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동부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
3. 현재 운행 중인 계통
5. 정반대의 사례 (각역정차)
6. 서대동부 무용론?
7. 해외의 사례
7.1. 일본
7.2. 프랑스
8. 여담


1. 개요[편집]


- - 대구 -
서大東釜
울-田-大邱-[1]

경부선[2]경부고속선의 최대 요충지이자 필수 정차역인 서울역 - 대전역 - 동대구역 - 부산역만 정차하는 열차를 일컫는 철도 동호인들의 조어애칭. 다만 2023년 7월 기준으로는 서대동부만 정차 운행하는 열차는 없고, 행서대동부, 서광대동부, 수대동부 등 비슷한 것만 남았다.

지금은 KTX 중 일부 열차를 뜻하는 단어로, 직통운행을 제외한 최소정차·최단시간 열차 운행계통을 일컫는다. 이들은 중간정차역이 2개 이하기 때문에 운임이 0.6% 할증[3]된다. 단, 서울역을 08:57에 발차하는 행신발 부산 방면 #17 열차는 행신역 출발인 관계로 적용되지 않았으나 상행 22, 42열차가 추가로 서대구역에 정차하게 되면서 경부선 계통은 할증요금 자체가 없어졌다.

그 월등한 표정속도 덕에 철도 동호인들의 선망의 대상이지만, 정작 한국철도공사나 SR 등 철도 운영주체는 그닥 탐탁치 않아한다. 그 이유는 정차역이 적으면 곧 돈을 벌 곳도 그만큼 적어져 수익성에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경부고속선 고속열차는 정차역이 많더라도 어차피 충분히 항공(부산-서울 제외)이나 버스 수요를 압도하므로 최소정차로 표정속도가 더 올라간다해도 서울, 대전, 동대구, 부산에서의 수요가 크게 늘지는 않는 반면, 울산이나 천안 등 중간 선택정차역들의 수요는 전혀 챙길 수 없으며, 정차에 따른 전기 사용료나 인건비와 같은 열차 운용 비용은 서나 안서나 그대로인지라 서대동부만으로 만석을 채우는 경우가 아닌 이상 손해가 강제된다. 게다가 정차역이 너무 적다거나 지역언론, 정치권에서 님비로 걸고 넘어기지고 딱 좋은지라 후술하듯이 툭하면 칼질당하는, 그렇게 흔치 않은 운행계통이기도 하다.

자매품으로서, 호남고속철도는 호남고속선에 한해서 용산역 - 익산역 - 광주송정역만 정차하는 용익광, 준고속철도는 경강선에 한해서 청량리역 - 만종역 - 강릉역[4]만 정차하는 청만강 열차가 있다.

2. 역사[편집]



이는 일제강점기인 1936년 12월 특급 아카츠키(あかつき)호에서 시작하였다. 아카츠키는 당시 조선안에서 유일한 특급열차로 경성 - 대전 - 대구 - 부산만 섰으며, 급행으로 경성 - 부산간을 약 8시간에 주파하던 히카리, 노조미, 코우아, 다이리쿠보다 빠른 6시간 45분에 주파하였다. 이후 태평양전쟁 발발로 인해 1943년에 운행을 중단하였다. 이후 서대동부 열차는 1963년부터 다시 운행했는데, 당시 서울 - 부산간 소요시간은 6시간이었다. 이때는 재건호였다. 그러고 나서 1969년부터 관광호가 운행되기 시작했는데 소요시간은 5시간 45분으로 줄어들었다.[5] 관광호가 새마을호로 전환되고, 꾸준한 선로 개량으로 서대동부를 도합 4시간 10분만에 주파하는 전설[6]이 시작되었다. 1988년 설날 시각표 개정 이전까지 경부선 새마을호는 2왕복 편성을 제외한 모든 열차서울역 - 대전역 - 동대구역 - 부산역 섰다.[7][8]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인데, 경주역 방향 새마을호의 중간정차역은 김천역[9], 구미역, 영천역이 간혹 있었다. 역삼각 도색은 커녕 PP동차도 없던 직각새마을 시대의 이야기다.

이후 새마을호 수요 증가로 새마을호의 정차역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 소요시간이 증가하기 시작하자,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에서는 PP 왕복 2편성을 서대동부 특급으로 편성하기에 이른다. 이게 철도 동호인들에게 전설로 내려져오는 #1, #2, #3, #4 서대동부 구특전 새마을호[10]이다.

2004년에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되자 구특전 새마을호의 서대동부 편성이 폐지되고, 최단소요시간의 바통은 KTX #9, #23 열차에게 넘겨주었다. 다만 이쪽은 무정차 편성으로 당시 2시간 34분이 소요되었다. 하지만 이용실적 부진[11]으로 2004년 12월 개편을 전후로 동대구역에만 추가정차하는 준급행열차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이 열차도 2005년 1월 조정 끝에 서대동부 열차만 남게되었다가 2010년 12월에 #001, #002 열번으로 서울 - 부산 무정차 KTX가 재신설되었다. 하지만 상대적인 수요 저조로 결국 2015년 4월에 폐지되었다. 무정차 소요시간은 당시 2시간 8분이 소요되었으나 열차시간표 개정을 거쳐 2시간 13분 → 2시간 16분을 거쳐 최후에는 2시간 18분이 소요되었다. 무정차 열차의 폐지 직전 서대동부 열차는 2시간 26분 ~ 28분 사이로 소요되었으나 이 또한 KTX 운행노선의 증가와 이용저조 등으로 서대동[12] 열차와 1시간 33분이 걸리는 호남고속선 계통인 (), 이 신설되어 SRT 개통 이전까지는 한 동안 서대동부 열차는 운행되지 않았다.[13]

