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빈 듀란트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1d116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d1160><tablebgcolor=#1d1160><width=20%> '''{{{#fff 코칭스태프}}}''' ||<colbgcolor=#fff> '''
{{{#fff 감독}}}
''' [[프랭크 보겔|{{{#000 보겔}}}]] '''
{{{#fff 코치}}}
''' [[케빈 영|{{{#000 영}}}]] · [[마크 브라이언트|{{{#000 브라이언트}}}]] · [[랜디 아이어스|{{{#000 아이어스}}}]] · [[브라이언 랜들|{{{#000 랜들}}}]] · [[브라이언 게이츠|{{{#000 게이츠}}}]] · [[스티브 스칼지|{{{#000 스칼지}}}]] || || '''{{{#fff 가드}}}''' || '''{{{#e56020 0}}}''' [[조던 굿윈|{{{#000 굿윈}}}]] · '''{{{#e56020 1}}}''' [[데빈 부커|{{{#000 부커}}}]] · '''{{{#e56020 3}}}''' [[브래들리 빌|{{{#000 빌}}}]] · '''{{{#e56020 38}}}''' [[새번 리|{{{#000 S. 리}}}]]^^'''{{{#e56020 TW}}}'''^^ · '''{{{#e56020 -}}}''' [[테오 말레돈|{{{#000 말레돈}}}]]^^'''{{{#e56020 TW}}}'''^^ || || '''{{{#fff 가드-포워드}}}''' || '''{{{#e56020 2}}}''' [[조시 오코기|{{{#000 오코기}}}]] · '''{{{#e56020 8}}}''' [[그레이슨 앨런|{{{#000 앨런}}}]] · '''{{{#e56020 10}}}''' [[데미언 리|{{{#000 D. 리}}}]] · '''{{{#e56020 23}}}''' [[에릭 고든|{{{#000 고든}}}]] · '''{{{#e56020 25}}}''' [[나시르 리틀|{{{#000 리틀}}}]] || || '''{{{#fff 포워드}}}''' || '''{{{#e56020 18}}}''' [[와타나베 유타|{{{#000 와타나베}}}]] · '''{{{#e56020 21}}}''' [[케이타 베이츠디옵|{{{#000 베이츠디옵}}}]] · '''{{{#e56020 35}}}''' [[케빈 듀란트|{{{#000 듀란트}}}]] || || '''{{{#fff 포워드-센터}}}''' || '''{{{#e56020 4}}}''' [[치메제 메투|{{{#000 메투}}}]] · '''{{{#e56020 11}}}''' [[볼 볼|{{{#000 볼}}}]] · '''{{{#e56020 14}}}''' [[드류 유뱅크스|{{{#000 유뱅크스}}}]] || || '''{{{#fff 센터}}}''' || '''{{{#e56020 20}}}''' [[유서프 너키치|{{{#000 너키치}}}]] · '''{{{#e56020 27}}}''' [[우도카 아주부키|{{{#000 아주부키}}}]]^^'''{{{#e56020 TW}}}'''^^ || ||<-2><bgcolor=#fff> * '''TW : 투웨이 계약''' || ||<-2><bgcolor=#e56020> '''[[틀:NBA 팀별 선수단|{{{-1 {{{#000000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케빈 듀란트의 수상 이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 2021년 미국 스포츠 사이트 the Athletic에서 NBA 출범 75주년을 기념하여 농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75명을 발표했다.
1위2위3위4위5위
마이클 조던르브론 제임스카림 압둘자바빌 러셀매직 존슨
6위7위8위9위10위
윌트 체임벌린래리 버드샤킬 오닐팀 던컨코비 브라이언트
11위12위13위14위15위
하킴 올라주원오스카 로버트슨케빈 듀란트제리 웨스트스테판 커리
16위17위18위19위20위
칼 말론케빈 가넷모제스 말론줄리어스 어빙데이비드 로빈슨
21위22위23위24위25위
디르크 노비츠키찰스 바클리엘진 베일러야니스 아데토쿤보존 스탁턴
26위27위28위29위30위
아이제아 토마스릭 배리드웨인 웨이드존 하블리첵크리스 폴
31위32위33위34위35위
밥 페팃스카티 피펜제임스 하든카와이 레너드조지 마이칸
36위37위38위39위40위
제이슨 키드패트릭 유잉스티브 내시밥 쿠지앨런 아이버슨
41위42위43위44위45위
엘빈 헤이즈조지 거빈클라이드 드렉슬러윌리스 리드월트 프레이저
46위47위48위49위50위
러셀 웨스트브룩레지 밀러게리 페이튼케빈 맥헤일폴 피어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도미니크 윌킨스레이 앨런앤서니 데이비스밥 맥아두트레이시 맥그레이디
56위57위58위59위60위
드와이트 하워드데이브 코웬스얼 먼로제임스 워디웨스 언셀드
61위62위63위64위65위
돌프 셰이스데니스 로드맨카멜로 앤서니빌 월튼크리스 웨버
66위67위68위69위70위
빌리 커닝햄네이트 아치발드데미안 릴라드알론조 모닝할 그리어
71위72위73위74위75위
알렉스 잉글리시제리 루카스피트 마라비치로버트 패리시레니 윌킨스
출처








파일:FIBA 농구 월드컵 로고.svg
2010





[ 펼치기 · 접기 ]

1955-561956-571957-581958-59
밥 페팃밥 쿠지빌 러셀밥 페팃
1959-601960-611961-621962-63
윌트 체임벌린빌 러셀빌 러셀빌 러셀
1963-641964-651965-661966-67
오스카 로버트슨빌 러셀윌트 체임벌린윌트 체임벌린
1967-681968-691969-701970-71
윌트 체임벌린웨스 언셀드윌리스 리드루 앨신더
1971-721972-731973-741974-75
카림 압둘자바데이브 코웬스카림 압둘자바밥 맥아두
1975-761976-771977-781978-79
카림 압둘자바카림 압둘자바빌 월튼모제스 말론
1979-801980-811981-821982-83
카림 압둘자바줄리어스 어빙모제스 말론모제스 말론
1983-841984-851985-861986-87
래리 버드래리 버드래리 버드매직 존슨
1987-881988-891989-901990-91
마이클 조던매직 존슨매직 존슨마이클 조던
1991-921992-931993-941994-95
마이클 조던찰스 바클리하킴 올라주원데이비드 로빈슨
1995-961996-971997-981998-99
마이클 조던칼 말론마이클 조던칼 말론
1999-20002000-012001-022002-03
샤킬 오닐앨런 아이버슨팀 던컨팀 던컨
2003-042004-052005-062006-07
케빈 가넷스티브 내시스티브 내시디르크 노비츠키
2007-082008-092009-102010-11
코비 브라이언트르브론 제임스르브론 제임스데릭 로즈
2011-122012-132013-142014-15
르브론 제임스르브론 제임스케빈 듀란트스테판 커리
2015-162016-172017-182018-19
스테판 커리러셀 웨스트브룩제임스 하든야니스 아데토쿤보
2019-202020-212021-222022-23
야니스 아데토쿤보니콜라 요키치--
2023-242024-252025-262026-27
----




