬
캔터베리 이야기
시계태엽 오렌지
무쉐뜨
황야의 결투
불꽃 속에 태어나서
애니 홀
설리반의 여행
판도라의 상자
대지



>
[ 펼치기 · 접기 ]
※ 2018년 BBC는 209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외국어(비영어권)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7인의 사무라이
2위자전거 도둑
3위동경이야기
4위라쇼몽
5위게임의 규칙
6위페르소나
7위8과 1/2
8위400번의 구타
9위화양연화
10위달콤한 인생
11위네 멋대로 해라
12위패왕별희
13위M
14위잔느 딜망
15위아푸 제1부 - 길의 노래
16위메트로폴리스
17위아귀레, 신의 분노
18위비정성시
19위알제리 전투
20위거울
21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22위판의 미로
23위잔 다르크의 수난
24위전함 포템킨
25위하나 그리고 둘
26위시네마 천국
27위벌집의 정령
28위화니와 알렉산더
29위올드보이
30위제7의 봉인
31위타인의 삶
32위내 어머니의 모든 것
33위플레이타임
34위베를린 천사의 시
35위표범
36위위대한 환상
37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38위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39위클로즈업
40위안드레이 루블료프
41위인생
42위시티 오브 갓
43위아름다운 직업
44위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45위정사
46위천국의 아이들
47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48위비리디아나
49위스토커
50위라탈랑트
51위쉘부르의 우산
52위당나귀 발타자르
53위만춘
54위음식남녀
55위쥴 앤 짐
56위중경삼림
57위솔라리스
58위마담 D
59위컴 앤 씨
60위경멸
61위산쇼다유
62위투키 부키
63위작은 마을의 봄
64위세 가지 색: 블루
65위오데트
66위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67위학살의 천사
68위우게츠 이야기
69위아무르
70위태양은 외로워
71위해피 투게더
72위살다
73위카메라를 든 사나이
74위미치광이 피에로
75위세브린느
76위이 투 마마
77위순응자
78위와호장룡
79위
80위잊혀진 사람들
81위셀린느와 줄리 배타러 가다
82위아멜리에
83위
84위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85위움베르토 디
86위방파제
87위카비리아의 밤
88위마지막 국화 이야기
89위산딸기
90위히로시마 내 사랑
91위리피피
92위결혼의 풍경
93위홍등
94위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95위부운
96위쇼아
97위체리 향기
98위햇빛 쏟아지던 날들
99위재와 다이아몬드
100위안개 속의 풍경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클로즈 업 (1990)
کلوزآپ ، نمای نزدیک | Close-Up
파일:클로즈 업.jpg
장르
다큐픽션, 전기, 범죄, 드라마
감독
각본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제작
알리 레자 자린
주연
후세인 사브지안
모흐센 마흐말바프
촬영
알리 레자 자린다스트
제작사
파일:이란 국기.svg 카눈(Institute for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배급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셀룰로이드 드림즈
개봉일
파일:이란 국기.svg 1990년 2월 1일(파지르 영화제)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1년 10월 30일
화면비
1.37:1
상영 시간
98분
북미 박스오피스
$2,670
상영 등급

1. 개요
2. 시놉시스
3. 등장인물
4. 평가
5. 제작 비화
6. 기타



1. 개요[편집]


이란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1990년 작품. 한 남자가 이란의 감독 모흐센 마흐말바프를 사칭하면서 생겨진 일을 그린 다큐픽션이다.


2. 시놉시스[편집]



버스에서 모흐센 마흐말바프의 책을 읽고 있는 실업자 알리 사브지안에게 어느 상류층 여인이 말을 걸어온다. 알리는 자신도 모르게 자신이 바로 모흐센 마흐말바프라고 거짓말을 한다.

이 말을 믿고 알리에게 호감을 느낀 여자는 그를 집에 초대하는데 그곳에서 그녀의 남편과 예술에 관심이 많은 아들을 만나게 된다. 알리는 그들의 집을 배경으로 하고, 아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를 찍겠다는 말로 이들의 환심을 산다.그러나 알리의 거짓말을 알게 된 가족은 화가 나 알리를 고소하고 인자한 판사는 가족에게 고소를 취하하도록 설득한다.

알리가 재판을 받고 있는 동안 카메라는 영화 밖으로 시선을 옮기는데, 이 영화의 감독인 압바스 키아로스타미가 모든 재판 상황을 소재로 삼아 영화를 계속 진행시키기로 하는데...



3. 등장인물[편집]



  • 후세인 사브지안 - 본인 역[1]
  • 모흐센 마흐말바프 - 본인 역[2]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 본인 역[3]

이외에도 모든 등장인물들이 실제 사건에 관련된 본인 역할을 맡는다.


