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학교

덤프버전 : (♥ 0)




파일:인천대학교 심벌.svg 인천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립고등교육기관
[ 펼치기 · 접기 ]
지역명
대학교육대학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파일:춘천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춘천교육대학교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파일:공주교육대학교 교표.svg 공주교육대학교 · 파일:청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청주교육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마크(원).png 국립안동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KMOU_LOGO.pn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JBNU EMBLEM_B.png 전북대학교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전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전주교육대학교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분류명칭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파일: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파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공군사관학교 ·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해군사관학교
그 외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파일:경찰대학 엠블럼.svg 경찰대학 · 파일: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파일:B9EF5F8E-E323-4859-8610-D9401180142E.jpg
[ 펼치기 · 접기 ]
2020학년도 기준
대학EACCACETAC어코드대학EACCACETAC어코드
가천대학교O--워싱턴가톨릭대학교O--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OO-서울/워싱턴강원대학교O--워싱턴
거제대학교--O시드니건국대학교OO-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OO-서울/워싱턴경기대학교OO-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OO-워싱턴경복대학교--O더블린
경북대학교OO-서울/워싱턴경상국립대학교O--워싱턴
경성대학교OO-서울/워싱턴경일대학교O--워싱턴
경희대학교OO-서울/워싱턴계명대학교OO-워싱턴
고려대학교O--워싱턴공주대학교(천안)O--워싱턴
광운대학교OO-서울/워싱턴구미대학교--O더블린
국민대학교OO-서울/워싱턴군산대학교O--워싱턴
금오공과대학교OO-서울/워싱턴단국대학교(죽전)OO-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O--서울/워싱턴대구대학교O--워싱턴
대덕대학교--O더블린/시드니대진대학교O--워싱턴
동국대학교OO-서울/워싱턴동국대학교 경주O--워싱턴
동명대학교OO-서울/워싱턴동서대학교O--워싱턴
동서울대학교--O더블린/시드니동신대학교OO-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OO-서울/워싱턴동원대학교--O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O더블린동의대학교OO-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O더블린/시드니마산대학교--O더블린
명지대학교OO-서울/워싱턴목원대학교O--워싱턴
목포대학교OO-서울/워싱턴부경대학교O--워싱턴
부산대학교OO-워싱턴백석대학교-O-서울
상명대학교(서울)-O-서울상명대학교(천안)O--워싱턴
상지대학교O--워싱턴서강대학교OO-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O더블린서울과학기술대학교OO-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O--워싱턴서울시립대학교O--워싱턴
선문대학교OO-서울/워싱턴성결대학교OO-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OO-서울/워싱턴세종대학교OO-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O더블린숙명여자대학교-O-서울
순천대학교OO-서울/워싱턴순천향대학교O--워싱턴
숭실대학교OO-서울/워싱턴신라대학교O--워싱턴
아주대학교OO-서울/워싱턴아주자동차대학교--O더블린
안동대학교OO-서울/워싱턴연성대학교--O시드니
연세대학교OO-서울/워싱턴영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O더블린/시드니영진전문대--O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O시드니/더블린울산대학교OO-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OO-서울/워싱턴이화여자대학교OO-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OO-서울/워싱턴인천대학교O--워싱턴
인하대학교O--워싱턴전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OO-서울/워싱턴전주대학교O--워싱턴
제주대학교O--워싱턴제주한라대학교--O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OO-워싱턴중앙대학교OO-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O--워싱턴청주대학교OO-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OO-서울/워싱턴충북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경대학교O--워싱턴한국교통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O--워싱턴한국산업기술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O--워싱턴한국항공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OO-서울/워싱턴한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OO-서울/워싱턴한라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밭대학교OO-서울/워싱턴한성대학교O--워싱턴
한신대학교O--워싱턴한양대학교-O-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O-워싱턴호남대학교O--워싱턴
호서대학교OO-서울/워싱턴호원대학교-O-서울
홍익대학교(서울)OO-서울/워싱턴홍익대학교(세종)O--워싱턴


