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대전/연표

덤프버전 :




1.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1.1. 러일전쟁(1904 ~ 1905) 시작
1.2. 러일전쟁(1904 ~ 1905) 끝
1.2.2. 1908, 미국 FBI, BOI(Bureau of Investigation)로 탄생
1.2.3. 1910, 대한제국의 멸망
1.2.4. 1912, RMS 타이타닉호 침몰
2. 제1차 세계 대전(1914 ~ 1918, 5년간)
2.1. 1914
2.1.4. 1914, 독일 제국, 국경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승리
2.1.6. 1914, 독일 제국, 마른 전투에서 발목이 잡힘
2.1.7. 1914, 참호전의 시작(소모전)
2.2. 1915
2.3. 1916
2.4. 1917
2.4.2. 1917, 러시아 제국의 멸망, 소련 탄생
2.5. 1918
2.5.2. 1918, 미군의 본격적 병력 투입
2.5.3. 1918, 백일전투의 승리
3. 전간기
3.2. 광란의 1920년대(1919 ~ 1929) 시작
3.2.1. 금주법 기간(1920 ~ 1933) 시작
3.2.1.2. 1924, 이오시프 스탈린, 권력투쟁 승리
3.3. 광란의 1920년대(1919 ~ 1929) 끝
3.4. 세계 대공황(1929 ~ 1939)의 시작
3.4.2. 금주법 기간(1920 ~ 1933) 끝
3.4.2.1. 1934, 아돌프 히틀러의 등장
3.4.2.2. 1936, 일본 제국에서 2.26 사건 발생
3.4.3. 중일전쟁(1937 ~ 1945) 시작
3.5. 세계 대공황(1929 ~ 1939)의 끝
4.1. 1939
4.1.1. 1939, 독일의 폴란드 침공
4.1.2. 1939, 소련의 핀란드 침공
4.2. 1940
4.2.1. 1940, 독일의 프랑스 침공
4.3. 1941
4.3.1. 1941, 일본의 미국 침공: 진주만 공습
4.3.2. 독소전쟁(1941 ~ 1945)의 시작
4.3.2.1. 1941, 독일의 소련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
4.4. 1942
4.4.1. 1942, 미해군의 일본 해군 섬멸: 미드웨이 해전
4.4.2. 1942, 소련의 주도권 전환: 스탈린그라드 전투
4.5. 1943
4.5.1. 1943, 소련의 우위 확인: 쿠르스크 전투
4.6. 1944
4.6.1. 1944, 유럽해방: 노르망디 상륙작전
4.6.2. 1944, 브레튼우즈 체제(금본위제도)
4.6.3. 1944,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의 반격
4.6.4. 아르덴 대공세(1944 ~ 1945) 시작
4.7. 1945
4.7.1. 아르덴 대공세(1944 ~ 1945) 끝: 독일 공군 전멸
4.7.2. 독소전쟁(1941 ~ 1945)의 끝
4.7.3. 중일전쟁(1937 ~ 1945) 종료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의 시작


1. 제1차 세계 대전 이전[편집]


1901년 이전까지는 빅토리아 시대 참고


  • 1902년



1.1. 러일전쟁(1904 ~ 1905) 시작[편집]


