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준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4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소형준/선수 경력/2024년 문서
소형준/선수 경력/2024년번 문단을
소형준/선수 경력/2024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소형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000><rowcolor=#fff> '''2015''' ||<width=20%> '''2016''' ||<width=20%> '''2017''' ||<width=20%> '''2018''' ||<width=20%> '''2019''' || || [[필 어윈|어윈]] || [[슈가 레이 마리몬|마리몬]] || [[돈 로치|로치]] || [[라이언 피어밴드|피어밴드]] || [[윌리엄 쿠에바스|쿠에바스]] || ||<rowbgcolor=#000><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 || ||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데스파이네]] || [[소형준]] || [[윌리엄 쿠에바스|쿠에바스]] || [[웨스 벤자민|벤자민]] || ||



소형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kt wiz 우승 엠블럼 V1.pn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21

}}} ||
[ 펼치기 · 접기 ]
19831984198519861987
박종훈
OB 베어스 / 외야수
윤석환
OB 베어스 / 투수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건우
MBC 청룡 / 투수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외야수
19881989199019911992
이용철
MBC 청룡 / 투수
박정현
태평양 돌핀스 / 투수
김동수
LG 트윈스 / 포수
조규제
쌍방울 레이더스 / 투수
염종석
롯데 자이언츠 / 투수
19931994199519961997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류지현
LG 트윈스 / 내야수
이동수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외야수
이병규
LG 트윈스 / 외야수
19981999200020012002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투수
홍성흔
두산 베어스 / 포수
이승호
SK 와이번스 / 투수
김태균
한화 이글스 / 내야수
조용준
현대 유니콘스 / 투수
20032004200520062007
이동학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오재영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류현진
한화 이글스 / 투수
임태훈
두산 베어스 / 투수
20082009201020112012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이용찬
두산 베어스 / 투수
양의지
두산 베어스 / 포수
배영섭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20132014201520162017
이재학
NC 다이노스 / 투수
박민우
NC 다이노스 / 내야수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신재영
넥센 히어로즈 / 투수
이정후
넥센 히어로즈 / 외야수
20182019202020212022
강백호
kt wiz / 외야수
정우영
LG 트윈스 / 투수
소형준
kt wiz / 투수
이의리
KIA 타이거즈 / 투수
정철원
두산 베어스 / 투수
2023
문동주
한화 이글스 / 투수



