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대학교

덤프버전 : (♥ 0)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이원화 캠퍼스 목록 / 분교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별 캠퍼스 문서
[ 펼치기 · 접기 ]






파일:B9EF5F8E-E323-4859-8610-D9401180142E.jpg
[ 펼치기 · 접기 ]
2020학년도 기준
대학EACCACETAC어코드대학EACCACETAC어코드
가천대학교O--워싱턴가톨릭대학교O--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OO-서울/워싱턴강원대학교O--워싱턴
거제대학교--O시드니건국대학교OO-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OO-서울/워싱턴경기대학교OO-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OO-워싱턴경복대학교--O더블린
경북대학교OO-서울/워싱턴경상국립대학교O--워싱턴
경성대학교OO-서울/워싱턴경일대학교O--워싱턴
경희대학교OO-서울/워싱턴계명대학교OO-워싱턴
고려대학교O--워싱턴공주대학교(천안)O--워싱턴
광운대학교OO-서울/워싱턴구미대학교--O더블린
국민대학교OO-서울/워싱턴군산대학교O--워싱턴
금오공과대학교OO-서울/워싱턴단국대학교(죽전)OO-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O--서울/워싱턴대구대학교O--워싱턴
대덕대학교--O더블린/시드니대진대학교O--워싱턴
동국대학교OO-서울/워싱턴동국대학교 경주O--워싱턴
동명대학교OO-서울/워싱턴동서대학교O--워싱턴
동서울대학교--O더블린/시드니동신대학교OO-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OO-서울/워싱턴동원대학교--O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O더블린동의대학교OO-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O더블린/시드니마산대학교--O더블린
명지대학교OO-서울/워싱턴목원대학교O--워싱턴
목포대학교OO-서울/워싱턴부경대학교O--워싱턴
부산대학교OO-워싱턴백석대학교-O-서울
상명대학교(서울)-O-서울상명대학교(천안)O--워싱턴
상지대학교O--워싱턴서강대학교OO-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O더블린서울과학기술대학교OO-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O--워싱턴서울시립대학교O--워싱턴
선문대학교OO-서울/워싱턴성결대학교OO-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OO-서울/워싱턴세종대학교OO-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O더블린숙명여자대학교-O-서울
순천대학교OO-서울/워싱턴순천향대학교O--워싱턴
숭실대학교OO-서울/워싱턴신라대학교O--워싱턴
아주대학교OO-서울/워싱턴아주자동차대학교--O더블린
안동대학교OO-서울/워싱턴연성대학교--O시드니
연세대학교OO-서울/워싱턴영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O더블린/시드니영진전문대--O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O시드니/더블린울산대학교OO-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OO-서울/워싱턴이화여자대학교OO-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OO-서울/워싱턴인천대학교O--워싱턴
인하대학교O--워싱턴전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OO-서울/워싱턴전주대학교O--워싱턴
제주대학교O--워싱턴제주한라대학교--O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OO-워싱턴중앙대학교OO-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O--워싱턴청주대학교OO-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OO-서울/워싱턴충북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경대학교O--워싱턴한국교통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O--워싱턴한국산업기술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O--워싱턴한국항공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OO-서울/워싱턴한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OO-서울/워싱턴한라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밭대학교OO-서울/워싱턴한성대학교O--워싱턴
한신대학교O--워싱턴한양대학교-O-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O-워싱턴호남대학교O--워싱턴
호서대학교OO-서울/워싱턴호원대학교-O-서울
홍익대학교(서울)OO-서울/워싱턴홍익대학교(세종)O--워싱턴


파일:KAAB-logo.gif
[ 펼치기 · 접기 ]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홈페이지인증기간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4-2022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2008-2023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9-2024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21-2025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2021-2026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13-2022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4-2021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2-2022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2010-2026
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7-2022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20-2025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1-2026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2011-2022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7-2021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2011-2026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2019-2023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2-2021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2011-2026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1-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2-2024
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2017-2022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2-2022
한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2013-2024
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15-2026
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2010-2025
한양대학교(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2008-2023
한양대학교(에리카)
공학대학
건축학부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홈페이지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1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펼치기 · 접기 ]
회원대학대학파일:가야대학교 UI.svg 가야대학교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파일:서원대학교 UI.svg 서원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유원대학교 UI.svg 유원대학교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파일:한경국립대학교 로고.svg 한경국립대학교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파일:호원대학교 UI.svg 호원대학교
전문대학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대학원대학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광운대학교
光云大學校
Kwangwoon University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파일:광운대학교 커뮤니케이션마크.svg
교훈참 · 빛 (VERITAS et LUX)
상징슬로건융합의 중심, 광운 Collaboration[1]
동물비마
교색
광운 브라운}}}[2][3]
광운 옐로우}}}[4][5]
광운 블루}}}[6][7]
광운 화이트}}}[8][9]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분류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개교1934년 5월 20일 조선무선강습소
설립자조광운[10]
총장제12대 천장호
법인학교법인 광운학원
주소서울특별시 노원구 광운로 20 (월계동)
재학생학부생8,447명(2023년)[11]
대학원생1,361명(2023년)[12]
교직원교원988명(2023년)[13]
직원228명(2023년)[14]
대학기본역량진단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년)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지도 펼치기 ]

