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힌발리 (r1판)

편집일시 :


아시아의 국가별 수도
[ 펼치기 · 접기 ]
동아시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베이징시파일:도쿄도 심볼마크.svg 도쿄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평양시파일:타이베이시 휘장.svg 타이베이시파일:울란바토르 문장.png 울란바토르
동남아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자카르타 수도특별구 휘장.png 자카르타 수도특별구역파일:방콕 휘장.svg 방콕파일:마닐라 문장.png 마닐라시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 로고.svg 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
파일:푸트라자야 연방 직할구 로고.svg 푸트라자야 연방 직할구
파일:싱가포르 국장.svg 싱가포르파일:하노이시 문장.svg 하노이 중앙 직할시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네피도 연방주 심볼.svg 네피도 연방구역파일:프놈펜 문장.png 프놈펜비엔티안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반다르스리브가완시 CI.png 반다르스리브가완 시딜리 시
남아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델리 연방 수도구역.png 뉴델리파일:카불 문장.png 카불파일:다카 로고.png 다카 시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이슬라마바드 깃발.svg 이슬라마바드파일:Kathmandu Flag.png 카트만두 광역시파일: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 logo.png 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말레 로고.svg 말레 시파일:ThromdeLogo.png 팀부
서아시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베이루트-ff.gif 베이루트파일:마나마 로고.png 마나마파일:앙카라_Logo.png 앙카라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바그다드시 휘장.png 바그다드파일:리야드 시기.png 리야드파일:암만시 휘장.png 암만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쿠 시 휘장.png 바쿠도하파일:사나 시기.png 사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예루살렘 휘장.svg 예루살렘(정치)
파일:텔아비브.svg 텔아비브(경제)
파일:테헤란 인장.png 테헤란파일:예레반 시 휘장.png 예레반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쿠웨이트파일:Seal_of_Tbilisi,_Georgia.svg 트빌리시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니코시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무스카트 logo_black.png 무스카트파일:Emblem_of_Damascus.svg 다마스쿠스파일:아부다비 시기.svg 아부다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파일:아르차흐 공화국 국기.svg 아르차흐 공화국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Ramallah_Logo.gif 라말라파일:스테파나케르트 휘장.png 스테파나케르트파일:Gerb_Sukhum.png 수후미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츠힌발리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레프코샤
중앙아시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슈켄트시 휘장.jpg 타슈켄트파일:누르술탄 시 휘장.png 아스타나파일:Gerb_Bishkek.png 비슈케크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Coat_of_Arms_of_Dushanbe.png 두샨베파일:Ashgabat_(seal).svg 아시가바트
아메리카의 수도 | 아프리카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유럽의 수도


유럽의 국가별 수도
[ 펼치기 · 접기 ]
서유럽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아일랜드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영국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더블린런던파리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네덜란드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 벨기에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 룩셈부르크
암스테르담브뤼셀룩셈부르크
[[모나코|

파일:모나코 국기.svg
]] 모나코
모나코
중부유럽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독일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오스트리아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 폴란드
베를린바르샤바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 체코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 슬로바키아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 헝가리
프라하브라티슬라바부다페스트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 리히텐슈타인
베른파두츠
동유럽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우크라이나
모스크바민스크키이우
[[몰도바|

파일:몰도바 국기.svg
]] 몰도바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 아르메니아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 조지아
키시너우예레반트빌리시
[[남오세티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 남오세티야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 아제르바이잔
츠힌발리아스타나바쿠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 트란스니스트리아
[[압하지야|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 압하지야
티라스폴수후미
남유럽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스페인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포르투갈
[[안도라|

파일:안도라 국기.svg
]] 안도라
마드리드리스본안도라라베야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이탈리아
[[바티칸|

파일:바티칸 국기.svg
]] 바티칸
[[산마리노|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 산마리노
로마바티칸산마리노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 몰타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크로아티아
발레타류블랴나자그레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세르비아
[[코소보|

파일:코소보 국기.svg
]] 코소보
사라예보베오그라드프리슈티나
[[몬테네그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 몬테네그로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 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 북마케도니아
포드고리차티라나스코페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 그리스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키프로스
아테네앙카라니코시아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루마니아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불가리아
[[북키프로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 북키프로스
부쿠레슈티소피아레프코샤
북유럽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 리투아니아
탈린리가빌뉴스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 핀란드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스웨덴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노르웨이
헬싱키스톡홀름오슬로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 덴마크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 아이슬란드
코펜하겐레이캬비크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아프리카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츠힌발리 (남오세티야)
Tskhinvali