파일:일구상 로고.jpg 2020 일구상 신인상

}}} ||
[ 펼치기 · 접기 ]
#1f2023,#e5e5e5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d2f34><color=#1f2023,#e5e5e5> {{{-2 2016 시즌}}} || ||<width=16.6%><rowbgcolor=#002561><rowcolor=#fff> {{{-1 4월}}} ||<width=16.7%> {{{-1 5월}}} ||<width=16.7%> {{{-1 6월}}} ||<width=16.7%> {{{-1 7월}}} ||<width=16.7%> {{{-1 9월}}} ||<width=16.6%> {{{-1 10월}}} || || [[더스틴 니퍼트|{{{#1f2023,#e5e5e5 니퍼트}}}]][br]{{{-2 [[두산 베어스|{{{#1f2023,#e5e5e5 두산 베어스}}}]]}}} || [[김재환(야구선수)|{{{#1f2023,#e5e5e5 김재환}}}]][br]{{{-2 [[두산 베어스|{{{#1f2023,#e5e5e5 두산 베어스}}}]]}}} || [[최승준|{{{#1f2023,#e5e5e5 최승준}}}]][br]{{{-2 [[SK 와이번스|{{{#1f2023,#e5e5e5 SK 와이번스}}}]]}}} || [[양현종|{{{#1f2023,#e5e5e5 양현종}}}]][br]{{{-2 [[KIA 타이거즈|{{{#1f2023,#e5e5e5 KIA 타이거즈}}}]]}}} || [[유희관|{{{#1f2023,#e5e5e5 유희관}}}]][br]{{{-2 [[두산 베어스|{{{#1f2023,#e5e5e5 두산 베어스}}}]]}}} || [[최형우|{{{#1f2023,#e5e5e5 최형우}}}]][br]{{{-2 [[삼성 라이온즈|{{{#1f2023,#e5e5e5 삼성 라이온즈}}}]]}}} || ||<-6><bgcolor=#f5f5f5,#2d2f34><color=#1f2023,#e5e5e5> {{{-2 2017 시즌}}} || ||<rowbgcolor=#002561><rowcolor=#fff> {{{-1 4월}}} || {{{-1 5월}}} || {{{-1 6월}}} || {{{-1 7월}}} || {{{-1 8월}}} || {{{-1 9월}}} || || [[제프 맨쉽|{{{#1f2023,#e5e5e5 맨쉽}}}]][br]{{{-2 [[NC 다이노스|{{{#1f2023,#e5e5e5 NC 다이노스}}}]]}}} || [[최형우|{{{#1f2023,#e5e5e5 최형우}}}]][br]{{{-2 [[KIA 타이거즈|{{{#1f2023,#e5e5e5 KIA 타이거즈}}}]]}}} || [[메릴 켈리|{{{#1f2023,#e5e5e5 켈리}}}]][br]{{{-2 [[SK 와이번스|{{{#1f2023,#e5e5e5 SK 와이번스}}}]]}}} || [[양현종|{{{#1f2023,#e5e5e5 양현종}}}]][br]{{{-2 [[KIA 타이거즈|{{{#1f2023,#e5e5e5 KIA 타이거즈}}}]]}}} ---- [[김재환(야구선수)|{{{#1f2023,#e5e5e5 김재환}}}]][br]{{{-2 [[두산 베어스|{{{#1f2023,#e5e5e5 두산 베어스}}}]]}}} || [[손아섭|{{{#1f2023,#e5e5e5 손아섭}}}]][br]{{{-2 [[롯데 자이언츠|{{{#1f2023,#e5e5e5 롯데 자이언츠}}}]]}}} || [[브룩스 레일리|{{{#1f2023,#e5e5e5 레일리}}}]][br]{{{-2 [[롯데 자이언츠|{{{#1f2023,#e5e5e5 롯데 자이언츠}}}]]}}} || ||<-6><bgcolor=#f5f5f5,#2d2f34><color=#1f2023,#e5e5e5> {{{-2 2018 시즌}}} || ||<rowbgcolor=#002561><rowcolor=#fff> {{{-1 4월}}} || {{{-1 5월}}} || {{{-1 6월}}} || {{{-1 7월}}} || {{{-1 8월}}} || {{{-1 9월}}} || || [[유한준|{{{#1f2023,#e5e5e5 유한준}}}]][br]{{{-2 [[kt wiz|{{{#1f2023,#e5e5e5 kt wiz}}}]]}}} || [[정우람|{{{#1f2023,#e5e5e5 정우람}}}]][br]{{{-2 [[한화 이글스|{{{#1f2023,#e5e5e5 한화 이글스}}}]]}}} || [[김재환(야구선수)|{{{#1f2023,#e5e5e5 김재환}}}]][br]{{{-2 [[두산 베어스|{{{#1f2023,#e5e5e5 두산 베어스}}}]]}}} || [[제이미 로맥|{{{#1f2023,#e5e5e5 로맥}}}]][br]{{{-2 [[SK 와이번스|{{{#1f2023,#e5e5e5 SK 와이번스}}}]]}}} || [[박병호|{{{#1f2023,#e5e5e5 박병호}}}]][br]{{{-2 [[넥센 히어로즈|{{{#1f2023,#e5e5e5 넥센 히어로즈}}}]]}}} || [[한유섬|{{{#1f2023,#e5e5e5 한동민}}}]][br]{{{-2 [[SK 와이번스|{{{#1f2023,#e5e5e5 SK 와이번스}}}]]}}} || ||<-6><bgcolor=#f5f5f5,#2d2f34><color=#1f2023,#e5e5e5> {{{-2 2019 시즌}}} || ||<rowbgcolor=#002561><rowcolor=#fff> {{{-1 4월}}} || {{{-1 5월}}} || {{{-1 6월}}} || {{{-1 7월}}} || {{{-1 8월}}} || {{{-1 9월}}} || || [[타일러 윌슨|{{{#1f2023,#e5e5e5 윌슨}}}]][br]{{{-2 [[LG 트윈스|{{{#1f2023,#e5e5e5 LG 트윈스}}}]]}}} || [[양현종|{{{#1f2023,#e5e5e5 양현종}}}]][br]{{{-2 [[KIA 타이거즈|{{{#1f2023,#e5e5e5 KIA 타이거즈}}}]]}}} || [[최정|{{{#1f2023,#e5e5e5 최정}}}]][br]{{{-2 [[SK 와이번스|{{{#1f2023,#e5e5e5 SK 와이번스}}}]]}}} || [[조쉬 린드블럼|{{{#1f2023,#e5e5e5 린드블럼}}}]][br]{{{-2 [[두산 베어스|{{{#1f2023,#e5e5e5 두산 베어스}}}]]}}} || [[양현종|{{{#1f2023,#e5e5e5 양현종}}}]][br]{{{-2 [[KIA 타이거즈|{{{#1f2023,#e5e5e5 KIA 타이거즈}}}]]}}} || [[카를로스 페게로|{{{#1f2023,#e5e5e5 페게로}}}]][br]{{{-2 [[LG 트윈스|{{{#1f2023,#e5e5e5 LG 트윈스}}}]]}}} || ||<-6><bgcolor=#f5f5f5,#2d2f34><color=#1f2023,#e5e5e5> {{{-2 2020 시즌}}} || ||<rowbgcolor=#002561><rowcolor=#fff> {{{-1 5월}}} || {{{-1 6월}}} || {{{-1 7월}}} || {{{-1 8월}}} || {{{-1 9월}}} || {{{-1 10월}}} || || [[구창모(야구선수)|{{{#1f2023,#e5e5e5 구창모}}}]][br]{{{-2 [[NC 다이노스|{{{#1f2023,#e5e5e5 NC 다이노스}}}]]}}} || [[멜 로하스 주니어|{{{#1f2023,#e5e5e5 로하스}}}]][br]{{{-2 [[kt wiz|{{{#1f2023,#e5e5e5 kt wiz}}}]]}}} || [[허경민|{{{#1f2023,#e5e5e5 허경민}}}]][br]{{{-2 [[두산 베어스|{{{#1f2023,#e5e5e5 두산 베어스}}}]]}}} || [[소형준|{{{#1f2023,#e5e5e5 소형준}}}]][br]{{{-2 [[kt wiz|{{{#1f2023,#e5e5e5 kt wiz}}}]]}}} || [[양의지|{{{#1f2023,#e5e5e5 양의지}}}]][br]{{{-2 [[NC 다이노스|{{{#1f2023,#e5e5e5 NC 다이노스}}}]]}}} || [[라울 알칸타라|{{{#1f2023,#e5e5e5 알칸타라}}}]][br]{{{-2 [[두산 베어스|{{{#1f2023,#e5e5e5 두산 베어스}}}]]}}} || ||<-6><bgcolor=#f5f5f5,#2d2f34>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5f5f5; border: solid 2px #f5f5f5; padding: 0px 15px; font-size: 0.8em; width: 50%; height: 10px; text-align: left" {{{#1f2023 ◀ [[틀:KBO 월간 MVP/2010~2015|{{{#002561 '''2010~2015''' 월간 MVP}}}]]}}}}}}{{{#!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5f5f5; border: solid 2px #f5f5f5; padding: 0px 15px; font-size: 0.8em; width: 50%; height: 10px; text-align: right" {{{#1f2023,#e5e5e5 [[틀:KBO 월간 MVP/2021~2025|{{{#002561 '''2021~2025''' 월간 MVP}}}]] ▶}}}}}}||