3. 현재 운행 중인 계통[편집]



3.1. KTX[편집]


2023년 3월 1일 기준 서대동부열차는 행신발 #17 단 한 열차만이 운행중이며 소요시간은 서울-부산 구간이 2시간 18분[14]이고[15], 기존 서대동부 열차였던 #22, #42 열차는 서대구역 경유로 인하여 서대동부가 아닌 서대서동부가 되어 9분 추가된 2시간 24분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서울발, 부산발 서대동부 열차는 사라졌다. 0.6% 할증 대상 열차는 아니지만 광명역에 추가 정차하는 서광대동부 편성 열차는 #(1)85(행신발)[주말], #97[주말], #191이 운행된다. 이를 종합해 하기 시각표에 서대동부 및 편의상 서광대동부, 행서(광)대동부 편성까지 같이 기재한다. 광명역은 고속선 초입에 있기 때문에 일반 서대동부와 소요 시간에서 큰 차이가 없다. 통과하는 편성이라도 본격적으로 고속 운행을 위한 가속을 하기 시작하는 구간이기 때문에(반대로 상행 방면은 감속하며 통과한다), 고속선 초입 부분에 역 하나 서도 소요시간에 많은 지장이 있지 않다.

서대동부 열차를 보조해주는 역할로 울산역에 추가정차하는 부울동대서행 #72이 있다. 그리고 109호기로 운행되고 주말에는 서대동부와 천안아산에만 정차하는 #89, #98열차가 있으나 현재는 #89열차가 복합열차 편성 대상이 되면서 특동산천이 아닌 일반산천으로 고정투입된다. 또한 98열차는 행신역까지 운행 후 종착한다.
{{{#ffffff 하행([[부산역|{{{#ffffff 부산}}}]] 방향)}}}
열차번호
행신
서울
광명
대전
서대구
동대구
부산
열차
소요시간[16]
191
-
08:34
08:54
09:36
-
10:23[17]
11:03
KTX-산천
2시간 29분
17
08:30
08:57
-
09:52
-
10:35
11:15
KTX
2시간 18분
85[주말]
13:52
14:14
14:34
15:14
-
15:58
16:38
KTX
2시간 24분
185[주중]
13:52
14:14
14:34
15:14
-
15:58
16:38
KTX-산천
2시간 24분
97[주말]
-
22:48
23:08
23:48
-
00:31
01:11
KTX
2시간 23분

{{{#ffffff 상행([[서울역|{{{#ffffff 서울}}}]] 방향)}}}
열차번호
부산
울산
동대구
서대구
대전
광명
서울
열차
소요시간
22
09:27
-
10:08
10:17
10:58
-
11:53
KTX
2시간 26분
42
15:01
-
15:42
15:51
16:32
-
17:28
2시간 27분
72
22:00
22:23
22:49
-
23:30
-
00:27
2시간 27분
여담으로 수원역에서 착발하는 KTX에서도 서대동부가 존재했는데, 원 - 전 - 대구 - 산으로 운행하는 KTX-산천 #4011 열차로 운행되었다.[18] 임시편성으로, 주말이나 공휴일에 KTX-산천을 돌려서 운행했다. 이 편성은 2017년 10월 후로 임시열차의 시종착역이 수원역에서 서울역으로 연장되는 등의 정차역 조정으로 사라졌다.

현재 수원경유 열차의 최소정차 열차는 필수정차역+1인 하행 #125, #127, #171이고, 상행은 #124, #172[주말], #128열차가 부산 - 동대구 - 대전 - 수원 - 영등포 - 서울로 역시 수원 경유 KTX의 필수정차역에만 정차한다. 물론 이들 모두 서울과 대전 사이는 경부고속선이 아닌 경부 본선으로 운행한다.

향후 수원발 KTX(수원역 - 평택고속연결선 - 경부고속선 연결)가 개통되면 제대로 된 편성 운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ffffff 하행([[부산역|{{{#ffffff 부산}}}]] 방향)}}}
열차번호
서울
영등포
수원
대전
동대구
부산
열차
소요시간
121
08:11
08:21
08:46
09:57
10:40
11:20
KTX
3시간 9분

{{{#ffffff 상행([[서울역|{{{#ffffff 서울}}}]] 방향)}}}
열차번호
부산
동대구
대전
수원
영등포
서울
열차
소요시간
124
13:25
14:06
14:48
16:01
16:23
16:34
KTX
3시간 9분
172[주말]
15:25
16:06
16:48
17:58
18:20
18:31
3시간 6분
128
19:55
20:36
21:18
22:29
22:51
23:02
3시간 7분