4.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17위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 1991년


그러고 나서, 그렇다. 거의 전적으로 우리 세대에게 행운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는 <클로즈업>(1990)을 보았다. 그 영화는 다큐멘터리와 픽션을 자유자재로 섞어나가기 시작했다. 어디까지가 기록이고 어디서부터가 드라마인 것일까. 어디서부터가 진짜이고 어디까지가 가짜일까. (중략) <클로즈업>은 마지막 순간 조화를 찾는 대신 일시에 균형을 무너트렸다. 그 순간 들이닥친 일찍이 경험해본 적이 없는 예측 불가능한 감흥.

정성일


★★★★★

이동진


단순히 영화 내용에서만이 아니라, 영화 제작 과정에서도 다큐멘터리와 픽션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영화.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 영화 중에서 최고작으로 주로 뽑힐 뿐만 아니라 메타픽션 영화 중에서도 가장 위대한 영화로 손꼽힌다.


5. 제작 비화[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실제라고 생각할 수 있는 영화의 많은 장면들이 각본과 편집 아래 재구성 된 내용들이다.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은 판사를 설득해[4] 후세인 사브지안의 무죄 판결을 유도했다. 사브지안에게 사기를 당했던 아한카흐 가 사람들이 사브지안을 용서한 것처럼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아한카흐 가 사람들은 이러한 판결에 매우 분노했다고.

  • 영화 마지막 장면 후세인 사브지안과 모흐센 마흐말바프의 첫 만남은 연출된 것이다. 이 장면의 사운드 오류 또한 의도적인 것으로 후세인 사브지안은 자신의 우상과의 만남에 들떠 마구 떠드는 데 비해 모흐센 마흐말바프는 대본에 적힌 대사만 해서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후세인 사브지안 본인은 이 때문인지 후에 "키아로스타미 감독이 자신을 속인 것 같다"며 불만을 표했다고 한다. 출처 1 출처 2

  • 영화의 나머지 장면이 35mm 필름으로 촬영된 데 비해, 재판 장면은 16mm 필름으로 촬영되어 실제 재판이 그대로 삽입된 느낌을 주지만, 영화 속 재판 장면에서 후세인 사브지안의 대사는 실제 재판에서 그의 발언을 토대로 재구성한 각본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내용들은 <클로즈 업>을 보았을 때 느끼는 감상을 다소 흐릴 수 있지만,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작가주의적인 면모를 살펴보면 <클로즈 업> 제작 과정의 현실에의 적극적인 간섭 또한 '영화가 현실에 다가가는 과정'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 1990년대 이란에서 영화 감독은 스포츠 스타 선수처럼 사회적 인기와 영향력이 큰 직업이었고, 이러한 영화 감독으로서 가지는 힘을 이용해 키아로스타미 감독은 <클로즈 업>을 촬영하며 후세인 사브지안이라는 독특한 예술관을 지닌 인물에게 새로운 삶을 살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즉, <클로즈 업>은 영화가 현실에 미치는 힘, 카메라가 현실에 미치는 힘을 강조한 영화이다. 다만 이 접근이 도덕적으로 옳은지 판단하는 것은 관객의 몫이 될 것이다. 출처


6. 기타[편집]



  • 미카엘 하네케 감독이 이 영화의 팬으로, 동명의 단편 영화까지 제작한 적이 있다.


  • 난니 모레티는 1996년 자신이 운영하는 영화관에 <클로즈 업>을 상영한다는 내용의 단편 영화 <Il giorno della prima di Close Up(클로즈 업 전날)> 을 만들었다.

  • 모슬렘 만수리[5]와 마흐무드 초크롤라히[6]는 1996년 <Close-Up Long Shot> 이라는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든다. 본작의 주인공 후세인 사브지안이 평생 가져 온 자신의 영화에 대한 열정과 <클로즈 업> 이후에도 여전히 비참한 그의 삶, 영화에 대한 추억과 어릴 적 학대의 경험들을 인터뷰 형식으로 들려준다. 이 영화를 본 뒤 키아로스타미 감독은 충격을 받아 3일 간 잠을 자지 못했다고 한다.

  • 누가 시네필 아니랄까봐 마틴 스콜세지 감독은 2019년 다큐멘터리 <롤링 썬더 공연: 밥 딜런>을 만들면서 <클로즈 업>의 영향을 받았다고 얘기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8:52:24에 나무위키 클로즈 업(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 영화감독 모흐센 마흐말바프 행세를 하다가 경찰에 체포되었다, 재판에서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선처 요청으로 풀려나게 된다. 이후 2006년 52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사인은 심장마비.[2] 사이클리스트 등을 연출한 이란의 영화 감독.[3] 뒷모습과 목소리로만 출연한다.[4] 심지어 키아로스타미 감독은 영화를 찍기 위해 판사에게 재판 일정을 당겨 달라고 요구를 했다고 한다. 출처[5] <그들만의 영화천국>을 감독했다.[6] 본작에 등장한 모흐센 마흐말바프 감독의 영화 <개미의 통곡>에 배우로 출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