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오카현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후쿠오카현의 현청소재지에 대한 내용은 후쿠오카시 문서
후쿠오카시번 문단을
후쿠오카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현(県)
파일:후쿠오카현 문장.svg
후쿠오카현
福岡県
Fukuoka Prefecture
||

현청 소재지후쿠오카시 하카타구 히가시코엔 7-7
하위 행정구역29시 29정 2촌[1]
지방규슈
면적4,986.52km²
인구5,102,121명[2]
인구밀도1,023명/km²
GDP(명목)약 $1,795억(2018)
1인당 GDP$35,120(2018)
현지사
무소속

핫토리 세이타로
(服部誠太郎, 초선)
현의회
(87석)

[→ 회파별로 보기]

자민

40석

공명

10석

국민

1석

입헌

14석

유신

3석
제파
1석

무소속

18석
중의원
(11/465석)

자민

8석

입헌

2석

무소속

1석
참의원
(6/245석)

자민

2석

공명

2석

입헌

2석
상징현화매화
현목진달래나무
현조휘파람새
지역번호092~094
ISO 3166-2JP-40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3]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상징
3. 인구 추이
4. 경제
5. 행정구역
5.1. 도시고용권
6. 정치
7. 후쿠오카현을 무대로 한 작품
8. 기타
9. 관련 문서
10. 출신인물
10.1. 실존인물
10.2. 가상인물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후쿠오카현청사.jpg
▲후쿠오카현청
파일:fukuokacity.jpg
▲후쿠오카 전경
후쿠오카현(福岡県(ふくおかけん, Fukuoka-ken)은 일본 규슈 북부에 위치한 현이다. 면적은 약 4,980㎢, 인구는 약 511만 명(2020년)이다.

규슈 최대 현이자 중심지이다. 규슈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후쿠오카시와 두 번째로 많은 기타큐슈시가 모두 후쿠오카현에 있다.[4] 혼슈간몬해협의 해저터널과 교량으로 연결되어 교통의 중심이다. 명실상부한 규슈의 수도와 같은 지역이다.

후쿠시마와 이름이 비슷하여 헷갈리는 사람도 있으나, 복(福)자가 들어가는걸 빼면 딱히 관계는 없다. 유사한 관계로는 시가현(滋賀県)과 사가현(佐賀県)이 있다.

한국인 관광객들이 오사카, 도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이 찾는 일본 유수의 관광지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서는 후쿠오카시, 기타큐슈시 등 개별 도시 문서를 참조.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신사로 유명한 다자이후시도 후쿠오카현 소속이다.

후쿠오카현은 과거 율령국 시절 크게 후쿠오카시를 중심으로 하는 치쿠젠노쿠니(筑前国), 키타큐슈시를 중심으로 하는 부젠노쿠니(豊前国)[5], 야나가와시-구루메시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치쿠고노쿠니(筑後国)가 존재했다. 율령국 시절의 영향인지 현대에도 후쿠오카현은 후쿠오카 도시권(치쿠젠), 키타큐슈 도시권(부젠), 구루메 도시권(치쿠고)으로 나뉜다.

2. 상징[편집]


파일:후쿠오카현 현기.svg
파일:후쿠오카현 문장.svg
현기(県旗)[6]문장(紋章)

3. 인구 추이[편집]


파일:후쿠오카현 문장.svg
후쿠오카현 인구추이
[1950-2020년]
1950년
3,530,169명
1955년
3,859,764명
1960년
4,006,679명
1965년
3,964,611명
1970년
4,027,416명
1975년
4,292,963명
1980년
4,553,461명
1985년
4,719,259명
1990년
4,811,050명
1995년
4,933,393명
2000년
5,015,699명
2005년
5,049,908명
2010년
5,072,804명
2015년
5,101,556명
2020년
5,108,636명[7]

4. 경제[편집]


파일:attachment/후쿠오카/Example.jpg
▲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조사한 후쿠오카-기타큐슈권의 경제 규모. GDP(국내총생산)가 1,856억 달러로 51위를 차지하였으며 규슈 지방에서 가장 높은 광역경제권이자 일본 수도권, 케이한신, 주쿄권에 이어 일본 제4의 광역 경제도시권이다.

자동차, 철강, 반도체 사업이 발달했으며 관광도 나름 활성화 되어있다. 게다가 음식도 하카타 라멘, 모츠나베와 같이 특색있는 지역요리 덕분에 일본 국내에서도 후쿠오카로 가는 관광객들이 많은 편이며 일본의 대도시 중 가장 가까운 지역인지라 비행기 혹은 배로 싸게 접근이 가능하다.

5. 행정구역[편집]


파일:external/www.mapion.co.jp/admi40.gi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ukuoka-map.jpg
[8]

5.1. 도시고용권[편집]


중심도시로의 통근 비율이 10%를 넘는 시정촌을 묶어 하나의 도시권으로 나타낸 것이다. 2015년 기준이며, %는 통근 비율이다.