구포 경유 KTX 하행은 매일 운행하는 열차 기준으로 KTX #105 열차가 행신-서울-광명-대전-동대구-경산-밀양-구포-부산으로 서울-구포 구간을 2시간 48분동안 운행한다. 월요일에만 운행하는 #161 열차는 경산을 통과하고 2시간 43분이 소요되고, 금토만 운행하는 #165 열차는 천안아산 정차, 경산 통과로 2시간 47분이 걸린다.
상행은 금토만 운행하는 KTX #164 열차가 부산-구포-밀양-동대구-대전-천안아산-서울 정차로 운행 시간은 2시간 45분이다. 금~일에 운행하는 KTX-산천 #162 열차는 천안아산 통과, 김천구미 및 광명 정차로 2시간 51분이 소요된다. 정기열차는 KTX #104 열차와 KTX-산천 #106 열차가 2시간 58분이 최단시간이다.

용산에서 시종착하는 용산 - 부산 간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KTX의 경우 2015년 4월에서 SRT 개통 이전의 서대동울부 편성에 준하여 운행되었으나 2017년 12월 15일 개정으로 정차역이 추가되며 사실상 무의미해졌고 2018년 6월 시간표 개정으로 용산 시종착 경부선 편성은 사라졌다.

3.2. SRT[편집]


SRT의 경우에는 수서역에서 착발하기 때문에 대동부가 아닌 대동부가 되나, 수서의 '서'를 따 서대동부로 부르기도 한다. 2022년 8월 기준으로 엄밀한 의미에서 이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하행 SRT#317 딱 하나 뿐이다.[19]

{{{#ffffff 하행([[부산역|{{{#ffffff 부산}}}]] 방향)}}}
열차번호
수서
동탄
대전
서대구
동대구
울산
부산
열차
소요시간
317
09:00
-
09:47
-
10:30
-
11:10
SRT
2시간 10분
333
12:50
13:08
13:45
14:27
14:36
-
15:17
2시간 27분
339
13:55
-
14:44
-
15:27
15:45[20]
16:13
2시간 18분

{{{#ffffff 상행([[수서역|{{{#ffffff 수서}}}]] 방향)}}}
열차번호
부산
울산
동대구
서대구
대전
동탄
수서
열차
소요시간
344
14:54
-
15:35
15:44
16:26
17:00
17:19
SRT
2시간 25분
374
21:20
21:44
22:09
-
22:52
-
23:39
2시간 19분
380
23:00
23:23
23:48
-
00:30
-
01:17
2시간 17분

3.3. ITX[편집]


새마을호의 경우 2004년 KTX 개통 이후 서대동부 열차는 사라졌지만, 기존선에서는 일부 열차들의 일반열차 중에서의 최소 정차 또는 최소 시간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있다.

3.3.1. ITX-새마을[편집]


물론 ITX-새마을 중에서도 최속달 열차가 존재했지만, ITX-마음 운행 이후 대부분 열차들의 정차역과 소요시간이 증가했다. 이는 줄어드는 무궁화호 운행의 운행 중단에 따른 새마을호 등급 열차의 정차역 증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경부선 ITX-새마을 열차중에 적정 시간 4시간 40분을 초과하지 않는 열차[21]는 하행에는 막차인 1013 열차와 상행의 첫막차인 1002, 1014 총 세 열차가 운행중이다. 특히 1014 열차는 경부선 ITX-새마을 운행 중에 유일하게 4시간 30분대를 찍는다.
{{{#ffffff 하행([[부산역|{{{#ffffff 부산}}}]] 방향)}}}
열차번호
서울
영등포
수원
천안
조치원
대전
영동
김천
구미
대구
동대구
밀양
구포
부산
열차
소요시간
1013
20:17
20:26
20:50
21:19
21:40
22:04
22:32
22:58
23:14
23:43
23:49
00:2'
00:45
00:57
ITX-새마을
4시간 40분

{{{#ffffff 하행([[서울역|{{{#ffffff 서울}}}]] 방향)}}}
열차번호
부산
구포
밀양
청도
동대구
대구
구미
김천
대전
조치원
천안
수원
영등포
서울
열차
소요시간
1002
06:27
06:40
07:05
07:17
07:40
07:46
08:15
08:30
09:23
09:46
10:07
10:36
10:56
11:07
ITX-새마을
4시간 40분
1014
19:25
19:38
20:02
-
20:35
21:41
21:10
21:25
22:18
22:41
23:02
23:31
23:52
00:02
4시간 37분


3.3.2. ITX-마음[편집]


ITX-마음은 왕복 네 열차들 중 1102[22] 열차를 제외한 세 열차가 새마을호 필수정차역인 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대전 - 김천 - 구미 - 대구 - 동대구 - 구포 - 부산에만 정차중이다.[23] 특히 1103 열차는 새마을호 등급의 경부선 열차중에 최소시간 4시간 33분을 자랑하는 열차다.
{{{#ffffff 하행([[부산역|{{{#ffffff 부산}}}]] 방향)}}}
열차번호
서울
영등포
수원
천안
대전
김천
구미
대구
동대구
구포
부산
열차
소요시간
1101
10:47
11:00
11:25
11:55
12:39
13:30
13:46
14:15
14:21
15:14
15:26
ITX-마음
4시간 39분
1103
16:46
16:56
17:20
17:49
18:31
19:23
19:39
20:08
20:14
21:07
21:19
4시간 33분

{{{#ffffff 상행([[서울역|{{{#ffffff 서울}}}]] 방향)}}}
열차번호
부산
구포
동대구
대구
구미
김천
대전
천안
수원
영등포
서울
열차
소요시간
1104
17:11
17:24
18:18
18:24
18:53
19:08
20:01
20:43
21:12
21:36
21:47
ITX-마음
4시간 36분


4. 다른 노선의 최소정차 운행 계통[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대동부/유사 사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정반대의 사례 (각역정차)[편집]



5.1. KTX[편집]


일본에서 운행하는 코다마 신칸센과 유사하다.