[ 펼치기 · 접기 ]

1950-511951-521952-531953-54
에드 맥컬레이폴 아리진조지 마이칸밥 쿠지
1954-551955-561956-571957-58
빌 샤먼밥 페팃밥 쿠지밥 페팃
1958-591959-601960-611961-62
엘진 베일러, 밥 페팃윌트 체임벌린오스카 로버트슨밥 페팃
1962-631963-641964-651965-66
빌 러셀오스카 로버트슨제리 루카스애드리언 스미스
1966-671967-681968-691969-70
릭 배리할 그리어오스카 로버트슨윌리스 리드
1970-711971-721972-731973-74
레니 윌킨스제리 웨스트데이브 코웬스밥 래니어
1974-751975-761976-771977-78
월트 프레이저데이브 빙줄리어스 어빙랜디 스미스
1978-791979-801980-811981-82
데이비드 톰슨조지 거빈네이트 아치발드래리 버드
1982-831983-841984-851985-86
줄리어스 어빙아이제아 토마스랄프 샘슨아이제아 토마스
1986-871987-881988-891989-90
톰 체임버스마이클 조던칼 말론매직 존슨
1990-911991-921992-931993-94
찰스 바클리매직 존슨존 스탁턴, 칼 말론스카티 피펜
1994-951995-961996-971997-98
미치 리치몬드마이클 조던글렌 라이스마이클 조던
1998-991999-20002000-012001-02
(NBA 파업)샤킬 오닐, 팀 던컨앨런 아이버슨코비 브라이언트
2002-032003-042004-052005-06
케빈 가넷샤킬 오닐앨런 아이버슨르브론 제임스
2006-072007-082008-092009-10
코비 브라이언트르브론 제임스코비 브라이언트, 샤킬 오닐드웨인 웨이드
2010-112011-122012-132013-14
코비 브라이언트케빈 듀란트크리스 폴카이리 어빙
2014-152015-162016-172017-18
러셀 웨스트브룩러셀 웨스트브룩앤서니 데이비스르브론 제임스
2018-192019-202020-212021-22
케빈 듀란트카와이 레너드야니스 아데토쿤보-
2022-232023-242024-252025-26
----








[ 펼치기 · 접기 ]

1946-471947-481948-491949-50
조 펄크스맥스 자슬로프스키조지 마이칸조지 마이칸
1950-511951-521952-531953-54
조지 마이칸폴 아리진네일 존스턴네일 존스턴
1954-551955-561956-571957-58
네일 존스턴밥 페팃폴 아리진조지 야들리
1958-591959-601960-611961-62
밥 페팃윌트 체임벌린윌트 체임벌린윌트 체임벌린
1962-631963-641964-651965-66
윌트 체임벌린윌트 체임벌린윌트 체임벌린윌트 체임벌린
1966-671967-681968-691969-70
릭 배리데이브 빙엘빈 헤이즈제리 웨스트
1970-711971-721972-731973-74
루 앨신더(카림 압둘자바)카림 압둘자바네이트 아치발드밥 맥아두
1974-751975-761976-771977-78
밥 맥아두밥 맥아두피트 마라비치조지 거빈
1978-791979-801980-811981-82
조지 거빈조지 거빈애드리안 댄틀리조지 거빈
1982-831983-841984-851985-86
알렉스 잉글리시애드리안 댄틀리버나드 킹도미니크 윌킨스
1986-871987-881988-891989-90
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
1990-911991-921992-931993-94
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데이비드 로빈슨
1994-951995-961996-971997-98
샤킬 오닐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
1998-991999-20002000-012001-02
앨런 아이버슨샤킬 오닐앨런 아이버슨앨런 아이버슨
2002-032003-042004-052005-06
트레이시 맥그레디트레이시 맥그레디앨런 아이버슨코비 브라이언트
2006-072007-082008-092009-10
코비 브라이언트르브론 제임스드웨인 웨이드케빈 듀란트
2010-112011-122012-132013-14
케빈 듀란트케빈 듀란트카멜로 앤서니케빈 듀란트
2014-152015-162016-172017-18
러셀 웨스트브룩스테판 커리러셀 웨스트브룩제임스 하든
2018-192019-202020-212021-22
제임스 하든제임스 하든스테판 커리-
2022-232023-242024-252025-26
----



[ 펼치기 · 접기 ]

1952-531953-541954-551955-56
돈 메이네케레이 펠릭스밥 페팃모리스 스톡스
1956-571957-581958-591959-60
톰 하인슨우디 솔즈베리엘진 베일러윌트 체임벌린
1960-611961-621962-631963-64
오스카 로버트슨월트 벨라미테리 디싱거제리 루카스
1964-651965-661966-671967-68
윌리스 리드릭 배리데이브 빙얼 먼로
1968-691969-701970-711971-72
웨스 언셀드루 앨신더데이브 코웬스, 제프 페트리시드니 윅스
1972-731973-741974-751975-76
밥 맥아두어니 디그레고리오자말 윌키스앨번 애덤스
1976-771977-781978-791979-80
애드리언 댄틀리월터 데이비스필 포드래리 버드
1980-811981-821982-831983-84
대럴 그리핀벅 윌리엄스테리 커밍스랄프 샘슨
1984-851985-861986-871987-88
마이클 조던패트릭 유잉척 퍼슨마크 잭슨
1988-891989-901990-911991-92
미치 리치몬드데이비드 로빈슨데릭 콜먼래리 존슨
1992-931993-941994-951995-96
샤킬 오닐크리스 웨버 그랜트 힐, 제이슨 키드데이먼 스타더마이어
1996-971997-981998-99 1999-2000
앨런 아이버슨팀 던컨빈스 카터엘튼 브랜드, 스티브 프랜시스
2000-012001-022002-032003-04
마이크 밀러파우 가솔아마레 스타더마이어르브론 제임스
2004-052005-062006-072007-08
에메카 오카포크리스 폴브랜든 로이 케빈 듀란트
2008-092009-102010-112011-12
데릭 로즈타이릭 에반스블레이크 그리핀카이리 어빙
2012-132013-142014-152015-16
데미안 릴라드마이클 카터-윌리엄스앤드류 위긴스칼-앤서니 타운스
2016-172017-182018-192019-20
말콤 브록던벤 시몬스 루카 돈치치자 모란트
2020-212021-222022-232023-24
라멜로 볼- --
2024-252025-262026-272027-28
-- --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등번호 35번
팀 창단케빈 듀란트
(2008~2016)
PJ 도지어
(2017~2018)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등번호 35번
브라이언 카디널
(2003~2004)
케빈 듀란트
(2016~2019)
영구 결번
브루클린 네츠 등번호 7번
제레미 린
(2017~2018)
케빈 듀란트
(2019~2023)
다리우스 베이즐리
(2023~)
피닉스 선즈 등번호 35번
챈들러 허치슨
(2021~2022)
케빈 듀란트
(2023~)
현역

