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규식(1953)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강북구 을)
제15-16대
조순형
제17-18대
최규식
제19대
유대운

대한민국 제17·18대 국회의원
최규식
崔奎植 | Choi Gyusik
파일:최규식.jpg
출생1953년 11월 17일 (70세)
전라북도 전주시
본관전주 최씨[1]
학력전주국민학교 (졸업)
전주북중학교 (졸업)
전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 과정 수료)
가족누나 최명자, 조카 방시혁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7, 18
수상한국기자협회 한국기자상(1989)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언론인,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1953년 11월 17일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태어났다. 전주초등학교, 전주북중학교, 전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한국일보에서 사회부, 정치부 기자로 근무하였다. 이후 한국일보에서 정치부장, 편집국장, 논설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2004년 초 열린우리당 정동영 당의장의 언론특별보좌관에 임명되었다. 한국일보 논설위원 시절 칼럼에서 열린우리당을 향해 '닫힌그들당'이라는 표현을 쓰며 비판했던 그를 열린우리당이 영입한 것. 같은 해 치러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북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5년 열린우리당 당의장 비서실장, 홍보미디어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7년 2월 열린우리당을 탈당하고 5월에 중도개혁통합신당 창당에 참여했다. 동년 8월 중도통합민주당을 탈당하고 대통합민주신당 창당에 참여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종합상황본부장 겸 서울특별시 선거대책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청원경찰들의 모임인 청목회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이유로 1심에서 유죄를 선고받았다. 이에 억울하다고 생각하였으나 결국 민주통합당을 위해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불출마를 선언하였다.[2] 해당 선거구에는 대신 서울특별시의회 부의장, 노무현재단 기획위원을 역임한 유대운이 공천받았다.

2015년에 국민모임의 창당에 참여했는데 그 과정에서 정동영계였던 최 의원이 정동영을 끌어들이게 된다.

2018년 1월 2일 주헝가리 대사에 임명되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강북 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36,206 (42.46%)당선 (1위)초선[3]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6,391 (43.50%)재선

4.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제18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종로성동 갑성동 을
박진공석[1][A]진영진수희김동성
광진 갑광진 을중랑 갑
권택기추미애공석[2][A]홍준표유정현
중랑 을성북 갑성북 을강북 갑강북 을
진성호정태근공석[3][A]정양석최규식
도봉 갑도봉 을노원 갑노원 을노원 병
신지호김선동공석[4][A]권영진홍정욱
은평 갑은평 을마포 갑
이미경이재오이성헌정두언강승규
마포 을양천 갑양천 을강서 갑강서 을
강용석원희룡김용태구상찬김성태
영등포 갑영등포 을구로 갑
전여옥권영세이범래박영선안형환
동작 갑동작 을관악 갑관악 을서초 갑
전병헌정몽준김성식김희철이혜훈
서초 을강남 갑강남 을송파 갑송파 을
고승덕이종구공석[5][A]박영아유일호
송파 병강동 갑강동 을
김성순김충환윤석용

비례대표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대구 · 경북 · 부산 · 울산 · 경남 · 제주

[1] 전임자 나경원 2011.9.28 사퇴(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서울시장 출마)[A] A B C D E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2] 전임자 장광근 2012.3.15 국회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 벌금 700만원 확정 판결)[3] 전임자 김효재 2011.8.4 사퇴(청와대 정무수석 임명)[4] 전임자 현경병 2011.6.10 국회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 벌금 300만원 확정 판결)[5] 전임자 공성진 2011.6.9 국회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 징역 8개월 집행유예 2년 확정 판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0:58:21에 나무위키 최규식(195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