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칸소 대학교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 북동부 ]
[ 남부 ]
지역사립대학공립대학
남부 대서양
델라웨어없음파일:University_of_Delaware_Seal.svg.png 델라웨어 대학교
메릴랜드파일:JHU 아이콘.png 존스 홉킨스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Maryland_seal.svg 메릴랜드 대학교 · 파일:메릴랜드 대학교 볼티모어 로고.png 메릴랜드 대학교 볼티모어
워싱턴 D.C.파일:조지 워싱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 워싱턴 대학교 · 파일:조지타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타운 대학교없음
버지니아없음파일:버지니아 대학교 문장.svg 버지니아 대학교 · 파일: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휘장.svg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 파일:Virginia_Tech_seal.svg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 파일:ODUseal.jpg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 · 파일:조지 메이슨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 메이슨 대학교
웨스트버지니아없음파일:웨스트 버지니아 대학교 로고.svg 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파일:듀크 대학교 아이콘.png 듀크 대학교파일:UNC 채플힐 아이콘.png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8px-NC_State_Seal.svg.png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없음파일:University of South Carolina Seal.png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 파일:Clemson_University_Seal.svg 클렘슨 대학교
조지아파일:에모리 대학교 아이콘.png 에모리 대학교파일:Georgia_Tech_seal.svg 조지아 공과대학교 · 파일:조지아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아 대학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eorgia_State_University_Official_Seal.png 조지아 주립대학교
플로리다파일:University_of_Miami_seal.svg 마이애미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South_Florida_seal.svg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 로고.svg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Florida_Internation_University_seal.svg 플로리다 인터내셔널 대학교 · 파일:플로리다 대학교 심볼.svg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Florida State University Seal.png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동남 중앙
켄터키없음파일:루이빌 대학교 로고.svg 루이빌 대학교 · 파일:University_of_Kentucky_seal.svg 켄터키 대학교
테네시파일:밴더빌트 대학교 아이콘.png 밴더빌트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Memphis_seal.svg 멤피스 대학교 · 파일:테네시 대학교 로고.png 테네시 대학교
앨라배마없음파일:오번 대학교 아이콘.png 오번 대학교 · 파일:University_of_Alabama_seal.svg.png 앨라배마 대학교 · 파일:uab _ university-seal.png 앨라배마 대학교 버밍햄 · 파일:UAH-seal.png 앨라배마 대학교 헌츠빌
미시시피없음파일:University_of_Mississippi_seal.svg.png 미시시피 대학교 · 파일:미시시피 주립대학교 로고.svg 미시시피 주립대학교 · 파일:서던 미시시피 대학교 문장.png 서던 미시시피 대학교
서남 중앙
아칸소없음파일:아칸소 대학교 로고.svg 아칸소 대학교
루이지애나파일:툴레인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툴레인 대학교파일:루이지애나 휘장.svg 루이지애나 대학교 라파옛 · 파일:Louisiana-State-University-LSU-Seal.png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오클라호마없음파일:오클라호마 대학교 로고.png 오클라호마 대학교 · 파일:Oklahoma_State_University_seal.svg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텍사스파일:라이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라이스 대학교 · 파일:베일러 대학교 로고.svg 베일러 대학교파일:노스 텍사스 대학교 로고.png 노스 텍사스 대학교 · 파일:텍사스 A&M 아이콘.png 텍사스 A&M 대학교 · 파일:Texas_Tech_University_seal.svg 텍사스 공과대학교 · 파일: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아이콘.png 텍사스 대학교 · 파일:UT Dallas 문장.png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2px-UofTsystem_seal.svg.png 텍사스 대학교 샌안토니오 · 파일: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Seal.png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 · 파일:텍사스 대학교 엘패소 문장.png 텍사스 대학교 엘패소 · 파일:University_of_Houston_seal.svg 휴스턴 대학교

[ 중서부 ]

[ 서부 ]


