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연방군의 과거사 청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독일 연방군


[ 상징 · 역사 ]
[ 사회 · 경제 ]
지리지역 구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하위지역) · 헤센(하위지역) · 튀링겐(하위지역) · 니더작센(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하위지역) · 바이에른(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하위지역) · 자를란트(하위지역) · 작센(하위지역) · 작센안할트(하위지역) · 함부르크 · 브레멘(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베스트팔렌 · 라인강 · 라인란트 · 엘베강 · 도나우강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 산맥
사회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Thalys)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국제공항 · 뮌헨 국제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함부르크 국제공항
교육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독일 마르크(폐지) · 유로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정치 · 군사 ]
정치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선거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바르샤바 조약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 vs 러시아군
치안·사법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문화 ]

1. 개요
2. 개별 사례
2.1. 구 국방군에 대한 관점
2.2. 구 국가인민군에 대한 관점
3. 기타


파일:das-ehrenmal-des-deutschen-heeres-heute.jpg
코블렌츠 에렌브라이트슈타인 요새 내에 있는 독일 육군 기념관(Das Ehrenmal des Deutschen Heeres)과 연방군 의장대. 550만 명의 제국군 및 국방군 전사자들과 연방군 순직자들을 포함한 독일 육군의 모든 망자들을 추모하는 시설이다.[1] 다만 연방군은 이 기념관이 침략전쟁 또는 절멸전쟁을 기념하거나 군인들을 영웅화하려는 것이 아닌, 단순히 전쟁과 폭정 아래 사망한 모든 독일 육군의 군인들의 죽음을 기억하는 곳이라고 설명한다. 일본에 빗대자면 야스쿠니 신사보다는 치도리가후치 전몰자 묘원에 상응한다.

전쟁과 평화, 삶과 죽음, 환희와 슬픔. 군인만큼 존재에 있어 그토록 명확한 명과 암을 가진 직업은 많지 않다. 이러한 감정들을 다루거나 정리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도덕적 지침이 필요하다.

따라서 독일 연방군은 기억과 추모 문화를 육성한다. 이는 독일 군대들의 과거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모든 군인들이 제복을 입은 시민의 모범이 되게끔 하며, 연방군의 자아상에 사회의 거울로써의 명성을 가져다줄 것이다.

--

[ 독일어 원문 펼치기 · 접기 ]
Krieg und Frieden, Leben und Tod, Freude und Leid: Nur wenige Berufe konfrontieren Menschen so sehr mit den hellen und dunklen Seiten ihrer Existenz wie jener der Soldatin oder des Soldaten. Um mit diesen Emotionen umgehen, sie einordnen und verarbeiten zu können, ist ein solider moralischer Kompass erforderlich.

Die Bundeswehr pflegt daher eine Kultur der Erinnerung und des Gedenkens: Durch die kritische Auseinandersetzung mit der Vergangenheit der deutschen Streitkräfte sollen alle Soldatinnen und Soldaten in die Lage versetzt werden, dem Leitbild des Staatsbürgers in Uniform folgen und dem Selbstverständnis der Bundeswehr als Spiegel der Gesellschaft Geltung verschaffen zu können.

--

- 독일연방공화국 국방부, <연방군의 기억문화(Gedenkkultur der Bundeswehr)>



1. 개요[편집]


서독의 연방군이나 동독의 인민군 모두 전부 나치 시절 복무했던 이들이 다시 만든 군대였다. 서방이 나치들을 적극 이용해 새로운 나치인 연방군을 만들었다는 구소련과 러시아의 주장은 심각한 비약이지만, 냉전이라는 상황 속에서 국방군의 유산이 연방군에 대거 흘러갔다는 것 자체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는 연방군의 과거사 문제에 있어 상당히 찝찝한 요소로, 쉽게 청산되지 못했다.[2]

재건된 서독 정부는 나치 독일은 부정하였으나 상당한 기간동안 소위 깨끗한 국방군의 신화를 만들어서 모든 책임을 나치당과 무장친위대에 전가하며 국방군은 사면해 주었다. 그 덕에 창군 초기 연방군에 나치당원은 없었지만, 과거가 깨끗하지 못한 이들은 다수 분포했다. 패전 이전에 이미 장성이었던 한스 슈파이델 육군대장과 아돌프 호이징거 육군대장이 대표적 예시였다. 현대의 연구에 따르면 그들 또한 히틀러의 절멸전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음이 밝혀졌다. 냉전을 앞두고 전범재판의 강도가 비교적 약화되었던 덕에 많은 국방군 출신자들이 가벼운 형을 받거나 무죄방면되었다.