파일:1000003410.png
피닉스 선즈 No. 35
케빈 웨인 듀랜트
Kevin Wayne Durant
출생1988년 9월 29일 (35세)
워싱턴 D.C.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텍사스 대학교/오스틴 캠퍼스
신장211cm (6' 11")[1]
체중109kg (240 lbs)[2]
윙스팬225cm (7' 4.75")
종교개신교
후원사나이키[3] (KD)
포지션스몰 포워드 / 파워 포워드[4]
드래프트2007 NBA 드래프트 1라운드 2순위
시애틀 슈퍼소닉스 지명
소속 팀시애틀 슈퍼소닉스 (2007~2008)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2008~2016)[5][6]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2016~2019)
브루클린 네츠 (2019~2023)
피닉스 선즈 (2023~)
국가대표 미국 농구 국가대표팀 (2010~)
등번호35번 - 시애틀 / 오클라호마 / 골든스테이트 / 피닉스
7번 - 미국 농구 국가대표팀 / 브루클린
5번 - 미국 농구 국가대표팀
계약2022-23 ~ 2025-26 / $194,219,320
연봉2023-24 / $47,649,433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생애
2.1. 유년 시절
2.2. 대학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내역
5. NBA Career Statistics
7. 나이키와의 관계
8. 여담



1. 개요[편집]


NBA 피닉스 선즈 소속의 선수. 주로 스몰 포워드 역할을 맡으나 파워 포워드센터로 나오기도 한다.

별명은 KD, 듀란툴라[7], 듀사기, 듀중계정, 지구 1옵션[8], Easy Money Sniper 등이 있다.

2. 생애[편집]



2.1. 유년 시절[편집]


워싱턴 D.C.에서 태어났지만 곧바로 메릴랜드로 이사를 갔다. 고등학교 시절 2학년 때 급격한 성장기에 돌입하면서 가드를 만들기 위해 그에 필요한 모든 기술을 훈련시켰던 탈라스 브라운의 예상과 달리 듀란트를 포워드급의 사이즈를 지니며 가드의 기술을 지닌 괴물로 진화하게 되었다. 이후 농구 명문 고등학교인 오크 힐 아카데미 고등학교로 전학을 가 평균 19.6득점 8.8리바운드로 전미 세컨드 팀에 선출되었으며 다시 전학 간 몬트로스 크리스천 고등학교에서 평균 23.6득점 10.9리바운드를 기록하였다.

2.2. 대학 시절[편집]


케빈 듀란트는 스포츠 뿐만 아니라 학업 성적이 우수했고 BQ가 뛰어났다. 이를 바탕으로 명문 텍사스 대학교/오스틴 캠퍼스로 진학한 후 당시 신입생 때부터 206cm의 키를 자랑하면서 순식간에 선발 선수로서의 두각을 드러냈다. 대학 무대에서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시즌 개막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대학교 최고의 공격 플레이어로 평가받았고, 엄청난 키와 뛰어난 슈팅력을 살린 플레이는 전직 NBA 선수였던 케빈 가넷이나 디르크 노비츠키 등과 같이 비유되기도 했다. 그 결과 평균 25.8득점 11.1리바운드로 두 부문에서 전미 랭킹 Top 10에 들어갔으며 득점 통산 903점은 BIG 12 컨퍼런스 역대 신기록과 NCAA 역대 2위였고, 리바운드 통산 390개는 역대 신기록이었다. 당시 듀란트가 뛰었던 소속팀에서 25승 10패로 3위를 기록하면서 컨퍼런스 토너먼트 진출을 이끌었으며 캔자스 제이호크스와 대결한 결승에서 커리어 하이 37득점을 기록하였으나 연장전 끝에 듀란트가 쏜 역전 슛이 들어가지 못하면서 우승의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하지만 그럼에도 전미 농구 코치 협회 최우수 선수상, 오스카 로버트슨 상 등을 모조리 휩쓸었다.[9]

듀란트의 스카우팅 리포트에서는 믿을 수 없는 높이와 민첩성, NBA 수준의 공격 스킬셋, 키를 고려했을때 '반칙'에 가까운 오프 더 드리블 점퍼, 훌륭한 리바운드 능력을 꼽았으며 다소 떨어지는 수비 기본기와 불안한 볼 핸들링, 높은 드리블 자세, 너무 마른 체격 등이 단점으로 언급되었다. 비교 대상은 디르크 노비츠키, 트레이시 맥그레이디가 언급되었다.

2.3. 선수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케빈 듀란트/선수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Easy Money Sniper[10]

NBA 역사상 손에 꼽히는 득점원 중 한 명으로, 순수하게 득점력으로만 판단했을 때 듀란트보다 명백히 우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선수는 마이클 조던 밖에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11]

막기가 불가능에 가까운 엄청난 높이의 타점, 부드러운 볼 핸들링, 최상급 슈팅능력과 효율성, 211cm의 신장에서 상상하기도 힘든 스피드와 운동 능력을 고루 갖추었다. 또한 카와이 레너드, 카멜로 앤서니, 더마 드로잔, 크리스 폴, 카이리 어빙 등 현역 최상위 미드 레인지 스킬을 가진 선수들 중에서도 단연 원톱으로 손꼽히는 중거리 샷 피니셔이며, 역대 미드 레인지 장인을 논할 때 이미 수 많은 레전드들을 뛰어넘었다고 평가되며 유일하게 마이클 조던과 비교되는 선수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듀란트는 득점을 다른 선수들에 비해서도 너무나도 쉽게 하는 선수다. 엄청난 장신임에도 돌파, 슛[12], 자유투 등 공격 쪽 옵션에 있어서는 완성형의 선수이며, 사실상 블록 슛이 불가능한 타점[13] 에서 나오는 미드 레인지 점퍼는 역대급 장인들인 래리 버드, 마이클 조던, 디르크 노비츠키와 대등 혹은 그 이상의 성공률을 보이고 3점 슛180 클럽에 가입한 적이 있는 만큼 훌륭하다.[14]

쉽게 말해 센터의 사이즈와 스윙맨의 운동 능력, 역대급 슈팅 능력과 다재다능한 스킬까지 갖춘, 득점에 있어서는 완전체. 듀란트의 하이라이트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플레이 스타일 자체는 굉장히 단순한 편이다. 돌파를 제외하면 하이라이트 다수가 특유의 스피드와 헤지를 적당 섞어쓰는 풀업 점퍼, 혹은 크로스오버 이후 풀업 점퍼, 아니면 어깨 몇번 흔들어서 페이크 주고 풀업 점퍼 등밖에 없지만, 사기적인 윙스팬[15]과 뛰어난 슈팅력이 결합해서 막는 입장에서는 방법이 없다. 수비수가 속도를 못 쫓아오면 눈앞에서 풀업 점퍼를 갈기거나 그대로 돌파로 제껴버리고, 그게 안된다 하더라도 크로스오버 한 두번 치면 웬만한 수비수들은 순간적으로 듀란트를 놓칠 수밖에 없어 거기서 던지는 점퍼는 상대방 입장에선 들어가지 않기를 기도하는 수 밖에 없다. 특히 2017 NBA 파이널에서는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가 지난 두 번의 파이널[16]이랑 똑같이 스테판 커리, 클레이 탐슨3점 슛을 막는 전술을 들고 나왔으나 듀란트에게 미드레 인지 구역과 인사이드를 폭격당했다.

