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기록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1. 개요
2. 역대 우승 구단
3. 우승 횟수
3.1. 구단
3.2. 국가
4. 4강 진출 횟수
5. 역대 MVP
6. 역대 득점왕
7. 역대 페어플레이 구단
8. 기록
8.1. 최다 출장 선수
8.2. 최다 득점 선수
8.3. 최다 도움 선수
8.4. 최다 클린시트 선수
9. K리그 관련 기록
9.1. 시즌별 기록
9.2. 구단별 기록
9.3. 통산 순위
10. 여담
11. 개별 문서



1. 개요[편집]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관련 기록을 정리한 문서.


2. 역대 우승 구단[편집]


파일:25976530712269839944789349039246677922167604.jpg

연도우승결과준우승경기장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1967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하포엘 텔아비브2-1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FA 슬랑오르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1969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1-0[ET]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지 축구단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1970파일:이란 국기.svg 타지2-1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하포엘 텔아비브파일:이란 국기.svg 테헤란, 암자디예 스타디움
1971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기권승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5-86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우 로얄즈3-1[ET]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아흘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제다,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잘 스타디움
1986파일:일본 국기.svg 후루카와 전기리그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1987파일:일본 국기.svg 요미우리 FC기권승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1988-89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사드2-3
1-0[A]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라시드파일:이라크 국기.svg 바그다드, 알 카르흐 스타디움
파일:카타르 국기.svg 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1989-90파일:중국 국기.svg 랴오닝 FC2-1
1-1
파일:일본 국기.svg 닛산 FC파일:일본 국기.svg 요코하마, 닛파츠 미츠자와 구기장
파일:중국 국기.svg 선양, 톄시 자치구 스포츠 센터
1990-91파일:이란 국기.svg 에스테그랄2-1파일:중국 국기.svg 랴오닝 FC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다카, 방가반두 국립 경기장
199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1-1[ET]
(PSO 4-3)
파일:이란 국기.svg 에스테그랄파일:카타르 국기.svg 도하, 칼리파 국제 경기장
1992-93파일:이란 국기.svg 파스 테헤란1-0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파일:바레인 국기.svg 마나마, 알 아흘리 스타디움
1993-94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농민은행2-1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클럽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1994-95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농민은행1-0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아라비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19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일화 천마1-0[ET]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1996-97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2-1[ET]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천안 일화 천마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1997-98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0-0[ET]
(PSO 6-5)
파일:중국 국기.svg 다롄 완다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홍콩 스타디움
1998-99파일:일본 국기.svg 주빌로 이와타2-1파일:이란 국기.svg 에스테그랄파일:이란 국기.svg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1999-00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3-2[ET]파일:일본 국기.svg 주빌로 이와타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2000-0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1-0파일:일본 국기.svg 주빌로 이와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 수원종합운동장
2001-02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0-0[ET]
(PSO 4-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양 LG 치타스파일:이란 국기.svg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AFC 챔피언스 리그
2002-03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2-0
0-1
파일:태국 국기.svg BEC 테로 사사나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 타눈 빈 모하메드 스타디움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2004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1-3
5-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남 일화 천마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제다,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잘 스타디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남, 성남종합운동장
2005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1-1
4-2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 타눈 빈 모하메드 스타디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제다,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잘 스타디움
2006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2-0
1-2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카라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파일:시리아 국기.svg 홈스, 할리드 이븐 알 왈리드 스타디움
2007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2-0
파일:이란 국기.svg 세파한파일:이란 국기.svg 이스파한, 풀라드 샤흐르 스타디움
파일:일본 국기.svg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08파일:일본 국기.svg 감바 오사카3-0
2-0
파일:호주 국기.svg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파일:일본 국기.svg 스이타, 오사카 만박 기념 경기장
파일:호주 국기.svg 애들레이드, 하인드마시 스타디움
200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2-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20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남 일화 천마3-1파일:이란 국기.svg 조브 아한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2011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사드2-2[ET]
(PSO 4-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20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현대3-0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아흘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울산문수축구경기장
2013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 헝다2-2
1-1[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C 서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 톈허 스타디움
2014파일:호주 국기.svg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1-0
0-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 패러마타 스타디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2015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0-0
1-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샤바브 알 아흘리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이, 라시드 스타디움
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 톈허 스타디움
20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2-1
1-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2017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1-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파일:일본 국기.svg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18파일:일본 국기.svg 가시마 앤틀러스2-0
0-0
파일:이란 국기.svg 페르세폴리스파일:일본 국기.svg 가시마, 이바라키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파일:이란 국기.svg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2019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1-0
2-0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킹 사우드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파일:일본 국기.svg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현대2-1파일:이란 국기.svg 페르세폴리스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와크라, 알자누브 스타디움
202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2022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1-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파일:일본 국기.svg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3. 우승 횟수[편집]



3.1. 구단[편집]


