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인물 별명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편집]


세계 역사에서 널리 알려진 역사 인물의 별명을 정리한 문서이다. 국가별, 왕조별로 정리하였다. 공식적인 명칭으로 사용되는 별명은 볼드체로 구분하였다. 출신지나 가문명 등을 사용하는 것은 별명이라 볼 수 없으므로 제외.

참고로 군주의 별명은 한자문화권의 특성상 시호와 비슷하게 XX왕으로 번역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유의하고 볼 것. 예를 들어 사자심왕 리처드는 원래 의미대로 번역하자면 사자의 심장 리처드 또는 사자 심장을 가진 리처드가 된다. 대왕의 번역도 마찬가지.


2. 영국[편집]


  • 노르만 왕조
  • 플랜태저넷 왕조
    • 헨리 2세 - 짧은 망토(영 Curtmantle / 불 Court-manteau), 황후의 아들(FitzEmpress)[1][3]
    • 리처드 1세 - 사자심왕(영 Lionheart / 불 Cœur de Lion)
    • - 결지왕(缺地王) 또는 실지왕(失地王)(영 Lackland / 불 sanz Terre) : 원래 결지왕은 봉토를 받지 못했던 과거의 모습 때문에 생긴 별명인데, 재위 기간 동안 프랑스의 광대한 영토를 다 날려먹은 덕분에 실지왕으로도 번역한다(...)
    • 헨리 3세 - 윈체스터 성에서 태어나 윈체스터의 헨리라고도 불린다. 출생지이긴 한데 출신지라고 보기는 애매(...)
    • 에드워드 1세 - 꺽다리왕(Longshanks), 스코틀랜드의 파괴자(Hammer of the Scots), 잉글랜드의 유스티니아누스(the English Justinian)
    • 에드워드 2세 - 웨일스의 카나번 성에서 태어나 카나번의 에드워드라고도 불린다. 잉글랜드의 왕위계승자로써의 프린스 오브 웨일스로는 첫 번째 인물.
    • 에드워드 3세 - 윈저 성에서 출생하여 윈저의 에드워드
      • 에드워드 왕세자 - 흑태자(the Black Prince) : 검은 갑옷을 입고 있어서 붙은 별명. 우드스톡 성에서 태어나서 우드스톡의 에드워드라고도 한다.
    • 리처드 2세 - 보르도에서 출생하여 보르도의 리처드
  • 랭커스터 왕조
    • 헨리 4세 - 볼링브로크 성에서 출생하여 볼링브로크의 헨리
    • 헨리 5세 - 몬머스 성에서 출생해서 몬머스의 헨리
  • 튜더 왕조
    • 헨리 8세 - 허세왕 할(Bluff king HAL), 건장왕 해리(Burly king Harry)
    • 메리 1세 - 블러디 메리(Bloody Mary) : 성공회 탄압으로 붙은 별명이며 피로 물든 메리라는 의미
    • 엘리자베스 1세 - 처녀왕(The Virgin Queen), 글로리아나(Gloriana), 선한 여왕 베스(Good Queen Bess[4])
  • 하노버 왕조
    • 조지 3세 - 농부왕(Farmer King) : 농부처럼 굉장히 소박하고 서글서글했기 때문이라고. 참고로 조지 3세의 치세에 미국이 독립했는데 때문에 미국에선 조지 3세를 암군 취급한다.