  • 1904년
    • 2월 7일: 일본 연합함대의 대규모 무력군단을 본 러시아 제국의 포함인 코리에츠는 여순항에 지원 요청을 보냄
    • 2월 8일
      • 이른 아침, 코리에츠함이 일본의 순양함 지요다구를 발견하고 포를 쏨, 지요다구는 어뢰대응, 양측 화재발생,
      • 이후, 일본의 우류제독이 경순양함, 어뢰정 10여척을 이끌고 3000명의 군사들을 제물포에 상륙시킴
      • 이후, 서울과 대한제국의 나머지 부분을 점령
    • 2월 9일
      • 오후까지 일본군과 러시아군이 전투를 벌여 일본군이 러시아군의 승조원을 학살함, 이후 러시아 군은 전함 두 대를 자침시킴.
      • 일본 함대가 제물포 항구에 5만명의 병력을 상륙시킴
    • 2월 12일
      • 러시아공사가 철수함.
      • 대한제국과 러시아는 국교가 단절됨,
      • 침몰한 러시아의 함정은 인양되어 일본군 함정으로 개조됨.
    • 2월: 뤼순에 러시아 제국의 해군 중장, '오시포비치 마카로프' 임명
    • 3월: 뤼순에 러시아 제국의 해군 중장, '오시포비치 마카로프' 부임
    • 4월 13일: 러시아 제국의 해군 중장, '오시포비치 마카로프'가 탄 기함이 기뢰에 피격, 격침되고 제독 자신도 전사.
    • 4월 30일: 러시아 제국군과 일본 제국군 사이에 신의주 주변에서 '압록강 전투' 발생
    • 6월: 중순, 노기 마레스케 대장을 지휘관으로 하는 일본군 제3군 다롄에서 편성 완료
    • 7월 12일: 일본군 제3군, 공식적인 일본 해군의 요청을 받고 즉시 뤼순 공략에 착수
    • 8월 1일: 뤼순 공방전 시작
    • 8월 19일: 뤼순 공방전 1차 총공세 시작
    • 8월 24일: 뤼순 공방전 1차 총공세 종료
    • 9월 19일: 뤼순 공방전 2차 총공세 시작
    • 9월 22일: 뤼순 공방전 2차 총공세 종료
    • 10월 26일: 뤼순 공방전 3차 총공세 시작
    • 10월 30일: 뤼순 공방전 3차 총공세 종료
    • 11월 초: 러시아 제국의 제2태평양함대가 인도양에 도착했다는 정보를 입수
    • 11월 26일: 뤼순 공방전 4차 총공세, 203고지 시작
    • 12월 6일: 뤼순 공방전 4차 총공세, 203고지 종료: 러시아 측 사상자 6천여명, 일본측 사상자 1만6천여명.


1.1.1. 1905, 쓰시마 해전[편집]



1.2. 러일전쟁(1904 ~ 1905) 끝[편집]



1.2.1. 1905, 을사조약[편집]



  • 1906년

  • 1907년
    • 7월 19일
      • 대한제국 1대 황제, 고종 폐위(재위기간: 9년 9개월 8일, 3568일)
      • 대한제국 2대 황제, 순종 즉위(재위기간: 3년 1개월 9일, 1137일)


1.2.2. 1908, 미국 FBI, BOI(Bureau of Investigation)로 탄생[편집]





1.2.3. 1910, 대한제국의 멸망[편집]



  • 1911년


1.2.4. 1912, RMS 타이타닉호 침몰[편집]



  • 1913년
    • 일자미상: 포드(자동차), 컨베이어 벨트 생산 방식을 만듦, 포드 모델 T의 생산속도를 비약적으로 높이고,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를 시작. 이후 1926년까지 13년간 일대 폭풍을 몰아치며 시장을 접수하기 시작함.
    • 일자미상: 벨기에에서 징병제 도입.
    • 3월: 미국 27대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31기 공화당 임기종료
    • 3월: 미국 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 32기 민주당 임기시작


2. 제1차 세계 대전(1914 ~ 1918, 5년간)[편집]



2.1. 1914[편집]



2.1.1. 1914, 사라예보 사건[편집]



2.1.2. 1914,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전쟁 선포[편집]



2.1.3. 1914, 독일 제국, 벨기에 침공[편집]



2.1.4. 1914, 독일 제국, 국경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승리[편집]



2.1.5. 1914, 독일 제국, 탄넨베르크 전투에서 러시아 제국군에 승리[편집]



2.1.6. 1914, 독일 제국, 마른 전투에서 발목이 잡힘[편집]



2.1.7. 1914, 참호전의 시작(소모전)[편집]




2.2. 1915[편집]



2.2.1. 1915, 무제한 잠수함 작전[편집]



2.2.2. 1915, 다르다넬스 해전[편집]



2.2.3. 갈리폴리 상륙작전(1915 ~ 1916)의 시작[편집]




2.3. 1916[편집]



2.3.1. 갈리폴리 상륙작전(1915 ~ 1916)의 끝[편집]



2.3.2. 1916, 베르됭 전투[편집]



2.3.3. 1916, 솜 전투[편집]




2.4. 1917[편집]



2.4.1. 1917, 2차 무제한 잠수함 작전[편집]



2.4.2. 1917, 러시아 제국의 멸망, 소련 탄생[편집]




2.5. 1918[편집]



2.5.1. 1918, 우드로 윌슨, 민족자결주의 선언[편집]



2.5.2. 1918, 미군의 본격적 병력 투입[편집]