}}} ||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tablewidth=100%><table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f2023><rowbgcolor=#0053a1><rowcolor=#ffffff><width=14%> '''순서''' ||<-2><width=40%> '''[[AFC 챔피언스 리그|{{{#ffffff 우승 구단}}}]]''' ||<width=14%> '''최초 우승''' ||<width=16%> '''최근 우승''' ||<width=16%> '''우승 횟수''' || || 1 || [[하포엘 텔아비브 FC|[[파일:하포엘 텔아비브 FC 로고.svg|height=60]]]] ||<colbgcolor=#0053a1> '''[[하포엘 텔아비브 FC|[[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5]] {{{#ffffff 하포엘 텔아비브}}}]]''' ||<-2> 1967 || '''[[AFC 챔피언스 리그/1967년|{{{#ccac00 ★}}}]]'''[br]1회 || || 2 || [[마카비 텔아비브 FC|[[파일:마카비 텔아비브 FC 로고.svg|height=60]]]] || '''[[마카비 텔아비브 FC|[[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5]] {{{#ffffff 마카비 텔아비브}}}]]''' || 1969 || 1971 || '''[[AFC 챔피언스 리그/1969년|{{{#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1971년|{{{#ccac00 ★}}}]]'''[br]2회 || || 3 || [[에스테그랄 테헤란 FC|[[파일:에스테그랄 테헤란 FC 로고.svg|height=60]]]] || '''[[에스테그랄 테헤란 FC|[[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ffffff 에스테그랄 테헤란}}}]]''' || 1970 || 1990-91 || '''[[AFC 챔피언스 리그/1970년|{{{#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1990-91 시즌|{{{#ccac00 ★}}}]]'''[br]2회 || || 4 || [[부산 아이파크|[[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height=60]]]] || '''[[부산 아이파크|[[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fff 부산 아이파크}}}]]''' ||<-2> 1985-86 || '''[[AFC 챔피언스 리그/1985-86 시즌|{{{#ccac00 ★}}}]]'''[br]1회 || || 5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파일: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로고.svg|height=60]]]]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ffffff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2> 1986 || '''[[AFC 챔피언스 리그/1986년|{{{#ccac00 ★}}}]]'''[br]1회 || || 6 || [[도쿄 베르디|[[파일:도쿄 베르디 로고.svg|height=60]]]] || '''[[도쿄 베르디|[[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ffffff 도쿄 베르디}}}]]''' ||<-2> 1987 || '''[[AFC 챔피언스 리그/1987년|{{{#ccac00 ★}}}]]'''[br]1회 || || 7 || [[알 사드 SC|[[파일:알 사드 SC 로고.svg|height=60]]]] || '''[[알 사드 SC|[[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5]] {{{#ffffff 알 사드}}}]]''' || 1988-89 || 2011 || '''[[AFC 챔피언스 리그/1988-89 시즌|{{{#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11년|{{{#ccac00 ★}}}]]'''[br]2회 || || 8 || [[라오닝 훙윈|[[파일:랴오닝 훙윈 로고.svg|height=60]]]] || '''[[랴오닝 훙윈|[[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ffffff 랴오닝 훙윈}}}]]''' ||<-2> 1989-90 || '''[[AFC 챔피언스 리그/1989-90 시즌|{{{#ccac00 ★}}}]]'''[br]1회 || || 9 || [[알 힐랄 SFC|[[파일:알 힐랄 SFC 엠블럼.svg|height=60]]]] || '''[[알 힐랄 SFC|[[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5]] {{{#ffffff 알 힐랄}}}]]''' || 1991 || 2021 || '''[[AFC 챔피언스 리그/1991년|{{{#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1999-00 시즌|{{{#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19년|{{{#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21년|{{{#ccac00 ★}}}]][br]4회''' || || 10 || [[파스 테헤란 FC|[[파일:PAS Tehran FC Emblem.png|height=60]]]] || '''[[파스 테헤란 FC|[[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ffffff 파스 테헤란}}}]]''' ||<-2> 1992-93 || '''[[AFC 챔피언스 리그/1992-93 시즌|{{{#ccac00 ★}}}]]'''[br]1회 || || 11 || [[태국 농민은행 FC|[[파일:태국 농민은행FC.png|height=60]]]] || '''[[태국 농민은행 FC|[[파일:태국 국기.svg|width=25]] {{{#ffffff 태국 농민은행}}}]]''' || 1993-94 || 1994-95 || '''[[AFC 챔피언스 리그/1993-94 시즌|{{{#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1994-95 시즌|{{{#ccac00 ★}}}]]'''[br]2회 || || 12 || [[성남 FC|[[파일:성남 FC 엠블럼.svg|height=60]]]] || '''[[성남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fff 성남 FC}}}]]''' || 1995 || 2010 || '''[[AFC 챔피언스 리그/1995년|{{{#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10년|{{{#ccac00 ★}}}]]'''[br]2회 || || 13 || [[포항 스틸러스|[[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height=60]]]] || '''[[포항 스틸러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fff 포항 스틸러스}}}]]''' || 1996-97 || 2009 || '''[[AFC 챔피언스 리그/1996-97 시즌|{{{#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1997-98 시즌|{{{#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09년|{{{#ccac00 ★}}}]]'''[br]3회 || || 14 || [[주빌로 이와타|[[파일:주빌로 이와타 로고.svg|height=60]]]] || '''[[주빌로 이와타|[[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ffffff 주빌로 이와타}}}]]''' ||<-2> 1998-99 || '''[[AFC 챔피언스 리그/1998-99 시즌|{{{#ccac00 ★}}}]]'''[br]1회 || || 15 || [[수원 삼성 블루윙즈|[[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height=60]]]] || '''[[수원 삼성 블루윙즈|[[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fff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00-01 || 2001-02 || '''[[AFC 챔피언스 리그/2000-01 시즌|{{{#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01-02 시즌|{{{#ccac00 ★}}}]]'''[br]2회 || || 16 || [[알 아인 FC|[[파일:알 아인 로고.svg|height=60]]]] || '''[[알 아인 FC|[[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 {{{#ffffff 알 아인}}}]]''' ||<-2> 2002-03 || '''[[AFC 챔피언스 리그/2002-03 시즌|{{{#ccac00 ★}}}]]'''[br]1회 || || 17 || [[알 이티하드 FC|[[파일:알 이티하드 FC 엠블럼.svg|height=60]]]] || '''[[알 이티하드 