3. 프랑크 왕국[편집]


  • 카롤루스 왕조
    • 카롤루스 마르텔 - 망치공(라틴어 Martellus / 불어 Martel / 독일어 Martel), 망치라는 의미, 우마이야 왕조의 유럽 침공중 투르-푸아티에 전투에서 망치와 모루 작전을 사용해 붙여진 이름이다. 이 전투에서는 프랑크 보병이 적을 막는 사이에 프랑크 왕국의 기병이 우마이야 군대의 후방을 공격했다.
    • 피핀 3세 - 단신왕(라틴어 Brevis / 불어 le Bref / 독일어 der Kleine), 소 피핀(라 júnĭor, / 독 der Jüngere) : 대 피핀에 대비해서 소 피핀(또는 젊은 피핀)
    • 카롤루스 대제 - 카롤루스 대제(라 Carolus Magnus / 불 Charlemagne / 독 Karl der Große) : 프랑스어로 샤를마뉴는 샤를 대제를 의미. 독일에서는 카를 대제라고 한다.
    • 루도비쿠스 1세 - 경건왕(der Fromme), 자비왕(le Débonnaire)
    • 샤를 2세 - 대머리왕(le Chauve) : 탈모가 아니고 늦둥이라 이복형들이 작위를 다 물려 받아서 머리에 쓸 관이 없다는 뜻.
    • 카를 3세 - 비만(라틴어 Crasus / 불어 le Gros / 독일어 der Dicke)

4. 프랑스[편집]


  • 카페 왕조
    • 위그 카페 - 그의 이름의 '카페(Capet)' 자체가 이름이나 이 아닌 별명으로 수령,대장,두목이라는 뜻이다. 말하자면 위그 수령님대장님 같은 의미. 이후 그의 자손들이 왕위를 계승하면서 카페의 후손들이라 하여 카페 왕조(Capetiens dynasty)라고 한다.
    • 로베르 2세 - 경건왕(le Pieux)
    • 루이 6세 - 뚱보왕(le Gros)
    • 루이 7세 - 소(小) 루이(le Jeune)[5]
    • 필리프 2세 - 존엄왕(Auguste)
    • 루이 8세 - 사자왕(le Lion)
    • 루이 9세 - 성왕(Saint, 聖王)
    • 필리프 3세 - 강용왕(le Hardi, 剛勇王)
    • 필리프 4세 - 단려왕(le Bel, 端麗王): '단려'는 '단정하고 아름다움'을 뜻하는 단어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많이 쓰이지 않는 단어라서 오늘날에는 미남왕 혹은 미모왕으로 번역되는 빈도가 더 많다.
    • 루이 10세 - 완고왕(le Hutin)
    • 장 1세 - 유복자(le Posthume)
    • 필리프 5세 - 장신왕(le Long)
    • 샤를 4세 - 미모왕(le Bel) : 아버지 필리프 4세와 별명이 같다.
  • 발루아 왕조
    • 장 2세 - 선량왕(le Bon)
    • 샤를 5세 - 현왕(le Sage, 賢王)
    • 샤를 6세 - 친애왕(le Bien-Aimé), 광인왕(le Fou) : 정신병에 걸려 광인왕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샤를 7세 - 승리왕(le Victorieux) : 백년 전쟁을 종결시킨 왕이었기 때문이다. , 충성받은 왕(le Bien Servi)
    • 루이 11세 - 신중왕(le Prudent), 세계적인 거미(l'universelle aragne)
    • 샤를 8세 - 상냥왕(l'Affable)
    • 루이 12세 - 국민의 아버지 또는 국부왕(國父王)(Père du peuple) : 삼부회에서 헌정받은 칭호
  • 부르봉 왕조
    • 앙리 4세 - 대왕(le Grand), 팔팔한 오입쟁이(Le vert galant)
    • 루이 13세 - 공정왕(le Juste)
    • 루이 14세 - 태양왕(Le Roi Soleil), 대왕(le Grand)
    • 루이 15세 - 친애왕(le Bien-Aimé)
    • 루이 16세 - 마지막 루이(Louis le Dernier) 또는 마지막왕[6]
    • 루이 필리프 1세 - 프랑스 국민의 왕(Roi des Français)[7] 또는 민중왕(民衆王)이 사람이 아니다, 폭동[8]
  • 프랑스 제1제국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꼬마 부사관(Le Petit Caporal)[9]


5. 독일[편집]



6. 포르투갈[편집]


