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노 카무이 오

덤프버전 :

파일:haginokamuio.jpg
이름ハギノカムイオー
Hagino Kamui O
출생1979년 4월 1일
죽음2013년 4월 10일 (34세)
성별수컷
털색갈색 (鹿毛, 카게)
아비테스코 보이 (Tesco Boy)
어미잇토 (イットー)
외조부벤처 (Venture)
생산자오기후시 목장
마주히노쿠마 코키치, 나카무라 카즈오
조교사이토 슈지 (릿토)
성적14전 8승 (8-0-0-6)
총상금2억 3112만 5200엔
주요
우승
스프링 스테이크스 (1982)
고베신문배 (1982)
교토신문배 (1982)
스완 스테이크스 (1983)
타카라즈카 기념 (1983)
타카마츠노미야배 (1983)
레이팅프리 핸디60 (1983)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생애
3.1. 데뷔 전
3.2. 1982년 4세 (현 3세)
3.3. 1983년 5세 (현 4세)
3.4. 은퇴 후
4. 기타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파일:haginokamuio2.jpg
히어로ing
ヒーローing
히어로 열전 번외편

지금, 꿈의 도중.

いま、夢の途中。

빨리, 빨리. 네 앞에는 아무도 없어.

はやく、はやく。君の前には誰もいない。

JRA 히어로 열전

일본의 경주마. 뛰어난 혈통과 마체로 당시 최고 낙찰액 기록을 세우며 황금의 말(黄金の馬)로 기대받았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Tesco Boy
1963 파일:영국 국기.svg
Princely Gift
1951 파일:영국 국기.svg
Nasrullah
Blue Gem
Suncourt
1952 파일:영국 국기.svg
Hyperion
Inquisition
잇토
イツト
1971
Venture
1957 파일:영국 국기.svg
Relic
Rose o'Lynn
미스 마루미치
ミスマルミチ
1965
Never Beat
큐피드
キユーピツト
* Nasrullah 3×5×5 18.75%
* Pharos=Fairway 5×5×5 9.375%
반형제[1]하기노 탑 레이디(1977년생)


3. 생애[편집]



3.1. 데뷔 전[편집]


파일:ittokamuio.jpg
잇토와 카무이 오
하기노 카무이 오는 1979년 4월 1일에 화려한 일족의 모계가 이어져 온 오기후시 목장에서 태어났다. 부마 테스코 보이는 하기노 카무이 오가 태어난 해에도 리딩 사이어에 올랐고 모마 잇토는 자신과 모계로 이어져 온 뛰어난 경주 성적으로 화려한 일족이라는 명칭을 받은 부모 양쪽 모두 당대 일본의 대표 양혈이었다. 거기에 기품있는 마체를 타고나[2] 목장 관계자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목장이 위치한 우라카와초와 타이키초에 걸쳐있는 산 카무이다케(神威岳)에서 따온 카무이 오(神威王)라는 아명을 받았다. 출생 2주 후에 목장을 방문한 조교사 이토 슈지를 시작으로 많은 방문객들이 구매하고자 했지만 당시 테스코 보이는 히다카 경종마협회에서 테스코 보이의 이름값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종부료를 받는 대신 산구마는 경매에 상장 의무가 있었기 때문에 모두 군침만 삼키고 돌아갔다. 그리고 생후 7개월 무렵인 10월 23일, 히다카 경종마협회 주최의 경매에 상장되었다.