5.1.1. 경부선[편집]


경부고속철도에서 부산발 서울행 008 열차와 첫차로 하루에 1대 운행하는 동대구발 서울행 120열차, 대전발 서울행 116열차와 118열차(월요일 미운행)가 전역정차한다.서울발 동대구행 KTX 정차역 안내방송. 기존선에서는 구포경유 노선의 상행 첫차인 KTX 102 열차가, 하행에서는 KTX 107 열차가 경산역을 제외한 기존선, 고속선 구간에서 전역정차로 운행중이다. 반면 하행에서는 모든 구간에서의 각역정차 편성이 존재하지 않고, 막차로 운행하는 서울발 동대구행 117열차[24]와 대전행 119열차만 각역정차한다. 각역정차 계통은 모두 KTX-1 열차로만 운행한다. SRT에는 수서발, 부산발 모두 전역정차 편성은 없다. 다만 수서발 부산행 중에 김천구미역을 제외한 모든 역에 정차하는 315 열차가 있고, 울산역을 제외한 모든 역에 정차하는 371 열차가 있다. 부산발 수서행은 310열차(서대구 정차)로 동탄역 빼고 전역 정차, 352열차가 김천구미역을 제외하고 전역정차 한다.
{{{#ffffff 상행([[서울역|{{{#ffffff 서울}}}]] 방향)}}}
열차번호
부산
울산
경주
동대구
서대구
김천구미
대전
오송
천안아산
광명
서울
열차
소요시간
116
대전 착발
05:55
06:12
06:25
06:51
07:09
KTX
1시간 14분
118
06:34
06:52
07:05
07:30
07:48
120
동대구 착발
06:32
06:41
07:04
07:29
07:46
07:59
08:25
08:43
2시간 20분
8
06:10
06:33
06:45
07:03
-
07:26
07:51
08:08
08:21
08:47
09:05
2시간 55분
{{{#ffffff 하행([[동대구역|{{{#ffffff 동대구}}}]] 방향)}}}
열차번호
서울
광명
천안아산
오송
대전
김천구미
서대구
동대구
경주
울산
부산
열차
소요시간
117
22:57
23:17
23:39
23:52
00:09
00:33
00:56
01:04
동대구 종착
KTX
2시간 7분
119
23:27
23:47
00:09
00:22
00:37
대전 종착
1시간 10분

{{{#ffffff 상행([[서울역|{{{#ffffff 서울}}}]] 방향)}}}
열차번호
부산
구포
밀양
경산
동대구
김천구미
대전
오송
천안아산
광명
서울
열차
소요시간
102
06:16
06:30
06:56
07:22
07:33
07:56
08:20
08:38
08:51
09:16
09:34
KTX
3시간 18분
{{{#ffffff 하행([[부산역|{{{#ffffff 부산}}}]] 방향)}}}
열차번호
서울
광명
천안아산
오송
대전
김천구미
서대구
동대구
밀양
구포
부산
열차
소요시간
107
18:40
18:58
19:21
19:33
19:50
20:14
20:38
20:46
21:19
21:45
22:00
KTX
3시간 20분

{{{#ffffff 하행([[부산역|{{{#ffffff 부산}}}]] 방향)}}}
열차번호
수서
동탄
평택지제
천안아산
오송
대전
김천구미
동대구
경주
울산
부산
열차
소요시간
315
08:05
08:22
08:32
08:45
08:57
09:15
-
09:57
10:17
10:30
10:51
SRT
2시간 46분
371
20:28
20:46
20:56
21:08
21:20
21:39
22:03
22:27
22:46
-
23:14
2시간 46분

5.1.2. 동해선[편집]


동해선에서는 현재 서울포항행 KTX-산천 241 열차가 유일하게 전역정차로 운행중이다.

