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외국차량 (r1판)

편집일시 :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북한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기
람홍색공화국기 ·
국장
국장 · >

국가
애국가 ·

국화
목란꽃 ·

국수
천리마 ·

국조
까치 ·

국견
풍산개 ·

국주
평양소주
역사역사 전반
지리관서 · 관북 · 해서 · 관동
인문환경한민족 (북한인) · 문화어 · 행정구역 (주소체계) · 교통
인물 ·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사상·이념이념 전반 · 최고존엄 · 백두산절세위인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주체사상 (사회주의 대가정론) · 배움의 천리길 · 수령결사옹위정신 · 피포위 의식 · 대조선적대시정책 · 자력갱생 · 강성대국 · 지상락원 · 우리식 인권
정치·안보정치 전반 · 조선로동당 · 국무위원회 · 최고인민회의 · 따뜻한 환영의 음악
외교 전반 · 남북관계 (아프리카 외교전) · 남북러관계 · 남북통일 · 대북제재
조선인민군 (육군 / 해군 / 공군 / 전략군) · 군복 · 열악한 현실 (빈곤함 / 수송능력) · 징병제 · 핵개발 · 미사일 개발 · 열병식 · 대남 도발 (원인) · 대남공작기관 (남파공작원)
사법·규범사법 전반 · 중앙검찰소 · 중앙재판소 · 사회안전성 · 국가보위성 · 보위국
교시 · 당의 유일적령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 · 조선로동당규약 · 사회주의헌법
경제경제 전반 · 경제사 (1980년대의 대규모 정책 실패) · 북한 원 · 북한의 국채 · 지하자원 · 산업 · 돈주 · 장마당 · 북한산 상품 · 주체농법 · 비날론 · 8.3 인민소비품 · 조선우편 · IT (휴대전화 / 게임 / 이동통신 / 광명망) · 아파트
사회공민증 · 조선로동당당원증 · 계급 (기본 군중 / 복잡한 군중 / 적대계급잔여분자) · 조선소년단 · 궐기대회 · 생활총화 · 초상휘장 · 1호 사진 · 훈장 · 인권 · 려행증 · 주체의학 · 금당 2호 · 정치범수용소 (형성 / 실상) · 납북 · 월북 · 탈북
문화문화 전반 · 요리 · 기호식품 · 노래 · 창작물 (콘텐츠 목록 / 북한 영화) · 스포츠 (축구 대표팀) · 관광 (개성 / 금강산) · 북한의 한국 묘사 · 북한 유튜브 채널 · 소해금
기타주체년호 · 공휴일 · 한반도의 지도자 목록 · 북한이탈주민 · 대북송금 · 북한 관련 뉴스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북한의 국가장
둘러보기 틀
역사역사
행정구역광역행정구역 (평양시 / 개성시 / 남포시 / 라선시 / 강원도 / 자강도 / 량강도 / 평안남도 / 평안북도 / 함경남도 / 함경북도 / 황해남도 / 황해북도)
지도자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인물최고지도자 · 지도자의 배우자 · 당 총비서 · 국가원수 · 최고사령관 · 당 중앙위 위원 · 국무위원 · 인민군 지휘관
내각성원 · 내각총리 · 중앙재판소장 · 국가계획위원장 · 국방상 · 국가보위상 · 사회안전상 · 외무상 · 국가과학원장 · 김대 총장 겸 고등교육상 · 당 도당 책임비서 · 지방인민위원장 (평양시 인민위원장)
제도법규범 · 주민착취제도 · 사회계급 · 훈장
기관최고통치기관 · 당 대회 · 최고사령관 예하 기관 · 당 조직 · 당 중앙위 전문부서 · 헌법기관 · 행정조직 · 외곽단체 · 해외 단체 · 학교 · 대학 · 예술체육단체 · 이동통신사 · 신문
자연산지 · · 하천 · 해안 · 온천
건축평양 길거리 · 신도시 · 일반철도 · 도시철도 · 고속도로 · 공항 · 항구
공공청사 · 평양 · 지방 · 유적 · 체제선전 · 사회기반 · 산업 · 보건의료 · 예술체육 · 버스터미널 · 교정시설 · 정치범수용소
군사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미사일 · 핵·WMD
기타공휴일 · · 스마트폰



[ 목차 펼치기 · 접기 ]




1. 개요[편집]


본 문서는 북한에서 식별된 외국산 차량들을 정리해 놓은 문서이다.

