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동안구 갑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동안구/정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안양시 동안구 갑>
관양동, 비산동
安養市 東安區 甲
Anyang Dongan A
파일:국회선거구 안양시 동안구 갑.svg
선거인 수170,040명 (2020)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안양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동안구 일부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관양1동, 관양2동, 부림동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병덕



1. 개요[편집]


안양시에서 4호선이 관통하는 동안구 북부 지역[1]으로 구성된 선거구이다. 13 / 14대 총선에서는 안양시 을[2]에 속했으나, 안양시의 일반구 도입 후 15대 총선에서 처음 동안구 갑 / 을로 분리된 선거구가 도입되었다.

16대 총선 때 지역구 의원 정수 축소 및 인구수 미달로 갑 / 을이 사라지고 동안구 단일 선거구로 합구되었으나, 17대 총선 때 다시 원래 모양대로 분구되어 지금에 이른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다.

오랜 세월 동안 제19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이석현 전 의원이 당선되었던 더불어민주당 텃밭 지역으로, 21대 총선에선 민병덕 의원이 경선, 본선에서 승리하면서 세대교체를 했다.

평촌신도시 일부를 관할하는 지역구인데, 해당 지역 3개 동(부흥동, 달안동, 부림동)은 안양시에서 가장 더불어민주당 성향이 짙은 동네이다.[3] 그러나 같은 평촌인데도 이 3개 동과는 달리 안양시 동안구 을에 속하는 나머지 동에서는 보수세가 상당히 있다. 이런 차이에는 이 3개 동에는 상대적으로 소형 평수 단지가 많아 신혼부부 등 젊은층의 비율이 높다는 점, 갑구와 을구 사이 범계역, 평촌역의 업무 / 상업지구가 있어서 약간 분리되어 있는 점 등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

한편, 원도심 중에서는 비산동, 그 중에서도 비산1동이 그나마 보수 성향이 가장 두드러지는 편이나 그 비산1동조차도 18대 총선을 제외하면 보수 정당의 손을 들어준 적은 없다.[4]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
제15대최희준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5]심재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6]이석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민병덕2020년 5월 30일~


2.1. 안양시 을 (13~14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안양시 을
안양7동, 안양8동, 비산1동, 비산2동,
관양동, 평촌동, 호계1동, 호계2동, 호계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일주(金日柱)16,5183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8.93%낙선
2신하철(申河澈)21,7541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4.93%당선
3이석현(李錫玄)18,9902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21.76%낙선
4박제상(朴濟相)15,0084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17.19%낙선
5안기석(安起奭)1,1776위

1.34%낙선
6김정묵(金定默)12,7285위

[[무소속|
무소속
]]
14.58%낙선
7이광훈(李光薰)1,0827위

[[무소속|
무소속
]]
1.24%낙선
선거인 수128,841투표율
68.30%
투표 수88,030
무효표 수773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안양시 을
안양7동, 안양8동,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관양1동, 관양2동, 평촌동, 호계1동, 호계2동, 호계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하철(申河澈)28,6033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6.84%낙선
2이석현(李錫玄)39,146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36.74%당선
3김일주(金日柱)34,1092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32.01%낙선
4이경호(李慶鎬)1,6495위
1.54%낙선
5안기석(安起奭)3,0354위
2.84%낙선
선거인 수157,717투표율
68.18%
투표 수107,538
무효표 수996


2.2. 안양시 동안구 갑 (15대)[편집]



2.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안양시 동안구 갑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관양1동, 관양2동, 부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재철(沈在哲)18,2222위
24.70%낙선
2최희준(崔喜準)20,3801위
27.63%당선
3최병권(崔炳權)7,6045위
10.30%낙선
4가재춘(價在春)10,1374위
13.74%낙선
5김일주(金日柱)17,4173위
23.61%낙선
선거인 수115,010투표율
65.02%
투표 수74,777
무효표 수1,017


2.3. 안양시 동안구 (16대)[편집]



2.3.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안양시 동안구
동안구 일원[동안]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재철(沈在哲)62,1081위
49.12%당선
2이석현(李錫玄)61,2392위
48.43%낙선
4신하철(申河澈)3,0873위
2.44%낙선
선거인 수221,136투표율
57.73%
투표 수127,666
무효표 수1,232