FC|[[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5]] {{{#ffffff 알 이티하드}}}]]''' || 2004 || 2005 || '''[[AFC 챔피언스 리그/2004년|{{{#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05년|{{{#ccac00 ★}}}]]'''[br]2회 || || 18 ||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height=60]]]] ||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fff 전북 현대 모터스}}}]]''' || 2006 || 2016 || '''[[AFC 챔피언스 리그/2006년|{{{#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16년|{{{#ccac00 ★}}}]]'''[br]2회 || || 19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파일: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로고.svg|height=60]]]]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ffffff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2007 || 2022 || '''[[AFC 챔피언스 리그/2007년|{{{#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17년|{{{#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22년|{{{#ccac00 ★}}}]]'''[br]3회 || || 20 || [[감바 오사카|[[파일:감바 오사카 로고.svg|height=60]]]] || '''[[감바 오사카|[[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ffffff 감바 오사카}}}]]''' ||<-2> 2008 || '''[[AFC 챔피언스 리그/2008년|{{{#ccac00 ★}}}]]'''[br]1회 || || 21 || [[울산 HD FC|[[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height=60]]]] || '''[[울산 HD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fff 울산 HD FC}}}]]''' || 2012 || 2020 || '''[[AFC 챔피언스 리그/2012년|{{{#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20년|{{{#ccac00 ★}}}]]'''[br]2회 || || 22 || [[광저우 FC|[[파일:광저우 FC 엠블럼.svg|height=60]]]] || '''[[광저우 FC|[[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ffffff 광저우 FC}}}]]''' || 2013 || 2015 || '''[[AFC 챔피언스 리그/2013년|{{{#ccac00 ★}}}]][[AFC 챔피언스 리그/2015년|{{{#ccac00 ★}}}]]'''[br]2회 || || 23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파일: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엠블럼.svg|height=60]]]]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ffffff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2> 2014 || '''[[AFC 챔피언스 리그/2014년|{{{#ccac00 ★}}}]]'''[br]1회 || || 24 || [[가시마 앤틀러스|[[파일:가시마 앤틀러스 로고.svg|height=60]]]] || '''[[가시마 앤틀러스|[[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ffffff 가시마 앤틀러스}}}]]''' ||<-2> 2018 || '''[[AFC 챔피언스 리그/2018년|{{{#ccac00 ★}}}]]'''[br]1회 || ||<-6><bgcolor=#eeeeef,#212121> [[틀:아시안 컵위너스컵 우승 구단|{{{-2 {{{#000000,#e5e5e5 ← 아시안 컵위너스컵 우승 구단}}}}}}]][br][[틀:아시안 슈퍼컵 우승 구단|{{{-2 {{{#000000,#e5e5e5 아시안 슈퍼컵 우승 구단 →}}}}}}]] ||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451991, 1999-00, 2019, 20211986, 1987, 2014, 2017,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311996-97, 1997-98, 20092021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312007, 2017, 20222019
파일:이란 국기.svg 에스테그랄221970, 1990-911991, 1998-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남 FC221995, 20101996-97, 200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212004, 2005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212006, 20162011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201969, 1971-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사드201988-89, 2011-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농민은행201993-94, 1994-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000-01, 2001-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202012, 2020-
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 FC202013, 2015-
파일:일본 국기.svg 주빌로 이와타121998-991999-00, 2000-0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122002-032005, 2016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하포엘 텔아비브1119671970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닝 훙윈111989-901990-9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 아이파크101985-86-
파일:일본 국기.svg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101986-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베르디101987-
파일:이란 국기.svg 파스 테헤란101992-93-
파일:일본 국기.svg 감바 오사카102008-
파일:호주 국기.svg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102014-
파일:일본 국기.svg 가시마 앤틀러스10201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아흘리02-1985-86, 20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C 서울02-2001-02, 2013
파일:이란 국기.svg 페르세폴리스02-2018, 202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슬랑오르01-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지 축구단01-1969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01-1971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라시드01-1988-89
파일:일본 국기.svg 요코하마 F. 마리노스01-1989-9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01-1992-93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클럽01-1993-94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아라비01-1994-9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01-1995
파일:중국 국기.svg 다롄 스더01-1997-98
파일:태국 국기.svg 폴리스 테로01-2002-03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카라마01-2006
파일:이란 국기.svg 세파한01-2007
파일:호주 국기.svg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01-2008
파일:이란 국기.svg 조브 아한01-201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샤바브 알 아흘리01-2015


