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일/대한민국 (r1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기념일

1. 개요
2.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기념일
3. 개별법에 규정된 기념일
4. 법정기념일이 아닌 기념일
5. 날짜가 겹치는 기념일들
6. 폐지된 기념일
6.1. 1973년 통합 당시 폐지된 기념일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기념일대한민국 정부가 제정, 주관하는 특정일을 기념하는 날을 말한다.

기념일은 1973년 3월 30일 제정·공포된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에 의거하여 제정되어 그에 부수되는 의식과 행사 등을 한다. 여기 규정된 기념일 중에는 개별 법률에서 중복하여 기념일 규정을 둔 것도 있다. 각종 기념일의 의식과 행사는 이를 전국적인 범위로 행할 수 있고 주간이나 월간을 설정하여 부수행사를 할 수 있는데(같은 규정 제3조), 모든 기념일의 의식과 행사는 엄숙하고 검소하게 행해야 하며 기념일의 의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같은 규정 제4조).

이 기념일 중에는 공휴일인 것도 있고 아닌 것도[1] 있다. 국경일과 기념일은 겹치지 않으며 국경일이 기념일보다 상위에 있다고 보면 된다. 자세한 것은 아래 목록을 참조.


2.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기념일[편집]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eb9c;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오렌지색}}}은 국제적 기념일,
분홍색
[1] 요일제 공휴일은 아직 없다.
국가공인 지정 공휴일이다.
#기념일날짜주관 부처행사 내용 (별도 근거 법령)유래
12·28 민주운동 기념일2월 28일국가보훈부2·28민주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숭고한 정신을 길이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행사를 한다.2.28 학생민주의거
2납세자의 날[2]3월 3일기획재정부국민의 성실 납세에 감사(感謝)하고, 세금의 중요성을 알리는 행사를 한다.국세청 설립 기념일[3]
33·8 민주의거 기념일3월 8일국가보훈부3ㆍ8민주의거의 역사적 의미와 숭고한 정신을 길이 계승ㆍ발전시키는 행사를 한다.
43·15 의거 기념일3월 15일국가보훈부3ㆍ15의거를 기념하는 행사를 한다.
5상공의 날[4]3월 셋째 수요일산업통상자원부상공업의 진흥을 촉진하는 행사를 한다.
6서해 수호의 날3월 넷째 금요일국가보훈부서해수호를 위한 희생을 기리고, 국민의 안보의식을 북돋우며, 국토 수호 결의를 다지는 행사를 한다.제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 사건, 연평도 포격전
74·3 희생자 추념일4월 3일행정안전부제주 4.3 사건 희생자를 위령하는 추념 행사를 한다.제주특별자치도 한정 지방공휴일
8예비군의 날[5]4월 첫째 금요일[6]국방부모든 예비군이 참가하여 국가방위의 임무를 새롭게 다짐하는 행사를 한다.
9식목일4월 5일[7]농림축산식품부나무 심기를 통하여 국민의 나무 사랑 정신을 북돋우고, 산지(山地)의 자원화를 위한 행사를 한다.
10보건의 날4월 7일보건복지부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관련 분야의 각종 행사를 한다. (국민건강증진법)세계보건기구 설립 기념일[8]
11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4월 11일[9]국가보훈부3.1 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法統)과 역사적 의의를 기리는 행사를 한다.임정국호와 임시헌장을 제정하고 내각을 구성한 날[10]
124·19 혁명 기념일4월 19일국가보훈부4.19 혁명을 기념하는 행사를 한다.
13장애인의 날4월 20일[11]보건복지부장애인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깊게 하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북돋우기 위한 행사를 한다. (장애인복지법)
14과학의 날4월 21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의 중요성을 높이고, 모든 국민생활의 과학화 추진과 관련된 행사를 한다.과학기술처(과기부의 전신) 설립일
15정보통신의 날[12]4월 22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정보통신의 중요성과 의의를 높이고, 정보통신사업의 발전을 다짐하며, 관계 종사원들의 노고를 위로하는 행사를 한다.우정총국 개설일[13]
16법의 날4월 25일[14]법무부국민의 준법정신을 함양하고, 법의 존엄성에 관련된 행사를 한다.재판소구성법 시행일
17충무공 이순신 탄신일[15]4월 28일문화체육관광부충무공 이순신의 숭고한 충의를 길이 빛내는 행사를 한다.이순신이 태어난 1545년 음력 3월 8일을 양력으로 환산
18순직의무군경의 날4월 넷째 금요일국가보훈부국방의무 수행 중 사망한 순직의무군경의 희생과 호국정신을 기리는 행사를 한다.가정의 달인 5월을 앞두고 순직의무군경의 희생을 기리는 동시에 가족을 잃은 유족을 위로하자는 취지
19근로자의 날5월 1일[16][17]고용노동부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로의욕을 더욱 높이는 행사를 한다.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노동절
20어린이날5월 5일[18]보건복지부어린이들이 올바르고 슬기롭고 씩씩하게 자라도록 하기 위한 행사를 한다. (아동복지법)
21어버이날5월 8일[19]보건복지부조상과 어버이에 대한 은혜를 헤아리고, 어른과 노인 보호와 관련된 행사를 한다. (노인복지법)
22동학농민혁명기념일[20]5월 11일문화체육관광부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고 애국애족정신을 높이는 행사를 한다.황토현 전투에서 동학농민군이 승리한 날[21]
23스승의 날5월 15일[22]교육부교권 존중의 사회적 풍토 조성과 스승 공경과 관련된 행사를 한다.세종 탄신일