{{{#ffffff 하행([[포항역|{{{#ffffff 포항}}}]] 방향)}}}
열차번호
서울
광명
천안아산
오송
대전
김천구미
동대구
포항
열차
소요시간
241
12:57
13:15
13:38
13:50
14:07
14:31
14:55
15:33
KTX-산천
2시간 36분

5.1.3. 호남선[편집]


호남고속철도에도 목포발 상행 열차 중 유일하게 전역정차하는 편성인 KTX 430 열차와 서대전 경유 KTX 472 열차, 하행은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KTX-산천 475 열차가 전역정차다. 광주송정역 착발은 상행 SRT 604열차, 익산역 착발은 하행 KTX-산천 471 열차와 KTX-산천 477 열차, 서대전역 착발은 하행 473 열차와 상행 486 열차가 있다.
{{{#ffffff 상행([[용산역|{{{#ffffff 용산}}}]] 방향)}}}
열차번호
목포
나주
광주송정
정읍
익산
공주
오송
천안아산
광명
용산
열차
소요시간
430
17:58
18:26
18:36
18:56
19:15
19:33
19:51
20:05
20:31
20:45
KTX
2시간 49분

{{{#ffffff 상행([[서울역|{{{#ffffff 서울}}}]] 방향)}}}
열차번호
목포
나주
광주송정
장성
정읍
김제
익산
논산
계룡
서대전
오송
천안아산
광명
용산
서울
열차
소요시간
472
05:32
05:58
06:08
06:23
06:41
06:57
07:10
07:35
07:53
08:08
08:28
08:41
09:06
09:24
09:31
KTX
3시간 59분

{{{#ffffff 하행([[목포역|{{{#ffffff 목포}}}]] 방향)}}}
열차번호
용산
광명
천안아산
서대전
계룡
논산
익산
김제
정읍
장성
광주송정
나주
목포
열차
소요시간
475
09:43
10:02
10:25
10:51
11:07
11:25
11:50
12:02
12:17
12:36
12:50
13:01
13:29
KTX-산천
3시간 46분

{{{#ffffff 상행([[수서역|{{{#ffffff 수서}}}]] 방향)}}}
열차번호
광주송정
정읍
익산
공주
오송
천안아산
평택지제
동탄
수서
열차
소요시간
604
06:17
06:37
06:55
07:13
07:31
07:45
07:58
08:09
08:26
SRT
2시간 9분
616
16:22
16:42
17:00
17:18
17:36
17:50
18:04
18:15
08:32
2시간 10분

{{{#ffffff 하행([[익산역|{{{#ffffff 익산}}}]] 방향)}}}
열차번호
용산
광명
천안아산
오송
서대전
계룡
논산
익산
열차
소요시간
471
06:09
06:27
06:50
07:02
07:21
07:37
07:55
08:18
KTX-산천
2시간 9분
477
10:07
10:26
10:48
11:01
11:22
11:38
11:56
12:21
2시간 14분

{{{#ffffff 하행([[서대전역|{{{#ffffff 서대전}}}]] 방향)}}}
열차번호
서울
용산
광명
천안아산
오송
서대전
열차
소요시간
473
06:46
06:53
07:11
07:34
07:46
08:03
KTX
1시간 17분
{{{#ffffff 상행([[용산역|{{{#ffffff 용산}}}]] 방향)}}}
열차번호
서대전
오송
천안아산
광명
용산
열차
소요시간
484
19:29
19:48
20:01
20:27
20:43
KTX
1시간 14분
486
20:39
20:58
21:11
21:37
21:53

5.1.4. 전라선[편집]


전라선은 전주 착발 KTX에 한해서 KTX-산천 587 열차가 오송역을 제외하고 전역 정차한다.
{{{#ffffff 하행([[전주역|{{{#ffffff 전주}}}]] 방면)}}}
열차번호
용산
광명
천안아산
서대전
계룡
논산
익산
전주
열차
소요시간
587
12:15
12:30
12:53
13:19
13:34
13:51
14:16
14:32
KTX-산천
2시간 17분

2023.9.1. 이후 적용된 시간표
{{{#ffffff 하행([[여수엑스포역|{{{#ffffff 여수엑스포}}}]] 방면)}}}
열차번호
수서
동탄
평택지제
천안아산
오송
공주
익산
전주
남원
곡성
구례구
순천
여천
여수엑스포
열차
소요시간
681
10:20
10:37
10:47
11:00
11:12
11:29
11:51
12:08
12:35
12:45
12:57
13:13
13:27
13:35
SRT
3시간 15분

5.1.5. 경강선(강릉선)[편집]


경강선 운행에 한해서 KTX-이음 #822 열차가 각역정차다. 원주시 소재의 역중 한 곳만 정차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만종역 정차 열차는 서원주역을 통과한다.
{{{#ffffff 상행([[서울역|{{{#ffffff 서울}}}]] 방향)}}}
열차번호
강릉
진부
평창
둔내
횡성
만종
양평
상봉
청량리
서울
열차
소요시간
822
18:40
19:00
19:09
19:19
19:29
19:39
20:01
20:24
20:31
20:51
KTX-이음
2시간 11분
행신역을 정차하는 편성은 각역정차까지는 아니지만, 타 열차에 비해서 정차역 수가 미세히 더 많다. 상하행 각각 한 대 씩 밖에 없기 때문이다.[25][26]
{{{#ffffff 상행([[강릉역|{{{#ffffff 강릉}}}]] 방향)}}}
열차번호
행신
서울
청량리
양평
만종
횡성
둔내
평창
강릉
열차
소요시간
805
07:33
08:01
08:22
08:48
09:11
09:20
09:29
09:40
10:01
KTX-이음
2시간 28분

{{{#ffffff 상행([[행신역|{{{#ffffff 행신}}}]] 방향)}}}
열차번호
강릉
진부
둔내
횡성
만종
청량리
서울
행신
열차
소요시간
826
21:28
21:48
22:02
22:11
22:20
23:08
23:32
23:49
KTX-이음
2시간 21분