경매 당일, 조교사와 마주, 생산자 등 1500여명이 몰렸다. 2개월 전 반형제 누나 하기노 탑 레이디가 충격적인 데뷔전[3]을 치렀기 때문에 카무이 오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져있었다. 당일 최고 낙찰가는 5천만엔이었는데 65번째로 등장한 카무이 오는 경매 시작가부터 8천만엔으로 설정되었다. 경매가 시작되고 하기노 관명을 쓰는 히노쿠마 코키치의 대리를 맡은 조교사 이토 슈지가 1억엔을 불렀고 나카무라 카즈오[4]등 3인이 경쟁에 들어갔다. 1억 5천만엔 쯤에 나카무라 카즈오는 포기했고 이토가 1억 8500만엔을 부르면서 마지막 입찰 경쟁자도 포기하며 낙찰가가 정해졌다. 그 순간 장내가 함성과 박수 소리로 소란스러웠으며 경마 매체 뿐만 아니라 일반 방송, 신문에서도 이를 크게 보도했다. 이후 나카무라 카즈오가 이토 슈지를 통해 히노쿠마 코키치에게 공동 마주를 제의했다. 협상으로 낙찰가의 반을 나카무라가 부담하며 경주마 은퇴 후 종마로서 나카무라 축산에 연결되는 것으로 합의를 보고 공동 마주가 되었다.

오기후시 목장에서 육성 조교를 받았고 경주 연령이 된 3세(현 2세)의 1981년 4월 3일에 이토 슈지의 마방에 들어갔다. 관명 하기노에 아명 카무이 오를 그대로 붙여 하기노 카무이 오가 경주마명이 되었다. 하기노 카무이 오가 릿토에 온 날 마굿간을 방문한 보도진, 경마 관계자등이 100명을 넘었다고 한다. 이후 8월에 예정된 데뷔전을 치루기위해 이동한 하코다테에서 약한 골절을 일으켜 이듬해까지 휴양하게 되었다.

3.2. 1982년 4세 (현 3세)[편집]


1월 31일 교토경마장의 데뷔전에서 하기노 탑 레이디의 주전 기수 이토 키요아키[5]가 기승하며 이후 마지막 경기를 제외한 전경기에 기승했다. 당일은 100여명의 기자들이 몰렸으며 신마전이면서 음성 실황이 관동의 경마장에도 중계가 되었다. 경기는 화려한 일족 특유의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도주를 선보이며 7마신 차의 압승을 거두었고 이어진 2번 째 경기에서도 3마신 차로 승리했다.

그리고 2번 째 경기 2주만에 열린 스프링 스테이크스(사츠키상의 트라이얼 경주)에서 당시 클래식 유력마였던 사루노 킹과 만나게 되었다. 사루노 킹은 그 때까지 7전 6승을 거두고 지난 야요이상에서 선행으로 승리를 따냈기 때문에 어느 쪽이 선수를 차지할 것인지가 주목되었다. 레이스가 시작되고 하기노 카무이 오는 바로 도주로 선두로 치고 나간 반면 사루노 킹은 기수 타바라 세이키가 고삐를 억제하고 후방대기책을 취했다. 그 후 사루노 킹은 제 2코너에서 급가속해 올라갔다가 마지막 직선주로에서 실속해 4착을 기록했고 하기노 카무이 오는 골까지 도주에 성공하며 중상 첫 승리를 따냈다. 타바라 세이키의 기승이 비판받는 가운데 사루노 킹의 마주가 하기노 카무이 오의 공동 마주였던 나카무라 카즈오였기 때문에 승부조작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일어 이를 "사루노 킹 사건" 이라고 한다.[6]