자동차의 자체 생산 능력이 열악한 북한의 특성 상 대부분 중국, 러시아 등 우방국에서 수입 혹은 라이센스 생산하거나, 남북 경협을 통해 기증 혹은 노획한 차량들의 비중이 높으며, 밀수[1]나 복제로 생산한 차량도 적지 않다.

1980년대까진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 국가에서, 1990~2000년대엔 한국과의 협력과 일본에서 중고차로 들여온 경우가 많으며, 2010년대부턴 평화자동차를 비롯한 북한 내의 다양한 기업소에서 생산된 차량들이 주를 이룬다.[2]

북한에서는 특이하게 트럭이나 승합차, 버스, 트레일러의 경우 차체의 앞, 뒷면에다가 차량 번호를 스텐실로 그대로 써놓은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옛 구 소련에서 부터 내려져 온 것으로 보이며 소련 때였을 뿐만 아니라 독립국가연합 소속 국가들, 그리고 중국과 베트남, 대만 외에 북키프로스 또한 이 방식을 고집하고 있다. 멕시코도 시내버스 등 일부 영업용 차량 한정으로 그렇게 하고 있다. 이유는 대도시 이 외에 단속, 신호 등 CCTV나 단속 카메라 수가 한국에 비해 적기 때문에 교통 경찰이 직접 단속하는 경우가 많으며 트럭이나 큰 차량들이 혹여 도망가더라도 차량 번호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3]

단, 러시아는 2008년부터 저 방식을 폐지했다.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편집]




2.1. 현대자동차[편집]


파일:북한 쏘나타1.jpg


파일:북한 쏘나타.png


파일:htm_2011083011003820002010-006.jpg


파일:북한 그랜저1.jpg [4]


파일:북한 그랜저2.png


파일:북한 그레이스1.png

파일:북한 그레이스2.png

파일:QxoHatC.png


파일:ZPhPMdJ.jpg


파일:Ff6LATY.jpg


파일:E2knbuUVcAwo2uh.jpeg.jpg

  • 다이너스티 - 묘향산에 있는 국제친선전람관[5]에 전시되어 있다고 한다. 1998년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이 소떼를 몰고 방문했을 때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한 다이너스티 1대를 김정일에게 선물한 것이 여기에 전시되어 있다고 한다. 그런데 전시물 설명에는 남조선 기업가들이 지도자 동지존경해서 갖다 바친 것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

파일:national1198412856.jpg

파일:북한 갤로퍼.jpg


파일:Fw1KEhd.png


파일:external/3.bp.blogspot.com/nkoreacar6.jpg

파일:987B7715-9CCD-4644-B84E-D2B801A2063F.gif

  • 스타렉스 (1세대) - 위의 사진은 금강산에서 사용되는 차량이고 아래의 사진은 평양시내를 돌아다니는 구급차다.[6]

파일:BUmGBPB.jpg

파일:d4odFzD.png


파일:AjOQ36o.jpg


파일:blog_me_20121109_154305.jpg


파일:북한 현대버스4.jpg


파일:14468770_1184785881581959_8301344389108905830_o.jpg

파일:북한 현대버스3.jpg


파일:272080208_344820717645198_4497622354444578119_n.jpg

파일:external/img.seoul.co.kr/SSI_20130903110607_V.jpg


파일:북한 현대트럭1.jpg

  • 슈퍼트럭 - 최근에 현대의 CI를 떼어낸 채 각 기업소에 분산되어 아직도 운행된다고 전해진다.