5.1.6. 중부내륙선[편집]


중부내륙선은 단일 노선의 모든 KTX 열차가 전역 정차하는 한국 철도 역사상 최초의 경우가 되었다.[27] [28] 하지만 부발역에서 판교까지 운행하면 왕복으로 운행한다.
{{{#ffffff 상행([[부발역|{{{#ffffff 부발}}}]] 방향)}}}
열차번호
충주
앙성온천
감곡장호원
가남
부발
열차
소요시간
732
06:41
06:52
07:01
07:09
07:16
KTX-이음
[35분]
734
11:02
11:13
11:22
11:30
11:37
736
13:52
14:03
14:12
14:20
14:27
738
18:30
18:41
18:50
18:58
19:05
{{{#ffffff 하행([[충주역|{{{#ffffff 충주}}}]] 방향)}}}
열차번호
부발
가남
감곡장호원
앙성온천
충주
열차
소요시간
731
07:52
08:00
08:08
08:17
08:27
KTX-이음
[35분]
733
12:39
12:47
12:55
13:04
13:14
735
15:35
15:43
15:51
16:00
16:10
737
19:30
19:38
19:46
19:55
20:05

5.2. ITX-새마을[편집]


2023년 현재 기준으로 무궁화호의 감축과 ITX-마음의 도입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기 때문에, 각역정차 ITX-새마을 열차가 증가할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ITX-새마을의 각역정차 열차는 중앙선에 한해 존재한다.

5.2.1. 중앙선[편집]


현재 중앙선에 각역정차 KTX는 없지만[29], ITX-새마을 모든 열차가 각역정차 열차이다.
  • 중부내륙선 KTX와 마찬가지로, 단일 노선 모든 새마을호 열차가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모든 역에 정차하는 한국철도 역사상 최초의 경우가 되었다.

{{{#ffffff 상행([[청량리역|{{{#ffffff 청량리}}}]] 방향)}}}
열차번호
안동
영주
풍기
단양
제천
봉양
원주
서원주
삼산
양동
매곡
일신
석불
지평
용문
양평
덕소
청량리
열차
소요시간
1092
05:41
06:02
06:11
06:24
06:41
06:49
07:07
07:14
07:24
07:34
07:40
07:45
07:49
07:54
07:59
08:07
08:24
08:37
ITX-새마을
2시간 56분
1094
15:06
15:28
15:37
15:50
16:08
16:16
16:36
16:44
16:50
16:55
17:00
17:09
17:14
17:19
17:24
17:32
17:49
18:02

{{{#ffffff 하행([[안동역|{{{#ffffff 안동}}}]] 방향)}}}
열차번호
청량리
덕소
양평
용문
지평
석불
일신
매곡
양동
삼산
서원주
원주
봉양
제천
단양
풍기
영주
안동
열차
소요시간
1091
11:39
11:54
12:13
12:21
12:26
12:30
12:40
12:46
12:50
12:55
13:02
13:10
13:27
13:36
13:53
14:06
14:16
14:36
ITX-새마을
2시간 57분
1093
20:32
20:47
21:05
21:13
21:18
21:23
21:27
21:32
21:37
21:42
21:49
21:56
22:13
22:23
22:40
22:54
23:03
23:23
2시간 51분
정차역 수가 모두 같음에도 불구하고 네 열차의 운행시간이 각각 다른 이유는 KTX 대피 유무 차이다. 하행 막차인 1093열차는 종착역까지 한 번도 대피를 하지 않는다.

5.3. 정반대의 사례가 없는 계열[편집]


  • 모든 행신 착발 KTX [30]
  • 수원 경유 KTX [31]
  • 경전선 KTX [32]
  • 영동선(강릉선) KTX [33]
  • 경춘선 ITX-청춘 [34]

6. 서대동부 무용론?[편집]


앞서 말했듯이 서대동부 계통은 분명 그 빠른 표정속도와 적은 정차역 덕분에 고속철 다운것은 사실이나, 운영 입장에서는 수익이 나오지 않아 골칫덩이로 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인지 향후 가속도가 높은 EMU-320을 위시한 동력분산식 열차가 주력이 될 경우 아예 서대동부 계통이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그 시기에는 평택-오송 구간 2복선화와 더불어 정차역을 적게 하지 않아도 표정속도를 높일 수단이 얼마든지 있기 때문에, 굳이 서대동부가 아니어도 현재 최속 편성보다 소요시간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적게 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7. 해외의 사례[편집]



7.1. 일본[편집]


일본도 2001년 이전 도카이도·산요 신칸센노조미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노조미 등급은 300계 도입 이후 생겼는데 당시 정차역은 가장 적은 수 기준으로 도쿄역, 나고야역, 교토역, 신오사카역, 오카야마역, 히로시마역, 고쿠라역, 하카타역이었으며 이들 중 오카야마, 고쿠라를 제외하면 모두 인구 100만명이 넘는 대도시에 위치한 역들이었다.[35] 도쿄-하카타간을 300계는 5시간 4분, 500계는 4시간 49분[36], 그리고 700계는 4시간 57분에 주파하였다. 그러나 차츰 신요코하마역에 정차하는 노조미가 늘어났으며 2001년 도쿄역 착발의 모든 노조미가 신요코하마역과 신코베역에 추가정차했다. 그나마 신오사카역과 하카타역만 왕복하는 노조미는 정차역이 그대로였으나 이마저도 2003년 10월 개정으로 시나가와역과, 신코베역이 필정역이 되면서, 신코베역에 추가정차하게 되었다.
현재 필수 정차역만 운행하는 열차는 노조미 64호만 해당된다.