사루노 킹이 빠지면서 사츠키상에서는 1번 인기를 받고 출주했다. 사츠키상 출주마 중 1200m 경기에서 20m를 남기고 실속해 1180m의 스페셜리스트라는 조소섞인 별명을 얻은 도주마 게일 스포트(ゲイルスポート)의 기수였던 카가 타케미는 "도주의 카가(逃げの加賀)" 라고 불리며 팔대경주 9승을 기록한 베테랑 기수였다. 카가는 고액가의 말이나 양혈마에 투지를 불러 일으키는 성격으로 경기 전부터 하기노 카무이 오를 저격해 "그 녀석에게 경마의 엄격함을 마음껏 알려주겠다"며 도주를 선언했다. 레이스가 시작되고 하기노 카무이 오와 게일 스포트의 선두 다툼이 시작되면서 폭주, 전반 600m를 34.9초 당시 사츠키상 최고기록으로 통과했다. 결국 제 3코너에서 게일 스포트와 나란히 실속하며 16착으로 대패, 우승은 아즈마 헌터(アズマハンター)가 차지했고 게일 스포트는 19착을 기록했다. 이어진 NHK배(도쿄 우준의 트라이얼 경주)에서도 또 게일 스포트와 엮이며 12착으로 대패(게일 스포트는 15착)하고 말았다. 이에 따라 진영은 더비 출주를 포기하고 카무이 오는 오기후시 목장에서 휴양에 들어갔다. 게일 스포트도 더비에 나가지 않고 단거리 경주쪽으로 돌아가 1984년 9월까지 조건전 2승을 추가하고 단거리 중상에서 3~4착을 기록한 정도가 최고 기록이며 현역 27전 5승(중상 0승)으로 은퇴했다. 이런 연유로 게일 스포트는 카무이 오의 천적으로 이름을 남겼다.

가을 휴양 후 킷카상을 목표로 복귀한 고베신문배에서 도주로 승리했고 이어진 교토신문배(킷카상의 트라이얼 경주)에서는 처음으로 선두가 아닌 2번째 포지션으로 달려 직선 주로에서 추월하며 우승을 거두었다. 이 승리로 도주가 아니어도 이길 수 있다는 걸 보여 줬기 때문에 킷카상에서는 1번 인기로 나왔지만 막상 킷카상에서는 시작부터 후속마에 10마신 이상 대도주를 펼쳐 전반 1000m를 59.5초로 통과했다. 결국 제 3코너에서 실속하며 15착으로 대패, 경기는 카무이 오의 페이스메이커 역할 덕분에 호리스키(ホリスキー)가 당시 잔디 3000m 세계 최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킷카상 이후 하기노 카무이 오는 이와키의 경주마 종합연구소에서 온천 요양에 들어갔다.

3.3. 1983년 5세 (현 4세)[편집]


5월 스완 스테이크스에서 복귀해 스타트 부터 도주로 승리를 거두며 어미 잇토와 모자제패를 이루었고 이어진 타카라즈카 기념에서도 단기 도주로 2착 카즈시게에 5마신 차 압승을 거두고 잔디 2200m 일본 레코드까지 세웠다. 타카라즈카 기념 우승으로 통산 상금이 1억 9104만엔이 되어 자신의 낙찰가를 넘겼다. 또 타카마츠노미야배에서도 도주로 우승하며 잇토와 모자제패, 하기노 탑 레이디와 남매제패를 이루었다.

그런데 중상 3연승을 올린 기세는 가을 휴양 후 갑자기 사라졌다. 11월의 오픈전에서 8마리 중 7착을 기록하고 이어지는 재팬 컵에서는 도중에 후속을 30마신 이상 떨어뜨리는 폭주를 펼치다 제 3코너에서 실속하며 16착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그래도 아리마 기념에서는 팬투표 3위에 올라 출주했지만 역시나 도주하다 실속하며 최하위 16착을 기록했다. 이 경기 후 조교사 이토 슈지는 "더 이상 팬들의 꿈을 깨고 싶지 않다"며 하기노 카무이 오의 은퇴를 발표했고 이듬해 1월 8일 교토 경마장에서 은퇴식이 열렸다.

3.4. 은퇴 후[편집]


은퇴 후에도 히노쿠마 코키치, 나카무라 카즈오 공동 소유로 나카무라 축산에서 종마로 활동했다. 초기 종부료는 200만엔으로 일본산 말 중에는 마루젠스키 다음가는 가격으로 책정했지만 지방 중상마 정도를 배출하는 정도로 끝났다. 그래도 BMS 산구마로 GIII 2승을 기록한 신 카이운(シンカイウン, 1992), GIII 3승을 기록한 티엠 오아라시(テイエムオオアラシ, 1993)를 배출했다.