3.2. 국가[편집]




4. 4강 진출 횟수[편집]


구단횟수연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131986, 1987, 1991, 1997-98, 1999-00,
2010, 2014, 2015, 2017, 2019,
2021, 2022, 2023-24
파일:이란 국기.svg 에스테그랄71970, 1971, 1990-91, 1991, 1998-99,
2001-02, 2013
파일:이란 국기.svg 페르세폴리스71996-97, 1997-98, 1999-00, 2000-01, 2017,
2018,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남 FC61994-95, 1995, 1996-97, 2004, 2007,
201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61998-99, 2002-03, 2005, 2014, 2016,
2023-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51999-00, 2000-01, 2001-02, 2011, 201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52004, 2005, 2009, 2011, 20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52004, 2006, 2011, 2016,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52006, 2012, 2020, 2021, 2023-24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52007, 2008, 2017, 2019, 2022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닝 훙윈41986, 1989-90, 1990-91, 1993-94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사드41988-89, 2011, 2018, 20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41996-97, 1997-98, 2009, 20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C 서울42001-02, 2013, 2014, 2016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베르디31987, 1992-93, 1993-94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농민은행31993-94, 1994-95, 199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31995, 2020, 2021
파일:중국 국기.svg 다롄 스더31997-98, 1998-99, 2002-03
파일:일본 국기.svg 주빌로 이와타31998-99, 1999-00, 2000-01
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 FC32013, 2015, 201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하포엘 텔아비브21967, 197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21969, 197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 아이파크21985-86, 200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아흘리21985-86, 2012
파일:일본 국기.svg 요코하마 F. 마리노스21989-90, 2023-2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21992-93, 201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흐타코르22002-03, 2004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부뇨드코르22008, 2012
파일:일본 국기.svg 감바 오사카22008, 2015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슬랑오르1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중석 축구단1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지 축구단11969
파일:일본 국기.svg 산프레체 히로시마11969
파일:인도 국기.svg 카르나타카11969
파일:레바논 국기.svg 호메닛먼1197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PSMS 메단1197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1197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육군 축구단1197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크라마 유도타 티가 베를리안11985-86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알레포11985-86
파일:일본 국기.svg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11986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탈라바11986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라시드11988-8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마두라 유나이티드11990-91
파일:북한 국기.svg 4.25 체육단11990-91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라이얀1199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샤바브 알 아라비11991
파일:이란 국기.svg 파스 테헤란11992-93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와슬11992-93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클럽11993-94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아라비11994-95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네프치 페르가나11994-95
파일:이란 국기.svg 사이파11995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자우라11996-97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이르티쉬 파블로다르12000-01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나사프 카르시12001-02
파일:태국 국기.svg 폴리스 테로12002-03
파일:중국 국기.svg 선전 FC12005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카라마12006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카디시야 SC12006
파일:이란 국기.svg 세파한1200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와흐다12007
파일:호주 국기.svg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12008
파일:카타르 국기.svg 움 살랄12009
파일:일본 국기.svg 나고야 그램퍼스12009
파일:이란 국기.svg 조브 아한 이스파한 FC12010
파일:일본 국기.svg 가시와 레이솔12013
파일:호주 국기.svg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12014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샤바브 알 아흘리12015
파일:카타르 국기.svg 엘 자이시12016
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 하이강12017
파일:일본 국기.svg 가시마 앤틀러스12018
파일:일본 국기.svg 비셀 고베12020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두하일12022


5. 역대 MVP[편집]


  • 다음의 MVP는 수상 기록이 남아 있는 경우만 집계하고 있다.


6. 역대 득점왕[편집]


  • 다음의 득점왕은 수상 기록이 남아 있는 경우만 집계하고 있다.


