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제계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보수정당의 계파 역사
[ 펼치기 · 접기 ]
자유당 창당 ~ 사사오입 개헌
대한국민국민회원내자유당원외자유당
사사오입 개헌 ~ 4대 총선
국민회이재학계이승만계이기붕계
4대 총선 ~ 4.19 혁명
이재학계이승만계이기붕계
4.19 혁명 ~ 5.16 군사정변
전진한계헌정동지회자유당
5.16 군사정변 ~ 민주공화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주공화당 창당 ~ 민정이양
한독당 자유당 박정희계 김종필계
민정이양 ~ 3선 개헌
한독당 자유당 반김 박정희 친위김종필계
3선 개헌 ~ 7대 대선
반김박정희 친위김종필계
7대 대선 ~ 10월 유신
반김박정희 친위김종필계
10월 유신 ~ 10.26 사건
공화유정회김종필계 민정회
10.26 사건 ~ 5.17 내란
공화
5.17 내란 ~ 12대 대선
정치 활동 금지
12대 대선 ~ 6월 민주 항쟁
한국민정
6월 민주 항쟁 ~ 3당 합당
공화민정
3당 합당 ~ 14대 총선
상도동계청구동계민정계
14대 총선 ~ 자민련 창당
상도동계새한국신정국민청구동계민정계
자민련 창당 ~ 신한국당 당명변경
상도동계신민당자민련민정계
신한국당 당명변경 ~ 15대 총선
신한국자민련민정계
15대 총선 ~ 한나라당 창당
상도동계이회창계자민련민정계
한나라당 창당 ~ 15대 대선
민주계상도동계국민이회창계자민련민정계
15대 대선 ~ 3회 지선
민주계이회창계민국한국자민련민정계
3회 지선 ~ 16대 대선
민주계이회창계민국자민련민정계한미연
16대 대선 ~ 17대 총선
통합민주계이회창계민국하나로자민련민정계친박
17대 총선 ~ 17대 대선
중심소장파민주계이회창계자민련친박
17대 대선 ~ 18대 총선
중심이회창계친이친박
18대 총선 ~ 새누리당 당명변경
국민련선진친이친박
새누리당 당명변경 ~ 19대 총선
민주계선진생각친이친박
19대 총선 ~ 18대 대선
선진비박친박
18대 대선 ~ 새누리당 분당
비박친박
새누리당 분당 ~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바른늘푸른비박친홍친박친조삼성동계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 바른미래당 창당
바른통합파늘푸른비박친홍친박새누리
바른미래당 창당 ~ 바른미래당 분당
호남계손학규계친안친유복당파친홍친황친박애국
바른미래당 분당 ~ 미래통합당 창당
바른새보수전진친무친홍친황친박통일공화
미래통합당 창당 ~ 21대 총선
국민통합경제친박공화
21대 총선 ~ 국민의힘 당명변경
국민통합
국민의힘 당명변경 ~ 20대 대선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국민국민의힘
20대 대선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 8회 지선
친안친유친윤친홍
8회 지선 ~ 현재
비윤친윤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민생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보수정당)



[ 펼치기 · 접기 ]
민주당 창당 ~ 장면 제2기 내각
신파 (민주당)구파 (구파동지회)
장면 제2기 내각 ~ 장면 제3기 내각
소장파노장파합작파신민당통일당
장면 제3기 내각 ~ 장면 제4기 내각
신풍회노장파정안회신민당통일당
장면 제4기 내각 ~ 5.16 군사정변
신풍회중도파노장파정안회신민당통일당
5.16 군사정변 ~ 민정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정당 창당 ~ 1차 진산 파동
민주당민정당자민당국민의당
1차 진산 파동 ~ 신민당 창당
민주계 유진산계 신한당
신민당 창당 ~ 2차 진산 파동
신파계구파계유진산계국민당민중당
2차 진산 파동 ~ 10.26 사건
신파계구파계이철승계민주통일당
10.26 사건 ~ 5.17 내란
동교동계상도동계 이철승계민주통일당
5.17 내란 ~ 11대 총선
정치 활동 금지
11대 총선 ~ 12대 총선
민한당
12대 총선 ~ 이민우 구상
동교동계상도동계 이철승계 민한당
이민우 구상 ~ 13대 대선
동교동계상도동계 신민당 민한당
13대 대선 ~ 3당 합당
동교동계상도동계
3당 합당 ~ 14대 총선
한겨레신민당 꼬마민주계박찬종계
14대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동교동계 잔류파새한국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 15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
15대 대선 ~ 16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이인제계
16대 대선 ~ 열린우리당 창당
친노동교동 신파동교동 구파후단협이인제계
열린우리당 창당 ~ 17대 총선
친노민주
17대 총선 ~ 4회 지선
민평련친노비노민주
4회 지선 ~ 17대 대선
민평련친노정동영계민주김한길계
17대 대선 ~ 18대 총선
민평련친노정동영계민주손학규계김한길계창조
18대 총선 ~ 국민참여당 창당
민평련정동영계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창조
국민참여당 창당 ~ 민주통합당 창당
정동영계참여계민평련친노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창조
민주통합당 창당 ~ 19대 총선
정동영계혁통계민평련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창조
19대 총선 ~ 18대 대선
정동영계민평련친문정세균계박지원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
18대 대선 ~ 14년 재보선
민평련친문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친안
14년 재보선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김민석계민평련친문정세균계천정배계구민주계친안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20대 총선
김민석계친문정세균계구민주계친안
20대 총선 ~ 국민의당 분당
박원순계친문안희정계평화 친안
국민의당 분당 ~ 민생당 창당
친명친문비문평화대안손학규계
민생당 창당 ~ 21대 총선
민주민생
21대 총선 ~ 20대 대선
열린친명친문이낙연계민생
20대 대선 ~ 현재
친명친문비명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민생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보수정당)