2000년에는 종마에서 은퇴하고 신히다카초의 혼키리 목장에서 공로마로 지냈다. 온순해서 관광객들에게 사랑받으며 장수해 2013년, 34세 9일에 노쇠로 죽었다.

4. 기타[편집]




5.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경기명등급트랙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1982년 (4세, 현 3세)
1.31교토신마잔디 1600m11착이토 키요아키(닥터 타케시바)
3.14나카야마사쿠라소 특별400만 이하잔디 2000m11착(타카라 텐류)
3.28나카야마스프링 스테이크스중상잔디 1800m21착(와카 텐잔)
4.18나카야마사츠키상팔대경주잔디 2000m116착아즈마 헌터
5.9도쿄NHK배중상잔디 2000m212착아스완
10.3한신고베신문배중상잔디 2000m31착(롱 히엔)
10.24교토교토신문배중상잔디 2000m21착(아카네 지로마루)
11.14교토킷카상팔대경주잔디 3000m115착호리스키
1983년 (5세, 현 4세)
5.15교토스완 스테이크스중상잔디 1600m11착이토 키요아키(메이쇼 킹)
6.5한신타카라즈카 기념중상잔디 2200m11착
[레코드]
(카즈시게)
6.26주쿄타카마츠노미야배중상잔디 2000m11착(이스트 보이)
11.12도쿄오픈잔디 1800m17착에이티 토쇼
11.27도쿄재팬 컵중상잔디 2400m616착스타네라
12.25나카야마아리마 기념팔대경주잔디 2500m716착코지마 후토시리드 포 유
[1] 중상마만 서술, 볼드 표시는 팔대경주 우승마.[2] 재미있는 것은, 하기노 카무이 오를 제외하면 화려한 일족이라 불리는 말들은 전부 암말인데 말의 외모평가에 '기품있다, 아름답다'등의 미사여구를 들은 말은 유일한 숫말인 하기노 카무이 오 뿐이었다고 한다. 다른 암말들은 기품이나 미모 대신 강함이 주로 보였다고 하며, 특히 외할머니 잇토의 경우엔 출산중에 먼저 나온 뒷다리의 근육만 보고도 출산을 돕던 마방 사람들이 "이거 범상치 않은 말이 태어나겠는걸"이라며 감탄했을 정도라고(...)[3] 후속마를 2.5초 차이를 내며 57초 2의 잔디 1000m 전일본 레코드를 기록했는데 2세마(당시 3세) 기준으로 현재까지 깨지지 않은 기록이다.[4] 경주마 생산자이자 마주. 나카무라 축산 대표로 밀 조지(이나리 원, 로지타, 오사이치 조지의 부마)를 종마로 도입한 인물로 유명하다. 나카무라 카즈오의 장남 나카무라 이사미는 케이아이팜, 로드 호스클럽의 대표이며 주요 소속 말에 로드 카날로아가 있다.[5] 원래 이름은 우에노 키요아키로 1975년에 조교사 이토 슈지의 사위가 되어 성을 이토로 바꾸었다. 이후 1985년에 이혼하면서 다시 우에노 성을 썼다.[6] 다만 관서 소속인 사루노 킹은 이전 관서 쪽 경기에서는 후방대기도 많이했지만 관동에서 열린 두 경기에서 선행을 했기 때문에 관동 경마팬들에게 선행마라는 인식이 있어 같은 마주 소유마가 나온 경기여서 후방대기책을 썼다고 의혹을 제기한 것이었다. 이 경기에서 사루노 킹이 부상으로 결국 은퇴하면서 의혹은 사라졌다.[레코드]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스프링 스테이크스|{{{#fff 스프링 스테이크스