부연 설명을 하자면 듀란트는 풀업 점퍼란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인 어디서든 득점할 수 있게 해주는 점을 역대 그 누구보다도 효율성 있게 잘 활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일단 슈팅 메커니즘 자체가 제한 구역, 숏미들, 롱미들, 3점 슛, 딥쓰리 가리지 않고 순식간에 풀업을 올라갈 수 있게 하는 극한의 효율성을 가진 메커니즘이다. 그래서 듀란트는 마치 본인이 가드인 것마냥 시작부터 볼을 끌고와 하프라인 조금 넘어와서 딥쓰리를 냅다 던질 수도 있고, 조금 더 와서 3점 라인 헤지테이션 풀업을 던진다든지 여기에 더해 3점 라인 안쪽에서 쏘는 미드 레인지 또한 자유자재로 던질 수도 있다. 그렇기에 득점 구역 분포의 편재성은 듀란트에게 존재하지 않는다. 단순히 편재성만 없는게 아니라 모든 구역에서 리그 최상위~상위권의 볼륨을 자랑한다. 이런 케빈 듀란트를 보고 역대 최고의 올코트 오펜시브 플레이어라고 칭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 것이다.

점퍼 뿐만 아니라 자유투를 얻어내고 성공시키는 능력 역시 리그에서 탑 수준이다.[17] 제임스 하든이 자유투 적립으로 유명하지만, 듀란트의 자유투 장인정신도 만만치 않다. 2009-10 시즌 듀란트의 자유투 성공 개수는 무려 756개로, 무려 역대 6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평균 7개 이상의 자유투를 얻어내면서도 유지하고 있는 88% 이상의 성공률은 집중력이 엄청나게 높지 않고서는 나올 수 없는 수치이다. 심지어 2013년 1월 18일 댈러스 매버릭스전에서는 자유투 21개를 얻고 모조리 성공시키기도 했다. 듀란트가 얼마나 게임에 집중하는지 보여주는 대목. 그리고 볼을 독점하지 않는데도 득점력은 굉장히 뛰어난, 아주 간결하고 효율적인 선수이기도 하다.

결국은 그런 최상급 득점력에 엄청난 효율이 더해져 NBA 역사상 통산 경기당 평균 25득점 이상을 기록한 12명의 선수 중 180 클럽 경력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선수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됐다. 즉, NBA 역대 최고의 득점 기계들 중 듀란트 만큼의 효율을 보여준 선수는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역대급 공격 생산력을 가진 듀란트를 더욱 극대화하는 최대 장점은 그가 NBA 클러치 플레이어 중 하나라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돌파, 슛, 패스 3가지 공격 옵션이 완벽히 가능한 선수고 언제나 팀 내 가장 안정적인 득점원이었기에 그에 대한 믿음으로 커리어 내내 어느 소속팀에 있던, 팀 내에 누가 있던 클러치 상황 1옵션은 항상 그의 몫이었고, 어느 감독이든 작전 타임에 듀란트가 슛을 던질 수 있게끔 하는 전술을 짜냈다. 그런 압박감 속에서도 듀란트는 자신이 해결하겠다는 의지와 더불어 실제로 어디서든 터프샷을 메이드 시킬 수 있는 능력이 검증된 선수였고 그 결과 지금껏 NBA 역사에 남을 수많은 명장면들을 탄생시켜오며 자신이 클러치 강심장임을 증명하였다. 당장 유튜브에 검색해봐도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시절부터 현재 브루클린 네츠 시절까지 그가 4쿼터 결정적인 순간 빅샷을 꽂아 넣고 팀을 승리로 이끄는 장면들을 모아놓은 하이라이트가 수두룩하다. 여기서 재미있는 건 상대 팀이 바보도 아니고 듀란트가 공격할 거라는 것을 뻔히 알고도[18] 더블팀 없이 1대1로는 도저히 막을 수 없는 그의 순수 개인 능력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만다는 것이다.

NBA 드래프트 당시 신장 측정 결과는 2m 6cm(6피트 9인치)로 적혀있지만, 지금 팬들과 전문가들은 맨발 신장 6피트 10~11인치, 착화 신장 7풋에 가까운 선수로 보고 있다. 또한 NBA에서는 순수 신장뿐만 아니라 목 길이, 윙스팬에서는 어깨 넓이까지도 신체 효율 지수로 분류하는데 같은 신장에도 목 길이로 채운 것과 목이 짧은데 팔 높이가 높은 것이랑은 스탠딩 버티컬 리치에서 매우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듀란트는 225cm의 윙스팬으로 기록되있는데 키에 비해 눈에 띄게 길진 않지만 목이 잛고 어깨가 유난히 좁은 듀란트이기에 팔길이는 사실 엄청나게 길다. 이 타고난 키와 손크기 그리고, 어마어마한 팔길이 덕분에 가로 수비와 세로 수비 모두 강점을 가지고 있다. 3년차가 된 2010-11 시즌부터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리그 상위권 수비수로 업그레이드 되었다며 그의 수비를 호평했다.

불안한 볼 핸들링과 패스 플레이는 문제점이었으나 2013-14 시즌 즈음에는 이조차도 수준급으로 업그레이드에 성공했다. 하지만 연이은 부상으로 한 시즌을 날리고 돌아온 2015-16 시즌에서는 그 여파로 인해 볼 핸들링이 2012년도 이전으로 돌아가 오클라호마시티 썬더클러치 타임 불안에 한몫하기도 했다. 컨디션이 안 좋은 날이면 이전보다 훨씬 더 중장거리 난사가 많아진게 이 시절. 발 부상으로 인해 스텝이 약해져서 개인 수비력도 이전보다 많이 안 좋아지기도 했고.