파일:DPRK Hyundai Universe.jpg

  • 유니버스 - 2018~2019년에 생산된 내수용 익스프레스 프라임 모델이다. 시기를 보아 평창 동계올림픽 무렵에 모종의 이유로 반입된 듯 하다.

파일:obpFr3X.jpg

파일:EbAAlTT.jpg [7]


파일:북한 현대.jpg


파일:HBSCBAP.png [8]



2.2. 기아[편집]


파일:북한 콩코드.jpg


파일:북한 스포티지.jpg


파일:북한 쏘렌토1.png


파일:북한 쏘렌토2.png


파일:북한 레토나.jpg


파일:북한 카니발.png


파일:북한 카니발2.jpg [9]


파일:기아 봉고1.png


파일:북한 봉고3.jpg


파일:북한 봉고4.jpg


파일:북한 프레지오.png


파일:북한 봉고2.jpg


파일:북한 라이노.jpg


파일:북한 콤비.jpg


파일:북한 개성공단버스.jpg


파일:북한 그랜버드.jpg [10]



2.3. GM 한국사업장[편집]


파일:북한 누비라.png


파일:북한 레간자.jpg


파일:9AYzzvY.jpg

파일:344WzOe.png

파일:qWLRWn1.png


파일:북한엑셀르.jpg


파일:북한 쉐보레1.png


파일:북한 쉐보레2.jpg

파일:북한 쉐보레3.jpg



2.4. 자일대우버스[편집]


파일:북한 대우버스.jpg





2.5. 타타대우상용차[편집]


파일:북한 랙스턴.jpg

파일:북한 노부스.jpg



2.6. KG모빌리티[편집]


파일:북한 쌍용자동차.png





3.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편집]




3.1. 토요타[편집]


파일:북한코롤라.jpg E170계 유럽형 사양


파일:북한마크II(2).jpg


파일:북한마크II.jpg


파일:북한캠리.jpg


파일:북한캠리(2).jpg


파일:북한크라운.png


파일:북한라브4.jpg



3.1.1. 랜드 크루저[편집]



3.1.1.1. 3세대[편집]

파일:Pyongyang_Toyota_Landcruiser.jpg


3.1.1.2. 4세대[편집]

파일:북한랜드크루저(2).jpg


3.1.1.3. 5세대[편집]

파일:북한랜드크루저.jpg


3.1.2. 랜드 크루저 프라도[편집]



3.1.2.1. 3세대[편집]

파일:북한프라도(2).jpg


3.1.2.2. 4세대[편집]

파일:북한프라도.jpg J150 중기형 5도어 사양


3.1.3. 세쿼이아[편집]

파일:북한세쿼이아.jpg XK60 전기형 리미티드 사양


3.1.4. 코스터[편집]

파일:240730479_242738611186743_3303249303438647427_n (1).jpg B70(4세대 장축형)

파일:240827241_244297781030826_1256670167715976989_n.jpg 좌: B70 우:B50(3세대 장축형)


3.1.5. 하이에이스[편집]

파일:북한하이에이스.png H100(4세대) 후기형[11]


3.1.6. 알파드[편집]

파일:북한알파드.jpg AH20(2세대) 전기형


3.1.7. 렉서스[편집]




3.1.8. ES[편집]



3.1.8.1. 4세대[편집]

파일:북한ES(3).jpg


3.1.8.2. 5세대[편집]

파일:북한ES.jpg


3.1.8.3. 6세대[편집]

파일:북한ES(2).jpg


3.1.9. LS[편집]



3.1.9.1. 2세대[편집]

파일:북한LS.jpg


3.1.9.2. 4세대[편집]

파일:북한LS(2).png


3.1.10. RX[편집]



3.1.10.1. 1세대[편집]