현실적인 한계가 있기도 했다. 애초에 국방군에서 복무한 병력의 숫자만 육군, 해군, 공군을 포함해서 누적 18,000,000명에 달했는데, 거의 독일 대부분의 젊은이들부터 장년들까지 참전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전사자 숫자를 고려한다고 해도 패전 당시까지 각 전선에서 전투중이던 수많은 젊은이들을 이전 정권의 범죄에 동조했다는 이유로 한명한명 모두 처벌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전후 당시 독일은 피해 복구, 정치, 서독 연방군의 창설을 비롯해서 많은 부분에서 인원이 요구되었으며, 전후에 유능한 나치당 출신 인사들은 정치계와 각 부서에 그대로 남아서 업무를 담당했으며, 제3제국 시절 출신 인사들은 대부분 1970년대 후반에서야 퇴장했다. 이러다보니 1970년대까지는 나치와 짙게 드리워졌던 그림자를 몰아내는데 미적지근했다.[3]

대전을 경험한 세대가 역사 속으로 사라질 때가 되어서야 비로소 독일 사회는 과거의 자신들의 뿌리를 제대로 돌아볼 수 있었다. 연방군도 마찬가지였다. 국방군 출신 인사들이 완전히 퇴장하는 80년대에 가서야 과거 청산이 제대로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나치 시대와의 단절만을 선언했다가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국가방위군도 나치 정권 탄생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부정되었고, 제국주의와 1차대전 당시 침략전쟁을 일으킨 독일 제국군도 덩달아 부정하였다. 참모총장 직책의 명칭 또한 총감찰관(Generalinspekteur)로 바뀌었는데, 기존의 총참모장(Generalstabschef)은 근현대 프로이센 군부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장군참모들의 리더라는 인상을 강하게 풍겼기 때문이다. 감찰관이라는 명칭을 통해 문민통제의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그럼에도 독일 연방군은 군대라는 속성 상 옛 시대와의 연속성이 필연적으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다. 오늘날 연방군은 독일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과거의 전통과 덕목을 수용한다. 군가와 행사 등에 있어 구 프로이센 왕국군의 전통을 일부 이어가고 있으며 산악부대 역시 제국 시절부터 이어온 역사를 기념한다. 2018년 개정된 전통 규정(Traditionserlass)[4] 따르면 연방군은 나치 독일과 구 독일 국방군을 범죄 정권과 그 하수인들로 규정하며, "국방군은 자유민주주의 법치국가의 군대가 전통으로써 수용할 수 없다(Für die Streitkräfte eines demokratischen Rechtsstaates ist die Wehrmacht als Institution nicht traditionswürdig)"고 분명히 선을 긋는다. 같은 의미에서 연방군은 통일 직후 흡수한 구 동독 국가인민군의 전통 역시 거부한다. 연방군은 그들이 "사회주의 독재의 주요 무력집단(Hauptwaffenträger einer sozialistischen Diktatur)"이기 때문이라고 밝힌다.#

다만 연방군은 구 국방군과 인민군 소속 개별 군인의 행적이 면밀한 역사적 조사를 거쳐 기릴 가치가 있다고 밝혀질 경우에 한해 선배 군인으로써 모실 수 있다고도 명시했다. 국방군 군인의 경우 독일이 자행한 전쟁 범죄와 무관하고 나치에 맞서 레지스탕스 활동을 한 인물들이 해당된다. 국가인민군의 경우 동독 사회주의통일당 일당독재정권에 불복종하거나 평화로운 독일 재통일에 기여한 인민군 군인들의 경우가 해당된다.#

그러나 이렇게 걸러냄에도 불구하고 극우주의자 및 나치즘 추종자들 일부는 독일군 내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하며, 간간히 적발되고 있다. 극우파 발호 문제로 인해 중대 하나가 통째로 해체된 독일 특수부대 KSK의 사례가 가장 대표적이다. 다만 강화된 문민통제와 군사정보부, 그리고 내무부 소속 연방헌법수호청의 감시로 인해 그들이 세를 불릴 가능성은 0에 수렴한다.