파일:KAAB-logo.gif
[ 펼치기 · 접기 ]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홈페이지인증기간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4-2022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2008-2023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9-2024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21-2025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2021-2026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13-2022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4-2021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2-2022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2010-2026
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7-2022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20-2025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1-2026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2011-2022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7-2021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2011-2026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2019-2023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2-2021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2011-2026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1-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2-2024
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2017-2022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2-2022
한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2013-2024
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15-2026
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2010-2025
한양대학교(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2008-2023
한양대학교(에리카)
공학대학
건축학부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홈페이지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1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 펼치기 · 접기 ]
가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강릉원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강원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경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경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경상국립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국립공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군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대진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동국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목포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부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국립안동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연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울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전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창원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청주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충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충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파일:열린대학교육협의회 심볼.svg
OCU 컨소시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1 ||<-2><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0B6138> '''[[아시아|{{{#fff,#ddd 아시아}}}]]''' || ||<width=1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fff,#ddd 대한민국}}}]] ||<colcolor=#000,#fff> [[경남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려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대학교]] · [[국민대학교]] · [[군산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 [[동서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목포대학교]] · [[목포해양대학교]] · [[부경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천대학교]] · [[제주대학교]] · [[포항공과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대만|{{{#fff,#ddd 대만}}}]] || [[국립가오슝제일과기대학]] · [[국립타이완대학|국립대만대학]] · [[국립대만예술대학]] · [[국립대만해양대학]] · [[국립연합대학]] · [[국립윈린과기대학]] · [[국립자이대학]] · [[국립중앙대학]] · [[국립타이중교육대학]] · [[난타이과기대학]] · [[둥하이대학]] · [[슈더과기대학]] · [[징이대학]] · [[창룽대학]] · [[카이난대학]] ||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 [[몽골|{{{#fff,#ddd 몽골}}}]] || [[몽골과학기술대학교]]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20]] [[방글라데시|{{{#fff,#ddd 방글라데시}}}]] || [[국제경영농업기술대학교]] · [[다카 대학교]] · [[다포딜 국제대학교]] ||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베트남|{{{#fff,#ddd 베트남}}}]] || [[베트남상매대학]] · [[호찌민 교육대학]] · [[호찌민 사범대학]] ·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학]]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0]] [[인도|{{{#fff,#ddd 인도}}}]] || [[공업경영대학교]]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0]] [[인도네시아|{{{#fff,#ddd 인도네시아}}}]] || [[11월 10일 공과대학교]] · [[가자마다 대학교]] · [[다르마프르사다 대학교]] · [[반둥 공과대학교]] · [[붕 하타 대학교]] · [[사탸와차나 기독대학교]] · [[시아쿠알라 대학교]] · [[아이를랑가 대학교]] · [[우다야나 대학교]] · [[인도네시아 대학교]] · [[하사누딘 대학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fff,#ddd 일본}}}]] || [[간사이국제대학]] · [[고베가쿠인대학]] · [[고베국제대학]] · [[고베대학]] · [[고베쇼인여자학원대학]] · [[고베시간호대학]] · [[고베시외국어대학]] · [[고베신와대학]] · [[고베약과대학]] · [[고베여자대학]] · [[고베여학원대학]] · [[고베예술공과대학]] · [[무코가와여자대학]] · [[소노다학원여자대학]] · [[아시야대학]] · [[오테마에대학]] · [[유통과학대학]] · [[간세이가쿠인대학]] · [[코난대학]] · [[코난여자대학]] · [[코시엔대학]] · [[효고교육대학]] · [[효고대학]] · [[효고현립대학]] · [[히메지대학]] · [[히메지독쿄대학]]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fff,#ddd 중국}}}]] || [[광둥공업대학]] · [[광둥외어외역대학]] · [[난징대학]] · [[난카이대학]] · [[내몽골대학]] · [[닝보대학]] · [[다롄이공대학]] · [[다롄해사대학]] · [[둥베이사범대학]] · [[베이징공업대학]] · [[베이징대학]] · [[베이징사범대학]] · [[베이징외국어대학]] · [[베이징체신대학]] · [[상하이해양대학]] · [[쑤저우과기대학]] · [[쑤저우대학]] · [[쑤저우시립대학]] · [[연변대학]] · [[자오칭대학]] · [[저장대학]] · [[중국의과대학]] · [[중국인민대학]] · [[중산대학]] · [[지린대학]] · [[톈진공업대학]] · [[톈진외국어대학]] · [[푸단대학]] · [[하이난대학]] · [[하이난사범대학]] · [[홍콩중문대학]] · [[화난사범대학]] · [[화둥사범대학]] · [[후난과기학원]]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태국|{{{#fff,#ddd 태국}}}]] || [[라차팟 수안두싯 대학교]] · [[수라나리 공과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치앙마이 대학교]] · [[타이니치 공과대학교]] · [[탐마삿 대학교]]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필리핀|{{{#fff,#ddd 필리핀}}}]] || [[AMA 대학교]]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 [[미리엄 칼리지]] · [[아시아 트리니티 대학교]] · [[어셤션 대학교]] · [[엔데룬 칼리지]] · [[필리핀 대학교]] || ||<-2> '''[[아메리카|{{{#fff,#ddd 아메리카}}}]]'''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fff,#ddd 미국}}}]] || [[곤자가 대학교]] · [[세인트 마틴 칼리지]] · [[애리조나 대학교]] · [[에버그린 주립 칼리지]] · [[오거스타나 대학교]] · [[와이오밍 대학교]] · [[워싱턴 대학교]] · [[이스턴 워싱턴 대학교]] ·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 · [[피츠버그 대학교]] · [[하와이 대학교]]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fff,#ddd 브라질}}}]] || [[론드리나 주립대학교]] · [[파라나 연방기술교육센터]] · [[파라나 연방대학교]]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fff,#ddd 캐나다}}}]] || [[퀸스 대학교(캐나다)|퀸스 대학교]] || || [[파일:UN기.svg|width=20]] [[유엔|{{{#fff,#ddd 유엔}}}]][br]{{{-2 ([[코스타리카|{{{#fff,#ddd 코스타리카}}}]])}}} || [[평화대학교]] || ||<-2> '''[[오세아니아|{{{#fff,#ddd 오세아니아}}}]]''' ||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뉴질랜드|{{{#fff,#ddd 뉴질랜드}}}]] || [[와이카토 대학교]] · [[캔터베리 대학교]]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fff,#ddd 호주}}}]] || [[그리피스 대학교]]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머독 대학교]] · [[서호주 대학교]] ·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 [[에디스 코완 대학교]] · [[커틴 대학교]]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 [[퀸즐랜드 대학교]] · [[호주 노틀데임 대학교]] · [[호주해양대학]] ||