(중상)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2
아사토모
1953
체리오 >

1954
타카 오

1955
낸시 샤인

1956
키타노 오

1957
히카루 메이지

1958
다이고 호마레

1959
메이타이
1960
코다마
1961
유키로 >

1962
카네츠 세키

1963
메이즈이

1964
신잔

1965
다이 코터

1966
쇼군

1967
메지로 플레임

1968
마치스

1969
와일드 모어
1970
타니노 무티에
1971
메지로 겟코 >

1972
타이 템

1973
하이세이코

1974
키타노 카치도키

1975
롱 호크

1976
텐 포인트

1977
요시노 류진

1978
타케덴

1979
리키아이 오
1980
서 펜 프린스
1981
산에이 솔론 >

1982
하기노 카무이 오

1983
타케노 히엔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비젠 니시키
1985
미호 신잔 >

1986
서니 라이트

1987
마테리얼

1988
모가미 나인

1989
나르시스 누아르
1990
아즈마 이스트
1991
신 호리스키 >

1992
미호노 부르봉

1993
멀티 맥스

1994
나리타 브라이언

1995
나리타 킹 오

1996
버블껌 펠로우

1997
빅 선데이

1998
쿠리르 사이클론

1999
원더 팽
2000
다이타쿠 리바
2001
아그네스 골드 >

2002
타니노 김렛

2003
네오 유니버스

2004
블랙 타이드

2005
댄스 인 더 모어

2006
메이쇼 삼손

2007
플라잉 애플

2008
스마일 잭

2009
언라이벌드
국제 G2 지정 후
2010
알리제오
2011
오르페브르 >

2012
그란데차

2013
로고타입

2014
로사 기간티아

2015
키타산 블랙

2016
마운트 롭슨

2017
윈 브라이트

2018
스텔비오

2019
에메랄 파이트
2020
걸로어 크릭
2021
빅티파루스 >

2022
비 어스토니시드

2023
벨라지오 오페라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고베신문배|{{{#fff 고베신문배

(중상)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3
와카쿠사
1954
다이나나 호슈 >

1955
켄슌

1956
토사 모어

1957
미스 온워드

1958
타카하루

1959
하츠라이
1960
퀸 온워드
1961
스기히메 >

1962
류 포렐

1963
코라이 오

1964
온워드 세컨드

1965
다이 코터

1966
하드 잇

1967
후지 에이스

1968
다이이치 오

1969
우추 오
1970
뉴 페가수스
1971
니혼 필로 무티에 >

1972
타이 템

1973
호슈 리치

1974
키타노 카치도키

1975
토후쿠 호프

1976
토쇼 보이

1977
아이노 크레스핀

1978
뱀브턴 코트

1979
네하이 제트
1980
노스 가스트
1981
아그네스 테스코 >

1982
하기노 카무이 오

1983
스즈카 코반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다이젠 실버
1985
스피드 히어로 >

1986
타케노 코마요시
중앙 GII 승격 후
1987
맥스 뷰티
1988
야에노 다이아 >

1989
오사이치 조지
1990
센터 쇼카츠
1991 롱 타이틀

1992
쿄에이 보우건

1993
비와 하야히데

1994
스타 맨

1995
타니노 크리에이트

1996
시로키타 크로스

1997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1998
카네토시 가버너

1999
오스미 브라이트
2000
후사이치 소닉
2001
에어 에미넴 >

2002
심볼리 크리스 에스

2003
젠노 롭 로이

2004
킹 카메하메하

2005
딥 임팩트

2006
드림 패스포트

2007
드림 저니

2008
딥 스카이

2009
이 코 피코
국제 G2 지정 후
2010
로즈 킹덤
2011
오르페브르 >

2012
골드 쉽

2013
에피파네이아

2014
원 앤 온리

2015
리어 팔

2016
사토노 다이아몬드

2017
레이 데 오로

2018
와그네리안

2019
사투르날리아
2020
콘트레일
2021
스텔라 벨로체 >

2022
저스틴 팰리스

2023
사토노 글란츠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교토신문배|{{{#fff 교토신문배

