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샨카

덤프버전 : r (♥ 0)

우샨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모자 👒
[ 펼치기 · 접기 ]
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레더 햇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실크 햇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왕관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헌정위기
지리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하위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하위지역) · 볼가 연방관구(하위지역) · 북서 연방관구(하위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하위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하위지역 · 노보시비르스크(하위지역)) · 우랄 연방관구(하위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하위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 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 호 · 한카호 · 돈 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 산맥 · 스타노보이 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 산 · 시베리아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 반도 · 타이미르 반도 · 캄차카 반도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 섬 · 콜라 반도 · 축치 반도 · 크림 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마천루 · 초르노젬
문화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국가두마)
경제경제 전반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안보 조약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철도 환경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러시아계 한국인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러시아계 독일인 · 러시아계 영국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계 폴란드인 · 러시아계 스페인인 · 러시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캐나다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러시아계 중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러시아계 일본인 · 러시아계 호주인
음식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러시아 연방군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편제) · 해군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브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러시아 국가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FSB
기타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불곰국



러시아어: Ушанка
영어: Ushanka

1. 개요
2. 특징
3. 용례
4. 우샨카를 쓰고 다니는 캐릭터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www.ushanka.com/black-ushanka.jpg
소련 해군 사병용 우샨카. 정품 우샨카는 가죽으로 제작된다.

동물의 모피 등으로 만든 방한용 모자의 일종.


2. 특징[편집]


특유의 귀덮개가 달린 것이 특징, 평상시에는 앞쪽 챙과 양쪽 귀덮개를 모자 윗부분으로 접어올려 고정하고 있다가 필요 시 내려서 안면과 양쪽 귀를 보호할 수 있어 동상 방지 효과가 뛰어나다. 추위를 견디는 데에 좋은 모자는 머리와 귀를 따뜻하게 덮어 주어 바람이 들어오지 않아야 하는데, 우샨카는 이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경우에 따라서는 목에 두르는 버전도 있다.

후술되겠지만 이런 형태의 방한모자는 많은 국가에서 생산되었으나, 국내에서는 6.25 전쟁의 영향 때문인지 소련에서 유래되었다는 이미지가 강하다. 때문에 흔히 군밤장수 모자[1], 군고구마장수 모자, 소련(러시아) 모자, 공산당 모자 따위의 별명으로도 많이 불린다.

'샤프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본래 러시아어로 챙 없는 모자(Cap)라는 뜻이다. 정식 명칭은 샤프카-우샨카(ша́пка-уша́нка).

3. 용례[편집]


파일:external/theinnerdoor.files.wordpress.com/18829909.jpg
영화 붉은 10월에서 함장 라미어스 대령 역으로 등장한 숀 코너리가 소련 해군 장교용 우샨카를 쓰고 있는 모습. 자료 참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oachim_von_Sandrart_-_November.jpg
털모자를 쓴 독일 사냥꾼. 1643년 요아힘 폰 잔드라르트(Joachim von Sandrart) 작품.

귀덮개가 달린 털모자는 이전부터 동쪽으로는 러시아, 서쪽으로는 독일, 남쪽으로는 중앙아시아, 북쪽으로는 스칸디나비아 반도 등지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서 슬라브족, 게르만족, 유목민족들이 쓰였으며, 거슬러 올라가면 고대 스키타이인들도 사용했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된 물건이다. 한민족도 휘양(남성용은 풍뎅이라 불렀으나 여성용 남바위가 더 유명하다.)이라는 비슷한 물건을 사용했다.

현대 같은 형태가 정립된 것은 20세기 러시아, 소련 시절의 일이다. 러시아 혁명 이후 적백내전 시기 초창기 적군에서부터 겨울전쟁시기 소련군을 포함해[2] 소련군 지상군의 표준 방한장비는 소련군의 원수 세묜 부됸늬의 이름을 딴 부됸노프카(Будёновка)라 불리는 펠트제 모자였는데, 기본적으로 이것은 피켈하우베의 재질을 천으로 바꾸고, 모자 아래쪽에 귀와 목을 가릴 수 있도록 넓은 천을 덧붙인 형상이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den3.jpg
부됸노브카를 쓴 적군(1919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VZHD_1929_01.jpg
봉소전쟁 당시 봉천군벌 15여단 독전대(督戰隊) 깃발을 노획한 소련군(1929년).

파일:hbd.jpg
소련에서 활동할 시기의 홍범도 장군

그런데 부됸노브카는 방한 효과는 아무래도 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고, 겨울전쟁 당시 방한 대책에 소홀했던 소련군은 혹한에 의해 엄청난 손실을 입고 말았다. 이후 겨울전쟁의 전훈을 살려 복장과 장비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우샨카가 표준장비로 지정되어, 현대에 이른다.