이 당시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의 고질적인 세컨드 볼 핸들러 부재라는 약점 때문에 러셀 웨스트브룩이 벤치에 있는 상황에서는 강제로 듀란트가 3점 라인 밖에서 드리블로 게임 조립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듀란트 같은 득점 머신 포워드는 오프 더 볼 무브를 통해 최적의 위치를 찾아 엔트리 패스를 받으면 어지간한 수비수는 다 미스매치라 높은 확률로 2점 적립이 가능한데, 그런 선수가 3점 라인 밖에서부터 직접 공격을 조립까지 해야되는 경우가 잦은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의 스타일은 분명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다. 당시 오클라호마시티 썬더는 4쿼터 막판 클러치 상황에서의 생산력이 우승후보치고 상당히 낮았는데, 그 이유 중 하나로 가드도 아닌 듀란트로부터 시작되는 팀의 공격 스타일이 꼽히기도 했다.[19]

케빈 커리어 초창기 가장 큰 약점은 빈약한 웨이트에 있다. 착화 213cm에 가까운 신장을 가지고 있지만 체중은 100kg를 조금 넘기는[20] 말라깽이 몸에 힘도 매우 약한 편이다. NBA 드래프트 컴바인 때 225파운드짜리[21] 벤치 프레스를 하나도 못 들을 정도면 말 다한 거다. 힘이 약한 선수라 터프한 수비에 비교적 약한 모습을 보였고, 이 때문에 플레이오프와 같은 거친 무대에서는 상대방과의 몸싸움에 큰 약점을 보였던 것이 사실이다. 좀더 자세한 설명. 공격이야 스킬의 꾸준한 발전으로 어느 정도 극복하긴 했으나, 수비 면에서는 특유의 얇은 프레임으로 인해 공격 이상으로 불안함이 존재했다.

물론 이것도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초기 시절 약점이고 지금은 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져 쉽게 몸빵에 밀리지도 않고, 오히려 긴 윙스팬과 기동력으로 넓은 범위의 전방위 백업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수비 앵커로 성장하여 수비 공헌도가 급상승했다. 그 앞에 카와이 레너드라는 엄청난 락다운 전문가형 수비수가 있어서 다소 주목을 못 받을 뿐이지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후반기,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에서의 듀란트는 수비왕 투표에서도 순위권에 들만한 전천후 수비수로 완성되었다. 1대1 수비는 카와이 레너드처럼 슈퍼 엘리트가 아니나 림 프로텍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수비진에서 기민한 헬핑 수비와 섀도우 블록으로 상대의 이지샷을 허용하지 않고 속공으로 연계하는 능력은 리그 내에서 쉽게 찾기 어려운 수비 재능이다.[22]

단, 아무래도 장신 센터급의 사이즈이다 보니 외곽에서의 오프 볼 수비나 작고 빠른 볼 핸들러의 돌파에 대한 가로 수비는 아주 뛰어난 편은 아니다.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시절부터 수비 코트에서는 스몰 포워드 보다는 파워 포워드 슬롯이 더 어울리는 것 아니냐는 평가가 지속적으로 나온 이유가 이 때문. 현재는 체중을 109kg 선까지 불리며 리그 내 파워 포워드들과 힘으로 어느 정도 경합이 가능해졌고, 기동성과 민첩성도 파워 포워드 기준으로는 훌륭한 수준이며 단순 높이에서는 되려 우위를 점하는 만큼 파워 포워드로서 굉장히 이상적인 수비적 툴을 가지고 있다.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시절에는 데스 라인업 가동[23]시에 드레이먼드 그린과 더불어 핵심적인 수비수 역할을 해냈는데, 스몰 라인업의 파워 포워드에게 요구하는 수비적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며 스몰 라인업의 고질적 약점인 높이 문제에 대한 가려움을 긁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리그에서 점점 두각을 보이는 윙4(혹은 빅 윙) 스타일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는 셈.

사실, 그런 점에서 듀란트는 실제 보낸 커리어나 플레이 스타일이 여러모로 빅3 팀의 코어에 매우 적합한 유형이다. 리그를 대표하는 1옵션이자 뛰어난 스코어러이며 다재다능하지만, 신체적 특징과 플레이 특성상 마이클 조던, 르브론 제임스야니스 아데토쿤보와 달리 적어도 그는 코트에서 모든걸 다 잘 하는 유형의 선수는 아니다. 3점 라인 밖에서 픽받고 들어가면서 패스를 돌리는 게임 조립이나 직접 운영을 하기엔 너무 키가 크고 가드 스킬이 엄청나게 뛰어난 게 아니라서 탑에서의 헷지나 거친 압박에 취약해 르브론 제임스처럼 단독 플레이메이킹이 되지 않아 가능하면 옆에 뛰어난 메인 볼 핸들러가 필요하고[24] [25], 높은 타점의 골밑슛과 인사이드 피니시등 페인트존에서도 탁월한 실력을 보이지만, 토니 알렌의 디나이에도 밀리는 등 피지컬 약점때문에 거친 박스아웃이 난무하는 골밑에 오래 버틸수 있는 유형이 아니고 실제 가장 위력적인 지점은 거친 몸싸움이 벌어지기 힘든 페인트존 약간 밖에서의 트리플 스렛 상황이다.

즉, 듀란트가 공을 잡은 지점에도 골밑 공격수는 따로 있어야 하는 것. 듀란트를 중심으로 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1옵션이니까 당연하다는 듯이 공을 몰빵하고 니가 알아서 해라는 식의 농구를 할 수 없고, 데뷔 시절에 그런 역할을 맡겨봤다가 208cm의 자말 크로포드라는 비아냥이나 들으며 큰 실패를 겪기도 했다. 때문에 듀란트는 자연스럽게 빅3 시스템, 메인 볼 핸들러와 페인트존 공격수가 따로 있어서 탑과 골밑에 혼자 들어가 수많은 더블팀, 트리플팀을 뚫어내면서 뭘 하기보다는 그들이 커버하지 못하는 자유로운 공간인 윙, 3점 라인에서 우월한 키빨로 함부로 더블팀을 붙이거나 강한 압박 수비를 48분 내내 붙이기 힘든 상대에 미스 매치를 강요하며 1대1 상황을 만든 뒤 2점 혹은 3점을 적립하는 득점 머신의 역할에 집중할때 가장 퍼포먼스가 가장 잘나오는 플레이어다. 적어도 피지컬한 찰떡 수비가 아니라 조금만 여유공간을 허용하면 코트 어디서든 슛을 던져 넣을 수 있는 재능이 듀란트의 가장 강력한 재능이다. 데뷔때부터 그러한 설계의 팀에서 뛴 덕에 듀란트는 커리어의 대부분을 빅3 시스템에서 뛰어왔으며, 자신에게 트리플팀, 더블팀 혹은 한명의 전담 수비수가 48분 내내 죽자고 붙을 정도로 찰거머리 수비가 따라붙지 못하게 코어가 분산되어있을수록 효율이 극대화 된다. 그래서 빅3가 아니라 빅2, 또는 혼자서 팀을 이끌어야할때 한계도 확실하고 좌절도 많이 해봤다.[26] 그렇기에 빅3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역할을 분담하며, 어떻게 망가지는지를 듀란트만큼 겪는 선수도 없다. 이런 이유로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에서 러셀 웨스트브룩, 제임스 하든의 성장과 함께 2012 NBA 파이널에 진출했고,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에서 스테판 커리, 클레이 탐슨을 좌우에 끼고[27] 우승 반지를 두개나 챙겼으며, 브루클린 네츠에서는 카이리 어빙의 태업과 제임스 하든의 부상여파로 혼자 팀을 이끌다 광탈당하고 다시 자기가 득점에 집중할 수 있는 팀을 찾고 있는 것이다. [28]