kt wiz 등번호 30번
안승한
(2018)
소형준
(2020~)
현역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투수1 고영표 · 18 정우영 · 19 고우석 · 21 박세웅
29 김광현 · 30 소형준 · 34 김원중 · 45 이용찬
46 원태인 · 48 이의리 · 54 양현종 · 57 김윤식
59 구창모 · 61 곽빈 · 65 정철원
포수25 양의지 · 56 이지영
내야수2 김혜성 · 7 김하성 · 10 오지환 · 11 에드먼
14 최정 · 50 강백호 · 52 박병호
외야수17 박해민 · 22 김현수 · 37 박건우
47 나성범 · 51 이정후 · 53 최지훈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강철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기태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1 정현욱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0 진갑용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김민호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김민재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1 배영수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심재학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kt wiz No.30
소형준
蘇珩準 | So Hyeongjun
출생2001년 9월 16일 (22세)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호암초(의정부리틀) - 구리인창중 - 유신고
신체189cm | 92kg | B형
포지션선발 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 입단2020년 1차 지명 (kt)
소속팀kt wiz (2020~)
연봉2억 2,000만 원 (31.3%↓, 2024년)
등장곡Imagine Dragons - 《Natural》[1]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가족아버지, 어머니[1]
MBTIESTJ[2]
후원사미즈노[3]
에이전시어썸스포츠
[1] 외동아들이다.[2] 구단 유튜브 검사에서는 ENTJ로 나왔으나 2022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ESTJ라고 밝혔다. 1년에 1번씩 검사를 했는데 ENTJ→ESFJ→ESTJ로 이동했다고 한다.[3] 한국미즈노 후원
파일:kt wiz 엠블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3. 플레이 스타일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kt wiz 소속 우완 투수.