(중상)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3
다이산 호슈
1954
미네마사 >

1955 · 1956
야사카

1957
요도 사쿠라

1958
호슈 사쿠라

1959
윌 딜
1960
헬리오스
1961
미스 케이코 >

1962
코레히사

1963
코라이 오

1964
밸리모스 니세이

1965
키스톤

1966
하드 잇

1967
사토 히카루

1968
타니노 해로모어

1969
킹 스피드
1970
타마 호프
1971
니혼 필로 무티에 >

1972
타이 템

1973
토요 치카라

1974
키타노 카치도키

1975
코쿠사이 프린스

1976
토쇼 보이

1977
프레스 토코

1978
메지로 이글

1979
파인 드래곤
1980
오버 레인보우
1981
산에이 솔론 >

1982
하기노 카무이 오

1983
카츠라기 에이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니시노 라이덴
1985
미호 신잔 >

1986
타케노 코마요시

1987
레오 텐잔

1988
야에노 무테키

1989
뱀부 비긴
1990
메지로 라이언
1991
나이스 네이처 >

1992
미호노 부르봉

1993
위닝 티켓

1994
스타 맨

1995
나리타 킹 오

1996
댄스 인 더 다크

1997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1998
스페셜 위크

1999
어드마이어 베가
2000
아그네스 플라이트
2001
텐잔 세이자 >

2002
패스트 타테야마

2003
마블 치프

2004
하츠 크라이

2005
인티 라이미

2006
토호 앨런

2007
타스카타 소르테

2008
메이쇼 퀄리아
국제 G2 지정 후
2009
베스트 멤버
2010
게슈탈트
2011
크레스코 그랜드 >

2012
토센 호마레보시

2013
키즈나

2014
하기노 하이브리드

2015
사토노 라젠

2016
스마트 오딘

2017
플래티넘 불릿

2018
스테이 풀리쉬

2019
레드 지니얼
2020
딥 본드
2021
레드 제네시스 >

2022
애스크 와일드 모어

2023
사토노 글란츠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스완 스테이크스|{{{#fff 스완 스테이크스

(중상)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1958
넘버 이치반
1959
골 마이트
1960
민슈
1961
코다마 >

1962
시저

1963
시모후사 호마레

1964
메이즈이

1965
아사호코

1966
밸리모스 니세이

1967
엡섬

1968
류 파로스

1969
다이이치 오
1970
리키 에이칸
1971
패스트 뱀부 >

1972
타카라 로즈

1973
후세노 스즈란

1974
후지노 타카와시

1975
잇토

1976
롱 패스트

1977
후로칸 보이

1978
리키 타이코

1979
호쿠토 보이
1980
아그네스 프레스
1981
사츠키 레인보우 >

1982
아그네스 벤처

1983
하기노 카무이 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니혼 필로 위너
1985
콜린 오 >

1986
닛포 테이오

1987
포트 테스코 레이디

1988
신 윈드

1989
뱀부 메모리
1990
나르시스 누아르
1991
케이에스 미라클 >

1992
딕터 걸

1993
신코 러블리

1994
사쿠라 바쿠신 오

1995
히시 아케보노

1996
스기노 하야카제

1997
타이키 셔틀

1998
로열 스즈카

1999
블랙 호크
2000
다이타쿠 야마토
2001
비하인드 더 마스크 >

2002
쇼난 캄프

2003
갤런트 애로우

2004
타마모 핫플레이

2005
코스모 선빔

2006
프리사이즈 머신
국제 G2 지정 후
2007
슈퍼 호넷
2008
마이네르 레이니어 >

2009
킨샤사노 키세키
2010
마루카 피닉스
2011 리딜

2012
그랑프리 보스

2013
코파노 리처드

2014
미키 아일

2015
알비아노

2016
사토노 알라딘

2017
선그레이저

2018
로드 퀘스트

2019
다이어토닉
2020
카츠지
2021
다논 판타지 >

2022
다이어토닉

2023
윈 그레이티스트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타카라즈카 기념|{{{#fff 타카라즈카 기념