The CDIO™ INITIATIVE>
CDIO 공학교육 도입 대학
[ 아시아 ]
-1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동아시아|{{{#fff 동아시아}}}]]''' || ||<width=1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fff 대한민국}}}]] || [[인제대학교]] ||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대만|{{{#fff 대만}}}]] ||<colcolor=#000,#fff> [[펑챠대학]] ||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 [[몽골|{{{#fff 몽골}}}]] || [[공학기술원]] · [[몽골과학기술대학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fff 일본}}}]] || [[가나자와공업대학]] · [[가나자와국제고부]] · [[구마모토공업고등전문학교]] · [[나가노공업고등전문학교]] · [[나가오카공업고등전문학교]] · [[센다이공업고등전문학교]] · [[쓰루오카공업고등전문학교]] · [[아난공업고등전문학교]] · [[이바라키공업고등전문학교]] · [[츠야마공업고등전문학교]] · [[키사라즈공업고등전문학교]] · [[홋카이도정보대학]]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fff 중국}}}]] || [[다롄동연신식학원]] · [[베이징교통대학]] · [[베이징석유화공학원]] · [[산토우대학]] · [[쑤저우 공업원구 전문대학]] · [[얀샨대학]] · [[전자과학대학]] · [[청두신식공정대학]] · [[칭화대학]] || ||<-2> '''[[동남아시아|{{{#fff 동남아시아}}}]]'''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0]] [[말레이시아|{{{#fff 말레이시아}}}]] || [[마라 공과대학교]] · [[웅쿠 오마르 폴리테크닉 대학교]] · [[이브라힘 술탄 폴리테크닉 대학교]] · [[테일러스 대학교]] ||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베트남|{{{#fff 베트남}}}]] || [[FPT 대학교]] · [[국립토목공학대학]] · [[달랏 대학교]] · [[동나이 공과대학교]] · [[두이탄 대학교]] · [[베트남국립대학]] · [[빈 대학교(베트남)]] · [[투다우못 대학교]] · [[트라빈 대학교]] ||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0]] [[싱가포르|{{{#fff 싱가포르}}}]] || [[난양이공학원]] · [[싱가포르 이공학원]]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태국|{{{#fff 태국}}}]] || [[이산 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탄부리 대학교]]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필리핀|{{{#fff 필리핀}}}]] || [[남필리핀 과학기술대학교/카가얀데오로 캠퍼스]] · [[불라칸 주립대학교]] || ||<-2> '''[[남아시아|{{{#fff 남아시아}}}]]'''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0]] [[인도|{{{#fff 인도}}}]] || [[SRM 과학기술원]] · [[벨텍 공과대학교]] · [[사티야바마 과학기술원]] · [[티야가라자르 공과대학]] || ||<-2> '''[[서아시아|{{{#fff 서아시아}}}]]''' ||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20]] [[아제르바이잔|{{{#fff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 공과대학교]]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0]] [[이스라엘|{{{#fff 이스라엘}}}]] || [[이스라엘 창의진흥원]] · [[텔아비브 공과대학]] ||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20]] [[쿠웨이트|{{{#fff 쿠웨이트}}}]] || [[쿠웨이트 호주대학]] ||
>
[ 유럽 ]
-1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서유럽|{{{#fff 서유럽}}}]]''' || ||<width=12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네덜란드|{{{#fff 네덜란드}}}]] ||<colcolor=#000,#fff> [[델프트 공과대학교]] · [[바헤닝언 대학교]] · [[에인트호번 공과대학교]] · [[트웬터 대학교]] · [[헤이그 응용과학대학교]]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벨기에|{{{#fff 벨기에}}}]] || [[겐트 대학교]] · [[뢰번 국제 유니버시티 칼리지]] ||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0]] [[아일랜드|{{{#fff 아일랜드}}}]] || [[리머릭 대학교]] · [[사우스이스턴 리저널 칼리지]] ·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fff 영국}}}]] ||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 · [[랭커스터 대학교]] · [[레스터 대학교]] · [[리버풀 대학교]] · [[리즈 대학교]] · [[버밍엄 시립대학교]] · [[브리스톨 대학교]] · [[사우스 웨스트 칼리지]] ·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교]] · [[애스턴 대학교]] · [[얼스터 대학교]] · [[치체스터 대학교]] · [[캔터베리 크라이스트 처치 대학교]] ·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 [[하트퍼드셔 대학교]]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프랑스|{{{#fff 프랑스}}}]] || [[CESI 공학대학원]] · [[IMT 아틀란티크]] · [[파리 국립고등기술공예학교]] || ||<-2> '''[[중부유럽|{{{#fff 중부유럽}}}]]'''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fff 독일}}}]] || [[라인 베스트팔렌 아헨 공과대학교]] · [[비스마르 응용과학대학교]] · [[에른스트-아베 응용과학대학교]] ||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폴란드|{{{#fff 폴란드}}}]] || [[그단스크 공과대학교]] || ||<-2> '''[[남유럽|{{{#fff 남유럽}}}]]'''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스페인|{{{#fff 스페인}}}]] || [[나바라 대학교]] · [[카탈루냐 폴리테크닉 대학교]] · [[화학공학 고등기술학교]]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이탈리아|{{{#fff 이탈리아}}}]] || [[밀라노 폴리테크닉 대학교]]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포르투갈|{{{#fff 포르투갈}}}]] || [[포르투 고등공학원]] || ||<-2> '''[[북유럽|{{{#fff 북유럽}}}]]''' ||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0]] [[노르웨이|{{{#fff 노르웨이}}}]] ||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 [[외스트폴 유니버시티 칼리지]] ||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 [[덴마크|{{{#fff 덴마크}}}]] || [[VIA 유니버시티 칼리지]] · [[오르후스 대학교]] · [[올보르 대학교]] ||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0]] [[리투아니아|{{{#fff 리투아니아}}}]] || [[빌뉴스 응용과학대학교]]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 [[스웨덴|{{{#fff 스웨덴}}}]] || [[룰레오 공과대학교]] · [[린네 대학교]] · [[린셰핑#s-5|린셰핑 대학교]] · [[블레킹에 공과대학교]] · [[샬메스 공과대학교]] · [[서부대학교]] · [[셰브데 대학교]] · [[옌셰핑 대학교]] · [[왕립 공과대학교]] · [[우메오 대학교]] · [[크리스티안스타드 대학교]] ||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20]] [[아이슬란드|{{{#fff 아이슬란드}}}]] || [[레이캬비크 대학교]] ||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0]] [[에스토니아|{{{#fff 에스토니아}}}]] || [[탈린 공과대학교]]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 [[핀란드|{{{#fff 핀란드}}}]] || [[LAB 응용과학대학교]] · [[노비아 응용과학대학교]] · [[라플란드 응용과학대학교]] · [[메트로폴리아 응용과학대학교]] · [[사보니아 응용과학대학교]] · [[세이네요키 응용과학대학교]] · [[탐페레 응용과학대학교]] · [[투르쿠 대학교]] || ||<-2> '''[[동유럽|{{{#fff 동유럽}}}]]'''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러시아|{{{#fff 러시아}}}]] || [[돈 국립공과대학교]] · [[모스크바 공학물리연구원 국립원자력대학교]] · [[모스크바 물리기술원]] · [[모스크바 국립항공대학교]] · [[바우만 모스크바 국립공과대학교]] · [[북동연방대학교]]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항공기기대학교]] · [[수르구트 국립대학교]] · [[스콜코보 과학기술원]] · [[시베리아 연방대학교]] · [[아스트라한 국립대학교]] · [[오룔 국립대학교]] · [[우랄 국립철도운송대학교]] · [[우랄 연방대학교]] · [[체레포베츠 국립대학교]] · [[카잔 연방대학교]] · [[쿠반 국립공과대학교]] ||