7. 역대 페어플레이 구단[편집]


  • 다음의 페어플레이 구단은 수상 기록이 남아 있는 경우만 집계하고 있다.


8. 기록[편집]


  • 2024년 4월 기준.
  • 다음의 최다 득점 선수와 득점은 2002-03 시즌부터의 기록만 집계하고 있다.
  • 대회 본선 기록만 집계하고 있다.
  • 굵게 표시된 이름은 현역 선수를 의미한다.
  • 출처


8.1. 최다 출장 선수[편집]


순위선수국적출장구단
1살렘 알다우사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93알 힐랄 (93)
압둘라 알 마유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93알 아흘리 (30)
알 힐랄 (54)
알 이티하드 (9)
3야세르 알샤흐라니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92알 힐랄 (92)
황보원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92베이징 궈안 (16)
전북 현대 모터스 (8)
광저우 FC (68)
5남태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90알 두하일 SC (63)
알 사드 (17)
요코하마 F. 마리노스 (10)
6살만 알파라지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89알 힐랄 (89)
7펑샤오팅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83전북 현대 모터스 (7)
광저우 FC (70)
상하이 선화 (6)
8카림 부디아프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82알 두하일 SC (82)
9모함메드 무사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81움 살랄 SC (37)
알 두하일 SC (44)
10모함메드 알샬후브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80알 힐랄 (80)
11칼리드 에이사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79알 자지라 클럽 (4)
알 아인 FC (75)
12가오린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78상하이 선화 (4)
광저우 FC (74)
압둘라 알조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78알 힐랄 (78)
14데얀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77FC 서울 (46)
베이징 궈안 (8)
수원 삼성 블루윙즈 (12)
킷치 SC (11)
15하산 알 하이도스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76알 사드 (76)
16이동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74전북 현대 모터스 (74)
권순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74전북 현대 모터스 (47)
가시마 앤틀러스 (27)
18코로키 신조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73가시마 앤틀러스 (26)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47)
루이스 세아라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73알 두하일 SC (73)
장린펑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73광저우 FC (73)
나와프 알아비드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73알 힐랄 (67)
알 샤바브 (6)
22이스마일 모함마드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72알 두하일 SC (72)
고명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72FC 서울 (38)
알 라이얀 (16)
울산 현대 (18)
24정즈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71광저우 FC (71)
25김영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70광저우 FC (50)
감바 오사카 (4)
울산 HD FC (16)
잘랄 호세이니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70사이파 (7)
세파한 (22)
나프트 (2)
페르세폴리스 (39)

8.2. 최다 득점 선수[편집]


순위선수국적득점구단
1데얀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42FC 서울 (25)
베이징 궈안 (2)
수원 삼성 블루윙즈 (9)
킷치 SC (6)
2이동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7전북 현대 모터스 (37)
3아이커썬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30광저우 FC (15)
상하이 하이강 (15)
나세르 알 샴라니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30알 샤바브 (13)
알 힐랄 (11)
알 아인 (3)
알 이티하드 (3)
5압데라자크 함달라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28광저우 시티 (1)
엘 자이시 (4)
알 라이얀 (3)
알 나스르 (16)
알 이티하드 (4)
6코로키 신조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7가시마 앤틀러스 (10)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7)
7바그다드 부네자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26알 사드 (26)
8히카르두 굴라르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5광저우 FC (25)
9살렘 알다우사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3알 힐랄 (23)
오마르 알 소마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23알 아흘리 (23)
11유세프 엘 아라비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20알 힐랄 (4)
알 두하일 (16)
아사모아 기안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20알 아인 (18)
샤바브 알 아흘리 (2)
바페팀비 고미스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알 힐랄 (20)
호마리뉴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20엘 자이시 (7)
알 자지라 (6)
알 이티하드 (7)
무리키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20광저우 FC (18)
알 사드 (2)
김신욱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울산 HD (9)
전북 현대 모터스 (11)
16마이클 올룽가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19알 두하일 (18)
아드리아노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19FC 서울 (13)
전북 현대 모터스 (6)
헐크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19상하이 하이강 (19)
레안드루 몬테라 다 시우바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19감바 오사카 (10)
알 사드 (5)
알 라이얀 (1)
가시와 레이솔 (3)
21에드가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18알 샤바브 알 아라비 (4)
부리람 유나이티드 (4)
대구 FC (10)

8.3. 최다 도움 선수[편집]




8.4. 최다 클린시트 선수[편집]



9. K리그 관련 기록[편집]



9.1. 시즌별 기록[편집]