2020년 KBO 신인왕 수상자로, 2006년 류현진 이후 처음으로 고졸 신인 선발 투수로서 10승을 달성한 선수이자, 1992년 정민철과 함께 고졸 신인 선발 투수로서 최다 연승인 7연승을 달성한 선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3. 플레이 스타일[편집]


152km/h 포심 패스트볼 vs박건우
147km/h 투심 패스트볼 vs페르난데스
129km/h 체인지업 vs김지수
122km/h 커브 vs박민우

KBO에서 보기 힘든 변형 패스트볼 위주의 피칭을 하는 토종 투수로, 평균 140km/h 초반의 패스트볼을 던지는 우완 투수이다. 고등학교와 프로 첫 해에는 포심 패스트볼을 어느 정도 던졌으나 연차가 쌓일수록 점차 비중을 줄였다. 우타자에게는 주로 투심을, 좌타자에게는 커터[2]를 주로 던지며, 좌우 상관없이 체인지업을 20%,커브를 10% 정도의 비율로 구사한다. 투심, 커터를 많이 던지는 투수들이 흔히 그렇듯 땅볼의 비율이 매우 높고, 삼진 비율은 상당히 낮다.

2022년 시즌 초반 투구폼에서 자유발을 드는 높이를 낮추고 살짝 멈추는 동작을 추가하며 키킹동작을 길게 가져가는 변화를 주었는데 이로 인해서 상대 타자들이 타이밍을 맞추는 데에 더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소형준 본인의 언급에 따르면 축이 되는 다리에 무게중심이 더 실리며 머리가 고정되고 투구 밸런스도 더 좋아졌다고 한다. 이 시즌 구속도 더 빨라지며 스텝업에 성공해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고 비록 후반기에 어깨가 좋지 않아 전반기 페이스에 비해서 아쉬운 모습을 보였지만 안우진-김광현-고영표에 이은 리그 토종선발 WAR 4위의 뛰어난 성적을 3년차에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큰 경기에서 강하다. 데뷔 시즌부터 PO 1차전 선발로 나와 눈부신 호투를 보여준 것부터 시작해 3년차까지 포스트시즌 성적이 ERA 1.5도 채 되지 않는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2021년까지는 항상 포스트시즌에서 자신이 상대전적에서 매우 강했던 두산을 상대했던지라 좋은 성적을 낸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였지만 2022년 포스트시즌에서 상대 전적이 그리 좋지 못했던 KIA와 키움 타선을 상대로도 호투하였다.

4. 여담[편집]


  • 아버지가 해태 타이거즈의 열혈 팬이었으나 어릴 적 집안 반대로 못 이뤘던 야구 선수의 꿈을 아들이 태어나면 꼭 이루도록 하리라 결심했고, 이에 따라 소형준도 어릴적부터 이모와 부모님을 비롯한 가족들이 야구를 좋아해서 자주 경기를 보러 다니며 야구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 초등학교에 입학한 2008년 리틀 야구단에 입단하여 집에서 매일 팔굽혀펴기 60개와 섀도우 피칭 100개를 하며 투구의 기본기를 익혔다.

  • 본인 키는 187cm로 크지만 부모님 키(아버지 173cm, 어머니 160cm)는 대한민국 평균 정도인데 밤 9시 전에 잠들고 자주 스트레칭을 하는 습관 덕이었는지 중학교 입학 때 163cm에 불과했던 키가 졸업 무렵엔 180cm을 넘겼다고 한다.