[ 아메리카 ]
-1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북아메리카|{{{#fff 북아메리카}}}]]''' || ||<width=12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fff 미국}}}]] ||<colcolor=#000,#fff> [[노터데임 대학교]] · [[듀크 대학교]] · [[하버드 대학교|랍사우 {{{-2 (하버드 대학교 산하)}}}]] · [[스탠퍼드 대학교]]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미국해군사관학교]] · [[미시간 대학교]] · [[아칸소 대학교]] ·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 [[엠브리-리들 항공대학교]] ·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노스리지 캠퍼스]] · [[콜로라도 대학교/볼더 캠퍼스]] ·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 [[해군대학원대학교]]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fff 캐나다}}}]] || [[매니토바 대학교]] · [[몬트리올 공과대학교]] · [[셰리든 대학교]] · [[캘거리 대학교]] · [[퀸스 대학교(캐나다)|퀸스 대학교]] || ||<-2> '''[[중앙아메리카|{{{#fff 중앙아메리카}}}]]''' || || [[파일:온두라스 국기.svg|width=20]] [[온두라스|{{{#fff 온두라스}}}]] || [[UNITECH]] || ||<-2> '''[[남아메리카|{{{#fff 남아메리카}}}]]'''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fff 브라질}}}]] || [[국립통신원]] · [[군사공학원]] · [[그란지 도라도스 연방대학교]] · [[로레나 공과대학]] · [[발레 도 타쿠아리 대학교]] · [[산타마리아 연방대학교]] · [[상파울루 살레시아 대학교]] · [[상호세도스캄포스 기술대학]] · [[줄리오 제 메스키타 필리오 주립대학교]] · [[톨레도 아라사투바 대학교]] · [[파라 주립대학교]]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0]] [[칠레|{{{#fff 칠레}}}]] || [[로스 라고스 대학교]] · [[산티아고 데 칠레 대학교]] · [[칠레 공과대학교]] · [[칠레 대학교]] · [[콘셉시온 가톨릭대학교]] ||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0]] [[콜롬비아|{{{#fff 콜롬비아}}}]] || [[ICESI 대학교]] · [[교황청립 자베리아나 대학교]] · [[산토 토마스 대학교]] · [[안티오키아 공과대학]] · [[카리브 자치대학교]] · [[콜롬비아 국립대학교]] · [[킨디오 대학교]] ||