2.5.3. 1918, 백일전투의 승리[편집]




3. 전간기[편집]



3.1. 1919, 3.1 운동, 5.4 운동[편집]




3.2. 광란의 1920년대(1919 ~ 1929) 시작[편집]



3.2.1. 금주법 기간(1920 ~ 1933) 시작[편집]




  • 1922년[1]


3.2.1.1. 1923, 관동 대지진 발생[편집]



3.2.1.2. 1924, 이오시프 스탈린, 권력투쟁 승리[편집]





  • 1928년


3.3. 광란의 1920년대(1919 ~ 1929) 끝[편집]



3.4. 세계 대공황(1929 ~ 1939)의 시작[편집]


  • 1929년
  • 1930년
    • 일자미상: 마피아 세력간에 카스텔람마레 전쟁이 벌어져 50명 이상이 사망함.


3.4.1. 1931, 만주사변[편집]



  • 1932년
    • 7월 8일: 다우지수 41.22를 기록. 바닥 중의 바닥.


3.4.2. 금주법 기간(1920 ~ 1933) 끝[편집]


  • 1933년


3.4.2.1. 1934, 아돌프 히틀러의 등장[편집]

  • 1934년
    • 일자미상: 폭스바겐의 시작.
    • 일자미상: 아돌프 히틀러 독일에서 권력을 잡음
    • 1월: 존 딜린저, 인디애나 주 이스트시카고의 퍼스트 내셔널 뱅크를 텀.
    • 3월 30일: 존 딜린저, 애인 프래챗과 FBI의 수사에서 도망침
    • 4월 3일: 존 딜린저를 도운 그린, FBI의 습격을 받고 사살됨.
    • 7월 22일: 존 딜린저, 새로운 애인 폴리 해밀턴, 그리고 배신자 쿰파나슈는 영화관에 갔다가 사살당함.

  • 1935년[2]


3.4.2.2. 1936, 일본 제국에서 2.26 사건 발생[편집]

  • 1936년[4]


3.4.3. 중일전쟁(1937 ~ 1945) 시작[편집]



  • 1938년[5]


3.5. 세계 대공황(1929 ~ 1939)의 끝[편집]



4. 제2차 세계 대전[편집]



4.1. 1939[편집]



4.1.1. 1939, 독일의 폴란드 침공[편집]


  • 1939년
    • 일자미상: 독일유산학술협회, 아넨에르베, 하인리히 힘러SS로 흡수해 친위대 정규조직 아넨에르베SS가 됨.
    • 일자미상: 오즈의 마법사 영화 개봉
    • 3월 15일: 독일, 체코슬로바키아 병합
    • 5월 11일: 할힌골 전투 시작[6]
    • 8월 23일: 독소 불가침조약
    •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공
    • 9월 16일: 할힌골 전투 종료

4.1.2. 1939, 소련의 핀란드 침공[편집]


  • 1939년
    • 배경: 핀란드, 소련의 요구 거부
    • 11월 26일: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동맹, 마이닐라에서 핀란드군이 소련군을 폭격한 것을 명분으로 선전포고. 사실 소련의 자작극이었다(...)


4.2. 1940[편집]



4.2.1. 1940, 독일의 프랑스 침공[편집]




4.3. 1941[편집]



4.3.1. 1941, 일본의 미국 침공: 진주만 공습[편집]



4.3.2. 독소전쟁(1941 ~ 1945)의 시작[편집]



4.3.2.1. 1941, 독일의 소련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편집]



4.4. 1942[편집]



4.4.1. 1942, 미해군의 일본 해군 섬멸: 미드웨이 해전[편집]



4.4.2. 1942, 소련의 주도권 전환: 스탈린그라드 전투[편집]




4.5. 1943[편집]



4.5.1. 1943, 소련의 우위 확인: 쿠르스크 전투[편집]



4.5.2. 1943, 임팔 작전[편집]




4.6. 1944[편집]



4.6.1. 1944, 유럽해방: 노르망디 상륙작전[편집]



4.6.2. 1944, 브레튼우즈 체제(금본위제도)[편집]



4.6.3. 1944,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의 반격[편집]



4.6.4. 아르덴 대공세(1944 ~ 1945) 시작[편집]