이인제계
형성1997년
해체2012년[1]
수장이인제
정치적 이념자유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경제적 이념경제적 자유주의
주요 정치인서석재
박상천
김효석

1. 개요
2. 활동
3. 구성



1. 개요[편집]


신한국당, 국민신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민주당(2005년), 중도통합민주당, 민주당(2007년), 자유선진당, 선진통일당에서 이인제를 따랐던 정치세력을 일컫는다.


2. 활동[편집]


민주계 출신 당시 현직 경기도지사 이인제제15대 대통령 선거 신한국당 경선에서 이회창에게 밀려 2위로 낙선한다. 2위를 차지한 것도 놀라운 것이었지만, 대세를 뒤집진 못했다. 민주계 출신 이회창은 김영삼과 갈등을 빚고 김윤환을 중심으로 한 민정계, 잔류 공화계가 단합하여 지지를 받았지만 민주계이인제, 김덕룡, 이수성 지지파로 나뉜게 문제였다. 그러나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회창은 아들들의 병역 문제로 지지율이 10%대로 떨어지고, 자신의 여론조사 상에서도 지지율이 높은 편이자 이인제는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2]

이인제는 지지율과 미약하나마 존재하는 당내 기반을 바탕으로 독자 정당 국민신당을 창당한다. 서석재, 황명수 등을 포함한 민주계 일부와 박범진 등 민정계 일부 정치인들로 총 8명의 국회의원과 원외 인사들이 입당하였다. 이들이 이인제계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창당하면서 이만섭국회의장총재, 이인제를 대통령 후보로 하였다.

처음에는 이회창의 병역 문제, 박정희 전 대통령을 빼닮은 외모, 젊은층 사이에서 지지로 높은 지지율을 올렸다. 그러나 얼마 안 되어 창당 과정에 김영삼 당시 대통령과 측근들의 지지가 있었다는 의혹이 이회창, 김대중 모두로부터 제기되었고, 그 해 초 국정 비리로 구속되었던 김현철까지 거론되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 국민신당과 이인제 후보의 지지율은 허무하게 떨어지기 시작했고 실제 대선에서는 중장년층 지지율이 이회창으로 쏠리면서 선거를 말아먹었다. 그러나 젊은층 사이에서 높은 인기로 19%라는 득표율을 올렸다.

객관적으로 보면 19%라는 높은 득표율을 올렸으니 국민신당과 이인제계의 미래는 어둡진 않았다. 그러나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DJP연합한나라당의 구도 속에 전일순 논산시장 1명만 당선시키며 존재감이 희석되었다. 1998년 재보궐선거에서도 후보들이 평균 7~8%의 득표율을 올리며 모두 낙선했다. 국민신당은 새정치국민회의로 흡수 합당되고, 일부는 한나라당 복당과 자유민주연합 입당을 택하며 뿔뿔이 흩어졌다.

썩어도 준치라는 말이 있듯이 합당 때 들어온 7명의 의원들은 바탕으로 당내 중도파를 포섭하며 당내 저변을 넓혀가고, 본인이 최고위원으로도 당선되며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기반을 중심으로 새천년민주당 제16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에 나가 1위를 차지하였으나, 노풍이 불고 대세를 뒤집을 수 없었다고 판단한 모양인지 경선 후보직을 사퇴했다. 그러나 대선의 꿈을 접지 않고 결국 탈당한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이회창이 당권을 잡고 있는 상황. 결국 충청권 지역정당 자유민주연합을 택한다.

갈수록 인재가 떨어지던 자민련에겐 지역 기반이 강한 이인제는 괜찮은 인재였으나, 이 탈당으로 이인제는 자계파를 모두 잃게 된다. 그나마 후에 복당한 민주당에서 후보로 선출되긴 하지만, 자계파의 힘은 거의 없었다. 통합 자유선진당 입당과 선진통일당으로의 당명 개정 후 계파가 소수 생기긴 했지만 그마저도 새누리당 합당 이후로 거의 없어졌다. 일례로, 제19대 대통령 선거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 경선 국민 여론조사에선 24.6%로 홍준표에 뒤이은 압도적 2위를 차지했지만, 전당대회에선 김관용에게도 밀린 4위를 기록했다.

비록 지금은 이인제라는 이름은 잊혀졌지만 이인제를 따랐던 인물들은 제법 많은 인물들이 정치계에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조원진원유철이 옛 국민신당 출신이며 현역의원 중에는 조해진 의원이 국민신당에 몸담은 바 있다.

3. 구성[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0:08:34에 나무위키 이인제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선진통일당새누리당에 흡수 합당.[2] 후보 교체를 주장했으나 받아들이지 않아졌다.[3] #[탈당] A B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했다.[동교동계] 동교동계로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