2. 개별 사례[편집]



2.1. 구 국방군에 대한 관점[편집]


파일:181017-0859-kr-kaserne-img-5661.jpg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아우구스트도르프에 위치한 롬멜 원수 병영(GFM-Rommel-Kaserne) 정문. 연방 육군 제21전차여단이 사용한다. 독일 역사학계와 녹색당, 그리고 시민사회에서는 국방부에 롬멜 원수 병영을 비롯하여 국방군의 이름을 딴 병영들의 명칭을 개칭해야 한다는 압력을 넣어 왔다.# 하지만 2018년에 독일 국방부는 롬멜이 히틀러에 대한 저항자에 가깝다고 판단하여 연방군의 전통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본 병영의 명칭 역시 계속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비판을 받고 있다. 그의 이름이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는 것은 연방군 협회에서조차 인정하고 있다.#

제3제국은 연방군의 전통에 포함되지 않는다. 국방군 역시 이 공포정권의 도구로서 제2차 세계대전 도중 벌어진 범죄에 연루되었다. 이는 모든 부대, 군종 및 군사지휘와 분야에 적용된다.

--

[ 독일어 원문 펼치기 · 접기 ]
Das Dritte Reich kann keine Tradition in der Bundeswehr begründen. Auch die Wehrmacht, als Instrument dieses Terrorregimes, war in Verbrechen während des Zweiten Weltkriegs verstrickt. Dies gilt für alle Truppenverbände, Teilstreitkräfte, die Militärverwaltung und den Rüstungsbereich.

--

- 나치 독일과 국방군에 대한 연방군의 공식 입장. 출처는 독일 연방군 공식 홈페이지의 <연방군의 전통(Die Tradition der Bundeswehr)>.

독일 연방군은 공식적으로 국방군과의 전통적인 연속성을 부정한다. 연방군은 2018년 개정된 전통 규정(Traditionserlass)을 통해 "국방군은 자유민주주의 법치국가의 군대가 전통으로써 수용할 수 없다(Für die Streitkräfte eines demokratischen Rechtsstaates ist die Wehrmacht als Institution nicht traditionswürdig)"고 명시한 바 있다. 다만, 조직으로서의 국방군이 아닌, 당시 벌어졌던 전쟁 범죄와 무관하고 나치 정부에 불복종하며 레지스탕스 활동을 하였던 국방군 군인 개개인에 대해서는 면밀한 역사적 조사를 거쳐 선배 군인으로써 기릴 수 있다고도 하여 가능성 자체는 열어 놓았다. 단순히 '잘 싸우는' 것만으로는 군사 전통으로 기념할 수 없으며 현 독일이 추구하는 가치와 그 행적이 합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연방군의 국방군에 대한 평가가 처음부터 이렇게 엄격했던 것은 아니다. 연방군의 창설에는 수많은 전직 국방군 인사들이 관여하였으며 그들을 통해 두 군대 간의 실질적인 계승이 이루어졌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공산권의 위협이 가시화되자 연방군 창설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와 관련된 최초의 문헌인 힘머로더 비망록(Himmeroder Denkschrift)은 명백히 새로운 국방군의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이는 1950년 아데나워 총리가 힘머로더 수도원에서 비밀리에 개최한 힘머로더 회의의 결과를 기록한 문서로, 훗날 연방정보국이 되는 겔렌 조직 요원들을 포함한 전직 국방군 장교 15명이 모여 독일군 재건을 논의했다. 대표적인 인물이 훗날 연방군에서 대장이 되는 아돌프 호이징거한스 슈파이델이다. 그 외에도 몬테카시노 전투 등지에서 활약했던 프리돌린 폰 셍거 운트 에테를린 기갑중장, 히틀러에 대한 무조건적인 복종을 명시한 국방군 복무신조를 만든 헤르만 푀르취 보병대장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새 군대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초안을 마련한 것 외에도 국방군친위대 장병들에 대한 모략을 멈추고 그들을 석방할 것을 결의했다. 이후 1956년 연방군이 창설되자 명백히 나치 정권과 유착했던 이들을 제외한 많은 국방군 군인들이 그 수뇌부로 편입된다. 국방군에서 영관급 이상의 계급으로 복무했던 553명의 장교들이 연방군에 입대 신청을 하였고, 심사위원회는 이 중 자그마치 470명을 받아들였다.

