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92000호대 전동차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392000호대 전동차/현황



파일:KORAIL_White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고속열차>>> 150000호대
간선열차>> 220000호대 >
광역전철>>>>>>>>
도입 예정> 230000호대 >>
전량 퇴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1em;" 무궁화
 9900호대(1980~200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50%; background: #0052A4; font-size: 1em; width: 1.4em; height: 1.4em;"1 1000호대(상세)(1974~2020)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한국철도공사 392000호대 전동차
KORAIL Series 392000 EMU
}}}
파일:출-16.jpg
투시도
[ 펼치기 · 접기 ]
차량정보
열차 형식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편성량수2량 1편성
생산량수18량
운행노선대구권 광역철도
제작년도2023년
제작사현대로템
소유기관대구광역시
경상북도구미시
경산시
칠곡군
운영기관한국철도공사
차량배속대구차량사업소
편성번호392X01 ~ 392X09
차량 제원
펼치기 · 접기
궤간1,435㎜
전장20,470㎜
연결면간 거리21,085㎜
전폭3,120㎜
전고지붕 높이3,750㎜
팬터 접은 높이4,500㎜
편성 중량113t ±5%
최고속도영업100㎞/h
설계110㎞/h
가속도3.0㎞/h/s(35㎞/h까지)
감속도상용3.0㎞/h/s 이상
비상3.0㎞/h/s 이상
재질스테인리스 스틸
급전방식단상 교류 25,000V 60㎐
신호장비ERTMS ATP[1](안살도), ATS-S2
제어방식현대로템 VVVF-IGBT(IPM)[2]
동력장치3상 농형유도전동기
제동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3]
대차공기스프링방식 볼스터리스 대차
MT 비1M 1T[4]
[1] Lv.1[2] 미쓰비시 소자 기반[3] 부수대차: 디스크제동, 구동대차: 답면제동[4] 편성 구조는 Mc-Mc로 2M 0T이나, 실제로는 0.5M 차량이므로 비율은 1:1이다.

1. 개요
2. 상세
3. 편성
4. 분류
4.1. 1차분 (2023~2024)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구권 광역철도에서 한국철도공사가 운행할 전동차이다.


2. 상세[편집]


차량 소개 영상
기존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용하는 통근형 전동차와 비교하면 선두칸에 견인전동기와 팬터그래프가 달려있는 특이한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2량 1편성의 구조를 채택한 이상 양쪽이 모두 선두차라서 이런 모양새가 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다른 열차와 달리 한 동력칸에 동력대차와 부수대차가 모두 있는 0.5M 차량이다.[1]

그러나 수도권과 동남권에 입선하는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전동차들의 설계최고속도가 120km/h, 영업최고속도가 110km/h인 반면 대구권 광역철도 차량은 그보다 10km/h씩 낮은[2] 사양을 가지고 있다. 최대 150km/h의 여객열차와 최대 120km/h의 화물열차들이 많이 다니는 경부선에 입선할 차량임을 감안하면 적절하지 못한 사양이다. RH에는 다른 열차의 통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도 있다.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ITX-청춘)의 편성번호는 3으로 시작하지만, 현재 311부터 391까지 모두 사용해 어떠한 편성번호를 사용하게 될 지 기대가 있었다. 23년 1월 초도편성 제작 확인 결과 차량번호는 392000호대로 확인됐다.

이 차량의 구매 가격은 총 18량 (9편성) 700억 원, 1편성 2량 (76억 원), 1량당 평균 38억 원으로 전동차 가격이 1량당 평균 13~15억 원인 것과 비교하면 약 23~25억 원 비싼 편이다. 제어차에다가 집전장치와 구동장치까지 밀어넣은 데다가, 중전철 차량 중에서는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던 특이한 형태인 만큼 단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기 때문.[3] 이 때문에 수요 문제와 더불어 4량으로 도입했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2023년 6월 5일, 초도편성 392X01편성이 창원 현대로템 공장에서 포착되었다. #

2023년 6월 20일, 초도편성 392X01편성이 동대구역으로 갑종회송했다. # 경강선이나 동해선 차량의 남색이 묘한 차이가 있는 투톤인 것과는 다르게 대구권 차량은 모노톤이다.

2023년 6월 22일, 초도편성 392X01편성이 동해선 구간에서의 시운전을 시작했다. #

2023년 7월 11일, 초도편성 392X01편성이 경부선 구미~경산 구간에서의 본선 시운전을 시작했다. #


3. 편성[편집]


상행 (구미) 방면
3920## (1)M'C
3929## (2)M'C
하행 (경산) 방면


4. 분류[편집]


도입 연식에 따라 1차로 분류된다.
분류제어방식도입
1차분현대로템
IPM
2023~2024년에 도입 중인 차량 (2량 9개 편성)


4.1. 1차분 (2023~2024)[편집]


  • 392X01~392X09편성 (총 2량 9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운전실-6석-6석-6석-3석
현재 초도 편성 제작이 완료되어 사전 검수 후 6월부터 순차적으로 갑종회송될 예정이다. 양산 편성은 시운전 중에 있다.
편성갑종회송일자운행개시일출발지도착지비고
392X012023년 6월 20일시운전 중진해선 신창원역경부선 동대구역
392X022023년 9월 18일
392X032023년 10월 11일
392X042023년 10월 31일
392X052023년 11월 23일
392X062023년 12월 5일
392X072023년 12월 27일 예정도입 예정
392X082024년 1월 ~ 3월 예정
392X09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대구권 광역철도 문서의 r69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대구권 광역철도 문서의 r6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2:50:00에 나무위키 한국철도공사 392000호대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한민국 중전철 전동차 중에서 최초로 적용되었다.[2] 설계최고속도 110km/h, 영업최고속도 100km/h[3] 공산품이라는 게 재료 원가는 똑같이 들어가도 흔히 생산되는 것과 사양이 다르면 생산 단가가 비싸진다. 하나에다가 다 때려박았으니 뭐.. 참고로 그냥 T차면 10억 미만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