리그에서 듀란트를 높게 평가하는 이유는 그가 농구를 대하는 자세 때문이다. 10살 때부터 다른 또래들은 상상도 하기 힘든 연습량을 소화해냈다고 한다. 그중 하나가 메디신 볼을 누운 채로 슛을 쏘는 폼으로 1시간 동안 들고 있기. 이걸 하느라고 어깨가 마비될 지경까지 갔었다고 한다. 듀란트의 트레이너나 팀 동료들은 그가 준비가 철저한 선수라고 칭찬한다. 18세에 NBA에 데뷔한 어린 선수가 이런 평가를 받는다는 건 그만큼 듀란트가 준비가 된 선수임과 동시에 성실하다는 인상을 준다는 의미이다.[29] 그렇게 위에서 지적한 단점들을 극복해내는 끊임없는 성장의 끝에 르브론 제임스, 스테판 커리와 함께 2010년대를 대표하는 슈퍼스타로 역사에 이름을 새긴 것.[30] 여러모로 NBA 명예의 전당 헌액은 이미 확정인 선수.

4. 수상 내역[편집]


수상 내역
파일:NBA-Champion.png NBA 챔피언 2회 (2017-2018)
파일:NBA-Champion.png NBA 파이널 MVP 2회 (2017-2018)
파일:NBA 로고.svg NBA 정규시즌 MVP (2014)
파일:NBA 로고.svg 올-NBA 퍼스트 팀 6회 (2010-2014, 2018)
파일:NBA 로고.svg 올-NBA 세컨드 팀 4회 (2016-2017, 2019, 2022)
파일:NBA-Allstar2021.png NBA 올스타 13회 (2010-2019, 2021-2023)[31]
파일:NBA-Allstar2021.png NBA 올스타전 MVP 2회 (2012, 2019)
파일:NBA 로고.svg NBA 올해의 신인상 (2008)[32]
파일:NBA 로고.svg NBA 올-루키 퍼스트 팀 (2008)
파일:NBA 로고.svg NBA 득점왕 4회 (2010-2012, 2014)[33]
파일:NBA 로고.svg NBA 라이징스타 챌린지 MVP (2009)
파일:NBA 75주년 로고.svg NBA 75주년 팀 (2022)
파일:FIBA-Logo.png FIBA 세계 선수권 대회 터키 (2010) 금메달[34]
파일:FIBA-Logo.png FIBA 세계 선수권 대회 MVP (2010)
파일:FIBA-Logo.png FIBA 선정 올림픽 MVP (2020)
파일:오륜기(여백X).svg 2012 런던 올림픽 금메달
파일:오륜기(여백X).svg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금메달
파일:오륜기(여백X).svg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
파일:NCAA 로고.svg 네이스미스협회 선정 올해의 대학선수상 (2007)

5. NBA Career Statistics[편집]


[ 정규시즌/펼치기 · 접기 ]
시즌경기수시간필드골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락턴오버트루슈팅PER
07-088034.6.430.288.87320.34.42.41.00.92.9.51915.8
08-097439.0.476.422.86325.36.52.81.30.73.0.57720.8
09-108239.5.476.365.90030.17.62.81.41.03.3.60726.2
10-117838.9.462.350.88027.76.82.71.11.02.8.58923.6
11-126638.6.496.387.86028.08.03.51.31.23.8.61026.2
12-138138.5.510.416.90528.17.94.61.41.33.5.64728.3
13-148138.5.503.391.87332.07.45.51.30.73.5.63529.8
14-152733.8.510.403.85425.46.64.10.90.92.7.63327.6
15-167235.8.505.387.89828.28.25.01.01.23.5.63428.2
16-176233.4.537.375.87525.18.34.81.11.62.2.65127.6
17-186834.2.516.419.88926.46.85.40.71.83.0.64026.0
18-197834.6.521.353.88526.06.45.90.71.12.9.63124.2
20-213533.1.537.450.88226.97.15.60.71.33.4.66626.4

[ 플레이오프/펼치기 · 접기 ]
시즌경기수시간필드골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락턴오버트루슈팅PER
09-10638.5.350.286.87125.07.72.30.51.33.7.49916.6
10-111742.5.449.339.83828.68.22.80.91.12.5.58224.1
11-122041.9.517.373.86428.57.43.71.51.23.2.63227.5
12-131144.1.455.314.83030.89.06.31.31.13.9.57426.0
13-141942.9.460.344.81029.68.93.91.01.33.8.57022.6
15-161840.3.430.282.89028.47.13.31.01.03.6.54220.3
16-171535.5.556.442.89328.57.94.30.81.32.5.68327.5
17-182138.4.487.341.90129.07.84.70.71.22.4.60625.1
18-191236.8.514.438.90332.34.94.51.11.03.6.66126.8
20-211240.4.514.402.87134.38.84.41.51.63.5.63026.9


6.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케빈 듀란트/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나이키와의 관계[편집]



||
종신 계약자 명단
순서이름국가'''{{{#000
종목}}}'''
비고
1마이클 조던파일:미국 국기.svg농구
2르브론 제임스파일:미국 국기.svg농구
3크리스티아누 호날두파일:포르투갈 국기.svg축구
4케빈 듀란트파일:미국 국기.svg농구
틀 정보
||



듀란트와 나이키의 관계는 듀란트가 2007년 NBA 데뷔 이후 시작됐다. 그리고 2023년 역대 4번째로 나이키의 종신 계약자가 되었다.


8. 여담[편집]


파일:external/3.bp.blogspot.com/durantula-poster-kevin-durant-thunder.jpg










"조지는 내가 NBA에서 가장 좋아하는 선수입니다. 조지를 가장 좋아하는 선수라고 말한 적은 오늘이 처음이 아닙니다. 조지는 모든 걸 다 해낼 줄 알아요. 패스, 리바운드, 수비, 포스트업, 그리고 득점까지... 못하는 게 없죠. 언제나 내가 가장 좋아하는 선수입니다."