>
인천대학교
仁川大學校
Incheon National University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임무인간과 자연에 대한 책임으로 진리를 탐구하고 개인과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에 공헌한다.
상징파일:인천대학교 슬로건.svg
비전세계의 인재를 미래의 리더로 양성하는 대표 국립대학
교색
INU Blue
INU Yellow
사자(구)[1], 횃불이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분류국립대학법인
지역인천광역시
개교1979년 3월 12일 (45주년)
인천공과대학
이사장제5대 김학준
총장제16대 박종태
재단 및 법인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2]
주소
송도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 119 (송도동 12-1)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12 (송도동 7-50)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정로 165 (도화동 995)
조직교육단과대학 11개
독립학부 2개
일반대학원 1개
전문대학원 1개
특수대학원 6개
연구연구기관 63개
재학생
학부생
11,333명(2023년 4월 1일)[3]
대학원생
1,383명(2023년 4월 1일)[4]
교직원
교원
전임
482명(2023년 4월 1일)[5]

비전임
665명(2023년 4월 1일)[6]
직원496명(2023년 4월 1일)[7]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2024)
웹사이트
[ 펼치기 · 접기 ]
SNS
공식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총학생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지도 펼치기 ]

송도캠퍼스

미추홀캠퍼스

제물포캠퍼스

1. 개요
4. 상징
4.1. 휘장과 심벌
4.2. 슬로건
4.3. 교색
4.4. 마스코트 횃불이
4.5. 40주년 엠블럼
6. 캠퍼스
7. 특색
7.1. 연구중점대학
7.2. 창업 투자
10.1. 등록금
11. 교류대학
11.1. 국내 교류대학
11.2. 해외 자매대학
12. 대학평가
15. 여담
15.1. 날씨
15.2. 방송촬영
16. 외부 링크
1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홍보 영상

이 법은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를 설립하고 그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대학의 자율성과 사회적 책임을 제고하고 교육 및 연구 역량을 향상시켜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를 국제경쟁력을 갖춘 거점대학으로 육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 제1조(목적)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미추홀구에 캠퍼스를 둔 인천광역시 유일의 국립대학법인 종합대학이다. 영문약칭은 INU이다.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메인 캠퍼스인 송도캠퍼스[8]사범대학, 연구용 실험장, 반도체 공정실습센터가 있는 미추홀캠퍼스[9],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제물포캠퍼스[10]가 있다. 또한 인천대학교가 기술핵심기관으로 참여하는 강소연구개발특구사업의 일환으로 인천광역시 서구에 환경관련 R&D 시설인 에코캠퍼스[11]를 2025년까지 조성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아직 매립이 진행 중인 송도국제도시 11공구에 약 10만 제곱미터 규모의 제2 캠퍼스 조성이 계획되어 있다.

장관급 예우를 받는 총장은 총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해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이사회가 추천하고 대통령이 임명한다. 현 인천대학교 총장은 전자공학과 교수를 지낸 박종태 총장이다.