파일:북한RX.png XU10(1세대) 후기형 북미 사양 RX300


3.1.10.2. 2세대[편집]

파일:북한RX(2).jpg


3.1.11. GX[편집]

파일:북한GX.jpg J120(1세대) GX470


3.1.12. LX[편집]



3.1.12.1. 2세대[편집]

파일:북한LX.jpg


3.1.12.2. 3세대[편집]

파일:북한LX(2).jpg


3.1.13. 닛산[편집]




3.1.14. 세드릭[편집]

파일:Traffic_Lady._Pyongyang,_North_Korea._(2604170573).jpg Y31(7세대) 후기형 브로엄 사양


3.1.15. 글로리아[편집]

파일:북한글로리아.jpg Y31(8세대) 그란투리스모 하드탑 사양


3.1.16. 블루버드[편집]

파일:북한블루버드.jpg U13(9세대) 후기형 세단 사양


3.1.17. 아틀라스[편집]

파일:북한아틀라스.jpg F22(1세대) 전기형 아틀라스100


3.1.18. 엑스테라[편집]

파일:닛산엑스테라.jpg


3.1.19. 캐러밴[편집]

파일:북한캐러밴.jpg E25(4세대) 전기형


3.1.20. 시빌리언[편집]

파일:42809514_2034281956632343_5597832005900304384_n.jpg


3.1.21. 인피니티[편집]




3.1.22. QX70[편집]

파일:북한QX70.jpg


3.1.23. QX56[편집]

파일:북한QX56.jpg


3.1.24. QX80[편집]

파일:북한QX80.jpg


3.1.25. 아큐라[편집]




3.1.26. MDX[편집]

파일:북한MDX.jpg


3.1.27. 미쓰비시 자동차[편집]




3.1.28. 델리카 스타 웨건[편집]

파일:external/cafe.fgtv.com/%EC%82%AC%EC%A7%84%20001.jpg


3.1.29. 미쓰비시 후소[편집]




3.1.30. 캔터[편집]

파일:external/www.earthnutshell.com/12-north-korean-bus.jpg


3.1.31. 파이터[편집]

파일:240963627_245810544212883_4580297987085062687_n.jpg


3.1.32. 로자[편집]

파일:43950502_2052726684787870_3983358480848257024_n.jpg

파일:44036167_2052727258121146_6660560949637808128_n.jpg

파일:43877877_2052731304787408_8912105234243780608_n.jpg


4.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편집]




4.1. BYD[편집]


파일:BYD F3 1세대 택시.jpg


파일:북한G6.jpg


파일:북한F6.jpg


파일:북한친.jpg



4.2. 화타이[편집]


파일:북한E80.webp



4.3. 하발[편집]


파일:북한H9.jpg



4.4. 창안자동차[편집]


파일:북한에아도.webp


파일:북한CS35.jpg



4.5. 중타이[편집]


파일:북한Z500.jpg



4.6. 포톤[편집]


파일:13988121_1144170802310134_4404205764889305054_o.jpg

파일:14711475_1209404395786774_7177293277709635818_o.jpg

  • BJ6120U8MHB


4.7. 위통버스[편집]


파일:45859521_2096506317076573_1363893493642035200_n.jpg

  • ZK6122HB9

파일:13913656_1138216782905536_8229755884376148850_o.jpg

  • ZK6122HE9

파일:42852897_2034282406632298_2617687008184631296_n.jpg

  • ZK6107HA


4.8. 킹롱[편집]


파일:KING_LONG_TOUR_BUS_OF_THE_KOREA_INTERNATIONAL_TOUR_COMPANY_PYONGYANG_CITY_DPRK_NORTH_KOREA_OCT_2012_(8647598379).jpg

파일:1556px-KING_LONG_COACH_OF_KOREA_INTERNATIONAL_TRAVEL_COMPANY_PYONGYANG_CITY_DPRK_NORTH_KOREA_OCT_2012_(8656672924).jpg