(중상)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3세 이상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1960
호마레 히로
1961
시저 >

1962
코다마

1963
류 포렐

1964
히카루 폴라

1965
신잔

1966
에이트 크라운

1967
타이요
4세 이상
1968
히카루 타카이
1969
다테 호라이
1970
스피드 심볼리
1971
메지로 무사시 >

1972
쇼후 미도리

1973
하마노 퍼레이드

1974
하이세이코

1975
나오키

1976
후지노 파시아

1977
토쇼 보이

1978
에리모 조지

1979
사쿠라 쇼리
1980
테루 텐류
1981
카츠 알 >

1982
몬테 프린스

1983
하기노 카무이 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1984
카츠라기 에이스
1985
스즈카 코반 >

1986
페르시안 보이
3세 이상
1987
스즈 퍼레이드
1988
타마모 크로스 >

1989
이나리 원
1990
오사이치 조지
1991 메지로 라이언

1992
메지로 파머

1993
메지로 맥퀸

1994
비와 하야히데

1995
단츠 시애틀

1996
마야노 탑건

1997
마블러스 선데이

1998
사일런스 스즈카

1999
그래스 원더
2000
티엠 오페라 오
국제 GI 승격 후
2001
메이쇼 도토
2002
단츠 플레임 >

2003
히시 미라클

2004
탭 댄스 시티

2005
스윕 토쇼

2006
딥 임팩트

2007
어드마이어 문

2008
에이신 데퓨티

2009
드림 저니
2010
나카야마 페스타
2011
어니스틀리 >

2012
오르페브르

2013 · 2014
골드 쉽

2015
러블리 데이

2016
마리알라이트

2017
사토노 크라운

2018
미키 로켓

2019
리스 그라슈
2020 · 2021
크로노 제네시스
2022
타이틀홀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
2023 이퀴녹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타카마츠노미야 기념|{{{#fff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중상)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3세 이상, 2000m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1971
슌사쿠 오
1972
조세츠 >

1973
타케덴 버드

1974
하이세이코

1975
잇토

1976
후지노 파시아

1977
토쇼 보이

1978
야마닌 고로

1979
네하이 제트
1980
린도 플레번
1981
하기노 탑 레이디 >

1982
카즈시게

1983
하기노 카무이 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쿄에이 레어
1985
메지로 몽 스니 >

1986
럭비 볼

1987
랜드 히류

1988
오구리 캡

1989
메지로 아르당
1990
뱀부 메모리
1991
다이타쿠 헬리오스 >

1992
미스터 스페인

1993
롱샹 보이

1994
나이스 네이처

1995
마치카네 탄호이저
중앙 GI 승격 후, 1200m
1996
플라워 파크
1997
신코 킹








1998
신코 포레스트
1999
마사 럭키
4세 이상
2000
킹 헤일로
2001
트로트 스타 >

2002
쇼난 캄프

2003
빌리브

2004
서닝데일

2005
어드마이어 맥스

2006
오레와 맛테루제
국제 GI 지정 후
2007
스즈카 피닉스
2008
파인 그레인 >

2009
로렐 게레이로
2010 · 2011
킨샤사노 키세키
2012 카렌짱

2013
로드 카날로아

2014
코파노 리처드

2015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에어로벨로시티

2016
빅 아서

2017
세이운 코세이

2018
파인 니들

2019
미스터 멜로디
2020
모즈 슈퍼플레어
2021
다논 스매시 >

2022
나란 훌레그

2023
퍼스트 포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21:58:06에 나무위키 하기노 카무이 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