  • 1944년
    •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작전[10]
    • 6월 19일: 필리핀 해 해전
    • 6월 22일: 바그라티온 작전
    • 7월 20일: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발키리 작전[11]
    • 8월 23일: 루마니아가 항복하고 추축국에서 이탈
    • 9월 8일: 불가리아가 항복하고 추축국에서 이탈
    • 10월 23일: 레이테 만 해전
    • 12월 16일: 아르덴 대공세 시작


4.7. 1945[편집]



4.7.1. 아르덴 대공세(1944 ~ 1945) 끝: 독일 공군 전멸[편집]



4.7.1.1. 1945,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사망[편집]


4.7.1.2. 1945, 베를린 전투: 독일의 항복[편집]


4.7.1.3. 1945, 아돌프 히틀러의 자살[편집]


4.7.1.4. 1945,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일본의 항복[편집]


4.7.2. 독소전쟁(1941 ~ 1945)의 끝[편집]



4.7.3. 중일전쟁(1937 ~ 1945) 종료[편집]


  • 1945년
    •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39기 민주당 임기종료
    •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40기 민주당 임기시작
    • 1월 12일: 윈스턴 처칠이 소련군에게 동부전선에서 독일군을 공격해 달라고 요청, 이에 소련군 독일로 진격,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시작.
    • 1월 13일: 소련군, 동프로이센 영토로 진격
    • 1월 25일: 아르덴 대공세 종료: 독일의 회심의 반격 실패, 공군 전멸, 패망 6개월 앞당김.
    • 1월 28일: 소련군, '메멜' 탈취.
    • 2월 15일: 독일군 소련군에 대한 공세 시작.
    • 2월 18일: 독일군 사령관의 부상으로 독일군 공세 중단
    • 2월 19일: 소련군 사령관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가 반격 개시
    • 2월 18일: 이오지마 전투[12]
    • 2월 19일: 람리 섬 전투
    • 2월 24일: 독일군 참패후, 후퇴.
    • 3월 9일: 도쿄 대공습 시작
    • 3월 10일: 도쿄 대공습 종료
    • 3월 28일
    • 4월[13]
    • 4월 1일: 오키나와 전투
    • 4월 9일: 독일의 쾨니히스베르크 방어군 소련군에 항복. 이후 칼리닌그라드로 이름이 바뀜
    • 4월 12일: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40기 민주당 뇌출혈로 사망
    • 4월 12일: 미국 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40기 민주당 임기시작
    • 4월 16일: 베를린 공방전중, '젤로 고지'전투 시작 [14]
    • 4월 19일: 베를린 공방전중, '젤로 고지'전투 끝: 소련군 돌파. 게오르기 주코프가 베를린 공략의 주공을 맡게 됨.
    • 4월 21일: 게오르기 주코프 휘하의 제1벨라루스 전선군 포병, 베를린 무차별 포격시작.
    • 4월 23일
    • 4월 24일: '펠릭스 슈타이너' 무장친위대 대장의 배신을 알아챈 아돌프 히틀러, "나는 전쟁에서 졌다!"라고 소리치며 자살을 결심.
    • 4월 28일: 베니토 무솔리니, 게릴라에게 잡혀 총살당함.
    • 4월 29일
    • 4월 30일
    • 5월 8일: 독일 정부, 서방 연합군에 항복
    • 5월 9일: 독일 정부, 소련을 포함한 전체 연합군에 항복
    • 8월 6일: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
    • 8월 9일: 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8월 15일: 옥음방송을 통해 일본천황 종전 결정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의 시작[편집]


  • 1946년
  • 1947년
  • 1948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1:39:47에 나무위키 세계 대전/연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위대한 개츠비의 시작 시점.[2]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중 2편, '템플 오브 둠'에서 묘사되는 시점.[3] 킹스 스피치에서 묘사되는 시기[4]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중 1편, '레이더스'에서 묘사되는 시점.[5]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3편, 최후의 성배에서 묘사되는 시점.[6] 무지갯빛 트로츠키에 묘사된 시점.[7] 덩케르크(영화)에서 묘사되는 시점.[8] 에너미 앳 더 게이트에서 묘사되는 시점.[9] 여명의 눈동자의 '최대치'가 참전[10]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묘사된 시점[11] 작전명 발키리에서 묘사된 시점[12] 아버지의 깃발,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가 묘사하는 시점[13] 퓨리(영화)에서 묘사된 시점[14] 영화, 다운폴이 시작시하는 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