서울캠퍼스

파일:광운대학교 캠퍼스 전경.jpg
광운대학교 캠퍼스 전경

1. 개요
3.1. 연혁
4.1. 학풍(학생문화)
6.1. 전공 특성
6.2. 전자공학시초
6.3. 고시반
9.1. 부설교육기관
9.2. 정보과학교육원
9.3. 언어교육원
18.2. 국내대학평가
19. 여담



1. 개요[편집]


파일:광운대학교 80주년 기념관.jpg
광운대학교 80주년 기념관
광운대학교 홍보영상 (2021)

광운대학교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소재의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국문 약칭은 광운대, 한문은 光云, 영문은 KWANGWOON/KW/KWU 이다. 주변 지하철 역으로는 광운대역[15]에 서울•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경춘선 그리고 GTX-C[16]가 있다. 재단은 학교법인 광운학원이다. 교훈은 참·빛(Veritas et Lux), 상징은 비마(飛馬, 페가수스)이다. 광운대학교의 전자공과대학 및 전자공학과는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설립되었으며 단일 단과대학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를 가지고 있다.[17][18]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34년에 조광운 박사가 설립한 조선무선강습소가 모체로 광운대학교라는 이름은 당연히 화도 조광운 박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그 후 조선무선공학원, 광운전자공과대학, 광운공과대학 등으로 교명을 변경해 오다가 1983년에 광운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여 지금에 이른다.

1970년대 삼성그룹이, 2000년대 두산그룹이 광운대학교 인수를 시도했다는 루머가 인터넷상에서 유포됐던 적이 있다. 그러나 1920년부터 1999년까지의 주요 언론사의 모든 신문 기사를 조회할 수 있는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서 삼성그룹이 광운대 인수를 시도했다는 신문 기사는 단 한 건도 찾아볼 수 없다. 또한 2000년대에도 두산그룹이 광운대 인수를 시도했다는 주장 또한 근거를 찾을 수 없다.

다만 2000년대 후반인 2008년,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건립을 지원한 관정 이종환 교육재단유진그룹이 광운대 인수를 시도했던 것은 신문 기사로도 확인되는 사실이다. 2007년 12월 광운학원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유진그룹 측은 광운대 발전기금으로 1300억원에 달하는 재정기여를 약속했다. 유진그룹 창업주 유재필 명예회장이 사재(私財)를 들여 광운학원 재단 운영에 참여키로 한 것이다. 광운대는 이를 바탕으로 2008년 2월 말 법인 정상화 계획을 제출했다. # #

광운대 정상화 방안을 검토하던 교과부와 사학분쟁조정위가 광운대 전 재단의 횡령 등으로 발생한 부채해결을 위해 유 명예회장 측에 좀 더 강화된 재산출연을 요구했다. 유재필 명예회장 측이 단계적으로 기여키로 한 1300억원을 단기간에 출연하여 광운대 운영을 안정시켜 달라는 요구였다. 그러나 유 명예회장 측은 교과부의 이러한 요구에 난색을 표했고, 2008년 10월 초 인수 포기 사실을 학교법인 광운학원에 통보했다. #


3. 현황[편집]


실용학문 특히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로봇공학공학계열에서 강세를 발휘하며 공학계열 취업 및 연구에서 강점을 보인다.

일례로 삼성전자 입사자가 재학생 인원 대비 많은 편으로 삼성전자 임직원 출신 총 국내대학 5위로 뛰어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삼성전자 임원 출신 대학으로도 항상 5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삼성 갤럭시 브랜드를 만들어 삼성전자를 세계 정상급의 IT 기업으로 성장시킨 신종균 부회장이 광운대학교 응용전자공학[19] 출신인 등 삼성전자 내에서 확실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성과는 광운대학교의 뛰어난 연구 실적과 분야진출 현황을 보여준다.