합구된 선거구에서 구 동안구 을 현역 새천년민주당 이석현 의원과 구 동안구 갑에서 4년 전에 낙선했던 한나라당 심재철 후보가 맞붙었으며, 예전에도 지속적으로 출마해왔던 민주국민당 신하철 후보도 나왔다.[7]

15대 때는 합구 전의 두 선거구 모두 국민회의가 가져가기는 했으나, 확실하게 이겼던 곳이 아니였던 만큼 박빙의 승부였다. 이석현 후보는 호계1~3동 및 인덕원역 인근(관양2동, 평촌동)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나머지 원도심권에서는 심 후보 우세였고, 결정적으로 개발 영향으로 인해 평촌신도시 대부분이(달안, 부림동 제외) 심재철의 손을 들어주며 승부가 났다.

합구 전 선거구 기준으로는 갑구(715표 차), 을구(1,466표 차) 모두 근소한 심재철 우세. 부재자 투표는 1,312표 차 이석현 우세이기는 했다.


2.4. 안양시 동안구 갑 (17대~)[편집]



2.4.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안양시 동안구 갑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관양1동, 관양2동, 부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진섭(鄭鎭燮)30,0132위
36.91%낙선
2최영식(崔泳植)3,8664위
4.76%낙선
3이석현(李錫玄)41,9131위
51.55%당선
4정성희(鄭星熙)5,5013위
6.77%낙선
선거인 수124,446투표율
65.71%
투표 수81,775
무효표 수482


2.4.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안양시 동안구 갑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관양1동, 관양2동, 부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석현(李錫玄)30,8521위
47.87%당선
2최종찬(崔鍾璨)26,8502위
41.66%낙선
3고강(高崗)2,0194위
3.13%낙선
6박원용(朴元鏞)4,1703위
6.47%낙선
7유덕순(柳德順)5555위
0.86%낙선
선거인 수131,982투표율
49.10%
투표 수64,804
무효표 수358


2.4.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안양시 동안구 갑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관양1동, 관양2동, 부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종찬(崔鍾璨)36,1022위
45.14%낙선
2이석현(李錫玄)43,8691위
54.85%당선
선거인 수136,803투표율
58.82%
투표 수80,463
무효표 수492


2.4.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안양시 동안구 갑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관양1동, 관양2동, 부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용준(權龍俊)30,0892위
32.97%낙선
2이석현(李錫玄)45,6801위
50.05%당선
3백종주(白鍾柱)14,3803위
15.75%낙선
5유현목(兪賢穆)1,1094위
1.21%낙선
선거인 수145,432투표율
63.33%
투표 수92,112
무효표 수854


2.4.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안양시 동안구 갑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관양1동, 관양2동, 부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민병덕(閔炳德)56,3451위
55.33%당선
2임호영(林鎬英)40,4902위
39.76%낙선
6이성재(李性宰)4,3443위
4.26%낙선
7유정희(柳貞姬)6424위
0.63%낙선
선거인 수145,827투표율
70.57%
투표 수102,910
무효표 수1,089

21대 총선 경기 안양시 동안구 갑 개표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민병덕임호영
득표수
(득표율)
56,345
(55.33%)
40,490
(39.76%)
+ 15,855
(△15.57)
145,827
(70.6%)
비산1동51.37%44.45%△6.9271.18
비산2동53.10%42.60%△10.5072.97
비산3동52.13%43.02%△9.1166.71
부흥동55.59%38.96%△16.6373.01
달안동59.51%35.94%△23.5769.01
관양1동51.99%42.47%△9.5265.07
관양2동53.63%41.41%△12.2268.06
부림동60.63%34.91%25.7268.79
후보민병덕임호영격차
거소·선상투표50.89%39.73%△11.16
관외사전투표63.51%31.39%△32.12
재외투표65.84%29.19%36.65