  • 구리 인창중학교를 졸업한 후 원래는 서울 장충고등학교에 진학하려고 했었으나 소형준의 잠재력을 알아본 유신고등학교 감독과 민유기 야구부장, 코칭스태프의 설득으로 최종적으로는 장충고등학교 대신 유신고등학교에 입학했고, 수원 연고팀 kt wiz의 1차 지명을 받을 수 있었다. 만약 유신고 대신 장충고에 입학했으면, 전학생 규정에 걸려 1차 지명을 못 받고 2차 지명으로 나와야 했을 수 있었다.


  • 별명은 대형준[3], 꽃형준, 스몰준, 삼진형준 등이 있다. 10승을 달성한 이후의 별명은 특대형준[4]이며, 가장 아끼는 별명은 ‘필소굿(feel so good)’이라고. 사실 키가 187cm라 체격이 크기는 하다.

  • 라디오볼에서 밝힌 바로는 어렸을 때 두산 베어스의 팬이었고 두산 어린이 회원 출신이라고 밝힌 적이 있다. 그런데 본인은 두산을 상대로 매우 강하다. 두산 팬들은 소형준만 보면 거의 경기를 일으키는 수준. 오죽하면 유튜브 두산 팬계정[5]소형준 두산 상대 탈삼진 모음집이 올라올 정도. 그래서인지 올스타전에서 철웅이에게 주먹으로 맞았다.[6]


  • 커터를 배운 방법으로 그립은 팀의 외인투수인 데스파이네와 윌리엄 쿠에바스에게 배우고 전체적인 느낌은 유튜브를 통해 류현진이 던지는 모습을 참고해 이미지 트레이닝을 했다고 한다.

  • 야잘잘의 법칙을 거스르며, 타격엔 재능이 없는 편이라고 밝혔다.


  • 가장 친한 선수는 천성호. 위즈티비에서 무인도에 간다면 데려갈 선수를 꼽아달라고 할 때 고르기도 했다.

  • 한때 같은 팀의 투수진에 같은 생일인 선수가 2명이나 있었다. 고영표, 김재윤과 생일이 동일하다. 고영표는 선발투수이기 때문에 같은 날 경기에 설 일이 거의 없으나 2021년 10월 30일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고영표를 불펜으로 투입하며 생일이 같은 투수 3명만으로 경기를 치르는 전무후무한 일이 발생했다. 김재윤이 2023 시즌을 끝으로 kt를 떠나며 현재는 한 명이 되었다.

  • 초등학교 시절 대회에서의 투구 영상이 돌아다니고 중계 화면에도 송출된 적이 있는데, 현재와 똑같은 외모로 마이크로형준이라는 별명이 생기기도. 어릴 때나 현재나 잘 관리된 체형을 유지하지만 젖살이 남아있는 탓인지 얼굴만 다소 통통한 편이다.


  • 아직 에이전트에 대한 관심은 없다고 한다. 따라서 첫 연봉 협상을 직접 하게 되었다. 본인의 말에 따르면 각종 에이전시에서 연락이 많이 왔지만 지금으로선 그런 게 필요하지 않다 생각한다고. 그러나 지금은 에이전트의 중요성을 깨달았는지 어썸스포츠 소속이다.

  • 파일:소형준 졸업사진.png
    스티브 잡스를 패러디한 고등학교 졸업사진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7][8]

  • 동갑내기인 축구선수 이강인과 꽤나 친하다. 이강인이 kt스포츠의 후원을 받다 보니 kt스포츠에서 제작한 스포츠 콘텐츠에 참여하면서 소형준과 친분을 쌓았다고 한다. 2022년 6월 22일 이강인이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시구를 할 때도 소형준이 직접 시구 지도를 맡았으며, 이강인이 소형준에게 자신이 싸인이 담긴 축구대표팀 유니폼을 선물하기도 했다. 2023년 10월엔 홈구장 바로 옆인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베트남전에 티켓을 선물받아 직관을 가기도 했다.[9]

  •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도경완의 딸 하영이와 닮았다.

  • OOTP 22에서 시리즈 처음으로 한글화가 되었는데, 성인 소(SO)씨가 삼진아웃(Strike Out)으로 오역이 되어서 삼진형준으로 번역된 적이 있었다.