삼성과는 관련이 매우 깊은 편인데, 삼성그룹 입사시험이자 국내 대기업들에서 통용되는 직무 및 인성적성검사 SSAT와 GSAT 시험을 광운대 산업심리학과에서 제작하였다. 더불어 삼성전자 임원 승진 평가에 광운대 산업심리학과 교수들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한다.(현 광운대 산업심리학과는 삼성그룹이 경영지원했던 성균관대 산업심리학과 부문을 흡수 통합한 학과로 산업 및 인사심리학 분야에서 만큼은 국내 최대 규모이며 강세를 발휘하고 있다.)

그 외에도 1986년 11월 신설된 37년 전통(2024년 기준)의 법학과가 있으며 #, 매해 5~10명 안팎의 변호사를 배출하고 있다. 주기적으로 검사도 배출하고 있다. 로스쿨 이전 사법시험 당시에는 사법시험 전체 차석을 배출했던 경험이 있는 등 실무학과에서 강세를 보였다. 허나 현재는 로스쿨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로스쿨 유치를 위해 힘쓰고 있다.


3.1. 연혁[편집]


이하 내용은 광운대학교 연혁이다. 자세히 보려면 광운학원 80년사 참조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연혁표
1930
~1940년대
1930. 5. 20조광운 박사조선무선강습소[20] 설립
1940.조선무선공학원으로 승격
1948.사단법인 조선무선 중학교 설립
1960년대1963. 12. 16동국전자공과 대학 설립인가
(전자공학과[21], 무선통신학과, 통신학과, 통신공학과, 응용전자공학과 설립)
1964. 2. 13초대학장에 조응천 이학박사 취임
1964.10. 5광운전자공과대학으로 교명변경
1965.10. 5학군단(R.O.T.C)설치
1967. 3. 1전기공학과, 기계공학과, 공업교육학과 신설
1967. 5.20광운대신문 창간
1967. 6.19광운대학교 교육방송국 개소
1970년대1971. 12. 31광운전자계산소 개소
1973. 12.14미국 알칸소공과대학과 자매결연 체결
1974. 12.17전자재료공학과 신설
1976. 12.21광운공과대학으로 교명 변경
(산업경영학과 신설)
1979. 12.5경영학과 신설
1967. 12.5광운공과대학 대학원 설립
1980년대1980. 11. 13행정학과, 무역학과 신설
1983. 3. 1광운대학으로 교명 변경
1984. 7.18영자신문 The Kwangwoon Annals 창간
1985. 11.11화학공학과 신설
1986. 11. 6법학과 신설
1987. 10.19종합대학교 개편, 광운대학교로 교명 변경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제어계측공학과 그리고 각 단과대학 및 전자정보공과대학[22] 신설)
1988. 2.10초대총장 조무성 박사 취임
1988. 7. 8건축공학과, 환경공학과 신설
1988. 11.30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설립
1989. 4.14중국요녕대학과 자매결연 체결
1989. 11. 6신문방송학과 신설
2020년대2020. 5. 19광운 창립 86주년 개소식&기념식 이행
파일:광운대학교 커뮤니케이션마크.svg

4. 상징 및 학풍[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상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1. 학풍(학생문화)[편집]


광운대학교는 실용학문을 매우 중시한다. 그래서인지 굉장히 이공계열 중심의 문화가 강하고 학업분위기도 본인의 기술, 연구가 중요하다는 통념이 있다. 그래서 학교의 교직원들과 교수들 그리고 학생들도 학교 홍보에는 거의 신경 쓰지 않으며 연구나 학업에만 몰두하는 성격이 강해 개인주의적 성향이 매우 강하며 단합이 잘 안되는 모습을 보이고는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학풍 덕분에 교내외에 부조리가 없고 인서울 대학들 중 사건사고가 적은 편이며 학생들 대다수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성격을 띤다고 여겨진다. 또한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학업, 기술 연구 중심의 폐쇄적인 문화는 광운대가 사회에 성공한 선배들을 배출하게 된 계기가 된다.


5. 교통[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교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1. 광운대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원래는 성북역이었으나, 2013년 코레일이 주관한 두 번의 주민 투표 모두에서 광운대 관련 역명을 넣는 것에 대해 80% 이상의 지지를 받아 역명이 변경되었다.