조지는 듀란트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적이 있다. 지난 2015-16 시즌 듀란트가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에 있을 당시, 조지는 오클라호마시티를 상대로 45득점을 폭발시키며 듀란트와 자존심 경쟁을 펼쳤다. 듀란트 역시 조지의 활약을 잊지 않고 있었다.
"지난 몇 년 간 조지를 알고 난 이후로, 조지와 대결을 펼칠 때면 서로가 서로에게 더 나은 경쟁을 펼치게끔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조지를 향해서는 오직 존경심만이 있을 뿐이에요. 서로가 서로를 존경합니다."














[1] NBA 공식 신장. 그 이전에는 206cm (6' 9")가 공식 신장이었으나 이는 파워 포워드로 보이고 싶지 않아 줄인 것으로, 본인 말로는 사석에서는 그냥 7풋이라고 말하고 다닌다고 한다. 하지만 NBA에서 공식 신장이 같더라도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가 많아 2019-2020 시즌부터 사무국에서 실제 측정 키를 바탕으로 제출하라고 한 후 부터 대부분의 선수들이 실제 키가 공개 되었는데 듀란트는 6피트 11인치 (211cm)가 나왔다. / 착화 신장 213cm (7' 0")[2] 데뷔 당시에는 그 키로 100kg도 되지 않는 마른 체중이었다. 꾸준히 근육을 늘려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시절에는 많이 나갈 땐 250 lbs(113kg)를 넘어가기도 했으나, 부담이 많이 되었는지 이후 240 lbs 정도의 체중을 유지하고 있다.[3] 2023년 나이키와 종신 계약을 체결했다. 마이클 조던, 르브론 제임스,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에 이은 4번째 나이키 종신 계약자.[4] 커리어 내내 주로 스몰 포워드를 보았으나 팀 전술이나 상황에 따라 파워 포워드를 오가곤 했다. 어느덧 30대 중반을 바라보는 현재는 사실살 파워 포워드로 정착한듯 보이고, 극단적인 스몰 라인업에서는 간혹 센터로 나오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어느 포지션으로 출전하든 공격에서의 움직임이나 활동범위는 비슷하며 매 경기 팀의 메인 스코어러 역할을 담당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5]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시애틀 슈퍼소닉스 구단 선수들을 인수하기는 했지만 팀의 역사까지 받진 않았다. 그래서 원칙적으로 둘은 다른 팀으로 분류한다. 한국의 프로스포츠 팀으로 치자면 쌍방울 레이더스SK 와이번스, 또는 현대 유니콘스우리 히어로즈의 관계와 유사하다.[6] 이와 같은 이유로 시애틀의 프랜차이즈 스타였던 게리 페이튼의 경우에는 영구결번도 받지 못한 상황이다. 이는 차후 영구결번이 유력한 레이 앨런도 마찬가지. 다만 페이튼은 본인 스스로 시애틀과 오클라호마시티는 다른 팀이고 자기는 오클라호마시티에서 뛴 적도 없으니 영구결번은 받지 않겠다고 말했었다. 그 외 자세한 것은 시애틀 슈퍼소닉스 항목 참조.[7] Durant + Tarantula = Durantula[8] 세계 최강 미국 농구 국가대표팀에 2010년 첫 발탁 이후 10년 내내 미국 국대 1옵션 역할을 수행했다.[9] 농담이 아니라, 대학교 1학년 신입생 시절에 이미 선수로 받을 수 있는 상은 다 싹쓸이 했을 정도였다.[10] 'Money'란 표현은 미국 현지 농구 중계진들이 득점 성공시 흔히 쓰는 용어. 말 그대로 어느 상황에서든 쉽게 득점을 해내는 듀란트의 강력한 공격력을 상징하는 별명. 듀란트도 이 별명이 마음에 들었는지 현재 본인의 인스타그램 닉네임으로 쓰고 있다.[11] 물론 조던은 수비력 또한 가드 포지션에서 역대 최고 수준을 다투기에 종합적인 평가는 조던이 비교를 불허하고, 공격 면에서도 개인의 득점력이 아닌 플레이메이킹을 통한 오펜스 실행능력을 포함한다면 듀란트보다 더 가치 있다고 평가받는 선수들도 존재한다.[12] 그것도 아이솔레이션, 포스트 페이더웨이, 캐치 앤 슛, 3점 슛, 미드 레인지 모두 엘리트 수준이며 탑, 코너, 45도 가리지 않고 날카로운 슛터치를 보여준다.[13] 2021.01.06 기준 케빈 듀란트의 통산 야투 시도당 피블락 확률은 고작 3.5% 밖에 되지 않는다. 이게 얼마나 대단한 것이냐면 신장 7피트에 달하는 디르크 노비츠키가 6.8%, 211cm의 야니스 아데토쿤보가 6.52%로 이들보다 듀란트가 블락을 당할 확률은 약 절반 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참고로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시절 샤킬 오닐의 피블락 확률이 3.62%로 듀란트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14] 180 클럽에 가입한 적은 2013년, 2023년 두 번이고 가입하지 못해도 매년 180 클럽에 근접한다. 자유투가 90%을 넘지 못했을 뿐이지 매해 야투율 50% 3점 40% 경기당 20득점은 깔고 간다.[15] 스탠딩 리치는 어지간한 장신 센터들에게도 꿇리지 않는다.[16] 2015 NBA 파이널, 2016 NBA 파이널[17] 커리어 통산 88.3%의 무시무시한 성공률의 자랑하며 이는 현역 4위 기록이자 역대 10위권에 올라있는 기록이다.[18] 사실 클러치 상황이 아니어도 팀 내 최고 수비수를 경기 내내 듀란트 전담 수비수로 지정해놓는 경우가 많다.[19] 또 하나는 러셀 웨스트브룩의 플레이가 완성되지 않고 투박한 면이 있었다는 점.[20] 데뷔 때 신체 검사에서는 100kg도 되지 않았다.[21] 102kg[22] 아쉬운 점은 올-디펜시브 팀에 한번도 못 들어갔다는 점. 4년만에 올-NBA 퍼스트 팀에 복귀한 2017-18 시즌에 전체 블락 6등을 차지 했는데 올-디펜시브 팀 입성에는 실패했다. 공격 스탯이 매우 뛰어난거에 비해 수비 스탯이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23] 스테판 커리 - 클레이 탐슨 - 안드레 이궈달라 - 케빈 듀란트 - 드레이먼드 그린으로 구성된 역대 최고 수준의 스몰 라인업이다.[24]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시절에는 전성기 러셀 웨스트브룩,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시절에는 스테판 커리드레이먼드 그린, 브루클린 네츠에서 카이리 어빙, 피닉스 선즈에서는 크리스 폴, 데빈 부커와 뛰고 있다.