[ 아프리카 ]
-1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북아프리카|{{{#fff 북아프리카}}}]]''' || ||<width=120>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20]] [[튀니지|{{{#fff 튀니지}}}]] ||<colcolor=#000,#fff> [[ESPRIT]] || ||<-2> '''[[남아프리카|{{{#fff 남아프리카}}}]]'''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0]] [[남아프리카 공화국|{{{#fff 남아프리카 공화국}}}]] || [[요하네스버그 대학교]] · [[프리토리아 대학교]] ||

[ 오세아니아 ]
-1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오스트랄라시아|{{{#fff 오스트랄라시아}}}]]''' || ||<width=12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뉴질랜드|{{{#fff 뉴질랜드}}}]] ||<colcolor=#000,#fff> [[오클랜드 대학교]]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fff 호주}}}]] ||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교]] ·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 [[시드니 대학교]] · [[치숄름 인스티튜트]] · [[커틴 대학교]]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


University of Arkansas
아칸소 대학교

파일:아칸소 대학교 로고.svg

대학 정보
모토라틴어Veritate duce progredi
영어To Advance with Truth as our Leader
한국어진리를 길잡이 삼아 전진하라
설립 연도1871년 (153주년)
국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소재아칸소주, 페이엣빌
(Fayetteville, Arkansas, United States)
분류주립대학
총장찰스 로빈슨 (Charles Robinson)
발전기금$2.6 billion (2021년)
합격률77.7% (2020년)
재학생학부22,825명 (2020년 가을)
대학원4,354명 (2020년 가을)
직원교직원1,353명 (2020년 가을)
행정직원3,150명 (2020년 가을)
상징마스코트멧돼지 (Big Red & Tusk)
색상
{{{#000,#white
[ 펼치기 · 접기 ]
Cardinal (#9D2235)


Apple Blossom (#FFF)

}}}
링크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대학 언론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로고
파일:University_of_Arkansas_logo.svg.png
위치


아칸소 대학교 소개 영상
파일:University of Arkansas campus 1.jpg
캠퍼스 사진

1. 개요
2. 역사
3. 학부
4. 주요 동문
5. 스포츠
5.1. 마스코트
5.2. 미식축구
5.2.1. 전설의 감독
5.2.2. 전설의 선수
5.3. 농구
5.3.1. 전설의 감독
5.3.2. 전설의 선수
5.4. 야구
5.4.1. 전설의 감독
5.4.2. 전설의 선수
5.5. 주요 라이벌
6. 사건 사고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University of Arkansas campus 2.webp
아칸소 대학교

미국 아칸소 주의 페이엣빌에 위치한 플래그십 주립대학.

파예트빌 외에도 리틀록, 파인 블러프, 포트 스미스 등에 5개의 캠퍼스를 두고 있다.


