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형계

최근 편집일시 : (♥ 0)



최재형계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보수진영 관련 문서 파일:푸른깃발배경제거.png
[ 펼치기 · 접기 ]


집권정부이승만 정부 · 장면 내각(범민주) · 박정희 정부 · 최규하 정부 · 전두환 정부 · 노태우 정부 · 문민정부 · 이명박 정부 · 박근혜 정부
사상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우파 · 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반공주의 · 신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내셔널리즘 · 중도실용주의 · 국민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 · 기독교 우파 · 기독교 민주주의 · 공화주의 · 보수자유주의 · 국민자유주의 · 녹색 보수주의 · 재정 보수주의 · 반동주의 · 우파적 자유지상주의 · 질서자유주의 · 대안우파 · 엘리트주의 · 협동조합주의 · 권위주의 · 국가주의 · 안티페미니즘 · 보수주의 페미니즘
정치인대통령이승만 · 윤보선(범민주) · 박정희 · 최규하 · 전두환 · 노태우 · 김영삼 · 이명박 · 박근혜
부통령이시영 · 김성수
국무위원제1공화국 · 제3공화국 · 제4공화국 · 제5공화국 · 노태우 · 문민 · 이명박 · 박근혜
국회의원광복-제2공 · 5.16-3당 합당 · 3당 합당 이후
당 대표광복-제2공 · 5.16-3당 합당 · 3당 합당 이후
광역자치단체장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지식인자유주의황석영(범민주) · 조순(범민주) · 박세일 · 신율 · 이어령
우파민족주의김지하 · 김정배 · 최광식
뉴라이트이석연 · 나성린 · 이영훈 · 신지호 · 권희영
시장자유주의복거일 · 공병호 · 전원책
반공주의조갑제 · 제성호 · 이문열 · 김동길
기타서경석 · 이인호 · 하영선 · 서민
정파강경보수친박 · 친황 · 친홍 · 청구동계 · 민정계
온건보수친이 · 친윤친무 · 이회창계 · 상도동계 · 민주계
개혁보수친유 · 남원정 · 소장파
시민단체 · 사단법인바른사회시민회의 · 국민행동본부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 자유경제원 · 바른군인권연구소 · 고엽제전우회 · 전국경제인연합회 · 한독 경제인회 · 한국여성단체협의회 · 이클린연대 · 한국대학생포럼 · 청년정치학교 · HOW's · 박사모 · 한국기독교총연합회 · 안티페미협회
언론제도권조선일보 · 중앙일보 · 동아일보 · 문화일보 · 국민일보 · 세계일보 · 데일리안 · 한국경제신문 · TV CHOSUN · 채널A
비제도권뉴데일리 · 데일리안 · 미래한국 · 시사포커스 · 우파 유튜버
정당연대국제민주연합 · DJP연합(범민주·해체) · 선진과 창조의 모임(범민주·해체)
역사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 · 참여 · 이명박 · 박근혜-현재 · 계파 역사
관련 문서대한민국 보수정당 · 제3지대 정당 · 대한민국 극우정당 · 보수정당 틀 · 제3지대 정당 틀 · 극우정당 틀 · 국민의힘의 계파 분류 · 극우정당의 계파 분류
싱크탱크여의도연구소 · 국민미래연구원 · 애국정책전략연구원 · 아산정책연구원 · 자유기업원
창작물자민이 · 환생경제 · 오른소리가족
인터넷 커뮤니티디시인사이드 · 에펨코리아 · 엠엘비파크 · 일베저장소 · 와이고수 · PGR21 · 청년의 꿈 · 뽐뿌(범민주)
관련 정당중도신자유민주연합 · 국민대통합당 · 한국국민당 · 남북통일당 · 독도한국당
극우가자코리아 · 국민새정당 · 국민참여신당 · 기독자유통일당 · 대한당 · 친박연대 · 새누리당 · 우리공화당 · 자유당 · 자유민주당 · 자유의새벽당 · 친박신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민주당계 · 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보수정당의 계파 역사
[ 펼치기 · 접기 ]

