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목역

덤프버전 :


약목역
구 미
← 12.8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Yangmok
한자
若木
간체자
가나
若木(ヤンモク
주소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칠곡대로 635 (복성리)
관리역 등급
보통역
(김천(구미)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부선
1918년 7월 25일[3]
무궁화호
1994년 3월 31일
철도거리표
경부선
약 목

이 역과 사곡역 사이에 가칭 북삼역이 신설될 예정이다.
若木驛 / Yangmok Station


파일:약목역.jpg

3대 역사(2000년 준공)

1. 개요
2. 역사
3. 승강장
4. 일평균 이용객
5. 시간표
6. 연계 교통
6.1.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
6.2. 시외버스
7. 창작물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컨테이너, 자갈, 시멘트 등 물류 수송의 중추

약목역은 1918년 7월 경부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구미-왜관 사이에 위치한 교통의 중심지로 컨테이너 화물 및 자갈수송, 시멘트 화물 등 화물 물류의 거점으로 역할하고 있다. 일찍이 교통이 발달하여 일제강점기 역사 건립을 위해 일본식 관사가 지어지기도 하였다. 옛 약목역은 1941년 11월에 지어진 122㎡의 목조 기와 단층 역사로 소박하고 아담한 모습이었다. 그러나 1997년 역사에 컨테이너 하치장이 추가 확장되고 2000년 현 역사 신축 준공 이후 2005년 약목 보수기지 컨테이너 야드(구미CY)가 영업을 개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08년에는 개성에서 생산된 물건이 이 약목역을 통해 대구경북지역에 들어오기도 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철도역.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칠곡대로 635(복성리)에 위치해 있다.

[양모격]이 아니라 [양몽녁]이라고 읽어야 한다. 약목+역의 합성어라 ㄴ첨가가 되고 비음화가 이루어지기 때문. 한국어/음운 변동 문서 참조.


2. 역사[편집]


1918년 7월 25일부터 영업을 시작한 유서 깊은 역이다. 이 시기는 무려 제1차 세계 대전이 진행되고 있을 시기로서, 영업을 시작한지 약 100년이 지날 만큼 오랜 기간 지역 주민들의 발이 되어준 역이다. 그리하여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쳤고, 현재 사용중인 역사는 2000년 12월에 준공된 자그만치 20년이 넘은 노후 건축물이라 차후 대규모 보수공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철도용 자갈을 채취하고 컨테이너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등 여객업무보다는 화물업무를 주로 보는 역. 2021년 12월 기준 무궁화호가 상행 8회, 하행 4회 정차한다. 컨테이너 야드가 있기 때문에 아세아시멘트선(3.0km), 고철약목보수기지선(2.0km) 등 약목역 전용 지선이 있으며, 전차대 역시 존재한다. 이 컨테이너야드는 정확히는 구미역에서 약목방면으로 내려오다가 분기하는 방식으로, 고속철도 약목보수기지와 인접해 있어 경부고속선과도 연결돼 있다. 신동화물역이 생기면서 거의 무실화됐다가 구미공단 입주기업의 지속적인 요구에 따라 다시 사용이 재개됐는데, 이 때문에 신동화물역이 만들어졌을 때 해당 노선이 무실화될 거라면서 기뻐하던 약목지역에서의 반발이 심한 편일 것 같았으나 해당 노선의 입체교통화를 통해서 이용의 불편함이 다소 사라진 탓에 반발은 없는 편이다.