[25] 제임스 하든과도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브루클린 네츠 시절에 같이 뛰었지만 썬더 시절 하든은 아직 폼이 올라오지 않은 식스맨, 네츠 시절에는 하든의 부상이 발목을 잡았다.[26] 대표적으로 러셀 웨스트브룩과의 공존 시스템이 불완전했던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시절과 22시즌 카이리 어빙이 이탈한 브루클린 네츠 등의 실패한 시즌.[27]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에서 이게 가능했던건 필요하면 드레이먼드 그린케본 루니같은 빅맨의 지원하에 골밑에 들어갈 수 있었고, 그게 아니어도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는 워낙 커리, 탐슨부터 이타적이고 공없이 플레이하는데 능해 이들이 모두 온코트여도 필요하면 얼마든지 듀란트가 히어로볼을 할 수 있고, 여차하면 팀원을 활용할 여지가 많았기 때문이다.[28] 이 때문에 지구 1옵션, 최고의 공격수라고 평가받는 듀란트조차도 저평가를 피하기는 어렵다. 자신과 경쟁하던 선수들을 비교하면 르브론 제임스야니스 아데토쿤보에 비하여 효율 높은 득점력을 가지고 있지만 볼 핸들링이나 피지컬의 한계로 인해서 무작정 히어로볼을 하면 명암이 갈리는 선수이고 1옵션을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듀란트를 제외한 코어가 부족할 경우 우승을 이끌어낸적은 없다. 스테판 커리 또한 듀란트와 비슷한 평가를 받았으나 2014-15시즌 첫 번째 우승은 파이널 MVP가 없었을 뿐 본인이 중심이었던 우승이라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었고 2021-2022시즌 우승과 함께 파이널 MVP를 수상하며 저평가의 여지를 날려버렸다. 물론 듀란트의 실력이면 충분히 원맨 우승이 가능하다는 평가도 있지만 그것을 증명하기에 2023-2024시즌 시작을 기준으로 듀란트의 나이는 적지 않다.[29] 그런데 이 듀란트로 질릴만큼 독하게 연습하는 연습벌레가 또 있으니, 바로 같은 팀에서 뛰었던 러셀 웨스트브룩. 여러모로 둘이 죽이 잘맞고 연습도 독하게 하는데 듀란트가 가끔씩 먼저 그만하자는 말을 하기도 한댄다.[30] 2020년 5월 ESPN에서 선정한 NBA 역대 올타임 랭킹 Top 74원문에서 쟁쟁한 NBA 전설들을 제치고 전체 10위권대 초반, 역대 스몰 포워드 3위에 선정 된 바 있으며, 그 후에도 2021년 플레이오프에서 부상으로 얼룩진 팀을 홀로 이끌며 당해 우승팀 밀워키 벅스를 7차전까지 몰아붙였던 역사적인 원맨 캐리를 보여주었다.[31] 2021, 2022 올스타전은 올스타 투표에서 동부 컨퍼런스 최다 득표를 받아 팀 듀란트의 캡틴을 맡게 되었지만 부상으로 인해 경기는 불참하였다.[32] 시애틀 슈퍼소닉스 구단 역사상 유일하게 올해의 신인상을 수상한 선수이다.[33] 2009-10 시즌 불과 21세의 나이로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며 NBA 역대 최연소 득점왕 수상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34] 이 대회까지는 세계 선수권 대회로 불리다 2014년부터 농구 월드컵으로 명칭이 바뀌었다.[35] 이 사진을 보면 안다. 파일:오클시절 탈모란트.jpg[36] 이기보다는 어느정도 사실이다. 2000년대 들어서 성공했다 볼만한 2픽 선수는 듀란트와 타이슨 챈들러, 라마커스 알드리지 말고는 없는 상황. 그나마도 챈들러는 원래 뽑은팀에서는 처절하게 망하고 다른팀에서 빛 본 케이스. 다만 역대 2순위가 망픽만 있었던 건 아닌 것이 제이슨 키드, 게리 페이튼, 알론조 모닝 등도 2순위 출신이었지만, 역대급 드래프트의 2순위였던 샘 보위와 다르코 밀리시치의 폭망이 너무 인상적이었다.[37] 사실 이 징크스는 1번 픽이 확실한 경우 재능을 믿고 남아있는 선수 중 최고의 선수를 픽하느냐 팀의 포지션 필요를 충족시키느냐라는 질문에서 시작하는데, 이 경우에는 오든의 건강과 로즈 가든의 수맥을 예측하지 못한 것이다. 또한 오든이 듀란트보다 나쁜 평가를 받았던 것도 아니다. 오든이 건강 문제로 순식간에 몰락해서 그렇지, 1순위로 듀란트가 뽑혔다면 그것도 논란이 되었을 것이다. 당시 오든의 비교 대상은 무려 빌 러셀 이었다.[38] 골든스테이트 때 멤버들과는 관계가 괜찮아졌는지 늘 인사도 잘 건네고 포옹도 하는 편인데 오클라호마시티 때 멤버들과는 여전히 서먹한지 러셀 웨스트브룩을 만나도 서로 인사를 잘 안 하는 편.[39] 안타깝지만 이때의 준우승 이후 골든스테이트로 이적하기 전까지 파이널에 진출하지 못했다. 제임스 하든의 이적, 그동안 러셀 웨스트브룩과 본인이 번갈아가며 부상을 앓은게 컸으며 그래서인지 팀성적도 우승하기에는 줄곧 2% 부족했던 편.[40] 게다가 2015-16 시즌 르브론 제임스와 스테판 커리와의 정규 시즌 맞대결에서 모두 패했다. 특히 커리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골든스테이트의 홈연승 타이기록(같은 1위는 조던의 시카고 불스)까지 내줬으며 그 전 골든스테이트와의 경기는 역사에 남을 퍼포먼스와 드라마가 나왔다.[41] 대학시절, 그리고 드래프트 직전까진 그렉 오든에 밀렸고 데뷔하고 나선 동부의 왕 르브론 제임스에게 밀렸으며(르브론 때문에 몇번이나 MVP 투표이서 2위를 했었고 우승 도전 또한 좌절) 르브론이 전성기에서 내려올 때쯤에는 스테판 커리가 전설을 쓰기 시작할 때였다.[42] 다만 까놓고 말해 이건 적절한 반격은 아니다. 듀란트에 대한 비판의 대부분은 이미 실력이 너무나도 뛰어난 그가 이미 엄청 강한 팀에 가서 쉽게 우승하려고 하는 것 때문이었지 듀란트의 실력 자체를 비난하는 사람은 소수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듀란트와 골든스테이트는 대부분 사람들의 예상대로 압도적인 전력을 자랑하며 우승했다. 즉, 위에 언급된 "쉽게 우승하려고 다른 슈퍼스타들과 팀을 이룬 것"은 마찬가지기 때문에 듀란트의 우승 자체만으로 이러한 비판이 사라질 이유는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1:57:50에 나무위키 케빈 듀란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