이렇듯 아데나워 정권 당시 횡행하던 독일 사회의 집단적인 책임 의식 망각에서 군인들 역시 자유롭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에게 있어 국방군의 역사적 죄과를 인정하는 것은 자신들의 군사적 전문성과 영광을 무너뜨리는 일이었기에, 그들은 누구보다도 국방군의 나치 부역 혐의를 부정하고 연방군의 전통과 잇고자 했다. 상술한 국방군 무오설이 바로 이 맥락에서 등장한 것이다. 1950년대 말부터 시민사회의 나치 청산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1965년 전통 규정이 최초로 도입되었을 때조차도, 연방군의 공식 입장은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가담자들을 영웅으로 평가할지언정 국방군 자체에 대해서는 모호한 표현으로 뭉뚱그리면서 그들을 사실상 포용했다. 쥐트도이체 차이퉁은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연방군이 보수적이고 반동적인 성향을 띄었다고 표현한다.#

물론 그렇다고 하여 이 말이 연방군이 나치즘을 추종하였다는 것은 아니다. 나치와 국방군을 분리해서 바라보는 태도가 문제였던 것이다. 나치즘은 연합군 군정 당시부터 비판의 대상이었으며 자유와 민주주의를 기치로 내건 새 독일연방공화국과 제1세계에서는 더더욱 용인될 수 없는 것이었다. 이 미묘한 분리 의식은 부정적으로는 깨끗한 국방군 신화의 탄생을 야기하였으나 한편으로는 훗날 독일 사회와 연방군이 치열한 과거사 고찰을 통해 나치의 유산을 몰아내는 초석이 되기도 하였다. 이미 아데나워 행정부 초기 군 재건을 비밀리에 논의하던 당시부터, 새 독일 군대를 위해서는 새로운 군사철학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대두되었다. 이에 울리히 데메지에르(Ulrich de Maizière) 등이 주도하여 내적 지휘제복을 입은 시민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창시했다. 이는 군인들이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명심하고 그 내에서 지휘하며, 장병들 스스로가 이를 체화하여 자발적으로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지도자 원리에 따른 구 독일 국방군의 무조건적인 복종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었다. 이는 연방군이 점차 국방군의 그늘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 준 가장 핵심적인 철학이다.

또한 독일 시민사회의 변화는 군으로 하여금 구 국방군과의 단절에 박차를 가하게 만들었다. 1965년 아돌프 아이히만모사드에 잡혀 목이 달아났으며 아우슈비츠 재판으로 유대인 대학살이 본격적으로 재조명되었다. 얼마 후에는 68 혁명이 시작되며 패러다임이 본격적으로 바뀌기 시작하였으며 1970년대 말부터 신세대 학자들의 과거사 비판이 이루어졌다. 연합군의 문서들 역시 속속 공개되면서 독일인들과 연방군은 국방군이 생산했던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다각적으로 과거 역사를 조망할 수 있었다. 시민사회에 하버마스가 있었다면 군 내에서는 현대 독일의 가장 중요한 군사 역사가로 꼽히는 만프레트 메서슈미트가 1970년 연방군 소속 군사사연구소(Militärgeschichtliches Forschungsamt)의 수석 연구원으로 부임하여 <독일국과 제2차 세계대전(Das Deutsche Reich und der Zweite Weltkrieg)> 총서 발간을 진두지휘하며 국방군 신화에 균열을 냈다.

전통 규정 역시 헬무트 슈미트가 국방장관으로 재직하던 1982년에 최초로 개정되었다. 새 규정은 '과거의 독일 군대의 발전 과정에 어두운 역사가 있었으며(Die Geschichte deutscher Streitkräfte hat sich nicht ohne tiefe Einbrüche entwickelt.)' '국가사회주의 범죄에 군이 연루되었다(In den Nationalsozialismus waren Streitkräfte teils schuldhaft verstrickt)'고 인정하였으며, 불의한 제3제국은 전통의 대상이 될 수 없다(Ein Unrechtsregime, wie das Dritte Reich, kann Tradition nicht begründen.)고 명시하면서 구 국방군과 선을 그었다. 이 정도의 변화마저도 국방군을 옹호하는 전통적인 입장의 장교단 및 예비역들이 반발하기에는 충분했다. 1980년대 말 독일 연방군 협회의 회장직에 오른 예비역 공군소장 위르겐 슈라이버(Jürgen Schreiber)는 메서슈미트의 비판적인 연구가 독일군에 대한 중상모략이라고 격렬하게 비난했다.