이에 소련군뿐만이 아니라, 동독, 폴란드 인민 공화국, 유고슬라비아를 비롯한 동유럽부터 중화인민공화국, 몽골 인민 공화국, 북한을 비롯한 공산국가들도 소련의 영향을 받아 우샨카가 제식복장화된다. 그러나 아무래도 추위의 끝판왕인 러시아에서 만든 것이다 보니 방한 성능 하나는 수준급이다. 때문에 단순 방한장비로써는 한국군을 포함한 전세계의 수많은 군대와 민간에서 사용하고 있다. 심지어 독소전쟁 당시 독일 국방군무장친위대애용했을정도이다.

참고로 한국군에는 6.25 전쟁 당시 미 육군이 M1951 파일 캡을 도입하면서 들여왔다.# 2000년대 까지도 우샨카 형태의 방한모가 GOP 경계 근무에서 애용되었다.(GOP만 착용한건 아니고 동계 초소 경계근무자의 근무복장을 통일시키기 위해 기온대에 따라 착용 근무복장이 지정되어 있었고, 전후방 가리지 않고 실외 경계 근무자는 특정 영하 기온대에서만 방한모를 착용하고, 방탄모는 휴대하였다)

NYPD(뉴욕 경찰) 동계 근무모가 이거다. 모두가 쓰는 것은 아니고, 선택적으로 기존 경찰모와 경찰비니, 우샨카 중 하나를 쓸수있는 것으로 보인다.우샨카를 쓴 경찰과 경찰모를 쓴 경찰이 함께있는 모습, 비니를 쓴 모습.

초창기 소련군 우샨카는 검정색으로 통일한 해군용을 제외하면 여러 색이 혼재되어 있었으나, 전후 생산 여건이 정비된 이후엔 육공군 등도 청회색으로 통일했다. 독소전쟁 시기에는 설상 위장복에 맞추기 위한 흰색 우샨카도 존재했다. 장교용과 사병용은 모표를 제외하면 차이점이 없으나, 장군/제독용은 모표도 다를 뿐 아니라 정모와 같은 형태의 자수가 들어간 챙이 달려 있다.

우샨카를 살 때는 기왕이면 자신의 머리 치수보다 한 치수 큰 것을 사는 편이 좋다. 방한성을 위해서 빈틈없이 꼭 맞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약간의 압박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헤어스타일에 예민한 경우에는 심하게 눌려서 스타일이 망가질 수 있다. 특히 펌을 한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 치수 그대로의 크기로 구매해서 쓸 경우, 극한의 오지에 쓰고 갈 것이 아니라면 평소에 쓰고 다니기 다소 불편할 수 있다. 그러나 가죽으로 만든 우샨카라면 한두시간만 쓰면 길들여지기 때문에 꼭 맞는 것으로 사는 것을 추천한다.


4. 우샨카를 쓰고 다니는 캐릭터[편집]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거의 모든 케론인
  • 그래비티 폴즈 - 웬디 코듀로이디퍼 파인즈[스포일러]
  • 길티기어 시리즈 - 밀리아 레이지[3]
  • 문호 스트레이 독스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사우스파크 - 카일 브로플로브스키
  • 삼국전투기 - 유비
  • 월드 트리거 - 베츠야쿠 타이치
  • 은하철도 999 - 메텔
  • 재기드 얼라이언스 시리즈 - 이반 돌비치[4]
  • 콜 오브 듀티: 월드 앳 워,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 빅토르 레즈노프, 디미트리 페트렌코
  • 파워 디지몬 - 로라
  • 헤븐 번즈 레드 - 샬로타 스코폽스카야
  • Warhammer 40,000 - 페릭 유르겐[5]
  • Mid-Fight Masses - 루브(Ruv)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1:57:33에 나무위키 우샨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는 미군의 M-51 Winter cap을 군밤장수들이 많이 쓰고 다녀서 붙은 이름이다.[2] 우샨카가 도입된 이후로도 독소전쟁 초창기까지 쓰였다.[스포일러] 최종화에서 웬디와 모자를 교환하면서 웬디의 우샨카를 쓴 채로 캘리포니아로 돌아간다.[3] 길티기어 Xrd부터 쓴다.[4] 방어성능이 별로 좋지 않은 우샨카를 초기 장비로 입고오는데, 더 좋은 머리 방어구로 바꿔주려고 하면 거부하기 때문에 사실상 패널티다. 그런데 시리즈의 배경은 대대로 더운 기후의 중남미나 아프리카 국가인데, 굳이 쪄죽는 날씨에 우샨카를 고집하는 것은 소련군 출신에 대한 자부심 때문인 듯하다.[5] 정확히는 그가 소속해 있던 아스트라 밀리타룸발할란 아이스 워리어 연대의 표준 장비에 우샨카가 포함되어 있다. 이 발할란 아이스 워리어는 2차대전 시기 소련군이 모티브인 부대로 모행성인 발할라는 매우 추운 행성이라는 설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