245·18 민주화운동 기념일5월 18일국가보훈부5.18 민주화운동을 기념하는 행사를 한다.광주광역시 한정 지방공휴일
25부부의 날5월 21일여성가족부건전한 가족문화의 정착과 가족 해체 예방을 위한 행사를 한다.가정의 달 5월+둘이(2)+하나(1)=5월 21일
26성년의 날5월 셋째 월요일[23]여성가족부국가와 민족의 장래를 짊어질 성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책임감을 갖게 하는 행사를 한다.
27바다의 날5월 31일해양수산부바다 관련 산업의 중요성과 의의를 높이고, 국민의 해양에 대한 인식을 북돋우며, 관계 종사원들의 노고를 위로하는 행사를 한다.청해진 설치일
28의병의 날6월 1일행정안전부의병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국민의 나라사랑 정신을 북돋울 수 있는 행사를 한다.곽재우가 거병한 1592년 음력 4월 22일을 양력으로 환산
29환경의 날6월 5일환경부국민의 환경보전의식 함양과 실천의 생활화를 위한 행사를 한다.유엔인간환경회의 개최일[24]
30현충일6월 6일[25]국가보훈부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戰歿將兵)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偉勳)을 기리는 행사를 한다.6.25 전쟁이 발발한 달
316·10 민주항쟁 기념일6월 10일행정안전부6ㆍ10민주항쟁을 기념하는 행사를 한다.
326·10 만세운동 기념일6월 10일국가보훈부일제의 강제병합과 식민지배에 항거한 순국선열의 숭고한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행사를 한다.
336·25 전쟁일[26]6월 25일국가보훈부6·25전쟁을 상기하여 국민의 안보의식을 북돋우는 행사를 한다.
34철도의 날6월 28일[27]국토교통부기간(基幹) 교통수단으로서의 철도의 의의를 높이고, 종사원들의 노고를 위로하는 행사를 한다.철도국 창설일[28]
35정보보호의 날7월 둘째 수요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원
국가 차원의 정보보호 역량을 결집하고 국민의 정보보호 생활화를 촉진할 수 있는 행사를 한다.
36푸른 하늘의 날9월 7일외교부
환경부
유엔 기념일인 푸른 하늘을 위한 국제 맑은 공기의 날을 맞이하여 대기질 개선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 대기오염 저감활동에 범국가적인 참여를 촉진하는 행사를 한다.
37국군의 날10월 1일[29]국방부국군의 위용 및 전투력을 국내외에 과시하고, 국군장병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행사를 한다.삼팔선 돌파[30]
38노인의 날10월 2일보건복지부경로효친의 미풍양속을 확산하기 위한 행사를 한다. (노인복지법)국제 노인의 날이 국군의 날과 겹치는 관계로 하루 늦춤
39세계 한인의 날10월 5일외교부세계 각지에 거주하는 재외동포의 민족적 의의를 되새기는 행사를 한다.
40재향군인의 날10월 8일국가보훈부재향군인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국가발전과 관련된 행사를 한다.
41스포츠의 날10월 15일문화체육관광부국민체력 향상을 위한 각종 체전과 아울러 올림픽의 이상(理想)을 구현하는 행사를 한다. (국민체육진흥법(시행령))[31]
42부마민주항쟁 기념일10월 16일[32]행정안전부부마민주항쟁을 기념하는 행사를 한다.
43문화의 날10월 셋째 토요일[33]문화체육관광부방송·잡지·영화 등 대중매체의 사회적 가치를 새롭게 하고, 문화예술 진흥과 관련된 행사를 한다. (문화기본법)
44경찰의 날10월 21일행정안전부모든 경찰공무원 및 관계관이 참석하여 민주경찰의 사명감 고취와 관련된 행사를 한다.경찰청 설립 기념일[34]
45국제연합일10월 24일외교부국제연합 창립과 6·25전쟁 중 국제연합군이 참전한 뜻을 기념하는 행사를 한다.
46교정의 날10월 28일법무부교정(矯正) 관련 종사자들의 사기를 높이고, 재소자의 갱생의지를 촉진하는 행사를 한다.일제로부터 교정시설 및 교정행정 업무를 인수한 날[35]
47지방자치 및 균형발전의 날10월 29일행정안전부지방자치에 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고, 그 성과를 공유하기 위한 행사를 한다.9차 개정 헌법(현행 헌법) 공포[36]
48금융의 날[37]10월 마지막 화요일금융위원회금융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높이고, 금융의 역할과 책임을 되새기며, 금융권 종사자들의 노고를 격려하는 행사를 한다.
49학생독립운동기념일[38]11월 3일교육부
국가보훈부[39]
학생독립운동의 정신을 계승·발전시켜 학생들의 자율역량과 애국심을 함양시키기 위한 행사를 한다.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항일운동
50농업인의 날11월 11일농림축산식품부농업이 국민경제의 근간임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키고, 농업인의 긍지와 자부심을 북돋우며, 노고를 위로하는 행사를 한다.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土 = 11(十+一)
51순국선열의 날11월 17일국가보훈부국권 회복을 위해 헌신하신 순국선열의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 선열의 위훈을 기리는 행사를 한다.을사조약
52소비자의 날[40]12월 3일공정거래위원회소비자의 권리의식을 신장하고, 소비자보호 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행사를 한다.소비자보호법[41] 국회 통과[42]
53무역의 날[43]12월 5일산업통상자원부무역의 균형적 발전과 무역입국(貿易立國)의 의지를 다짐하는 행사를 한다.무역 1조 달러 돌파[44]
54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45]12월 27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원자력안전위원회
원자력 안전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원자력 산업의 진흥을 촉진할 수 있는 행사를 한다.2009년 12월 27일 아랍에미리트 원전 수출