자유당 창당 ~ 사사오입 개헌
대한국민국민회원내자유당원외자유당
사사오입 개헌 ~ 4대 총선
국민회이재학계이승만계이기붕계
4대 총선 ~ 4.19 혁명
이재학계이승만계이기붕계
4.19 혁명 ~ 5.16 군사정변
전진한계헌정동지회자유당
5.16 군사정변 ~ 민주공화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주공화당 창당 ~ 민정이양
한독당 자유당 박정희계 김종필계
민정이양 ~ 3선 개헌
한독당 자유당 반김 박정희 친위김종필계
3선 개헌 ~ 7대 대선
반김박정희 친위김종필계
7대 대선 ~ 10월 유신
반김박정희 친위김종필계
10월 유신 ~ 10.26 사건
공화유정회김종필계 민정회
10.26 사건 ~ 5.17 내란
공화
5.17 내란 ~ 12대 대선
정치 활동 금지
12대 대선 ~ 6월 민주 항쟁
한국민정
6월 민주 항쟁 ~ 3당 합당
공화민정
3당 합당 ~ 14대 총선
상도동계청구동계민정계
14대 총선 ~ 자민련 창당
상도동계새한국신정국민청구동계민정계
자민련 창당 ~ 신한국당 당명변경
상도동계신민당자민련민정계
신한국당 당명변경 ~ 15대 총선
신한국자민련민정계
15대 총선 ~ 한나라당 창당
상도동계이회창계자민련민정계
한나라당 창당 ~ 15대 대선
민주계상도동계국민이회창계자민련민정계
15대 대선 ~ 3회 지선
민주계이회창계민국한국자민련민정계
3회 지선 ~ 16대 대선
민주계이회창계민국자민련민정계한미연
16대 대선 ~ 17대 총선
통합민주계이회창계민국하나로자민련민정계친박
17대 총선 ~ 17대 대선
중심소장파민주계이회창계자민련친박
17대 대선 ~ 18대 총선
중심이회창계친이친박
18대 총선 ~ 새누리당 당명변경
국민련선진친이친박
새누리당 당명변경 ~ 19대 총선
민주계선진생각친이친박
19대 총선 ~ 18대 대선
선진비박친박
18대 대선 ~ 새누리당 분당
비박친박
새누리당 분당 ~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바른늘푸른비박친홍친박친조삼성동계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 바른미래당 창당
바른통합파늘푸른비박친홍친박새누리
바른미래당 창당 ~ 바른미래당 분당
호남계손학규계친안친유복당파친홍친황친박애국
바른미래당 분당 ~ 미래통합당 창당
바른새보수전진친무친홍친황친박통일공화
미래통합당 창당 ~ 21대 총선
국민통합경제친박공화
21대 총선 ~ 국민의힘 당명변경
국민통합
국민의힘 당명변경 ~ 20대 대선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국민국민의힘
20대 대선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 8회 지선
친안친유친윤친홍
8회 지선 ~ 현재
비윤친윤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민생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보수정당)




최재형계
친최재형계
형성2022년
수장최재형
정치적 이념사회보수주의
경제적 이념경제적 자유주의
주요 정치인천하람
김영우
조해진
김용판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역사
2.1. 정계 입문 직후
2.2. 국민의힘 입당 이후
2.3. 소멸
2.4. 부활
3. 주요 인사
3.2. 원외
4. 언론 보도



1. 개요[편집]


최재형감사원장을 지지하거나, 또는 그의 사상·정책에 동조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최재형은 한때 큰 기대를 받은 대권 주자였으나, 경선 과정 중에 캠프를 해체하였고, 본선 4인에도 들지 못한 결과를 받았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 인사들은 다른 캠프로 이동했고, 이른바 '최재형계'도 몇 달 만에 소멸했으나, 이준석 전 대표의 국민의힘 혁신위를 통해 새로 형성되었다.


2. 역사[편집]



2.1. 정계 입문 직후[편집]


2021년 7월 7일 정치 참여 의사를 공식화하고 7월 11일부터 대선 캠프 구축에 나섰다.


2.2. 국민의힘 입당 이후[편집]


2021년 7월 15일 국민의힘 입당 후 최재형을 지원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 되었고, 7월 18일 열린캠프가 출범하였다. 대표적으로 3선의 조해진 의원이 도움을 약속하며 열린캠프에 합류했고 입당 전부터 최재형을 대권주자로 꼽았던 정의화 전 의장도 지원을 약속하며 열린캠프에 합류했다.


2.3. 소멸[편집]


하지만 정책 결정 과정에서 최재형과 캠프 인사들이 갈등을 겪었고, 최재형의 지지율도 날로 추락하면서 결국 2021년 9월 14일 열린캠프를 전격 해체하면서 김영우, 정의화 등 상당수 인사들이 최재형계에서 이탈했다.

본경선 진출 실패 이후 최재형은 홍준표 캠프로 가 지지선언을 했다. 애초에 당내 세력도 미약했고 몇달 만에 해체되어 '계파'라고 부르기 어려울 정도. 그러나 최재형이 2022년 3월 재보궐선거에서 정치1번가로 불리는 종로구의 제2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의정 활동에 진출해 있기 때문에 향후 본인이 당내 세력을 키우고 의원으로서도 높은 지지를 얻는다면 부활의 가능성도 충분히 열려 있는 상황이다.


2.4. 부활[편집]


이후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혁신위원장에 최재형 의원을 내정하며 혁신위를 중심으로 부활했다.

3. 주요 인사[편집]



3.1. 원내 (제21대 국회의원)[편집]



3.2. 원외[편집]


  • 천하람
  • 백지원[1]

4. 언론 보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06 16:47:15에 나무위키 최재형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2:41:00에 나무위키 최재형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변인. 캠프 해체 후에도 끝까지 남아 최재형의 입으로서 활약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