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주
(♥ 0)
1. 나라[편집]

허베이성 창저우 시에 남아있는 후주시기 철사자상 (沧州铁狮子). 953년에 세워졌으며,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철제 조각상으로 손꼽힌다.
1.1. 개요[편집]
오대(五代)의 마지막 왕조로 951년에 곽위(郭威)가 후한을 무너뜨리고 개봉(開封)에 건국한 국가이다. 국호는 주(周)이지만 과거 무왕(武王)이 세운 주나라와 구별하기 위해 후주, 성씨를 따라 곽주(郭周), 시주(柴周)라고 부른다.
1.2. 역사[편집]
곽위는 후주를 건국하고 황제가 되었지만 거병할 때 자식이 모두 살해되어서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954년에 죽을 때 처남의 아들인 시영(柴榮)을 양자로 세워 제위를 잇게 하니 이가 후주 세종(世宗, 954년 ~ 959년)이다. 세종은 북한(北漢)과 싸워 승리를 거둔 뒤(고평 전투) 내정에 충실을 기하고 군대를 정비해 천하 통일의 야심을 품고 남당(南唐)과 북한을 압박하고 요나라를 공격해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959년, 겨우 39살에 병사한 뒤 그의 어린 아들인 시종훈이 제위를 잇자, 군대가 무혈 쿠데타를 일으켜서 장군 조광윤(趙匡胤)이 황제로 옹립되었다. 이로서 통일 왕조의 초석을 닦은 후주도 겨우 9년 만에 멸망하고, 조씨에 의한 송이 개창되었다.
그러나 이 오대 최후의 왕조인 후주의 황족인 시씨는 조광윤의 쿠데타 때에 선양했기 때문에 사실상의 대귀족으로서 대우받았고, 시종훈 본인도 조광윤의 후한 대우와 보호를 받았다.[1] 그래서 남송 최후의 전투인 애산 전투에서 시씨 일족은 남송의 최후의 군대와 함께 항전하여 남송과 최후를 함께했다.[2]
1.3. 고려와의 관계[편집]
고려와도 관계가 있다. 이 나라 출신 인물인 쌍기(雙冀)는 956년, 광종 시대의 고려로 들어와 귀화하고, 한림학사와 문형에 올랐다. 그는 958년 과거 제도를 창설하고 첫 지공거가 되었다. 이 과거 제도는 세습이 아닌 실력으로 사람을 선발하는 제도로서 그동안 군림하였던 호족 세력을 누르고 광종의 왕권 강화에 일조하였다. 대표적인 중국계 한국인인 셈인데, 후손은 단절되었다.
1.4. 역대 황제[편집]
2. 기타[편집]
- 후주(後主)는 뒤를 이은 군주라는 뜻으로 정식 묘호나 시호를 받지 못한 군주들이 받는 호칭이다. 촉한의 유선, 북제의 고위, 후량의 소종, 남진의 진숙보, 전촉의 왕연, 남한의 유창 등이 있다.
- 후주(後奏): 반주에서 독주나 독창이 끝난 뒤에 연주하는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