도호쿠 신칸센에선 홋카이도신하코다테호쿠토역행 하야부사 7호, 13호가 이에 해당된다. 도쿄에서 하코다테 사이에 5정거장밖에 없으며 도쿄역, 오미야역, 센다이역, 모리오카역, 신아오모리역, 신하코다테호쿠토역에만 정차한다. 소요시간은 3시간 57분으로 아슬아슬하게 4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반대는 도쿄행 하야부사 44호이다.

조에츠 신칸센에서는 도쿄역에서 니가타역까지 최속달 열차는 토키 311호, 312호이며, 311호는 1시간 29분, 312호는 1시간 31분이 소요된다. 도중 정차역은 도쿄-오미야-니가타 이다.

호쿠리쿠 신칸센에서는 도쿄역에서 카나자와역까지 최속달 열차는 카가야키 509호, 514호이며 2시간 30분이 소요된다. 도중 정차역은 도쿄-오미야-나가노-도야마-카나자와이다. 단 도쿄역에서 나가노역까지 최속달 열차는 아사마 605호이며 1시간 35분이 소요된다. 도중 정차역은 도쿄-우에노-오미야-다카사키-카루이자와-(각역정차)-나가노 이다.


7.2. 프랑스[편집]


프랑스 TGV는 한국이나 일본 고속철도에 비해 중간 정차역이 매우 적은 운영을 하고 있다. 대도시권인 파리를 제외한 지역들의 인구밀도가 대부분 낮기 때문에 가능한 일. 한국의 서대동부와 비슷한 국내선 라인을 프랑스에서 굳이 뽑는다면 파리-리옹-아비뇽-마르세유 정도일텐데, 제2도시인 리옹조차 건너뛰고 파리~마르세유로 직행하는 열차도 많다. 구간 길이가 770km가 넘는 파리-마르세유 구간을 3시간 5분만에 돌파한다. 즉 출발-도착역 시가지 구간만 벗어나면 줄곧 최고속도로 밟는다는 것.


8. 여담[편집]


  • 가수 김혜연의 노래 '서울 대전 대구 부산'도 마침 이 계통의 정차역과 같다. 다만 대구역이 아니라 동대구역이라는 차이만 있다.
  • 이외에도 노랫말에서 전국을 누빈다는 의미로 '서울 대전 대구 부산'이란 가사가 적잖게 쓰인다. 우스개로 철도동호인들은 그런 것도 서울 대전 동대구 부산이라고 한다고 한다.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찍고 나서 독도 한 바퀴

노라조 <슈퍼맨>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손뼉을 치면서
노래를 부르며 즐겁게 같이 춤을 춰

G-DRAGON <CRAYON>

난 노래하는 홍길동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찍고 turn

개코 <될 대로 되라고 해>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찍고
지구를 돌고 돌고 돌고 돌아도 keep going