현재 13개 단과대학[12]과 8개 일반·전문·특수대학원이 개설되어있으며 그 외 학교 부속기관으로 융합과학기술원, 도서관, 국제교육원, 공학교육혁신센터, 창업지원단 등 16개 부속기관과 33개 부설연구소, 12개 국책센터가 있다.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79년 개교한 인천공과대학을 시초로 하여 1988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1994년 시립 인천대학교로 출범하였다. 이후 2013년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로 전환되었다.[13]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13년에 국립대법인화하여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라는 법인을 설립하였다. 즉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가 운영하는 교육기관이다.

여담으로 인천대학교 학과 홈페이지 중 대다수는 시립 시절 졸업생들이 재능 기부하여 제공한 홈페이지다. 인터넷에 각 과 동문 카페를 보면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14]


3. 임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임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현직 임원
총장제16대 박종태
이사장제5대 김학준
인천대학교 총장은 장관급 예우를 받는다.[15]


4. 상징[편집]


역대 인천대학교 로고는 인천대학교/역사 문서 참고.


4.1. 휘장과 심벌[편집]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휘장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휘장의 의미

휘장 중심부의 횃불은 진리를 탐구하고 자유를 수호한다는 신념을 가진 대학의 본질적인 사명을 나타낸다.

휘장의 받침대는 알파벳 "I"로 보이기도하는데, 이는 인천대학교의 대표 이니셜인 "I"를 상징하는 동시에 공동체의 횃불 받침대를 의미한다.

방패안의 Veritas(진리)와 Libertas(자유)는 라틴어로서 대학의 권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인천대학교가 지향하는 가치를 양쪽에서 균형감있게 나타낸다.

또한 두 가지의 본질적 가치가 방패안에서 나란히 병립하여 안정적이고 완전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를 둘러싼 방패는 진리와 자유 그리고 인천대학교를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

승리를 상징하는 월계수는 이를 통해 인천대학교가 진리와 자유라는 대학의 본질적인 사명을 성공적으로 쟁취해나감을 의미한다.


-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심벌
파일:인천대학교 심벌.svg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활용형.svg
기본형활용형

심벌의 의미

바다에서 선원들이 나침반을 가지고 길을 찾아가듯이, 인천대학교의 학생들도 인천대학교에서 미래의 길을 찾아간다는 의미에서 나침반을 상징물로 사용했다.

나침반은 아직 도달하지 못한 새로운 곳으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구로도 사용되는데, 학생들이 다양한 방면의 인재로 성장하여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인천대학교가 하나의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 또한 전달한다.

대내외 구성원과 인천시, 대한민국의 역량을 하나로 모아 도약 및 발전을 이끌어온 인천대학교의 자랑스러운 역사와 미래의 역할을 나타내기도 한다.



4.2. 슬로건[편집]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슬로건
파일:인천대학교 슬로건.svg

INspiring U(인스파이어링 )

  • 당신을 깨우는 대학이라는 뜻으로 인천대학교가 학생들에게 생기와 영감을 불어넣는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슬로건이며,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개발되었다고 한다.[16][17]


4.3. 교색[편집]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교색

INU Blue (#01499a)

INU Yellow (#fcaf16)
INU Blue의 푸른색은 인천의 상징색이며 바다와 진리를 상징한다.INU Yellow의 주황색은 바다에 떠오르는 태양과 대학의 미래를 상징한다.


4.4. 마스코트 횃불이[편집]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마스코트 횃불이
파일:인천대학교 횃불이.png
파일:인천대학교 횃불이 휘장.png
기본휘장

2022년 인천대학교에 입학한 새내기입니다.

귀여운 횃불이의 갈기는 푸른 불꽃으로 이루어져 있고 인천대학교의 날씨에 따라 불꽃이 작아지거나, 커지거나, 흔들리는 등 날씨 변화에 민감한 불꽃을 가졌습니다.

- 횃불이는 평소 불만 지피면 활활 타오를 수 있는 열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 횃불이는 도전정신이 강해 새로운 일을 두려워하지 않고 실행하곤 합니다.

- 또한 여느 새내기들과 다를 바 없이 잠도 많고 놀기도 좋아하는 새내기 사자[18]

입니다.

인천대학교 홈페이지 UI소개

  • 2021년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인천대학교 캐릭터 공모전에 지원한 총 37팀 중 12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최종 횃불이가 대상에 선정되면서 인천대학교의 새로운 마스코트로 발표되었다.[19]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마스코트 사자(구)[20]
[ 펼치기 · 접기 ]
파일:인천대학교 사자 마스코트.jpg
열정과 도전정신을 가진 인천대학교 사자
[ 구버전 사자 의미 ]
용맹한 맹수의 제왕이자 오래 전 부터 인천대학교를 대표한 사자를 상징하는 캐릭터이다. 정통적인 사자의 얼굴에 젊은 대학생과 같은 이미지로 의인화하여 젊고 파워풀한 사자의 이미지를 전달한다. 정감 있으며 박력 넘치는 사자의 표정은 대학의 역사가 가진 젊은 열정과 도전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기도 한다. 사자의 옷에 인천대학교 워드마크를 적용하여 대학을 대표하는 캐릭터로서의 상징성을 강하게 나타냈다.