6. 전공(학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학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1. 전공 특성[편집]


광운대학교는 실용학문을 매우 중시한다. 그 원인은 전통적으로 공대가 강하다는 것이고, 설립자부터 공학도 출신 기업인이며 대학자체가 대한민국 전기전자공학 역사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그러하다 보니 대부분의 전공이 학업, 기술, 연구중심의 성격이 짙다.

광운공대라는 이름에 걸맞게 전자정보공과대학의 전자공학과는 대한민국 최초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으며 학부와 석박사 과정 모두 우수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공학계열 뿐만 아니라 인문계열들도 산업심리학과나 동북아문화산업학부처럼 실용학문을 추구하는 학과가 많다. 특히 산업심리학과 같은 경우는 국내 산업심리학 분야에서 우수한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실용학문 노선의 장려의 일환으로 복수전공이 쉬워 필요한 여러 학문을 융합하여 배우기에 좋다.

6.2. 전자공학시초[편집]


화도 조광운 박사는 와세다대학을 졸업 후 1934년에 조선무선강습소를 설립했다. 광운대학교의 전신인 조선무선강습소는 한국(조선)에서 전자공학을 최초로 가르친 기관으로[23] 전자공학이라는 학문을 조선(한국)에 최초로 들여왔고, 학문으로써 조선(한국) 최초로 가르치기 시작했던 기관인 것이다.

그래서 광운대학교의 전자공학과는 대한민국 최초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수험생과 재학생들 사이에서 '광운전자'•팡대전자'•'팡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당시에 공학이라는 학문은 홀대받던 시기였고, 비교적 현대에 와서야 각광받기 시작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화도 조광운 박사의 선구안이 탁월했다고 평가된다.


6.3. 고시반[편집]


광운대 고시반은 사법시험반•행정고시반•공인회계고시반•기술고시반 등이 있다. 주로 연촌재에서 생활한다. 광운대는 비슷한 규모의 다른 대학들 보다 학부생 수가 2/3 정도이며 문과 비중이 낮다.

7. 전공(대학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대학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캠퍼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캠퍼스 및 시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재단[편집]


파일:광운대_법인_전입금.png

2018년 총학생회 및 학교 본부 측이 참여하는 등록금심의위원회에서 재단의 수익용 기본재산 납부를 이행할 것이 요구되었고, 2017년까지 0%(0원)였던 법정 부담 전입금이 3억 8,000만원 납부되었다.

사실 학교에 돈이 없는 것은 아니다. 2020년에 발표된 각 대학별 적립금 목록에서 순위권 안에 들었고, 많은 자본을 적립해놓았다. 그러나 이때까지의 광운대의 행보를 보면, 학교를 위해 돈 쓰기 싫어하는 모습을 대놓고 티낸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오죽하면 대학홍보비가 인서울 40여개 대학중 30위권 후반에 위치한다.
http://infor.sahak.or.kr/portal_main.asp
파일:F72xkpS.jpg

2020년 대학별 적립금 목록

2015년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2014년 사립대학 등록금 의존율 현황

위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 광운대생 사이에서 광운대 재단의 인식은 매우 좋지 않다.

9.1. 부설교육기관[편집]


광운학원에는 유치원(1개교)·초등학교(1개교)·중학교(2개교)·고등학교(1개교)·대학교(1개교)·정보과학교육원(1개원)·언어교육원(1개원) 등이 존재한다. 정보과학교육원과 언어교육원에 대해서는 상세 설명을 참고하자.

9.2. 정보과학교육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 정보과학교육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3. 언어교육원[편집]


광운대학교의 영어 및 외국어 수업을 맡고 있으며 토익등 외국어시험 신청 및 실시 및 외국어 강좌를 담당하고 있다.

문화관 111호 즉 동해예술문화관 111호에 위치하고 있다.