3. 개별법에 규정된 기념일[편집]


#기념일날짜주관 부처근거 법령유래
1국가균형발전의 날1월 29일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국가균형발전 특별법(시행령)참여정부가 2004년에 "균형발전시대" 개막을 선언한 날
2한국수어의 날2월 3일문화체육관광부한국수화언어법한국수화언어법이 2016년에 공포된 날
3문화재 방재의 날2월 10일문화재청문화재보호법숭례문 방화 사건
4국립공원의 날3월 3일환경부자연공원법공원법 1967.3.3 제정에서 유래
5여성의 날3월 8일여성가족부양성평등기본법국제 여성의 날
6흙의 날3월 11일농림축산식품부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3(천지인, 3농[46])+11(土의 파자)
7의용소방대의 날3월 19일소방청의용소방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소방법에서 의용소방대를 처음으로 법률로 규정한 3월 11일+119
8결핵예방의 날3월 24일보건복지부결핵예방법로베르트 코흐결핵균 발견
9수산인의 날4월 1일해양수산부수산업·어촌 발전 기본법구 어민의 날[47]
10도시농업의 날4월 11일농림축산식품부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도시민들의 농사체험 의욕이 충만해지는 4월과 흙이 연상되는 11일
11도서관의 날[48]4월 12일문화체육관광부도서관법
12국민안전의 날4월 16일행정안전부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13자전거의 날4월 22일행정안전부자전거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시행령)4월 - 자전거를 타기 좋은 달
22일 - 자전거의 앞뒤 2개의 바퀴를 상징
14새마을의 날새마을운동 조직 육성법박정희새마을운동을 처음으로 제창한 날[49]
15씨름의 날단오(음력 5월 5일)문화체육관광부씨름진흥법예로부터 단오에 대형 씨름대회가 열렸던 점에서 착안
16유권자의 날[50]5월 10일중앙선거관리위원회공직선거법제헌국회 총선거일
17바다 식목일해양수산부수산자원관리법해조류가 가장 많이 자라나는 시기
18한부모가족의 날[51]여성가족부한부모가족지원법태어난 가정에서 양육하는 것이 입양보다 우선이라는 의미를 담아 입양의 날 전날로 지정
19입양의 날5월 11일보건복지부입양특례법
20식품안전의 날5월 14일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안전기본법
21가정의 날5월 15일여성가족부건강가정기본법세계 가정의 날
22발명의 날5월 19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발명진흥법문종장영실에 의해 개발된 발명품 측우기의 완성일.
23세계인의 날5월 20일법무부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세계 문화 다양성의 날'이 부부의 날과
겹치는 관계로 하루 당김
24희귀질환 극복의 날[52]5월 23일보건복지부희귀질환관리법희귀·난치성질환자의 날
25방재의 날5월 25일행정안전부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시행령)
26구강보건의 날6월 9일보건복지부구강보건법
27기록의 날6월 9일행정안전부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세계 기록의 날
28헌혈자의 날6월 14일보건복지부혈액관리법세계헌혈자의 날
29노인학대예방의 날6월 15일보건복지부노인복지법세계 노인학대인식의 날
30선원의 날[53]6월 셋째 주 금요일해양수산부선원법
31해양조사의 날[54]6월 21일해양수산부해양조사와 해양정보 활용을 위한 법률세계 수로의 날
32전자정부의 날[55]6월 24일행정안전부전자정부법1967년 통계용 컴퓨터가 실제 가동된 날
33마약퇴치의 날[56]6월 26일식품의약품안전처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세계마약퇴치의 날[57]
34사회적기업의 날7월 1일고용노동부사회적기업 육성법[58]
35도농교류의 날7월 7일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칠석[59]
36협동조합의 날7월 첫째 토요일기획재정부협동조합기본법
37인구의 날7월 11일보건복지부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법세계 인구의 날
38연안안전의 날7월 18일해양경찰청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참사