4.5. 40주년 엠블럼[편집]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개교 40주년 엠블럼
[ 펼치기 · 접기 ]
파일:인천대학교 40주년 엠블럼 A버전.svg파일:인천대학교 40주년 엠블럼 B버전.svg
A버전B버전
[ 40주년 엠블럼 의미 ]
엠블럼 속 꺼지지 않고 타오르는 성화의 불꽃은 학교의 역사와 학생들의 열정을 상징하고, 성화대의 기둥은 인천대학교의 이니셜 "I"를 의미한다.


5. 학부대학원[편집]


사범대학은 인천대학교/미추홀캠퍼스에 있고 나머지 단과대학은 모두 인천대학교/송도캠퍼스에 있다.


5.1. 학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학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대학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대학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캠퍼스[편집]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캠퍼스
[[인천대학교/송도캠퍼스|

파일:인천대 송도캠 전경.jpg
]]
[[인천대학교/미추홀캠퍼스|

파일:인천대학교 미추홀캠퍼스 전경.jpg
]]
[[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

파일:인천대 제물포 본관.jpg
]]
송도캠퍼스미추홀캠퍼스제물포캠퍼스
[ 계획 중인 캠퍼스 ]


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 178-8 일대 조성 예정송도국제도시 11공구 내 조성 예정[1]
에코캠퍼스송도국제도시 제3캠퍼스
[1] 11공구가 아닌 인천글로벌캠퍼스 2단계 부지가 될 가능성도 있다. #
[ 캠퍼스 위치 ]
파일:인천대학교_캠퍼스.png
인천대학교 캠퍼스 위치


6.1. 송도캠퍼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송도캠퍼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인천대학교의 대다수의 단과대학이 모여있다.


6.2. 미추홀캠퍼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미추홀캠퍼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인천대학교의 사범대학만이 있다.


6.3. 제물포캠퍼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제는 사용하지 않는 캠퍼스이다.


7. 특색[편집]


복지회관의 인공 암벽인천대학교 스포츠센터의 샤워실에 간이 목욕탕이 있는것이 큰 특징이다.


7.1. 연구중점대학[편집]


인천대학교 대학운영계획을 보면 실용학문 중심의 연구거점 국립대학 육성을 주된 목표로 함을 알 수 있다.[21]

실제로 이와 같은 총장의 의지로 인하여 여러 단과대에서는 연구실 체험사업을 진행하면서[22] 자교 학생들의 연구 관련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연구동도 증축해나가는 등 연구형 대학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 뿐만 아니라 젊은 교수님들도 적극적으로 채용해서 기존과 달리 해외 명문[23]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으신 국내 교수님들도 대거 채용중이다.[24] 따라서 이전과 달리 보다 양질의 교육과 연구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노력중이며 실제로 실적도 괜찮게 나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Nature index 순위도 지속적으로 상승중이다.

실용학문 중심이라고 하였으나, 기초학문을 등한시 하진 않는다. 자연대와 같은 기초 과학이나 인문대에도 투자가 이뤄지고 있으며 관련된 연구소도 존재한다. 또한 자연대와 인문대에도 지속적으로 신규 교수님을 유치하고 있고 해외 교환학생들의 유입도 유도하신다.[25]

연구 중점이라고 해서 취업 연계와 또 동떨어진 것은 아닌게 산학협력 및 ipp 등을 계속 확장중이며 비교과 제도와 트랙 제도를 운영해서 학생들이 취업할 수 있게 도와주고 전공을 심화해서 배울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7.2. 창업 투자[편집]


창업에 관한 투자가 타 대학과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편이다.


8. 총학생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총학생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동아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동아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학사제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학사 제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6]


10.1. 등록금[편집]


2024학년도 기준 인천대학교 등록금 일람표는 다음과 같다.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등록금
인문사회계열수학과 2~4학년, 소비자학과 입학생, 도시행정학과 포함2,046,000원
이학체육계열수학과 1학년, 소비자아동학과 입학생 포함2,297,000원
공학예술계열도시행정학과 제외2,574,000원
인문계열이 거의 딱 200만원, 자연계열이 200만원 초반대, 공학계열이 200만원 중반대로 국공립대학교답게 등록금은 저렴한 편이다. 다만 국공립대학교 중에서는 인문계열 등록금이 조금 비싼 편이다.

