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16 (r1판)

편집일시 :

파일:J 16 3.jpg
파일:j-16.jpg
J-16
1. 개요
2. 제원 및 F-15E와의 비교
3. 특징
4. J-16D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선양 항공기 제작공사 J-16
沈阳飞机工业集团 歼-16
Shenyang Aircraft Corporation) J-16

J-16은 중국이 J-11을 개량해서 만든 멀티롤 전투기로, 공중우세 전투기인 J-11에 비해서 지상 공격 능력에 더욱 초점을 둔 전투기이다. J-11과 J-16의 관계는 Su-27과 Su-30과의 관계와 대략적으로 비슷하다.


2. 제원 및 F-15E와의 비교[편집]


J-16F-15E
승무원22
전장21.9 m19.43m
전폭14.7 m13.05m
높이6.36 m5.63m
중량17,700 kg14,300kg
최대이륙중량35,000 kg36,700kg
엔진2 ×WS-10A2 ×F100-229(프랫 & 휘트니)
추력각각 89.17 kN (20,050 lbf)각각 79.1 kN (17,800 lbf)
애프터버너 추력각각 135 kN (33,000 lbf)각각 129 kN (29,200 lbf)
최대속도마하 2.0마하 2.5
작전반경1500 km1270 km
이동거리4000 km3860 km[1]
최대상승고도17,300 m18,200 m
상승속도305 m/s254 m/s

3. 특징[편집]


1990년대 후반 중국은 J-11 프로젝트를 실시하면서 Su-27을 라이센스 생산하였으나, 중간에 러시아가 부품의 공급을 중단했기 때문에 후반기 사업분은 모두 내부 부품으로 중국제 부품들이 들어간다. 이 후반기 사업분을 J-11B라고 하는데, 이 J-11B에서 각종 업그레이드를 통해 지상공격 능력을 업그레이드한 기체인 J-16을 만들었다.

중국의 주력 지상 공격기인 Q-5는 본래 MiG-19를 기반으로 1960년대에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주변국[2]들에 비해 주공격기로 계속 사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시급히 지상공격기를 필요로 했고, 결국 Su-30MKK와 F-15E를 컨셉으로 J-11을 개량한 것이다.

J-16은 2012년 6월에 초도 비행을 했으며, J-11과는 수직안정판의 각도가 좀 다르다고 하며, 동체에는 지상공격 부여 때문에 늘어난 무게를 복합재를 사용을 늘려 무게 절감을 시도했고, 레이더 흡수 도료를 일부 발랐다. 항전쪽에서는 능동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AESA)와 HMD, 등의 향상된 항전장비들을 달았고. 엔진은 중국제 WS-10A 엔진이 장착된다고 한다.

무장쪽에선 기골을 보강하여 멀티롤 성능을 J-11보다 더 보강하였고. 공대공에서는 서방권에서 위협적이라고 평가를 받는 PL-10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과 PL-15 중장거리 공대공 미사일[3]을 쓸 수 있고. 공대지에서는 서방권의 매버릭 미사일과 동일한 임무를 맡는 KD-88 공대지 미사일과 레이저 유도 폭탄 그리고 타게팅 포드인 YINGS-III 포드가 장착되어 있다. 공대함에서는 YJ-83을 장착할 수 있다.

복좌형 플랭커 계열기인 만큼 Su-30과 외관상 거의 동등하지만, 하방에서 보면 Su-35S와도 제법 흡사.

중국군은 현재 170여기의 J-16을 보유하고 있다.

4. J-16D[편집]


2021년 9월 23일 중국은 10월 주하이 에어쇼에서 J-16D 전자전 항공기를 공개하였다. 이 항공기는 미 해군 항공대 에서 운용 중인 전자전기인 보잉 EA-18G 그라울러와 유사한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


5. 둘러보기[편집]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중국 인민해방군 (1948~현재)
中国人民解放军 / 中國人民解放軍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Z-5R, AS350, Mi-8, Mi-8T, Mi-17V7, Mi-171(V, V5), Mi-172, Mi-6, S-70C2, Z-9, Z-15, Z-20, SA-316이상 육
수송헬기Mi-26, Z-8, Z-18
공격헬기WZ-10 , Z-19, Z-11
대잠헬기Ka-27, Z-8, Z-9, Z-20이상 해
전투기1세대MiG-9(I-307, J-1)R, J-2R, J-4R, J-5R
2세대J-6R, J-7해, 공
3세대J-7(E/G), J-8(A/B)해, 공, J-9
4세대 / 4.5세대J-10(A/B/C)해, 공, J-11(A/B/BS)해, 공, J-15, J-16, Su-27(UBK/SK)해, 공, Su-30(MkK/Mk2), Su-35, F-16/79
5세대J-20, {FC-31}
공격기Q-5
전폭기JH-7(A/B), Q-6
전략폭격기Tu-4R, H-5R, H-6, H-6K, {H-20}
수송기Y-5, CRJ200, CRJ700, Il-76, Y-7, Y-8, Y-9, Y-11, Y-12, Y-20
지원기공중조기경보통제기KJ-1R, KJ-2000, KJ-500, KJ-200, {KJ-600}
전자전기Y-9(G/X), J-16D
대잠초계기Y-8FQ, Y-9Q
정찰기Tu-154MD, JZ-6R, JZ-8
공중급유기Il-78, H-6U, YU-20
무인기UAV샹룽, WZ-7, WZ-8, WZ-10
UCAVGJ-1, GJ-2, {GJ-11}, TB-001
훈련기JL-8, JL-9, L-15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1] 컨포멀 탱크 장착시[2] 일본F-2, 한국F-15K, 그리고 인도Su-30, 최근에 우호적인 러시아Su-24이나 Su-34를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음속기인데다가 심하게 개발 된 지 오래된 구식기체인 Q-5로는 상대하기 힘들다.[3] 특히 PL-15가 위협적이라 사정거리와 표적획득에서 한계를 보이는 암람을 대체할 AIM-260 미사일을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