아웃사이더 <주인공>
  • 공교롭게도 서대동부 중 서울역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역이 소재한 기초자치단체가 전부 동구다.[37] 서울역의 경우 경계가 상당히 애매해서[38] 경부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용산구경의선, 1호선중구로 되어있다. 애초에 서울특별시강동구성동구는 몰라도 동구라는 이름의 행정구역 자체가 없기도 하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1:22:11에 나무위키 서대동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서'를 수서역으로도 간주하는 이도 있으나 보통 신조어는 앞글자만 따고 역사적으로도 서대동부 단어가 생길때는 수서역이 없었다.[2] 수원경유 KTX는 서영수대동부 열차가 있지만, -아쉽게도- 구포경유 KTX는 서대동밀구부 열차는 없다. 제일 적은 정차역의 열차는 천안아산역에 추가로 정차하는 #164 및 광명역에 정차하는 #161 열차이다.[3] 서울 - 부산 일반실 기준 60,200원이다. 다른 역에 더 정차하는 열차의 운임인 59,800원보다 400원 정도 더 비싸다.[4] or 영동선 정동진역 - 묵호역 - 동해역[5] 동년 6월 10일부터 대구역 대신 동대구역에 정차하고, 종착역이 부산진역에서 부산역으로 연장되고 운행시간이 4시간 50분으로 단축됨.[6] 실제로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부터 줄창 외쳐댔지만 잘 와닿지 않던 서울-부산의 '1일 생활권'은 마의 5시간이 깨진 뒤에야 국민들에게 각인되었다.(물론 1970~80년대 고속성장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7] 당시 부산역에서 8시에 출발하는 #2 열차와 서울역에서 17시에 출발하는 #17 열차는 밀양역에 추가로 정차하여 4시간 12분이 걸렸다. 서울역부산역에서 각각 23시에 출발하는 #31, #32 열차는 정차역이 더 많았고 (1987년 2월 기준으로 영등포역, 수원역, 구미역, 대구역, 밀양역, 구포역에 추가정차) 5시간 5분이 걸렸다. 1991년경에는 김천역도 추가되었는데 거기는 HEP 가동한 봉고 새마을호가 섰다.[8] 대구역은 도심에 위치하고 주변이 복잡해짐에 따라 더 이상 확장이 불가능한 관계로 동대구역이 개업한 1969년부터 대구의 주요 관문 노릇을 넘겨주게 된다. 동일년도에 부산역이 재건되면서 부산진역의 종착역 역할을 돌려받는다.[9] 당시 거창이나 상주에서 서울이나 부산으로 가는 최단경로가 김천역에서 열차 타는 게 가장 빨랐다.[10] 각각 8시, 16시에 출발하여 12시 10분과 20시 10분에 상대 목적지에 도착했다.[11] 몇 가지 이유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9, 23이라는 승객에게 각인되기 힘든 애매한 열차번호가 큰 이유중 하나였다.[12] 하행열차는 2016년 8월 열차시간표 개정으로 오송역 추가 정차.[13] KTX 개통 이후부터 정차역이 적은 열차의 폐지 이유는 단순히 사람이 안 탄다는 이유로 폐지된 것이 아니라, 한정된 운행가능횟수에서 회당 이용 승객 또는 좌석점유율이 높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관해선 철갤한 개념글을 읽어보면 좋다.[14] 8:57 ~ 11:15[15] 행신부터 타면 2시간 45분이 걸리는데, 이는 서울역에서 10분간 정차하기 때문이다.[주말] A B C D E F 금~일[16] 서울역 출발 기준[17] 포항행 #4031을 분리하기 때문에 7분 정차[주중] 월~목[18] 하루에 수원발 KTX-산천 4편성(상/하행 포함) 이 있었는데, #4013 열차는 울산역, 경주역에 정차하고 상행은 모두 울산역에 정차하였다.[19] SRT#317은 단편성(8량) 운행인데다가 출장 목적 이용에 딱 알맞게 09시 정각에 수서역을 출발하기 때문에 매진이 유독 빨리 되는 것으로 유명하다.[20] 신경주역에만 정차.[21] 정시 운행 기준[22] 이 열차는 평택역을 추가로 정차한다.[23] 밀양역은 특이하게 구포 경유 KTX의 필수정차역이지만, 새마을호의 선택정차역이다. 현재 모든 ITX-마음 열차들이 밀양역을 통과한다.[24] 서대구역도 정차한다.[25] 대표적인 비슷한 예시가 위에서 언급한 전라선 SRT 하행.[26] 왕복 모두 상봉역을 통과하는 것이 특징이다.[27] 신호장인 아미신호장금가신호장 제외[28] 영동선(강릉선) 계열과 다른 경우이다. 영동선 구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계열 공통 구간인 남강릉~서울, 즉 경강선, 중앙선, 경원선, 경부선 구간에서는 선택 정차역을 통과하기도 한다. 하지만, 중부내륙선 계통은 연결 노선인 경강선과 충북선에서 운행하지 않고 중부내륙선 구간 노선에서만 운행한다.[35분] A B 첫 개통 시점에서의 모든 열차 소요시간은 35분으로 동일하다.[29] 경부고속선 전용의 경부선 서대구역과 마찬가지로, 상봉역은 중앙선에 있지만 경춘선 ITX-청춘과 경강선 KTX만 정차하는 역이라서 중앙선 운행의 열차번호를 가진 무궁화, 새마을, KTX 모든 열차들이 통과하는 곳이다. 또한, 양평과 풍기를 모두 정차하는 열차는 없다.[30] 현재 행신역에서는 경부(고속)선, 경전선, 동해선, 호남(고속)선, 전라선, 경강선이 운행 중인데, 다른 선택정차역을 모두 정차하는 열차는 없다.[31] 김천구미, 신경주, 울산 선택정차역을 모두 정차하는 열차는 없다. 특히 김천(구미)역은 주말 열차만 정차중이다.[32] 계열 메인 구간인 밀양~진주 구간을 모두 정차하는 열차는 동대구 이북의 역을 전역정차를 하지 않는다. 또한, 유일한 경산 정차 #203 열차는 진영과 창원을 통과한다.[33] 상봉, 양평, 횡성, 둔내, 진부 선택정차역을 모두 정차하는 열차는 없다.[34] 서울시 안에 있는 선택정차 옥수, 왕십리, 상봉 중 두 역을 정차하는 열차는 있으나, 세 역을 모두 정차하는 열차는 존재하지 않는다.[35] 기타큐슈시도 노조미의 정차역이 설정된 당시인 92년에는 인구가 100만명이 넘었기 때문에 노조미 정차역 중 오카야마시만 당시에 100만이 안되는 유일한 도시였다.[36] 신오사카~하카타 구간에서만 운행했을 땐 2시간 17분.[37] 대전역 -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동, 동대구역 -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 부산역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38] 정확히는 역이 애매한 것이 아니라 애초에 오래 자리잡고 있던 역을 기준으로 지역의 경계를 나눈 것이라 이렇게 된 것이라 한다. 이 부분은 서울역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