평점 2.5 이상, 소득분위 8분위 이하면 국가장학금 1, 2 유형을 합쳐 전액장학금이 거의 확정적으로 가능하다. 국립대 전환 후 한동안 재정난을 겪었지만[27] 2018년부터 1,000억원 규모[28]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고 있기 때문에 추가로 등록금을 인하할 가능성도 있다.

이전에는 인천지역 고등학교 졸업 신입생 대상으로 입학금을 면제해주었으나 입학금 제도 자체가 폐지되면서 사라졌다.


11. 교류대학[편집]



11.1. 국내 교류대학[편집]


국내대학과의 학생교류 및 학점인정 안내

인천대학교와 학점교류협정을 체결하고 있는 대학은 다음과 같다.


11.2. 해외 자매대학[편집]


INU 해외자매대학 내역

인천대학교는 아시아 159개 대학, 유럽 55개 대학, 북미 36개 대학, 중남미 7개 대학, 오세아니아 5개 대학, 아프리카 3개 대학 등 48개국 265개 대학과 자매대학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12. 대학평가[편집]


대학평가는 각 주관사 별 평가요소가 상이하고, 평가지표의 구성 등 주관적인 요소가 개입될 여지가 크므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1. 중앙일보 대학평가[편집]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중앙일보 대학평가
2017년2018년2019년2021년2022년2023년
31위28위24위24위21위21위
중앙일보 대학 평가의 평가 객관성에 대하여 다소 논란이 있으나, 해를 거듭할수록 순위가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 볼 만하다.

2021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창업지표 상위권을 달성했다. 2022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2년 연속 창업지표 상위권을 달성했다.


12.2. 한경 이공계 대학평가[편집]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한경 이공계 대학평가
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
28위#22위#22위[29]27위#25위#


12.3. QS 세계 대학 랭킹[편집]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QS 세계 대학 랭킹
2016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
아시아251-300위271-280위245위281-290위301-350위351-400위
국내미집계미집계33위미집계미집계미집계
QS 세계 대학 랭킹 인천대학교 페이지[30]

QS 랭킹의 인천대학교 페이지 내의 University Highlights 항목의 South Korea 또는 Asian University Rankings 탭을 클릭하여 확인 가능하다.


12.4. THE 세계 대학 랭킹[편집]


파일:인천대학교 심벌 화이트.svg 인천대학교 THE 세계 대학 랭킹
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세계1001+위1001+위1001+위1001-1200위1201-1500위
아시아251-300위301-350위401+위351-400위351-400위
국내미집계공동 25위공동 23위공동 20위공동 24위
[ 펼치기 · 접기 ]



13. 출신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출신 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사건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학교/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 여담[편집]



15.1. 날씨[편집]


극과 극. 송베리아와 송프리카라는 두 단어로 표현이 가능하다.

송도 캠퍼스는 바다 바로 옆에 있는데다, 송도국제도시 자체가 간척지다보니 바람을 막아줄 지형이 전혀 없어서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춥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여름에는 바다로부터 습기를 잔뜩 머금은 끈적끈적한 바람이 불어와 덥고, 겨울에는 육지로부터 차가운 바람이 아주 세게 불어와 상당히 춥다.[31] 즉, 여름에는 옷을 최대한 얇게 입고 오고[32], 겨울에는 바람에 대비해 옷을 따뜻하게 입고 오는 것이 좋다. 때문에 인천대 학생들의 겨울 패션은 타 대학교에 비해 코트보다 후드 있는 패딩이나 야상의 비율이 높다.

2012년 여름 태풍 볼라벤이 왔을 당시에는 학교에서 몇몇 게시판의 유리가 깨지거나 창문이 깨져서 유리가 날아다니는 사태가 벌어져 계절학기 당시 일부 수업은 휴강을 했다고 한다. 사실은 딱히 심각한 태풍이 아니더라도 바람에 유리창이 깨졌다거나 하는 사건이 1~2년에 한 번은 있는 듯하다. 한 가지 추가하자면 여름엔 비가 옆에서 온다. 물론 겨울이라고 눈이 수직으로 내릴 거라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멋부리고 집을 나섰는데 학교에 도착하면 봉두난발 거지꼴이 되어있는 일이 흔하다.