  • 굵게 표시한 구단은 해당 시즌의 우승 구단을 의미한다.
시즌구단참가 자격성적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1967대한중석 축구단[1]1966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우승3위
1969양지 축구단[2]1968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준우승
1970대회 불참
1971육군 축구단[3]1970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4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5-86대우 로얄즈1984 축구대제전 우승우승
1986대회 불참
1987대회 불참
1988-89대회 불참
1989-90대회 불참
1990-91대회 불참
1991대회 불참
1992-93대회 불참
1993-94대회 불참
1994-95일화 천마1993 한국프로축구대회 우승4위
1995일화 천마1994 코리안리그 우승우승
1996-97천안 일화 천마1995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준우승
포항 스틸러스1995 코리안리그 준우승[4]우승
1997-98포항 스틸러스1996-97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우승
울산 현대 호랑이1996 한국프로축구대회 우승본선 토너먼트 2라운드
1998-99포항 스틸러스1997-98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8강 조별리그
부산 대우 로얄즈1997 한국프로축구대회 우승8강 조별리그
1999-00수원 삼성 블루윙즈1998 K-리그 우승4위
2000-01수원 삼성 블루윙즈1999 K-리그 우승우승
2001-02수원 삼성 블루윙즈[5]2000-01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우승
안양 LG 치타스2000 K-리그 우승준우승
AFC 챔피언스 리그
2002-03성남 일화 천마2001 K-리그 우승조별리그
대전 시티즌2001 FA컵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조별리그
2004성남 일화 천마2003 K-리그 우승준우승
전북 현대 모터스2003 FA컵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4강
2005수원 삼성 블루윙즈2004 K-리그 우승조별리그
부산 아이파크2004 FA컵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4강
2006울산 현대 호랑이2005 K-리그 우승4강
전북 현대 모터스2005 FA컵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우승
2007전북 현대 모터스2006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8강
성남 일화 천마2006 K-리그 우승4강
전남 드래곤즈2006 FA컵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조별리그
2008포항 스틸러스2007 K-리그 우승조별리그
전남 드래곤즈2007 FA컵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조별리그
2009수원 삼성 블루윙즈2008 K-리그 우승16강
포항 스틸러스2008 FA컵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우승
FC 서울2008 K-리그 준우승8강
울산 현대2008 K-리그 3위조별리그
2010전북 현대 모터스2009 K-리그 우승8강
수원 삼성 블루윙즈2009 FA컵 우승8강
성남 일화 천마2009 K-리그 준우승우승
포항 스틸러스2009 K-리그 3위8강
2011FC 서울2010 K리그 우승8강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0 FA컵 우승4강
제주 유나이티드2010 K리그 준우승조별리그
전북 현대 모터스2010 K리그 3위준우승
2012전북 현대 모터스2011 K리그 우승조별리그
성남 일화 천마2011 FA컵 우승16강
울산 현대2011 K리그 준우승우승
포항 스틸러스2011 K리그 3위조별리그
2013FC 서울2012 K리그 우승준우승
포항 스틸러스2012 FA컵 우승조별리그
전북 현대 모터스2012 K리그 준우승16강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2 K리그 4위[6]조별리그
2014포항 스틸러스2013 K리그 클래식 우승8강
울산 현대2013 K리그 클래식 준우승조별리그
전북 현대 모터스2013 K리그 클래식 3위16강
FC 서울2013 K리그 클래식 4위[7]4강
2015전북 현대 모터스2014 K리그 클래식 우승8강
성남 FC2014 FA컵 우승16강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4 K리그 클래식 준우승16강
FC 서울2014 K리그 클래식 3위16강
2016전북 현대 모터스2015 K리그 클래식 우승우승
FC 서울2015 FA컵 우승4강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5 K리그 클래식 준우승조별리그
포항 스틸러스2015 K리그 클래식 3위조별리그
2017FC 서울2016 K리그 클래식 우승조별리그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6 FA컵 우승조별리그
제주 유나이티드2016 K리그 클래식 3위16강
울산 현대2016 K리그 클래식 4위[8]조별리그
2018전북 현대 모터스2017 K리그 클래식 우승8강
울산 현대2017 FA컵 우승16강
제주 유나이티드2017 K리그 클래식 준우승조별리그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7 K리그 클래식 3위4강
2019전북 현대 모터스2018 K리그1 우승16강
대구 FC2018 FA컵 우승조별리그
경남 FC2018 K리그1 준우승조별리그
울산 현대2018 K리그1 3위16강
2020전북 현대 모터스2019 K리그1 우승조별리그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9 FA컵 우승8강
울산 현대2019 K리그1 준우승우승
FC 서울2019 K리그1 3위조별리그
2021전북 현대 모터스2020 K리그1 우승8강
울산 현대2020 K리그1 준우승4강
포항 스틸러스2020 K리그1 3위준우승
대구 FC2020 K리그1 5위[9]16강
2022전북 현대 모터스2021 K리그1 우승4강
전남 드래곤즈2021 FA컵 우승조별리그
울산 현대2021 K리그1 준우승조별리그
대구 FC2021 K리그1 3위16강
2023-24울산 현대2022 K리그1 우승4강
전북 현대 모터스2022 FA컵 우승8강
포항 스틸러스2022 K리그1 3위16강
인천 유나이티드2022 K리그1 4위[10]조별리그