39유엔군 참전의 날7월 27일국가보훈부유엔참전용사의 명예선양 등에 관한 법률6.25 전쟁 휴전일
40섬의 날8월 8일행정안전부도서개발촉진법방문객이 많은 여름 휴가철이면서, 미래 가능성이 무한하다(∞)는 뜻으로 제정
41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8월 14일여성가족부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가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공개 증언한 날
42통계의 날9월 1일통계청통계법1896년 9월 1일, 한국 근대 통계의 시작으로 평가되고 있는 전문 7개 조의 '호구조사규칙'이 최초로 마련
43여권통문의 날여성가족부양성평등기본법1898년 9월 1일, 한국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인 여권통문 발표
44태권도의 날9월 4일문화체육관광부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1994년 IOC 총회에서 태권도가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지정
45지식재산의 날[60]과학기술정보통신부지식재산 기본법직지심체요절 세계기록유산 등재
46사회복지의 날9월 7일보건복지부사회복지사업법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47곤충의 날[61]농림축산식품부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곤충의 생육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
48숙련기술인의날9월 9일고용노동부숙련기술장려법
49해양경찰의 날9월 10일해양경찰청해양경찰법[62]EEZ 선포일[63]
30자살예방의 날9월 10일보건복지부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세계 자살예방의 날
51대한민국 법원의 날9월 13일대법원「대한민국 법원의 날」제정에 관한 규칙'남조선과도정부기구인수에관한건' 공포[64]
52청년의 날9월 셋째 주 토요일국무조정실청년기본법(시행령)
53치매극복의 날9월 21일보건복지부치매관리법세계치매의날(World Alzheimers Day)
54이산가족의 날추석 전전날(음력 8월 13일)통일부남북 이산가족 생사확인 및 교류 촉진에 관한 법률
55조달의 날9월 30일조달청조달사업에 관한 법률조달청 나라장터 개통일
56개인정보 보호의 날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 보호법
57임산부의 날10월 10일보건복지부모자보건법임신기간 '10개월'의 10이 중복되는 날
58정신건강의 날10월 10일보건복지부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세계정신건강연맹(WFMH)이 제정한 세계 정신 건강의 날[65]
59호스피스의 날10월 둘째 주 토요일보건복지부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세계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날
60스포츠의 날[66]10월 15일문화체육관광부스포츠기본법
61회계의 날10월 31일금융위원회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62임업인의 날11월 1일산림청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63소상공인의 날11월 5일[67]중소벤처기업부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시행령)
64바둑의 날11월 5일문화체육관광부바둑 진흥법한성기원(한국기원의 전신) 설립일
65소방의 날11월 9일소방청소방기본법화재 신고전화 119
66보행자의 날11월 11일국토교통부지속가능 교통물류 발전법(시행규칙)
67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국가보훈부유엔참전용사의 명예선양 등에 관한 법률국경을 초월해 모두 하나(1)가 되자
68아동학대예방의 날11월 19일보건복지부아동복지법세계여성정상기금이 제정한 세계아동학대예방의 날
69김치의 날11월 22일농림축산식품부김치산업 진흥법11가지 재료로 22가지 효능을 내는 김치.[68]
70민원의 날11월 24일행정안전부민원 처리에 관한 법률국민 한 명 한 명에게 24시간 봉사한다
71자원봉사자의 날12월 5일행정안전부자원봉사활동기본법