그러나 그러한 반발은 변화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은 1982년 전통 규정은 이후 30년 가까이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그 외의 측면에 있어서는 꾸준히 단절이 추진되었다. 사학계의 연구가 진척되면서 국방군의 범죄와 나치 부역이 낱낱히 밝혀지자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체제의 수호자를 자처하는 연방군의 입장에서 그들을 더는 옹호할 수 없게 되었다. 국방군 시절을 경험한 이들이 1980년대를 마지막으로 일선에서 은퇴하면서 전후 세대가 완전히 연방군의 수뇌부를 채우기 시작한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깨끗한 국방군 신화를 해체하는 데 크게 기여한 사학자인 볼프람 베테는 연방군이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국방군의 그림자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고 평가한다.

2017년 네오나치 중위 프랑코 A.가 체포되는 스캔들이 벌어지자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국방장관의[5] 주도로 재차 개정되었다. 구 독일 군사 영웅들의 이름을 딴 병영들 역시 점진적으로 연방군 장병들에게서 따온 이름으로 바뀌고 있으며 군 내에 있는 국방군 유물들 역시 대거 수거되었다. 국방군 시절 작곡된 군가가 여럿 포함되었던 연방군 군가집 <Kameraden singt!> 역시 배포가 중지되어 재검토에 들어갔다.

그러나 2018년의 개정 이후에도 국방군에 대한 입장은 여전히 모호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나치 독일 시절 군인이었던 이들은 인권을 부정한 나치 침략전쟁의 부역자이므로 연방군의 역사에 편입되기 부적합하며, 군인이 아니었던 이들은 군인이 아니기에 연방군의 전통에 편입될 수 없다. 하지만 저항자들을 선배로써 기릴 수 있다는 간단한 조항만으로 저항자와 절멸전쟁 부역자 사이의 아주 미묘한 회색지대에 놓인 국방군 군인들의 역사적 죄과를 가려내어 '충직한 수호자이되 나치의 침략전쟁에 부역 책임이 없는 군인을 과연 찾을 수 있는지'가 비판자들이 던지는 의문이다.

헬무트 슈미트 총리는 이론의 여지 없이 민주주의자였고 독일연방공화국의 민주주의에 큰 공을 세웠습니다. 하지만 착실하게 복무한 국방군 군인이기도 했죠. 그는 레닌그라드 포위전에도 종군했습니다만 이 일을 주제로 삼아 이야기한 적이 없습니다. 우린 (그때) 그가 무엇을 했고 하지 않았는지 알지 못합니다. 이 말은, 이 사진이 개인의 도덕과 제도적 도덕에 관한 다양한 물음을 담고 있다는 것입니다.

--

[ 독일어 원문 펼치기 · 접기 ]
Helmut Schmidt, der zweifellos ein Demokrat war mit großen Verdiensten für die Demokratie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hat als braver Soldat in der Wehrmacht gedient. Er hat an der Belagerung Leningrads teilgenommen. Er hat das nicht thematisiert. Man weiß nicht, was er gemacht oder nicht gemacht hat. Das heißt, gerade an diesem Foto gab es und gibt es die Möglichkeit, diverse Fragen in Bezug auf die persönliche Ethik und auch die institutionelle Ethik zu stellen.

-

- 독일 사학자 미하엘 볼프존(Michael Wolffsohn), Deutschlandfunk와의 2018년 인터뷰에서 헬무트 슈미트 전 총리의 국방군 시절 사진에 대해 평하며.#


국방군이 친위대와 함께 나치당의 침략전쟁과 인종말살 정책을 적극 수행한 군사 집단임이 명백하다면, 이는 곧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의 가담자들처럼 나치 정부에 저항한 이들이나 헬무트 슈미트 전 총리와 같이 그들의 사상에 찬동하지 않았던 이들 역시 저항과는 별개로 군인으로서 그 범죄 전쟁에 적극 가담하였다는 말과 같다. 대표적인 저항자인 히틀러 암살미수사건의 가담자들 중에는 방첩국장 빌헬름 카나리스나 북부집단군 제4기갑군의 에리히 회프너와 같이 전장에서의 전쟁범죄 행위가 확인된 이들이 다수 존재한다. 회프너는 친위특무대와 협조하였던 대표적인 인물이며 카나리스 역시 정치장교 명령에 서명하였다.