파일:43687272_2051306724929866_404591300877221888_n.jpg

파일:14681006_1201194406607773_5386407832332353072_o.jpg

파일:14053858_1150748031652411_3811455770123973795_o.jpg

  • XMQ6900Y

파일:CHINESE_BUILT_KING_LONG_COACHES_OF_THE_KOREA_INTERNATIONAL_TOUR_COMPANY_AT_A_REST_STOP_EN_ROUTE_PYONGYANG_CITY_TO_KAESONG_CITY_NEAR_THE_DMZ_DPRK_NORTH_KOREA_OCT_2012_(8643115778).jpg

파일:1600px-KING_LONG_TOUR_COACHES_OF_THE_KOREA_INTERNATIONAL_TOUR_COMPANY_IN_PYONGYANG_CITY_DPRK_NORTH_KOREA_OCT_2012_(8641107652).jpg

파일:240511149_240333071427297_5598548155690171966_n.jpg

  • XMQ6117Y

파일:69458849_2569903473070186_2681460903093731328_n.jpg

  • XMQ6122Y

파일:45838402_2096506760409862_5575660139177836544_n.jpg

  • XMQ6119T

파일:45697937_2096505970409941_793722660814061568_n.jpg

  • XMQ6802Y

파일:46059127_2096510253742846_6566263808782761984_n.jpg

파일:14682199_1209472709113276_8987597757129978440_o.jpg

파일:14707837_1211530948907452_2870888833950667219_o.jpg

  • XMQ6858Y

파일:43879667_2051409231586282_5504640827713912832_n.jpg

  • XMQ6728NE1

파일:43006404_2037552942971911_7395794951973371904_n.jpg

  • XMQ6118C1B

파일:14589939_1211528608907686_1181559000797425758_o.jpg

  • XMQ6759Y

파일:14711482_1201193359941211_1102423694258418616_o.jpg

  • XMQ6771Y


4.9. 하이거[편집]


파일:13679959_1143352102392004_5571726883642234703_o.jpg

  • KLQ6126T


4.10. 골든드래곤[편집]


파일:46094256_2096506447076560_5765891765500379136_n.jpg

파일:14691169_1209399159120631_2423321574513714083_o.jpg

  • XML6796E5G

파일:43851508_2051307508263121_589120782588706816_n.jpg

  • XML6103J12


5.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편집]




5.1. 타타자동차[편집]


파일:북한 타타버스.jpg

  • 1510


6.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편집]




6.1. 프로톤[편집]


파일:124446_63391_1739.jpg



7.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편집]




7.1. 볼보[편집]


1970년대 초는 북한의 전성기였다. 당시 북한 광업에서 이익의 기능성이 높게 점쳐졌고, 스웨덴에서는 북한의 광산 채굴권에서 나올 많은 수익을 기대하면서 기업들 중 일부가 대북교역을 시도했는데, 볼보가 1974년 6억 스웨덴 크로나 어치의 144GL 모델 1,000대를 신용 판매하면서 첫 기회를 잡았다. 원래는 약속대로 구리나 아연을 팔아 대금을 갚으려 했는데 , 광물의 국제 시세가 폭락해 갚을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그러자 북한은 배째라면서 나머지 돈을 지불하지 않았다. 볼보가 돈을 지불하라고 항의했지만 이를 무시했고 현재까지도 무시하고 있다. 결국 스웨덴 무역보험위원회가 일단 문제의 채권을 인수해서 볼보에 갚아줬고, 그렇게 이관된 채권은 지금까지도 스웨덴 정부 관할하여 있다.

현재 북한이 볼보에게 연체한 금액은 물가상승률과 이자를 감안하면 27억 스웨덴 크로나로 늘어났는데 한화로 차면 약 3,448억 원이 다. 북측은 1989년 딱 한 번 3,000만 크로나를 갚은 것을 제외하고는 채무 상환을 위한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2019년까지도 여전히 밀당을 하고 있는 모양이다.