4. 법정기념일이 아닌 기념일[편집]


건설의 날(6월 18일), 자원순환의 날(9월 6일), 산의 날(10월 18일), 항공의 날(10월 30일) 등은 관련 부처가 행사를 진행하긴 하지만 공식적인 법정 기념일은 아니다. 그래도 이따금씩 달력에 나오는 경우가 있었다.[69]

법정기념일이 아닌 경우에는, 국경일이 아닌 한, 정부부처나 공공기관이 전국적 또는 지역적 규모의 기념행사나 이에 준하는 행사를 할 수 없다(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지방자치단체별로 해당 지자체의 시민의 날, 군민의 날, 또는 구민의 날, 새마을(의) 날을 조례로 정한 예가 많이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기념일로서 특이한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그 밖에, 서울특별시 은평구4월 15일을 서울특별시 은평구의회 개원 기념일로 정했다(서울특별시 은평구의회 개원 기념일에 관한 조례).


5. 날짜가 겹치는 기념일들[편집]


기념일들 중 날짜가 겹치는 것들이 몇 개 있다. 이를 다시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기념일 / 개별법상의 기념일).
  •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국가보훈부) / 도시농업의 날(농림축산식품부)
  • 4월 22일[70]: 정보통신의 날(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 자전거의 날, 새마을의 날(행정안전부)
  • 5월 15일: 스승의 날(교육부) / 가정의 날(여성가족부)
  • 9월 4일: / 태권도의 날(문화체육관광부), 지식재산의 날(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교육 멈춤의 날(교육부)
  • 9월 7일: 푸른 하늘의 날 (외교부, 환경부) / 사회복지의 날(보건복지부), 곤충의 날(농림축산식품부)
  • 10월 10일: / 임산부의 날, 정신건강의 날(보건복지부)
  • 10월 15일: 체육의 날 (문화체육관광부) / 스포츠의 날 (문화체육관광부)
  • 11월 11일: 농업인의 날(농림축산식품부) / 보행자의 날(국토교통부),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국가보훈부)/ 대한민국 해군 창설기념일(대한민국 해군)
  • 12월 5일: 무역의 날(산업통상자원부) / 자원봉사자의 날(행정안전부)