전후 민주주의 확립에 기여했던 헬무트 슈미트 역시 아이러니하게도 대전 시절에는 충직한 국방군 장교였고, 가장 끔찍한 민간인 피해를 낳았던 전장 중 하나인 레닌그라드 포위전에 종군하였다. 그는 이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며 그가 전장에서 무슨 일을 했는지는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제복을 입은 시민이라는 내적 지휘 모델의 주창자이자 연방군의 아버지라 불리는 제4대 연방군총감 울리히 데메지에르(Ulrich de Maizière) 역시 대전기에는 브랸스크 일대의 소련군 파르티잔 토벌 작전이자 수많은 민간인 피해자들을 낳았던 집시 남작 작전(Unternehmen Zigeunerbaron)에 동원되었다. 심지어 유대인들을 숨겨 주었던 빌헬름 호젠펠트 대위마저도 대량 학살 정책에 대해 비판했을지언정 나치즘에 대해서는 '차악'으로 여겼다. 사학자 니콜라스 스타가르트가 저술한 <독일인의 전쟁>에 따르면 호젠펠트는 끝까지 애국주의자였고 나치 독일이 정복한 거대한 판도에 대해 자랑스러워했다. 스타가르트는 당대 독일인들 중 호젠펠트 정도까지 생각한 독일인은 거의 없었다고 말한다.

때문에 국방군 관련 논쟁은 프랑코 A 스캔들과 규칙 개정 이후에도 끝나지 않았다. 2017년 올라프 숄츠를 비롯한 사민당원들은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국방장관이 슈미트 총리의 군 복무 사진을 함부르크의 연방군 사관학교에서[6] 내린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게르하르트 슈뢰더 내각에서 국방장관을 지냈던 루돌프 샤핑(Rudolf Scharping)은 이를 마녀 사냥이라 부르며 성토했다. 사민당원들은 국방군과의 전통 단절에 큰 공을 세웠던 슈미트가 극우 인사인 것처럼 간주되는 것에 가장 불만을 표했다.#

기민당 역시 연방군의 전통을 세우는 수단으로 국방군을 다루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고, 많은 독일인들은 라이엔 장관의 명령이 국방군에 징집되어 '단순히' 복무했던 조상들에 대한 모욕이라 여겨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았다. 이에 대해 라이엔 장관은 이제는 독일 국방군을 기리는 어떠한 상징물도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며 정책을 밀어부쳤다.#

오늘 우리 모두는 국방군 그 자체가 범죄 조직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친위대와의 모든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말이지요. 분명한 것은 그들 중 그 누구도 제2차 세계대전에서 새하얬던 이들은 없었다는 겁니다. 모두 회색이었어요. 데메지에르는 좀 밝은 회색이었고 다른 이들은 어두운 회색이었다 정도뿐이지요. 그리고 우리는 이 회색 색조를 받아들여야만 합니다.

--

[ 독일어 원문 펼치기 · 접기 ]
Heute wissen wir, dass die Wehrmacht, trotz aller Unterschiede zur SS, selbst eine kriminelle Organisation war. Keiner ging aus dem Zweiten Weltkrieg weiß hervor. Es geht um Grautöne: Bei de Maizière ist es ein helles Grau, bei anderen ein dunkles Grau. Und wir sollten diese Grautöne zulassen.

-

- 죙케 나이첼, 2017년 슈피겔 지와의 인터뷰에서#


라이엔 장관에 대해 가장 비판적인 인물은 현대 독일의 유일한 군사사학자로 꼽히는 포츠담 대학교의 죙케 나이첼(Sönke Neizel) 교수이다. 그 역시 국방군의 범죄를 공론화한 인물로써 과거 벌어졌던 전쟁 범죄를 잘 알고 있는 인물이지만,[7] 라이엔 장관이 추진하는 국방군 지우기에 대해서는 그저 역사적 엑소시즘(Historischen Exorzismus)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과거의 역사에서 현대 연방군의 가치에 적합하고 적합하지 않고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8]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군인의 본연의 임무인 죽음과 죽어감에 대해 솔직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된 논지이다. 연방군에게 군인으로써 요구되는 본질적인 능력은 '죽일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이다.