현재 무궁화호가 출퇴근 시간에 한정하여 정차하고 있지만, 정작 대구권 광역철도는 정차할 계획이 없다. 이대로라면 급행은 정차하는 데 완행은 통과하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질 예정이다. 계획이 발표된 초기에는 특별한 반발이 없었으나, 최근 들어 약목역에 전철을 유치시키자는 현수막이 면 중심지 내에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약목역 일대 거주자들이 대구권 광역철도를 이용하려면 버스로 왜관역까지 내려가서 환승하거나 북삼역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더구나 무궁화호가 내구 연한 도래로 점진적으로 폐지될 예정이고, 이를 대체하는 ITX-마음은 무궁화호보다 등급이 높은 열차라 약목역에는 서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면 약목역은 여객을 취급하기 않게 되기 때문에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봉양역과 함께 무궁화 #4301열차가 지나감에도 서지 않는 둘뿐인 역이기도 하다.[4]

3. 승강장[편집]


왜관




4
3


2
1



사곡 구미

1·2
경부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대전·천안·서울 방면
충북선
대전·청주·영주 방면
3·4
경부선
동대구·밀양·부산 방면
충북선
왜관·대구·동대구 방면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무궁화호|

무궁화호
]]
비고
2004년
171명

2005년
212명

2006년
214명

2007년
200명

2008년
229명

2009년
272명

2010년
284명

2011년
305명

2012년
311명

2013년
354명

2014년
341명

2015년
325명

2016년
307명

2017년
330명

2018년
321명

2019년
290명

2020년
183명

2021년
213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 자료일람 > 주한일본공사관기록 & 통감부문서 > 統監府文書 9권 > 八. 韓國皇帝南巡關係書類, 韓國皇帝西南巡幸關係書類 > (8) [巡幸 예정 변경 통보\][2] 조선총독부관보 제 1259호 大正5年11月1日부터京釜線若木金泉間에左記停車場을新設고金烏山停車場을廢止홈(다이쇼 5년 11월 1일부터 경부선 약목-김천간에 좌기 정차장을 신설하고 금오산정차장을 폐지함). 해당 관보에서 신설고시된 정차장은 구미역대신역이다.[3] 그러나 실제 개업일은 이보다 앞설 가능성이 크다. 1907년 통감부 철도관리국 연보의 경부선 거리표에 약목역이 등재되어 있고, 1906~07년 여객 및 화물 취급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다. 1909년 1월에 작성된 순종황제의 남부지방 순행으로 인한 열차운행 변경 공지에서도 등장하며[1] 1916년 금오산 우회구간 개통과 관련한 조선총독부의 관보에도 약목역이 버젓이 등장하고 있다.[2] 중간에 잠시 폐역시기가 있었다 해도, 적어도 1916년 금오산역 폐지 시점까진 약목역이 존재했다는 것이다.[4] #4301 열차는 이 두 역을 제외하면 지나가는 역들 중 여객영업을 하는 모든 역에 정차하며 심지어 하루에 열차가 단 1회만 서는 각계역에 서는 유일한 열차이기도 하다.



5. 시간표[편집]


약목역 열차시간표 (2023년 1월 1일 기준)
상행 (서울, 대전, 영주 방면)
열차종류
열차번호
도착시간
출발시간
종착역
무궁화호
#1204
07:39
07:40
서울
무궁화호
#1206
08:58
08:59
서울
무궁화호
#1208
09:37
09:38
서울
무궁화호
#1354
10:55
10:56
대전
무궁화호
#4303
18:30
18:31
영주
무궁화호
#1358
18:58
18:59
대전
무궁화호
#1218
20:23
20:24
서울
무궁화호
#1360
22:08
22:09
대전
하행 (부산 방면)
열차종류
열차번호
도착시간
출발시간
종착역
무궁화호
#1351
06:53
06:54
부산
무궁화호
#1353
07:56
07:57
부산
무궁화호
#1355
08:41
08:42
부산
무궁화호
#1359
19:47
19:48
부산


6. 연계 교통[편집]



6.1.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편집]



약목역건너(12643)
구미시 시내버스
일반

좌석

칠곡군 농어촌버스
농어촌


6.2. 시외버스[편집]




7. 창작물[편집]


  • 영화 보이지 않아의 촬영지가 되었다. 3번째 편인 '박하사탕'에서 나온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3:57:19에 나무위키 약목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