6. 폐지된 기념일[편집]


과거에 시행했으나, 현재는 폐지된 기념일들이다. 상당수가 1973년 기념일 통폐합으로 인해 사라졌다. 그 이후에 폐지된 기념일의 경우 시대 흐름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 등으로 폐지된 경우도 있다.
기념일날짜주관 부처폐지년도비고
국민교육헌장선포기념일12월 5일문교부2003년2011년부터 무역 1조 달러 돌파를 기념해 무역의 날이 됨
권농의 날5월 넷째 화요일[71]농림부1996년농업인의 날로 통합
세계인권선언기념일12월 10일2003년
육림의 날11월 첫째 토요일내무부1990년
전매의 날7월 1일재무부1990년
한글날10월 9일문화관광부2006년국경일로 승격[72]
  • 이외에도 매월 15일이 방공·소방의 날 → 민방위의 날이었다가 1980년에 기념일에서 폐지되었다.[73]

6.1. 1973년 통합 당시 폐지된 기념일[편집]


기념일날짜통합된 기념일[74]비고
가정의례준칙선포기념일3월 5일
계량의 날10월 26일상공의 날
관세의 날8월 27일조세의 날
교도관의 날10월 28일법의 날지금의 교정의 날과 동일
구강보건일6월 9일보건의 날
국제간호원의 날5월 12일보건의 날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생일
국제적십자의 날5월 8일보건의 날국제적십자위원회의 창립자 앙리 뒤낭의 생일
권농의 날6월 1일권농의 날
귀의 날9월 9일보건의 날
나병의 날1월 27일보건의 날[75]
눈의 날11월 1일보건의 날
목초의 날9월 5일권농의 날
반공학생의 날11월 23일신의주 반공학생사건이 일어난 날에서 유래
발명의 날5월 20일상공의 날[76]
방송의 날10월 2일문화의 날[77]
보험의 날11월 21일저축의 날
상공인의 날10월 31일수출의 날
세계 기상의 날3월 23일과학의 날[78]
세계보건일4월 7일보건의 날현재의 보건의 날과 동일
세금의 날3월 3일조세의 날현재의 납세자의 날과 동일
약의 날11월 18일보건의 날
어민의 날4월 1일권농의 날
영화의 날10월 27일문화의 날
올림픽의 날6월 23일체육의 날
자유의 날1월 23일
잡지의 날11월 1일문화의 날
전기의 날4월 10일상공의 날
중소기업의 날5월 14일수출의 날
증권의 날5월 3일저축의 날
집배원의 날5월 31일체신의 날
  • 반공학생의 날과 자유의 날은 그 어떠한 기념일과도 통합되지 않았는데, 이들은 모두 반공과 관련된 기념일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7. 관련 문서[편집]




8. 둘러보기[편집]



[[대한민국|
]]⠀>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지리 ]

[ 정치 ]

[ 사회 ]