  • 교과과정상의 교양영어 교과목 운영
  • 공인 어학시험 성적(TOEIC,TOEFL) 접수
  • 어학 강좌(영어회화, TOEIC 등) 운영
  • English Clinic 운영
  • 동ㆍ하계 집중영어 프로그램 운영
  • 광운 TOEIC 시행
  • 재학생 영어 경시대회 개최
  • 영어특강 개최

10. 학생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학생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동아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동아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학생자치기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학생자치기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생활 및 문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생활문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이야깃거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이모저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 상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상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6. 출신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출신 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7. 사건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8. 대학평가[편집]



18.1. 세계대학평가[편집]


파일:광운대학교 흰색 로고.svg
연도QSTHEARWUCWURUSN & WRCWTS P(10%)Nature Index
2020-위-위-위1576위-위1075위국내 38위
2021-위-위-위1589위-위1148위국내 27위
2022-위-위-위1651위-위1122위국내 30위
2023-위-위-위1613위1465위1189위국내 33위
2024-위-위-----
2025-위------

18.2. 국내대학평가[편집]


중앙일보 대학평가 연구순위에서 2010, 2011, 2012 3년 연속 전임교원 1인당 논문 순위 2위를 달성하였다.

산학협력 순위는 2023년 학생창업지원 부문 재학생당 창업 전담 인력 전국대학 1위, 재학생당 지원금 5위, 학생창업성과 부문 기업당 고용 인원 6위, 2021년, 2022년 학생창업 지원 및 성과 부문 각 5위 및 7위, 2021년 재학생당 창업지원금 1위에 올랐다.

동아일보 대학평가에서는 2018, 2019, 2020 3년 연속 최우수대학 및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건축공학과는 전국 1위에 랭크했다.


19. 여담[편집]


  • 좁은 부지임에도,캠퍼스를 가로지르는 도로가 있고, 도로를 경계로 캠퍼스가 두 개로 나뉜다. 이 때문에 인터넷 상에서 메인 캠퍼스만을 광운대학교 부지로 오인하여 캠퍼스 면적을 더 좁게 산출하기도 하며, 문과 학생들은 메인 캠퍼스에 있는 도서관을 이용 후 횡단보도를 건너 한울관, 누리관으로 이동해야 한다. 특히 로봇학부가 있는 누리관은 광운인공지능고교의 옆 재단 공관 옆에 위치하여 누리섬으로 불리며, 이럴 때는 바로 다음 수업 들으러 가기가 힘들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광운대학교/캠퍼스 및 시설 문서의 r1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광운대학교/캠퍼스 및 시설 문서의 r1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16:16:15에 나무위키 광운대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6년에 학교 측이 학생들로 부터 홍보 슬로건을 받았고, 이 슬로건이 대상을 탔다. 2016년 이전에는 '따뜻한 가슴으로 기술을 품다'였다. 2016년에 대상을 탔던 슬로건에 대해서는 공식 홈페이지와 광운대학교 신문사 홈페이지에 작성되어있다.[2] 예술학[3] Web #8A1601, PANTONE 188C, CMYK 0 97 100 50[4] 공학[5] Web #F3CF45, PANTONE Blue 129, CMYK 0 15 72 5[6] 철학[7] Web #10069F, PANTONE Blue 072C, CMYK 90 96 0 38[8] 인문학[9] Web #FFFFFF, White, CMYK 0 0 0 0[10] 화도 조광운 박사는 와세다대학을 졸업한 후 1934년에 광운대학교의 전신인 조선무선강습소를 설립했으며, 그곳에서 전자공학을 학문으로써 조선(한국) 최초로 가르쳤다.[11] 휴학생, 학사학위취득유예학생 미포함[12] 휴학생 미포함[13] 학부, 대학원 (전임 323명, 비전임 261명, 강사 404명)[14] 정규직 118명, 비정규직 110명[15] 본래 이름은 '성북역'이었지만 행정구역 개편으로 성북구에 없는 성북역이 되어 코레일이 새 이름을 정하기 위해 주민투표를 두 차례 실시했는데, 광운대 관련 역명이 80% 이상의 지지를 받았다.[16] 2028년 개통 예정[17] 광운대학교의 전신인 조선무선강습소는 한국(조선)에서 전자공학을 최초로 가르친 기관이다.[18] Chosun Radio Training Center, the predecessor of Kwangwoon University, was the first institution to teach electronic engineering studies in Korea(Chosun).[19] 이후 컴퓨터공학부로 개명, 現 컴퓨터공학과,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20] 광운대학교의 전신인 조선무선강습소는 전자공학을 학문으로써 조선(한국) 최초로 가르치기 시작했다.[21] 대한민국 최초의 전자공학과이다.[22] 대한민국 최초의 전자정보공과대학이다.[23] Chosun Radio Training Center, the predecessor of Kwangwoon University, was the first institution to teach electronic engineering studies in Korea(Cho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