1974년 들어간 모델인데 부품 수급이 막힌 상태에서 40년 넘게 굴렸다는 게 대단한 점이다. 현재는 대부분 노후화 및 고장으로 헌역에서 물러났고 주민용 택시로 몇 대만 쓰이고 있다. 이 밖에 동독이 의전용과 택시용으로 240 모델을 몇천대 구입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s.newsweek.com/volvos1.jpg [12]

  • 144GL

파일:external/farm8.staticflickr.com/7273003270_46c5885220_b.jpg

  • 220

파일:북한XC60.jpg


파일:external/m6.i.pbase.com/116326776.X6w8RvYg.NorthKoreaAug09065.jpg [13]



8.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편집]




8.1. GAZ[편집]


파일:scale_1200(1).jpg
파일:scale_1200 (3).jpg

  • M20 포베다

파일:북한 차이카.png


파일:1404979096_14.jpg

파일:1404979142_21.jpg

파일:e2HHYZo.jpg


파일:pV4rHJD.jpg



8.2. PAZ[편집]



파일:239458574_240521851408419_2808387394708232958_n.jpg

  • 3205


8.3. UAZ[편집]


파일:북한 부한카트럭.png


파일:116326781.Yb0g35ob.NorthKoreaAug091019.jpg



8.4. 라다[편집]


파일:북한 쥐굴리.jpg


파일:8104C244-53B4-4FCA-B72B-93414BE32DB9.jpg


파일:116326785.F3EGuGwP.NorthKoreaAug091025.jpg

파일:naver_com_20121109_154430.jpg



9.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편집]




9.1. LAZ[편집]



  • 690


10.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편집]




10.1. 폭스바겐[편집]




10.1.1. 비틀[편집]

파일:북한 비틀1.png
파일:북한 비틀2.png
파일:북한 비틀3.png


10.1.2. 산타나[편집]

파일:산타나 북한.jpg


10.1.3. 제타[편집]

파일:북한제타.jpg


10.1.4. 파사트[편집]



10.1.4.1. 5세대[편집]

파일:북한파사트.png


10.1.4.2. 7세대[편집]

파일:북한파사트(3).jpg


10.1.5. 티구안[편집]

파일:북한티구안.jpg


10.1.6. 투아렉[편집]

파일:북한투아렉.jpg


10.1.7. 트랜스포터[편집]

파일:북한트랜스포터.png


10.2. 메르세데스-벤츠[편집]




10.2.1. CLK[편집]

파일:북한CLK.jpg


10.2.2. C클래스[편집]

파일:북한C클.jpg


10.2.3. E클래스[편집]



10.2.3.1. 5세대[편집]

파일:북한E클(3).jpg


10.2.3.2. 7세대[편집]

파일:북한E클(5).jpg


10.2.3.3. 8세대[편집]

파일:북한E클(2).jpg


10.2.3.4. 9세대[편집]

파일:북한E클(4).jpg


10.2.3.5. 10세대[편집]

파일:북한E클(6).jpg


10.2.4. S클래스[편집]



10.2.4.1. 2세대[편집]

파일:1867_2082_958.png

김일성 주석이 일본의 프로레슬러 역도산으로부터 선물 받아 현재는 묘향산에 있는 국제친선전람관에 전시되어 있다고 한다.


10.2.4.2. 5세대[편집]

파일:북한S클(4).jpg


10.2.4.3. 6세대[편집]

파일:북한S클(5).jpg


10.2.4.4. 7세대[편집]

파일:북한S클(7).jpg


10.2.4.5. 8세대[편집]

파일:북한S클(3).jpg


10.2.4.6. 9세대[편집]

파일:북한S클(2).png


10.2.4.7. 10세대[편집]

파일:북한S클.png


10.2.5. M클래스[편집]



10.2.5.1. 1세대[편집]

파일:북한M클.jpg


10.2.5.2. 2세대[편집]