[ 외교 ]
>
일반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출입국여권 · 비자 · K-ETA · 스마트 엔트리 서비스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일반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한국의 명절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 문화재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언어 · 문자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국궁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계의 문제 · 게임규제
음악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영화 · 연극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기원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기념일 문서의 r26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기념일 문서의 r26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기념일이 처음으로 지정된 1973년부터 2000년까지는 '조세의 날'로 불렀다.[3] 1966년 3월 3일 설립.[4]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이 제정, 시행됨에 따라 기존의 '상공인의 날'(10월 31일)이 '상공의 날'로 통합되었으나, 입법의 착오였는지 상공인의날에관한규정을 폐지하지 않았다.[5] 종래 "향토예비군의 날"이었으나, '향토예비군(설치법)'이 '예비군(법)'으로 바뀌면서 2017년부터 기념일 이름과 내용도 변경되었다.[6] 본래는 4월 첫째 토요일이었으나, 2006년부터 4월 첫째 금요일로 변경하였다.[7] 2005년까지는 공휴일이었다.[8] 1948년 4월 7일 설립.[9] 1990년부터 2018년까지는 4월 13일이었으나, 학계의 의견에 따라 수립 100주년을 맞는 2019년부터 4월 11일로 변경하였다.[10] 1919년 4월 11일.[11] 일부에서는 UN이 지정한 국제 장애인의 날과 통합해야 한다는 이견도 있다.(12월 3일)[12] 1996년 이전까지는 '체신의 날'이었다.[13] 1884년 4월 22일.[14] 종전에는 5월 1일이었으나, 2003년부터 4월 25일로 변경되었다. 4월 25일이 법의 날이 된 이유는 대한민국에서 근대적 사법제도를 도입하는 계기가 된 재판소구성법이 시행된 날이기 때문이다.[15] 2013년 이전에는 '충무공탄신일'이었으나, 충무공이라는 시호를 가진 사람이 이순신 외에도 여러 사람이 있어서 이를 구분하기 위해 지금처럼 변경하였다.[16] 근로기준법에 의해 근로자에 해당하는 사람들에게는 이 날이 법적으로 보장된 유급휴일이다.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에 그 내용이 있다.[17] 1958년부터 1993년까지는 3월 10일이었다. 이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의 전신인 대한노동총연맹 창립일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18] 5월 첫째 주 월요일이나 5월 첫째 주 금요일로 옮기자거나, 아예 (가칭) '가족의 날'로 합치자는 주장이 있다.[19] 어린이날을 5월 첫째 주 금요일로 옮기고 그 이후에 처음으로 오는 월요일로 옮기자거나, 아예 (가칭) '가족의 날'로 합치자는 주장이 있다.[20] 동학농민혁명기념일은 2019년부터 기념일로 지정되었다.[21] 1894년 5월 11일.[22] 2월로 옮기자는 주장이 있다.[23] 재수생반수생들을 배려하기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로 옮기자는 주장이 있다.[24] 1972년 6월 5일.[25] 6월 첫째 주 월요일로 옮기자는 주장이 있다.[26] 2014년 이전에는 '6·25 사변일'이었다.[27] 2017년 이전에는 경인선 개통일인 9월 18일이 철도의 날이었으나, 일제 잔재를 청산한다는 이유로 2018년부터 날짜를 바꾸었다.[28] 1894년 6월 28일.[29] 광복군 창설일인 9월 17일로 옮기거나 국경일로 승격하자는 주장이 있다.[30] 1950년 10월 1일.[31] 매년 체육의 날 즈음에 전국체육대회가 열린다.[32] 40주년인 2019년부터 기념일로 승격하였다. 창원은 마산으로 항쟁이 번진 10월 18일을 주장하기도 한다.[33] 2006년 이전에는 10월 20일이었다.[34] 1945년 10월 21일. 정확히는 전신인 미군정 시절의 경무국 설립일이다.