9.2. 구단별 기록[편집]


  • 굵게 표시한 시즌은 해당 구단의 우승 시즌을 의미한다.
순위구단횟수참가 시즌
1전북 현대 모터스162004, 2006, 2007,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24
2수원 삼성 블루윙즈131999-00, 2000-01, 2001-02, 2005, 2009, 2010, 2011, 2013, 2015, 2016, 2017, 2018, 2020
3포항 스틸러스121996-97, 1997-98, 1998-99, 2008, 2009, 2010, 2012, 2013, 2014, 2016, 2021, 2023-24
울산 HD121997-98, 2006, 2009, 2012, 2014,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24
5성남 FC91994-95, 1995, 1996-97, 2002-03, 2004, 2007, 2010, 2012, 2015
FC 서울92001-02, 2009, 2011, 2013, 2014, 2015, 2016, 2017, 2020
7부산 아이파크31985-86, 1998-99, 2005
전남 드래곤즈32007, 2008, 2022
제주 유나이티드32011, 2017, 2018
대구 FC32019, 2021, 2022
11대전 하나 시티즌12002-03
경남 FC12019
인천 유나이티드12023-24


9.3. 통산 순위[편집]


  • 2023-24 시즌 종료 기준.
  • 대회 본선 기록만 집계하고 있다.
순위구단참가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최근 참가
1전북 현대 모터스16142742939280171+1092512023-24
2울산 HD1293561621169109+601842023-24
3포항 스틸러스129850291917578+971792023-24
4수원 삼성 블루윙즈1310049282319496+981752020
5성남 FC97751121417674+1021652015
6FC 서울983342623139100+391282020
7부산 아이파크32116235816+42502005
8대구 FC32011184922+27342022
9전남 드래곤즈3186662023-3242022
10제주 유나이티드32072112633-7232018
11인천 유나이티드16402149+5122023-24
12경남 FC1622298+182019
13대전 하나 시티즌1320133062002-03


10. 여담[편집]


  •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는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및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및 AFC 챔피언스 리그의 역사와 기록을 공식적으로 계승하였다.#1 #2 #3 #4 단, 많은 과거 자료들이 유실됨에 따라 개인 기록 집계에 있어 AFC 챔피언스 리그에 한정하여 집계하기도 한다. 이는 UEFA가 유러피언컵과 UEFA 챔피언스 리그의 기록을 집계하는 방식과 동일하다.#5 #6

  •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사상 최초의 골키퍼 득점 기록은 당시 대전 시티즌 소속의 최은성이 무려 프리킥으로 성공했다.

  •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통산 단일 경기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은 2001-02 시즌 본선 토너먼트 2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선더스 SC의 1차전에서 나왔다. 1, 2차전으로 치러지는 본선 토너먼트에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선더스 SC를 상대로 1차전에서 18-0의 압도적인 점수로 승리를 거뒀다. 2차전을 앞두고 1차전의 결과에 전의를 상실한 선더스 SC가 2차전에 불참하면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2차전 3-0 몰수승을 거두며 합계 점수 21-0으로 8강 조별리그에 진출했다.

  • 2011년 10월 19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 vs 알 사드의 경기에서 필드에 관객이 난입해 난투극을 벌이는 사건이 발생했다. 0-1로 수원이 뒤처진 상황에서 최성환이 알 사드의 페널티 에어리어에서 쓰러지고 난 후 알 사드 측이 수원 측으로 공을 스로인했는데, 그 순간 알 사드의 공격수 니앙이 갑자기 달려들어 공을 가로채 정성룡을 제치고 골을 넣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 장면을 보고 격분한 수원이 항의를 하면서 분위기가 격해졌고, 이때 관객이 필드에 난입해 알 사드의 골키퍼 사르크에게 달려들었다. 필드에 난입한 관객이 사르크의 면상을 잡자, 알 사드의 공격수 케이타가 난입한 관객에게 주먹을 날리면서 양측의 난투극이 벌어졌다. 이 난투극으로 인해 수원의 고종수 코치와 알 사드의 선수 두 명이 퇴장 당했고, 경기도 약 5분 넘게 중단되면서 인저리 타임만 10분 넘게 주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 알 사드 문서 참고.