파일:북한M클(2).jpg


10.2.6. GL[편집]

파일:북한GL.jpg


10.2.7. G클래스[편집]



10.2.7.1. 1세대[편집]

파일:북한G클(2).png


10.2.7.2. 2세대[편집]

파일:북한G클.png


10.2.8. GLS[편집]

파일:북한GLS.jpg


10.2.9. O303[편집]

파일:13958219_1148237091903505_5663489257553896022_o.jpg

파일:13995572_1147484158645465_6643412442102672597_o.jpg


10.2.10. O309[편집]

파일:13937779_1146675575392990_3061237048956365271_o.jpg


10.3. BMW[편집]




10.3.1. 5시리즈[편집]

파일:북한5시리즈.jpg


10.3.2. 7시리즈[편집]



10.3.2.1. 2세대[편집]

파일:북한7시리즈(3).png


10.3.2.2. 4세대[편집]

파일:북한7시리즈(2).jpg


10.3.2.3. 5세대[편집]

파일:북한7시리즈.jpg


10.3.3. X1[편집]

파일:북한X1.jpg


10.3.4. X5[편집]



10.3.4.1. 1세대[편집]

파일:북한X5(2).png


10.3.4.2. 2세대[편집]


파일:북한X5.jpg


10.4. 아우디[편집]




10.4.1. 80[편집]

파일:DNKF00110867_List.png


10.4.2. 100[편집]

파일:북한아우디(1).jpg


10.4.3. A6[편집]



10.4.3.1. 4세대[편집]

파일:북한A6(4).png


10.4.3.2. 5세대[편집]

파일:북한A6(3).jpg


10.4.3.3. 6세대[편집]

파일:북한A6(2).jpg


10.4.3.4. 7세대[편집]

파일:북한A6.jpg


10.4.4. A8[편집]



10.4.4.1. 1세대[편집]

파일:북한A8(2).png


10.4.4.2. 3세대[편집]

파일:북한A8.png


10.4.5. Q5[편집]

파일:북한Q5.jpg


10.4.6. Q7[편집]

파일:북한Q7.jpg


11.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편집]




11.1. 재규어[편집]


파일:북한 재규어.jpg



11.2. 랜드로버[편집]


파일:북한디스커버리.jpg


파일:북한레인지로버.jpg



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편집]




12.1. 이베코[편집]


파일:46043986_2098126023581269_1431675692549931008_n.jpg



12.2. 피아트[편집]


파일:북한물티플라.png



1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편집]




13.1. 시트로엥[편집]


파일:북한시트로앵.jpg



14.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편집]




14.1. 다치아[편집]


파일:1599px-North_Korea_-_Dacia_1310_(5609984414).jpg



15.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편집]




15.1. FSO[편집]


파일:tkxqeD1.jpg



16.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편집]




16.1. 스코다[편집]


파일:96749649_3146857892041405_8304399926301818880_n.jpg

  • 706 RTO

파일:43134449_2038992579494614_2257802928129572864_n.jpg

  • 706 RO


17.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편집]




17.1. 이카루스[편집]


파일:59592865_2357894217604447_27488052687405056_n.jpg

  • 255

파일:13923516_1140362839357597_134622117532861459_o.jpg

  • 256


18.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편집]




18.1. 포드[편집]


파일:북한포커스.jpg


파일:북한익스플로러.jpg


파일:북한익스플로러(2).jpg


파일:북한트랜짓.jpg


파일:북한트랜짓(2).jpg



18.2. 링컨[편집]



파일:북한에비에이터.jpg



18.3. 캐딜락[편집]


파일:북한SRX.png


파일:북한에스컬레이드.png



18.4. GMC[편집]


파일:북한시에라.jpg



18.4.1. 뷰익[편집]




18.4.1.1. 라크로스[편집]

파일:북한라크로스.jpg


18.4.1.2. 파크 애비뉴[편집]