[35] 1945년 10월 28일.[36] 1987년 10월 29일. 이때 헌법이 개정되면서 그 동안 폐지되었던 지방자치가 부활하였다.[37] 2015년 이전에는 '저축의 날'이었다.[38] 2006년 이전에는 '학생의 날'이었다.[39]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은 2017년까지는 교육부만 주관부처였다.[40] 2000년 이전에는 '소비자보호의 날'이었다.[41] 현재는 '소비자기본법'.[42] 1979년 12월 3일.[43] 1990년 이전에는 '수출의 날'이었다.[44] 이전에는 수출 1억 달러 돌파했던 날인 1964년 11월 30일을 기념하여 11월 30일이었다.[45] 약칭 "원자력의 날"[46] 농업, 농촌, 농민[47] 수산업협동조합이 이날 창설되었다. 만우절과는 날짜만 같을 뿐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만우절에 많이 이루어지는 게 낚시라는 걸 감안하면 뭔가 묘하다.[48] 2023년부터 시행[49] 1970년 4월 22일에 열린 전국 지방 장관 회의를 주재한 박정희"새마을 가꾸기 운동"을 처음으로 제안했는데 이것이 발전해 새마을운동이 된 것이다. 그 전까지는 각 시도별로 재량에 따라 새마을의 날을 지정했지만 2011년 5월 30일 '새마을운동조직육성법'이 개정 시행되면서부터 국가 기념일로 지정됐다.[50] 2022년에 취임할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부터는 5년마다 이 날이 대통령 취임일이 된다.[51] 한부모가족의 날은 2019년부터 법정기념일이 되었다.[52] 2017년부터 시행[53] 2024년부터 시행[54] 2021년부터 시행.[55] 2018년부터 시행.[56] 2018년부터 시행.[57] 정식 명칭은 '약물 남용 및 불법거래와의 국제 투쟁의 날(International Day Against Drug Abuse and Illicit Trafficking)'.[58] '사회적기업 육성법' 시행일이 2007년 7월 1일.[59] 칠석에 견우와 직녀가 만나듯이 도시와 농촌이 교류하는 날이라는 뜻이다.[60] 지식재산의 날은 2018년부터 기념일이 되었다.[61] 곤충의 날은 2019년부터 기념일이 되었다.[62] 해양경찰의 날은 해양경비법에 규정되었다가 근거규정이 이관되었다.[63] 원래는 해경청 설립일인 1953년 12월 23일에서 유래된 12월 23일을 기념일로 삼았으나, 해양경찰만이 아닌 전반적인 해양주권과 해양안전을 위한 기념일로서 EEZ 선포일을 기념일로 삼게 된 것이다. 해경이 폐지됨에 따라 "해양경비안전의 날"이 되었다가 해경이 부활하면서 원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64] 1948년 9월 13일 김병로 초대 대법원장 취임. 이 날, 남조선과도정부로부터 사법권을 이양받음으로써 대한민국 사법부가 실질적으로 수립되었다.[65] 비공식적으로는 4월 4일을 정신건강의 날로 기념해 왔다. 4에 관한 안 좋은 고정관념을 탈피하고자 하는 뜻이라고.[66] 2023년부터 명칭이 변경됐다. 이전 명칭은 '체육의 날'[67] 소상공인의 날은 종전에는 2월 26일이었으나, 2017년부터 11월 5일로 변경되었다.[68] 서울특별시가 위치한 중부지방의 통상적 김장 시기가 이 때이기도 하다. 한반도 북부지방은 11월 초중순에 김장을 마치며 상대적으로 기후가 온화한 남부지방은 12월에 김장을 한다.[69] 드물게 대한적십자사의 창립기념일인 10월 27일이 가끔씩 달력에 나오는 경우도 있었다.[70] 이외에도 법적으로 별도의 언급은 없지만 몇몇 달력에 '지구의 날'(Earth day)이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이 지구의 날은 1970년 미국에서 시작한 국제적 환경 기념일이라고 한다.[71] 1973년 통합 당시에는 6월 첫째 토요일이었다가, 1984년부터 넷째 화요일로 변경하였다.[72] 이후 2013년부터 공휴일로 1991년 폐지 이래 22년만에 재지정되었다.[73] 다만 폐지 이후에도 매월 15일마다 민방위의 날이 적힌 일부 달력이 있다.[74] 통합된 기념일은 1973년 당시 기준.[75] 한센병 퇴치에 앞장섰던 한국 천주교회가 매년 1월 마지막 주일을 나병환자 구제를 위한 특별헌금 모금일인 '구라(救癩)주일'로 지낸 바 있다. 현재는 '해외원조주일'이라는 이름으로 지내고 있는데 구호의 대상을 나병환자로만 국한하지 않고 국제적 구호 기금 마련을 위한 헌금을 걷는 날로 개편됐다.[76] 지금의 발명의 날과는 딱 하루 차이이다.[77] 다만 1978년부터 한국방송협회 주관으로 9월 3일을 방송의 날로 지내고 있다. 대한민국호출 부호 'HL'을 받은 날이 이 날이다.[78] 지금도 일부 달력에서는 이 날짜에 '기상의 날'이라고 표기된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