안양시 동안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후보민병덕임호영
평촌 더샵 센트럴시티54.82%41.30%▼13.52
더 포레스트 힐54.52%41.32%▼13.20
비산 롯데캐슬48.92%46.28%▼2.64
비산 삼성래미안41.53%54.26%△12.73
현대41.15%54.06%△12.91
미륭47.25%47.92%△0.67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이석현 의원이 7선과 함께 국회의장직 도전에 나선 가운데, 트위터 비례대표 초선인 권미혁 의원, 원외인 민병덕 변호사가 경선에 참여했다. 경선 결과 두 현역의원을 꺾고 민병덕 변호사가 승리하였다. 경선 최고 이변 중 하나로 보도됐으며 이석현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일반 시민투표에서는 자신이 우세했으나 권리당원 투표에서 민 후보에게 밀렸음을 밝히고, 경선 결과에 승복하였다.[8]

미래통합당에서는 바른미래당에서 제명된 임재훈 의원이 입당, 옆동네인 안양시 동안구 을에서 지역구를 옮겨 공천을 신청했다. 하지만 임재훈 의원은 손학규 대표 비서실장 출신으로서, 2019년 선거법 패스트트랙 / 공수처 정국에서나 안보관 / 대북관 등에서 큰 틀에서 한국당보다는 민주당과 더 밀접한 행보를 보여 온 바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당 지도부에서 임 의원은 컷오프되었고, 대신 임호영 변호사(전 부장판사)가 공천되었다. 기사

정의당에서는 이성재 지역위원장이 후보로 등록했다.

선거 결과, 민병덕 후보가 과거 17~20대 때의 이석현보다도 더 득표율을 올리며 민주당 내 세대교체에 성공했다.

투표소별로 볼 경우, 부림동 제4투표소[9], 부림동 제1투표소[10]에서는 민병덕 후보가 61.42%, 57.36%를 득표해 가장 민주당 지지가 강했고, 비산1동 제3투표소[11], 관양1동 제2투표소[12]에서는 임호영 후보가 55.60%, 54.06%를 득표해 가장 통합당 지지가 강했다.


2.4.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안양시 동안구 갑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관양1동, 관양2동, 부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민병덕 의원이 재선에 도전하며 지난 총선에서 경선에서 패한 이석현 전 의원도 다시 출마 준비를 하고 있어 경선을 통해 후보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에서는 지난 총선에서 컷오프당한 임재훈 전 의원이 당협위원장으로 지역구를 계속해서 맡아오고 있어 이번에는 공천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1] 법정동 비산동, 관양동으로 원도심권의 비율이 높으며 인덕원역, 평촌역 역무실이 이 지역 소관이다. 또한 안양시청과 동안구청도 주소지상 이 선거구 소재지로 들어간다.[2] 안양7동, 안양8동 및 현재의 동안구 전 지역이 을, 나머지 만안구 지역이 갑.[3] 특히 이 3개 동 중 부림동이 민주당 지지세가 가장 강하다. 다만 달안동은 8회 지선에서 김은혜가 승리하는 등, 2022년 이후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예전에 비해 약해진 편이다.[4] 비산1동에 위치한 비산삼성래미안 단지(3,806세대)가 대체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데, 거기를 제외하면 딱히 보수쪽이 우세하다고 보기는 어렵다.[5] 안양시 동안구로 선거구 합구[6] 안양시 동안구 갑으로 선거구 분구[동안]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관양1동, 관양2동, 부림동, 평촌동, 평안동, 귀인동, 호계1동, 호계2동, 호계3동, 범계동, 신촌동, 갈산동[7] 이 때 당시에는 심재철의 지역구 기반은 동안 갑이었고, 이석현 지역구는 동안 을이었다. 재분구 이후 17대~20대까지 줄곧 이석현이 갑구, 심재철은 을구에서 연속 당선되었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는 부분.[8] 마찬가지로 이웃한 안양시 만안구에서도 5선 의원인 이종걸을 꺾고 강득구 전 경기도 연정부지사가 공천을 받았다.[9] 한가람마을 두산아파트(1단지), 세경아파트(5단지)[10] 공작마을 부영아파트(3단지), 및 평촌라츠오피스텔[11] 비산삼성래미안 101~117동[12] 관양동 현대아파트, 현대맨션1차 및 관양동 1371~74, 1391, 1392번지에 위치한 다세대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