6. 정치[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후쿠오카현의 국회의원
파일:Sangiin_logo.png 참의원
선거구정당의원명
후쿠오카현 선거구2025년 개선


마쓰야마 마사지
시모노 로쿠타
노다 구니요시
2028년 개선
오이에 사토시
고가 유키히토
아키노 고조
파일:shuugiin_logo.png 중의원
선거구정당의원명
후쿠오카현 제1구이노우에 다카히로
후쿠오카현 제2구오니키 마코토
후쿠오카현 제3구고가 아쓰시
후쿠오카현 제4구미야우치 히데키
후쿠오카현 제5구쓰츠미 카나메
후쿠오카현 제6구하토야마 지로
후쿠오카현 제7구후지마루 사토시
후쿠오카현 제8구아소 다로
후쿠오카현 제9구오가타 린타로
후쿠오카현 제10구기이 다카시
후쿠오카현 제11구다케다 료타

자민당이 우세한 곳이다. 중의원 선거구는 11개가 배정되어 있으며, 모두 자민당이 차지했다. 그나마 1구나 9구 등 일부 도시 지역에서는 민주당 등 야당이 우세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도시 지역에서도 자민당이 우세한 상황.

전 내각총리대신이자 아베 내각의 부총리 겸 재무대신을 맡고 있는 아소 다로의 지역구가 후쿠오카현 제8구이다.


7. 후쿠오카현을 무대로 한 작품[편집]





8. 기타[편집]



















9. 관련 문서[편집]




10. 출신인물[편집]



10.1. 실존인물[편집]


일본 국내에서도 미녀가 많은 도시로 유명해서 '하카타 미인'이라는 말이 있다.


10.2. 가상인물[편집]




11. 둘러보기[편집]





[1] 정촌(町村) 위로 11개 군(郡)이 있으나 일상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2] 추계인구, 2024년 2월 1일 기준[3] 무역관[4] 기타큐슈시가 인구 수는 2위지만 역사성이나 지역 중심성이 좀 딸린다는 인식이 강해서 인구상 규슈 3번째인 구마모토시를 규슈 제2의 도시라고 생각하는 일본인도 꽤 많은 편이다.[5] 엄밀히 구분하면 북쪽만 후쿠오카현에 포함되었고, 남쪽은 오이타현으로 나뉘었다.[6] 히라가나 ふ(후)와 く(쿠)를 가지고 현화인 매화를 형상화했다. 한국의 '후쿠오카 함바그'라는 요식업 체인점에서 이 문양이 들어간 로고를 쓰고 있다.[7] 8월 기준[8] 오노조시가 오노성시로 잘못 표기되어 있고, 야하타니시구, 야하타히가시구가 각각 야마타니시구, 야마타히가시구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스포주의] 작중에서 사쿠라가 역에 도착하자마자 라멘의 냄새가 난다고 하는데, 후쿠오카는 라멘으로 유명한 지역이다. 또한 여행 중 주인공과 사쿠라가 '학문의 신'에게 기도를 올리는데, 학문의 신(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은 후쿠오카현 다자이후시다자이후덴만구라는 신사에 모셔져 있다. 코믹스에서는 여행으로 도착했던 역이 하카타역으로 그려져 있다.[9] 본사가 하카타에 있으며, 도쿄에는 지사를 뒀다.[10] 전작인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에서 주인공이 머문 군산의 민박집 주인(정진영 분)이 후쿠오카 출신의 재일교포라는 설정이 있다. [11] 위의 개요에도 쓰여있지만 영어로 후쿠오카를 표기할 때는 H가 아닌 F로 시작한다.[12] 지리상으로도 후쿠오카는 한국과 가깝다.[13] 2019년 키타큐슈시의 성년의 날의 성년식 당시 폭주족들이 깽판을 친 동영상이 웹상에 유포될 정도로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14] 소위 구 탄광지역으로 불리는 지역 쪽은 실제로 우범지역으로 악명 높다. 특히 타가와, 카와사키, 오오토. 이 때문에 소위 치쿠호 넘버라는 식으로 이지역 차량들이 후쿠오카 현지나 타지역에게 차별 당하는 것이 논란이 될 정도인데, 2014년에 발포 사건이 0건이었던 것이 뉴스가 될 정도로 정말 위험한 지역이 맞다. 다만 이외의 지역은 치안 문제가 거의 없으며, 치쿠호 밖의 우범지역이라고 해봐야 쿠루메 정도밖에 없다.[15] 사실 단순 범죄율로만 따지면 오사카부가 도도부현 중에서는 가장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쿠오카가 수라의 나라 소리를 듣는 것은 21세기 일본이라고는 생각하기 힘든 기괴한 사건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16] 후쿠오카역 - 기타후쿠오카역 - 니노헤역 순으로 이름이 여러번에 걸쳐 바뀌었다.[17] 일본의 7대 바둑기전 31회 우승중 11회가 왕좌전.[18] 동일한 이름을 가진 성우가수 모두 여기 출신이다.[19] 고로 역을 맡은 마츠시게 유타카도 고향이 바로 이 후쿠오카인데, 배우 덕분에 같이 설정이 되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