파일:16610002636300da47e0faf7.61485115.jpg
츠힌발리시의 풍경

러시아어: Цхинвал(и)(Tskhinval(i), 츠힌발리 혹은 츠힌발)
오세트어: Цхинвал(Cxinval, 츠힌발), Чъреба(Čreba, 치레바)
조지아어: ცხინვალი(Tskhinvali, 츠힌발리)

파일:Coat_of_Arms_of_Tskhinval.png
국가(명목상)조지아, (사실상)남오세티야
인구32,180명 (2019년 기준)
시간대UTC+3[1]

1. 개요
2. 명칭
3. 주민
4. 역사
5. 현황
6. 교통


1. 개요[편집]


카프카스[2] 지역에 있는 미승인국 남오세티야의 수도이다. 남오세티야를 인정하지 않고 자국 영토의 일부로 보는 조지아에서는 시다카르틀리주에 속한 도시로 취급한다.


2. 명칭[편집]


국제적으로 남오세티야를 인정하지 않는 대부분 국가에선 츠힌발리로 불리나, 압하지야의 수도 수후미와 마찬가지로 남오세티야 정부에서 'ㅣ'는 접미사이기 때문에 츠힌발로 불러달라고 요청하면서, 2008년 이후 러시아와 남오세티야 쪽에서는 츠힌발이라고 쓰고 있다.
한편 오세트어 별칭인 '치레바'(Чъреба)는 비공식적인 명칭인데, 이는 조지아어로 '모임'을 뜻하는 크레바(კრება)에서 유래되었다.


3. 주민[편집]


인구는 2015년 기준으로 30,432명[3]이다. 주민의 94.35%는 오세트인이며, 이 외에도 조지아인 500여 명, 러시아인 400여 명, 아르메니아인 300여 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왔다.


4. 역사[편집]


1886년 당시 츠힌발리의 풍경
츠힌발리의 어원은 고대 조지아어로 '서어나무'를 의미하는 크르츠힌발리(ქრცხინვალი)에서 왔다.[4]

근처에 청동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나, 13세기에서야 기록에 나오는 조그만 마을이었다. 조지아 왕국의 일부로 트빌리시와 카프카스 북부를 연결하는 역참이 있던 장소로 기능하던 마을이었으며, 1917년 기준으로 600여 가구가 거주하던 조그만 촌락이었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의 붕괴 이후 소련이 조지아를 재합병하면서 그루지야 SSR이 수립될 때, 츠힌발리가 그루지야 SSR 내 남오세티야 자치주(Юго-Осетинская АО)의 수도로 지정되면서 개발이 이루어졌다. 스탈린 시절에는 스탈리니리(სტალინირი) / 스탈리니르(Сталинир)였으나 1961년 츠힌발리로 변경됐다. 1989년 인구는 4만3천명 수준이었다. 소련 붕괴 당시 자치주 내 오세트인들이 조지아 정부에 반기를 들며 시작된 1991~1992년 남오세티야 전쟁 후 독립하여, 남오세티야의 수도로 기능하고 있다.

1991~1992년 남오세티야 전쟁, 2008년 8월 남오세티야 전쟁 때는 조지아 측의 포격으로 피해를 보기도 했다.


5. 현황[편집]


츠힌발리시의 남쪽 경계선에 바로 조지아의 실효 지배지역이 맞닿아 있는 관계로 군사적 긴장이 상존하고 있다. 시가지 서쪽에는 대규모의 러시아군 군사기지가 주둔하고 있다. 또한 남오세티야 전쟁 이후 파괴된 시가지가 상당 부분 복구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6. 교통[편집]


소련 시기에는 조지아의 도시인 고리시와 츠힌발리를 잇는 철도편이 존재했으나 지금은 폐쇄되었다. 시가지 동쪽에 조지아로 통하는 검문소가 자리잡고 있다.


[1] 남오세티야를 인정하지 않는 조지아에서는 자국의 시간대인 UTC+4로 인식한다.[2] 지리적으로는 서아시아인데, 문화권은 유럽이다.[3] 인구 전성기인 소련 말기에도 5만을 넘은 적이 없었다.[4] 이 어원은 수후미의 어원과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