파일:북한파크에비뉴.jpg


18.4.2. 쉐보레[편집]




18.4.2.1. S-10 블레이저[편집]

파일:북한블레이저.jpg


18.4.2.2. 아스트로[편집]

파일:북한아스트로.jpg


18.4.2.3. 익스프레스[편집]

파일:북한익스프레스.jpg


18.4.3. 크라이슬러[편집]




18.4.3.1. 퍼시피카[편집]

파일:북한퍼시피카.jpg


18.4.3.2. 그랜드 보이저[편집]

파일:북한보이저.png


18.4.4. 지프[편집]




18.4.4.1. 그랜드 체로키[편집]

파일:북한체로키.jpg


18.4.5. 허머[편집]




18.4.5.1. H2[편집]

파일:external/i.dailymail.co.uk/article-2322576-19B5B360000005DC-582_634x426.jpg [14]

파일:북한 허머.png


[1] 미국이나 일본, 독일제 최신 차종들은 중국, 러시아 등지에서 밀수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여겨지고 있다.[2] 최근에 나오는 차량들은 대체로 중국 브랜드의 차를 배지 엔지니어링한것이라고 보면 된다.[3] 국내에서도 트랙터나 카고트럭의 캐빈 뒷면에 차주 재량으로 락카나 스티커 방식으로 차랑 번호를 써놓은걸 가끔 볼 수 있다.[4] 북한 주재 루마니아 대사관의 차량이다.[5]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세계 160여개 국에서 받은 17만여 점의 선물들이 전시되어 있는 곳이다.[6] 스타렉스 1세대를 중국 JAC사에서 라이선스 생산한 모델인 리파인 M5이다. 이 사진 속의 차에 적십자 표장이 붙어 있는데, 북한의 의료기관은 모두 북한 적십자사 산하라 구급차와 병원에 적십자 표장을 달아도 제네바 협약에 위배되지 않는다. 적십자 표장은 전시에 적이 절대로 공격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최후의 방어선 역할(이 적십자 표장을 달고 있는 것을 공격하면 중대한 전쟁범죄 행위로 처벌받으며, 적십자 표장을 적 기만의 목적으로 사칭하여 쓰는 행위 역시 중대 전범행위로 처벌받는다.)을 하여 야전병원, 군용 구급차 및 적십자 소속 구급차, 적십자회관, 혈액원, 헌혈의집, 전시 비상 대피소 등 허용된 곳 이외에 써서는 안되는데, 북한은 의료기관이 아예 적십자사 산하로 되어 있어 상관이 없는 것이다. 대한민국은 적십자 및 군병원이 아닌 병원이 따로 있어 이들 병원에서는 적십자 표장을 사용할 수 없다.[7] 개성공업지구의 HD현대오일뱅크 주유소 소유였던 차량을 노획한 것으로 추정된다.[8] 1세대인 트라고만 확인되었고, 2세대인 엑시언트는 다행히 북한의 손에 넘어간 차량이 없다.[9] 3세대 카니발부터는 발견되지 않았다. [10] 도요타 CI를 달고 있으며, 1세대 모델에 2세대 중기형의 프론트 마스크를 이식한 차량이다. 즉, 순정 상태가 아닌 개조된 차량이다. [11] 등화류는 순정상태가 아니다.[12] 사진 속 차량 앞유리에 와이퍼가 없는데 이는 북한에서 차를 아무데나 세워두면 도둑들이 와이퍼를 훔쳐가기 때문에 정차시 무조건 와이퍼를 빼놓는다고 한다. 참고로 과거 소련에서도 주차된 차량의 와이퍼 도난이 잦아서 같은 관습이 있었다고 한다. 정말 별결 다 훔쳐간다[13] 옆에 있는 미니밴은 닷지 캐러밴이고 뒤에 보이는 흰색 승합차는 닷지 램 밴이다.[14] 옆에 있는차는 이스케이프 1세대 일본사양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