바다와 가까운 28, 29호관을 가면 지옥을 맛볼 수 있다. 특히 한겨울에 28~29호관 지하 1층 사이의 지하주차장 통로 구간에 구멍이 뻥 뚫린 구간을 아무 생각 없이 지나가다가 테러를 당하기가 일쑤고, 29호관 1층의 기둥 안 쪽 실외 공간에서는 한겨울에 풍속 15m/s의 바람이 분다. 한겨울에 이 곳에서 지내야 하는 생명대+도시과학대 및 세무회계학과 학생들을 보면 핫팩 하나씩 챙겨주자. 특히나 29호관의 경우 쓰레기를 잘 버리지 않으면 무조건 아래로 낙하한다.[33] 사고 위험이 있으니 항상 주의하자.

바람이 흡연자들을 보면 보통 벽에 붙어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흡연구역 대부분이 강풍을 맞기 때문이다. 특히 위에서 언급한 28, 29호관의 경우 담배를 물고있다가 입에서 힘이 조금이라도 빠지면 담배가 날아간다. 특히 담배를 털어서 끄는 사람들의 경우 위에서 언급했듯이 쓰레기가 아래로 낙하하는 것 마냥 담배불이 아래층으로 떨어질 경우 사고 위험이 있다. 28, 29호관 뿐만 아니라 송도에서 바람이 심하게 부는 곳에서는 담배불은 반드시 밟아서 끄자. 엄한 사람 다친다.


15.2. 방송촬영[편집]


  • 2013년 2월 방영 KBS 아이리스 2[34]
  • 2013년 12월 방영 SBS 별에서 온 그대[35]
  • 2014년 5월 방영 SBS 닥터 이방인[36]
  • 2015년 1월 방영 SBS 하이드 지킬, 나[37]
  • 2016년 3월 방영 tvN 피리부는 사나이[38]
  • 2016년 12월 방영 tvN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39]
  • 2017년 5월 방영 SBS 수상한 파트너[40]
  • 2017년 7월 방영 SBS 조작[41]
  • 2017년 9월 방영 SBS 사랑의 온도[42]
  • 2017년 10월 방영 tvN 이번 생은 처음이라[43]
  • 2017년 11월 방영 MBC 돈꽃[44]
  • 2018년 1월 방영 tvN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45]
  • 2018년 2월 방영 KBS 너도 인간이니?[46]
  • 2019년 4월 방영 MBC 특별근로감독관 조장풍[47]
  • 2019년 7월 방영 tvN 호텔 델루나[48]
  • 2019년 12월 방영 tvN 사랑의 불시착[49]
  • 2020년 3월 방영 KBS 어서와[50]
  • 2020년 4월 방영 SBS 굿캐스팅[51]
  • 2022년 11월 방영 SBS 소방서 옆 경찰서[52]
  • 2023년 9월 공개 넷플릭스 너의 시간 속으로[53]
  • 중국 드라마 캐럿연인
  • 중국 드라마 미래적비밀

2014년 선풍적인 인기를 끈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덕에 조금은 주목을 받았다. 온갖 장소에다가 별그대 촬영지라고 광고를 했다. 그리고 별그대 속의 대학생 엑스트라들 중 몇 명은 인천대학교 재학생들이다.
촬영 이후에도 교내에서는 카메라 들고 다니는 외국인들을 항상 볼 수 있었고, 관광 코스 중 하나가 된 것인지 중국인들을 태우고 다니는 관광 버스를 또한 눈에 띄게 늘었었다.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대학 건물이 세워진지 얼마되지 않은데다 지상으로는 차가 거의 다니지 않게 설계되어 세련된 느낌을 주기에 촬영 명소로 많이 쓰이며 학교 주변이 전부 연구 단지에 송도 끄트머리에 있는 대학교라서 차량 통제가 매우 쉬워 매년 한두 번은 시간만 잘 맞으면 드라마 촬영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꼭 유명 연예인의 촬영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방학, 주말에 엑스트라들을 학생 역할로 채용해 촬영하는 경우도 많아, 학기 중 평일에 촬영을 보는 경우는 드물다.

2012년 런닝맨 야외 촬영이 이루어졌고, 그 후 1년 뒤에도 런닝맨 야간 실내 촬영이 이루어졌다.[54]
런닝맨 초반에 감초 역할로 나온 동완FD가 인천대 신문방송학과 출신이라서 자주 인천대 촬영을 오지 않았나 추정해본다.

송도에서 영화나 드라마, CF 등의 촬영이 자주 이루어지는 편인데, 이는 멋드러진 건물들이 많고, 사람이나 차가 별로 없어서 통제하기가 쉬워서라고 한다. 응답하라 1994에서 2013년 배경으로 나온 상암의 아파트도 사실은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2차이다.