  • 2000년대생 야구선수 중 최초로 신인왕이 되었다.[10]


  • 영어 유치원 출신이라고 밝혔다. 물론 유창하게 영어를 구사하는건 아닌듯 보이나 짧은 영어로도 외국인 선수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정도의 실력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파일:소형준 내맘대로 올스타.jpg
  • kt wiz 구단 유튜브 kt wiz - 위즈TV에 출연하는 비중이 굉장히 높다. 사실상 위즈티비 대주주. 실제로도 대부분의 개그스러운 콘텐츠의 출연 비중에서 열에 아홉은 소형준이 있다. 한 번은 다른 선수들을 제치고 올스타 선정하고 싶은 선수 1등에 자기 이름을 쓰기도 했는데# 정말로 감독 추천으로 2022년 올스타에 뽑혔다. 그 외에도 팬서비스가 굉장히 좋고, 특유의 낙천적인 성격으로 팬들에게 많은 환호를 받는다.

  • 2022 시즌 개막을 앞두고 미디어데이에서 박병호와 함께 호그와트 마법사 컨셉으로 교복을 입었는데 정말 잘 어울린다.

  • 2022년 만우절에는 먹방 유튜버 "대형준TV" 컨셉으로 구장 내 음식점 먹방을 했다.# 훗날 은퇴하게 된다면 유튜버를 하고 싶다고 밝혔다.

  • kt의 영구결번이 꿈이라고 한다.

  • 고등학교 시험시간에 본인이 대형 스타가 될 것을 알았는지 문제를 풀기 보다는 시험지 뒷면에 계속 사인 연습을 했다는 당시 교사의 증언이 있다.

  • 고교 시절 유종겸 코치로부터 투심을 배웠다.

  • 이대호가 선수시절 말년에 상대하기 힘든 투수로 꼽았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오대장 로고.png
수비대장

[[문성곤|
🏀 문성곤
]]
마구대장
>
[[고영표|
고영표
]]
기술대장
>
[[이강인|
⚽️ 이강인
]]
캐리대장
>
[[김기인|
🎮 기인
]]
파워대장
>
[[강백호(야구선수)|{{{#!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px -10px"⚾ 강백호]]
전 멤버 [ 펼치기 · 접기 ]
공식 홈페이지
파일:KT 로고.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매니저 주매니저


[1] 같은 팀의 야수 문상철과 등장곡이 같다.[2] 프로에서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에게 배워 장착한 것이다.[3] 여기서 파생된 별명인 '대형투수'도 있는데, 그 예시로 2022년 7월 3일 두산전 7이닝 10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을 때 김민준 캐스터가 '대형투수 소형준'이라고 한 것이 있다.[4] 또는 메가형준, 기가형준, 테라형준 등으로 점점 큰 단위로 변형해 부르기도 한다.[5] 일단 팬계정이긴 한데, 시발 베어스라는 범상찮은 이름만 봐도 알 수 있듯이 2017년 한국시리즈 김재호 플라이 모음집, 2018년 한국시리즈 박건우 안타 모음집 등 두산 팬들이 PTSD가 올만한 영상 위주로 올리고 있다.[6] 그리고 철웅이는 이듬해에는 팀의 두나쌩 선발인 고영표를 공격했다.[7] 공교롭게도 모기업 KT아이폰을 국내 최초 발매한 곳이기도 하다.[8] 다만 이강인과 통화할 때는 갤럭시 S10 5G를 쓰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아마 졸업사진을 찍었을 때 아이폰을 쓰다가 폰을 바꿨거나 혹은 사진 찍을 때 패러디한다고 다른 사람의 아이폰을 잠깐 빌렸을 수도 있다.[9] 소형준 뿐만 아니라 외국인 선수들인 웨스 벤자민, 윌리엄 쿠에바스, 앤서니 알포드도 같이 직관을 갔었다. 손흥민의 유니폼을 입었었다고 하며, 통역사를 통해 표를 구했다고 한다.[10] 전년도 수상자인 정우영도 고졸 신인은 맞으나, 1년 유급하여 그 전년도 수상자인 강백호와 동갑인 1999년생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09:50:24에 나무위키 소형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