  • AFC의 주류가 서아시아이지만 정작 ACL에서 서아시아 구단의 우승 횟수가 적다. 2021년까지 대회를 총 40회 개최하는 동안 서아시아 구단은 15회 우승했고 동아시아 구단은 25회 우승했다. AFC는 동아시아 구단의 우승 횟수가 서아시아 구단의 우승 횟수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상황에 변화를 주기 위해 2014년부터 결승에 도달해야만 서아시아 구단과 동아시아 구단이 서로 만날 수 있도록 규정을 변경하였다. 규정을 변경했는데도 이후 서아시아 구단이 우승을 차지한 경우는 2019년과 2021년에 우승을 차지한 알 힐랄 외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통산 2회 무패 우승을 달성한 구단에는 마카비 텔아비브 (1969, 1971), 에스테그랄 (1970, 1990-91), 알 힐랄 (1991, 1999-00), 울산 현대 (2012, 2020) 등 네 구단이 있다. 하지만 대회가 AFC 챔피언스 리그로 재편된 2002-03 시즌 이후로 한정시킨다면, 2회 무패 우승은 울산 현대 (2012, 2020)가 유일하다. AFC 챔피언스 리그 통산 1회 무패 우승을 달성한 구단에는 하포엘 텔아비브 (1967), 부산 아이파크 (1985-86),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1986), 랴오닝 훙윈 (1989-90), 태국 농민은행 (1993-94), 성남 FC (1995),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1-02), 알 이티하드 (2005),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07), 감바 오사카 (2008) 등 열 구단이 있다. 대회가 AFC 챔피언스 리그로 재편된 2002-03 시즌 이후로 한정시킨다면, 알 이티하드 (2005),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07), 감바 오사카 (2008) 등 세 구단이 1회 무패 우승을 달성했다.

  •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통산 연속 우승을 기록한 구단은 1993-94, 1994-95 시즌 우승한 태국 농민은행과 1996-97, 1997-98 시즌 우승한 포항 스틸러스, 2000-01, 2001-02 시즌 우승한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4, 2005 시즌 우승한 알 이티하드 네 구단뿐이다.

  • 각 국가의 축구협회에서 최대 4팀까지 참가 가능한 2009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 전부 4팀이 조별리그에 참가한 국가는 동아시아와 서아시아를 통틀어 대한민국이 유일하다. 2012 시즌 이후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단 한 번도 패배한 적이 없이 4개 팀을 전부 조별리그로 올려보냈다.


11. 개별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6 03:29:57에 나무위키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기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ET] A B C D E F G H I 연장[A] A B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승리[1] 1956년 창단되었다. 박태준 회장이 포항제철 축구단(現 포항 스틸러스)을 창단하기 전에 맡았던 축구단이다. 1972년 해체되었으며, 해체된 이후 선수단 대부분이 포항제철 축구단에 흡수되었다.[2] 1967년 창단되었다. 구단주가 중앙정보부였기 때문에 상당히 독특한 성격을 가진 축구단이었다. 1970년 해체되었다.[3] 1953년부터 있던 여러 육군 예하 부대의 축구단들을 1968년 하나로 신설합병하며 만들어진 축구단이다. 이후 1984년 해군 축구단, 공군 축구단과 통합하여 현재의 상무 축구단(現 김천 상무)이 되었다.[4] 일화 천마가 1995 코리안리그와 1995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면서, 코리안리그 우승 구단에게 부여되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출전권이 준우승 구단 포항에게 이양되었다.[5] 원래 대회 우승 구단에게 차기 대회 출전권을 보장했으나 다음 대회가 AFC 챔피언스 리그로 재편되면서 출전권이 박탈되는 피해를 봤다.[6] 포항 스틸러스가 2012 FA컵에서 우승하고 2012 K리그에서 3위를 기록하면서, K리그 3위에게 부여되는 AFC 챔피언스 리그 본선 출전권이 4위 수원에게 이양되었다.[7] 포항 스틸러스가 2013 K리그 클래식과 2013 FA컵에서 모두 우승하면서, K리그 클래식 준우승 구단 울산과 3위 전북, 4위 서울에게 AFC 챔피언스 리그 본선 출전권이 부여되었다.[8] 2016 K리그 클래식 준우승을 기록한 전북 현대 모터스가 2013 K리그 클래식에서 저지른 심판 매수에 대한 AFC의 징계로 2017 AFC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이 박탈되면서, K리그 클래식 3위 제주에게 AFC 챔피언스 리그 본선 출전권이 이양되고, K리그 클래식 4위 울산에게 AFC 챔피언스 리그 PO 진출권이 부여되었다.[9] 전북 현대 모터스가 2020 K리그1과 2020 FA컵에서 모두 우승하고, AFC 클럽 라이선스가 없는 군경 구단 상주 상무가 K리그1 4위를 기록하면서, K리그1 4위에게 부여되는 AFC 챔피언스 리그 PO 진출권이 5위 대구에게 이양되었다.[10] 전북 현대 모터스가 2022 FA컵에서 우승하고 2022 K리그1에서 준우승을 기록하면서, K리그1 준우승 구단에게 부여되는 AFC 챔피언스 리그 본선 출전권이 3위 포항에게 이양되고, K리그1 4위 인천에게 AFC 챔피언스 리그 PO 진출권이 부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