2. 역사[편집]


1871년 아칸소 주의회의 결정에 따라 설립된 아칸소 산업대학교(Arkansas Industrial University)가 전신이다. 아칸소 산업대학교는 아칸소 주 최초의 대학이자 유일한 랜드그랜트칼리지(land-grant college)였다. 1872년 1월 22일에 개교하였고, 1875년 현재의 올드 메인(Old Main) 건물이 완공되었다. 1879년 리틀록(Little Rock)에 의과대학이 신설되었고, 1899년 교명을 지금의 아칸소 대학교로 바꾸었다. 1924년에 법대가, 1952년 간호대가 각각 신설되었다. 1969년 평생교육부서가 설치되었고, 1974년 아칸소 주에 있는 여러 캠퍼스를 병합하여 아칸소 대학교 시스템이 완성되었다.


3. 학부[편집]


현재 페이 존스(Fay Jones) 건축대학, J. 윌리엄 풀브라이트(J. William Fullbright) 예술과학대학, 데일 범퍼스(Dale Bumpers) 농업·식품·생명과학대학, 샘 월턴(Sam M. Walton) 경영대학, 교육·보건대학, 공과대학, 법과대학 외에 대학원, 우등대학 등을 포함해 200여 개의 학위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경영대의 이름이 월마트 창립자 샘 월튼의 이름이 들어간것을 보면 알 수 있는데,월마트의 본교 영향력이 엄청나다. 월마트의 본사가 차로 30분 거리이고 아칸소 로저스에서 창업했기 때문으로 추측되는데, 사실 창업자 샘 월튼은 미주리 대학교의 동문;;. 여하건 각종 학교 행사지원은 물론이고 월턴 빌딩에 샘 월튼의 흉상과 작은 갤러리를 입구에 상시 전시중이고, 월마트에서 일하고 파트 타임 강사로 일하는 교직원들도 있다. 대형 할인점의 필수요소인 물류사슬(SCM))학과와 학과와 많은 관련이 있는 경영정보시스템을 많이 밀어주고 있다.


4. 주요 동문[편집]


  • 루신다 윌리엄스
  • 팻 서머롤 - CBS, ESPN 등지에서 활동했던 미식축구 전문캐스터. 특히 CBS NFL 중계 때 해설위원 존 매든과 콤비였다.
  • 리카르도 마르티넬리 - 파나마의 49대 대통령, 아칸소 대학교와 파나마 정부간의 협의로 파나마 학생들에게 주 내 미국인과 같은 등록금을 적용하는 혜택을 주고 파나마정부는 대다수의 국비 장학생을 아칸소 대학교로 보내는데, 이후 이 장학생 프로그램에 많은 지원, 후원을 해주고 가끔은 파나마에서 방학을 보내기 위한 비행기 값도 대주었다고 한다; 그 때문인지 파나마 학생들이 국제학생의 가장 큰 비울을 차지한다. 대통령 당선시 학교기사
  • 제리 존스 - 댈러스 카우보이스 구단주.


5. 스포츠[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Arkansas-Razorback-Logo-2001.png
아칸소 레이저백스
Arkansas Razorbacks

한때 서남부 지역의 대규모 컨퍼런스인 Southwest Conference 소속이었으나, 1991년부터 SEC로 이전했다. 애칭은 'The Hog'


5.1. 마스코트[편집]


파일:external/cdn.stateuniversity.com/large_Arkansas_BigRed.jpg
1호 마스코트인 Big Red.

파일:external/www.sportsbet.com.au/7-arkansas-mascot-tusk-ii.jpg
2호 마스코트인 Tusk.


5.2. 미식축구[편집]


파일:Donald W. Reynolds Razorback Stadium_1.jpg
홈 구장인 도널드 W. 레이놀즈 레이저백 스타디움(Donald W. Reynolds Razorback Stadium).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5.2.1. 전설의 감독[편집]


파일:kwUX7sH.jpg
23대 감독 프랭크 브로일스 (1958~1976 재임. 2017년 작고.) - 내셔널 챔피언 (1964), 코튼 볼 클래식 2회 우승 (1964, 75), 슈가 볼 우승 (1968)

파일:SKLUoL0.jpg
24대 감독 루 홀츠 (1977~1983 재임. 현재 생존.) - 오렌지 볼 우승 (1977), 피에스타 볼 진출 (1978(무승부)), 슈가 볼 진출 (1979)


25대 감독 켄 햇필드 (1984~1989 재임. 현재 생존.) - 오렌지 볼 진출 (1986), 코튼 볼 클래식 2회 진출 (1988, 89)

파일:external/blog.syracuse.com/large_HoustonNutt.jpg
28대 감독 휴스턴 너트 (1998~2007 재임. 현재 생존.) - 코튼 볼 클래식 우승 (1999)