2009년 제물포 캠퍼스에서 새로 조성된 송도캠퍼스로의 이전을 기념해서 MBC 대학가요제를 개최하였고, 2019년 개교 40주년을 기념해서 KBS 열린음악회를 개최하였다.


16. 외부 링크[편집]




1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12:45:55에 나무위키 인천대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횃불이로 대체되었다.[2] 대부분의 국립대학은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 교직원이 공무원이지만, 인천대학교는 2013년 법인화 이후 정부와 분리되어 국립대학법인이 운영하는 형태로 전환하였다. 국립대학법인과 특별법법인은 일부 파견 직원을 제외하고 비 공무원이 교직원이다. 법인(재단)이기 때문에 중앙정부가 아닌 이사회가 대학을 지배하며, 당연직 이사 중 교육부, 기획재정부, 인천광역시의 고위공무원이 포함되어 간접적인 형태로 대학을 운영한다. 법인화 이후에도 인천대학교는 여전히 국립대학에 해당한다. 다만, 교육부와 대교협이 운영하는 대학알리미 사이트에서는 국립대법인이라는 별도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3] 대학알리미 공시정보 기준 정원내, 정원외 재학생의 합 #[4] 대학알리미 공시정보 기준 일반 대학원, 각 특수대학원 별 정원내, 정원외 재학생의 합 #[5] 대학알리미 공시정보 기준 학부, 대학원 전임교원의 합 #[6] 대학알리미 공시정보 기준 학부, 대학원 비전임교원의 합 #[7] 대학알리미 공시정보 기준 #[8]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 119 (송도동 12-1)[9]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12 (송도동 7-50)[10]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정로 165 (도화동 995)[11] 가칭[12] 학부[13] 전환 과정에서 문제가 살짝 있었다.[14] 현재는 학교에서 개편하여 공식적으로 운영한다.[15] 일부 국립대 총장에 대해 장관급 예우가 이뤄지며, 총장이 장관급 예우를 받는 대학의 부총장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16] 과거 인천시립대 시절 학생들의 시위 문구였던 도화인이여, 너 어둠을 사르는 불꽃이어라는 전망타워 2층에서 발견할 수 있다.[17] 이를 오마주 한 것으로 인천인이여, 너 어둠을 사르는 불꽃이어라가 걸려있다.[18] 인천대학교의 상징 동물이다. 정문에 사자상이 있다.[19] 인천대학교 학생증 카드 중 해당 캐릭터가 있는 카드가 있다.[20] 현재는 횃불이에 대체되어 사용하지 않는다.[21] 연구를 중심으로 두겠다는 것은 총장 인터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22] 체험비도 나온다.[23] 옥스포드, 스탠포드, 아이비리그 등[24] 이런 경력의 교수님들은 정말 드물다. 다른 학교 교수님들이랑 비교해서도 신규 교수님들의 스팩이 엄청나다.[25] 과마다 다르지만 이론으로 전공하신 교수님들이 꽤 많다. 어떤 학과는 오히려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분들이 더 높을 때도 있다.[26] 아직 편집이 덜 되어 있는 문서이므로 인천대학교 홈페이지에서 대학 생활 학사 안내를 살펴볼 것.[27] 인천대가 국립대 전환 후 한동안 발전이 더디던 이유다. 당시 계약에서 5년간 정부 지원금이 없었는데, 인천시에서 약속했던 재정 지원을 해주지 않았기 때문. 그래서 2019년 이후로 더 활발히 발전 중이다. 참고[28] 2023년 기준 1,500억원 규모[29] # 정량지표 관련 오류로 인한 정정기사[30] 2017년 미집계[31] 겨울엔 애플 날씨앱 기준 10m/s(시속으로 환산 시 36km/h) 풍속이 일상이다. 수치상으로는 체감이 잘 안될지 모르지만 직접 느껴보면 안다.[32] 2겹 이상 입으면 땀으로 흥건하게 젖는다.[33] 비닐 뿐만이 아니라 캔, 아이스크림 막대기, 담배꽁초 등이 날아간다.[34] 대학본부 지하주차장[35] 학산도서관, 정보기술대학, 복지회관[36] 대학본부[37] 정보기술대학[38] 공과대학[39] 1화 인천대입구역에서 촬영[40] 학산도서관[41] 학산도서관[42] 학산도서관, 복지회관[43] 정문[44] 학산도서관[45] 강의실, 복도 일부[46] 정문[47] 정문[48] 백두산 호랑이 회장님이 만든 기념도서관은 학산도서관에서 촬영[49] 대학본부[50] 학산도서관[51] 컨벤션센터, 스포츠센터[52] 복지회관[53] 복지회관[54] 납량 특집으로 수지가 출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