또한 그는 연방군이 역사전통을 구분하지 못하고 두 개념을 혼용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과거의 잘못을 답습하지 않고 현대의 가치에 걸맞는 전통을 수립하는 것은 물론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과거 독일군의 죄 때문에 군사적인 모든 것이 거부당하고, 연방군이 전투 프로로써의 자신감과 결속력을 잃어버리는 것만큼은 지양해야 한다고 그는 말한다. 결국 나이첼은 전통과 역사를 구분하고 국방군의 실용적이고 전사적인 장인정신만큼은 본받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9]

2018년 차이트(Zeit) 지에 실린 죙케 나이첼과 사학자 한네스 헤어(Hannes Heer)간의 전통에 관한 논쟁은 군사 전통에 대한 이러한 두 가지 시각의 충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헤어는 이제껏 국방군 전시회[10] 등의 과거사 및 정치 교육이 연방군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바 없다고 지적하며 사회 및 국가가 요구하는 윤리적 규칙(ethische Regeln)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가치의 틀을 먼저 정한 다음 그 안에서 군인의 전투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방군은 전통이 될 수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들의 죄까지 외면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반면 나이첼은 연방군 병사들에게 과도한 정치 교육은 불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는 국방군의 범죄에만 집중하면 군인들이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해 놓치게 된다고 지적했다. 프랑코 A. 사건과 같은 우익 극단주의자들의 발호는 일반적인 사례가 아니며 군인은 군인으로서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둘 간의 논쟁은 결국 팽팽하게 평행선을 달렸고, 연방군과 정부과 과거사와 아프간전이나 말리 내전 파병에 대해 말을 아끼는 것을 비판하며 마무리되었다.

결국 국방군에 대한 연방군의 역사적 평가는 일견 명확한 것처럼 보이나 파고들어 보면 속사정이 매우 복잡하다. 국가의 방위군이라는 속성 상 실질적 연속성이 분명하게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극우 전체주의의 졸개였던 국방군이 저지른 죄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의 수호자라는 연방군에게 있어 지나치게 무겁고 부적절하다. 동시에 범죄가 너무나도 광범위하게 저질러진 데다 저항자와 가해자도 복잡하게 뒤섞여 있어 쉽게 판단을 내리기도 힘들다. 이 와중에 구 독일 군대가 남긴 유무형의 긍정적 유산 역시 분명히 남아 있으나, 국방군이 남긴 너무도 거대한 범죄 때문에 이는 쉽사리 취하기 힘든 독이 든 성배가 되었다.

이처럼 연방군이 그들의 역사와 군사 전통을 어떻게 바라볼 지에 대한 딜레마는 나치 독일이 패망한 지 80년이 되어가는 오늘날에도 현재진행형이다.#


2.2. 구 국가인민군에 대한 관점[편집]


독일 연방군은 흡수한 옛 적성세력인 국가인민군과의 연속성 역시 부정한다. 연방군은 2018년 개정한 전통 규정(Traditionserlass)에서[11] 국가인민군이 "사회주의 독재의 주요 무력집단(Hauptwaffenträger einer sozialistischen Diktatur)" 이었으므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따르는 현 독일연방공화국의 군대의 전통으로써 부적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다만 이는 전체 조직의 경우이다. 연방군은 면밀한 역사적 조사를 거쳐 개별 인민군 군인의 행적이 현 독일군이 추구하는 가치에 적합하다고 파악될 경우에 한해 선배 군인으로써 기릴 수 있다고도 명시했다. 동독 사회주의통일당 일당독재정권에 불복종하거나, 독일 재통일 당시 기여한 경우가 해당된다.#