파일:external/i.usatoday.net/Petrino-on-leave-admits-relationship-MO18VMRS-x-large.jpg
29대 감독 바비 페트리노 (2008~2011 재임. 현재 루이빌 대학교 감독으로 재직중.) - 슈가 볼 진출 (2010), 코튼 볼 클래식 우승 (2011)


5.2.2. 전설의 선수[편집]


파일:external/image1.findagrave.com/29753780_122123028960.jpg
1950년대 그린베이 패커스를 빛낸 명선수 데이브 해너

파일:PXKbyR8.jpg
1970년대 버펄로 빌스를 빛낸 쿼터백 조 퍼거슨

파일:wi6jjqa.png
R.C. 타일만

파일:external/www.sportsattic2.com/Alworth,Lance3.jpg
랜스 앨워드


1980년대 시카고 베어스를 빛낸 레전드 댄 햄튼

파일:external/image2.findagrave.com/23533391_119844093120.jpg
파일:external/img.spokeo.com/billy_ray_smith_1986_10_26.jpg
빌리 레이 스미스 시니어-주니어 부자

파일:external/www.tradingcarddb.com/3242-271Fr.jpg
1980년대 뉴올리언스 세인츠의 주전 센터 스티브 코트

파일:external/www.nosaintshistory.com/Wayne-Martin-New-Orleans-Saints-1994.jpg
1990년대 뉴올리언스 세인츠의 간판스타 웨인 마틴

파일:external/sportsglory.com/McFaddenBengalsSG.jpg
2008~2017년 NFL의 오클랜드 레이더스댈러스 카우보이스에서 활약한 러닝백 대런 맥패든


5.3. 농구[편집]


2023년 NCAA Division I 남자농구 챔피언십 서부지역구 2라운드에서 8번 시드 팀으로 출전, 1번 시드로 대회 2연패를 노리던 캔자스 대학교를 72-71로 격침시키는 파란을 일으키면서 16강전인 'Sweet Sixteen'에 올랐다. 코네티컷 대학교가 상대로 결정되었다.

5.3.1. 전설의 감독[편집]


파일:external/origin.ih.constantcontact.com/25.jpg
8대 감독 에디 서튼 (1974~1985 재임. 2020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3위 (1978)

파일:external/www.encyclopediaofarkansas.net/nolan_richardson_f.jpg
9대 감독 놀란 리차드슨 (1985~2002 재임. 현재 생존.) - NCAA 토너먼트 우승 (1994)


5.3.2. 전설의 선수[편집]


파일:external/i.cdn.turner.com/sidney-moncrief-608.jpg
시드니 몽크리프

파일:external/a.espncdn.com/nba_g_robertson_412.jpg
앨빈 로버트슨

파일:레이커스의 2번 어부.jpg
데릭 피셔

파일:external/brooklyneaglesports.com/joe-johnson.jpg
조 존슨


5.4. 야구[편집]



5.4.1. 전설의 감독[편집]


파일:external/www.razorbackfoundation.com/norm-debriyn.png
10대 감독 놈 디브라인(Norm DeBriyn) (1970~2002 재임. 현재 생존.) - 칼리지 월드시리즈 준우승 (1979)

파일:wKT4vUc.jpg
11대 감독 데이브 밴 혼 (2003~ 현재 재임중.) - 칼리지 월드시리즈 4회 진출 (2004, 09, 12, 15)


5.4.2. 전설의 선수[편집]



1990년대 피츠버그 파이리츠를 빛낸 제프 킹

파일:external/www.tradingcarddb.com/421-53Fr.jpg
1990년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간판스타 톰 패그노지

파일:external/www.gospelherald.com/cliff-lee.jpg
클리프 리


5.5. 주요 라이벌[편집]




6. 사건 사고[편집]


2020년 5월 8일 아칸소대학교에서 오랜기간 근무중인 중국인 전기학과 교수 앙 리가 학교에 비밀로 중국공산당과 중국기업에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 것이 드러나 구속입건 되었다. NASA 로부터 연구자금을 받는 절차 중 중공과 관계가 없는지 확인하는 개인정보 공개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취하자 수사가 들어간것. 아직 판결은 안나왔으나 최대 20년 징역형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12:38:24에 나무위키 아칸소 대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