구 인민군은 서독과 적이었으며, 베를린 장벽 일대에서 동독을 탈출하는 이들을 총살하는 등 인권 유린을 자행한 바 있으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연방군이 인민군을 전통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한다. 그러나 일부는 새 전통규정이 끔찍한 전쟁 범죄를 저지른 바 있던 독일 국방군과 어쨌건 전쟁은 벌이지 않았던 국가인민군을 동등하게 취급해버림으로써 국방군의 역사적 죄과를 희석해버렸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3.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독일 연방군 문서의 r18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독일 연방군 문서의 r18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13 22:11:51에 나무위키 독일 연방군의 과거사 청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에렌브라이트슈타인 요새는 지금은 해체된 연방 육군 제3군단 사령부와 인접한다. 동시에 과거 그나이제나우클라우제비츠, 몰트케 원수와 힌덴부르크 등 주요 독일 지휘관들이 업무를 보았던 상징성 역시 가지고 있어 부지로 채택되었다.[2] 국경 너머의 동독 국가인민군의 경우 이 나치 청산 문제에 있어서 그나마 나았으나 그들 또한 수뇌부가 나치 출신자들로 구성되었다는 문제는 똑같았다. 가령 인민군의 전신인 병영인민경찰 및 슈타지에서 복무했던 루돌프 밤러(Rudolf Bamler) 소장은 패전 이전에는 국방군 방첩국에서 일했다. 그는 친위대장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가 이끄는 친위대 보안대, 그리고 국가보안본부 소속 게슈타포와의 협력을 담당했다. 당연히 그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아주 잘 알았다. 때문에 국가인민군 내에서도 독일 공산당 출신으로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다가 소련으로 도피했던 사람들 정도만이 떳떳한 과거사를 가졌다. 서방과 비교해서 '그나마' 낫다 뿐이지, 소련과 러시아 또한 동독에서 나치의 유산을 이용해먹었던 것은 같았다.[3] 오히려 패전 당시에는 나치를 욕하면 조국의 배신자 취급당했으며, 전후 나치당이 잠시 부활하기도 했었다. 당시 독일인들은 히틀러와 나치당에 대해 전쟁이라는 어리석은 짓을 저질렀지만 전쟁을 차치하고는 나쁘지 않았다고 평가했기 때문이다. 흔히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나치 시대 독일을 게슈타포와 돌격대를 위시로한 강한 공포정책과 화려한 쇼로 국민들을 통제했다고 알려져있지만 당시 독일 국민들은 나치당과 히틀러의 전쟁 정책에 지지하고 그들이 제공해주는 문화생활을 적극 영유하였으며 나치의 악행을 묵인하였다. 그러니 나치 독일의 전성기 시대 사회 주역이었던 1890년대~1920년대생들이 여전히 건재했던 1960년대까지는 히틀러를 긍정했던 것이다.[4] 최초로 제정된 것은 1965년이며 1982년에 한 차례 개정되었다.[5] 메르켈 내각에서 국방장관직을 역임했다.[6] 독일의 2대 군사학교 중 하나인 함부르크 독일 연방군 대학교의 공식 명칭은 헬무트 슈미트 대학교이다. 빌리 브란트 정부 당시 국방장관직을 맡고 있던 슈미트 총리가 1972년에 설립하여 그의 이름을 땄다.[7] 죙케 나이첼은 2011년에 하랄트 벨처와 함께 대전기 국방군 병사들의 심리에 대해 공동으로 연구한 <나치의 병사들(Soldaten)>을 저술한 바 있다. 이 책은 깨끗한 국방군 신화를 결정적으로 무너뜨린 서적으로 손꼽힌다. 2015년에 국내에도 번역되었다.[8] 가령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대령은 대표적인 의인이지만 폴란드인들을 열등하게 바라봤다는 점에서는 결격사유가 있다. 그 이전 시대의 그나이제나우 역시 프랑스인들을 증오했다는 점에서는 연방군의 가치에 반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막상 현 연방군은 그를 기리고 있다.[9] 결국 나이첼 교수는 자신의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2021년 <독일의 전사들(Deutsche Krieger)>를 저술하였다. 이 책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독일 사회와 연방군이 과거의 범죄 때문에 의식적으로 부정하고 있는 군사적 측면에 대해 조명했다는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그가 자료를 선택적으로 취하였다는 비판과 군사 영웅화의 위험성을 가볍게 바라본다는 지적이 공존한다.[10] Wehrmachtsausstellung. 1995년 함부르크사회조사연구소 주도로 시작되어 독일 전국을 순회한 전시회로, 국방군의 전쟁범죄를 조망하여 독일 사회에 만연했던 깨끗한 국방군 신화를 박살냈다. 한네스 헤어가 바로 이 전시회 주최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 중 하나다.[11] 기존의 마지막 개정은 냉전 말기인 1982년이었다. 따라서 통일 이후 30년 가까이 지난 오늘날에 적합하지 않는 부분이 상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