  • 마누엘 1세 - 행운왕(o Afortunado)
  • 주앙 4세 - 복구왕(o Restaurador) : 스페인을 몰아내고 포르투갈 출신의 브라간사 왕조를 개창했다.
  • 주앙 5세 - 관대왕(o Magnânimo), 포르투갈의 태양왕(o Rei-Sol Português)
  • 주제 1세 - 개혁왕(o Reformador)
  • 마리아 2세 - 교육왕(a Educadora), 좋은 어머니(a Boa Mãe)
  • 페드루 5세 - 희망왕(o Esperançoso)
  • 카를루스 1세 - 외교왕(o Diplomata), 순교자왕(o Martirizado)
  • 마누엘 2세 - 애국자왕(o Patriota), 불운왕(o Desventurado)


7. 대한민국[편집]


  • 삼국시대
    • 온달 - 바보 온달(愚溫達) : 삼국사기 온달 열전에 분명히 기록되어 있는 표현으로 '어리석을 우(愚)'자로 쓰여 있다.
    • 의자왕 - 해동증자(海東曾子)[10]
  • 후삼국시대
    • 능창 - 수달(水獺): 그 동물 수달 맞다. 고려사에 분명히 기록되어 있는 별명.수달이가 주거써! 수달이가!
  • 고려
    • 이규보 -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 , 거문고 세 가지를 좋아한다 하여 붙었던 별명이다.
    • 최영 - 백수최만호(白首崔萬戶) : 백수가 아니고 '머리 하얀 최 만호'라는 의미로 노구를 이끌고 용맹을 떨쳤던 것을 본 왜구들이 최영을 두려워하며 부른 이름.
    • 최충 - 해동공자(海東孔子)
  • 조선
    • 허조 - 수응재상(瘦鷹宰相), 주공(周公)
    • 김종서 - 대호(大虎)
    • 이징옥 - 멧돼지
    • 세종대왕 - 해동요순(海東堯舜)[11]
    • 홍윤성 - 경음당(鯨飮堂) : 고래 경마실 음으로 글자 그대로 술고래라는 의미. 홍윤성에게 세조가 지어준 별명이다. 혹은 또 야사에서 나온 살인마 정승도 포함될 수 있을듯
    • 허엽 - 묘지(卯地) : 십이지에서 토끼의 방위는 정동쪽을 가리키는데, 타협 없던 동인이었다는 걸 보여주는 별명.
    • 이이 -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 : 과거시험에서 아홉 번 장원급제를 했다 하여 붙은 별명이다.
    • 곽재우 - 홍의장군(紅衣將軍)
    • 철종 - 강화 도령
    • 전봉준 - 녹두장군(綠豆將軍)
  • 일제강점기
    • 주시경 - 두루때글 : 두루 주(周), 시(時), 경(經)에서 나왔다. 한문 이름인 주시경(周時經)을 뜻만 따서 억지로 순우리말로 바꾼 이름으로, 각종 일상, 학술 용어나 조선인의 이름을 억지로 순우리말 표현으로 바꿔 전파하려 한 주시경의 행보를 비판하던 사람들이 쓰던 호칭이었다.
  • 대한민국
    • 김두한 - 잇뽕
    • 김현옥 - 불도저
    • 김형욱 - 남산 돈까스
    • 이성순 - 시라소니
    • 이승만 - 이박사(李博士), 싱먼리 박사 : 박사는 물론 박사학위를 일컫는 말이지만 당시 이씨 성에 박사학위를 가진 인물 중에서 가장 유명했기 때문에 이박사라는 별칭이 굳어졌다. 싱먼리는 그의 영어 이름인 Syngman Rhee에서 따온 별명인데, 당시에 아직 로마자 표기법이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렇게 표기한 것으로 현대 로마자 표기법을 적용하면 Seungman Lee가 된다.
    • 이정재 - 말렌코프, 동 카포네
    • 이화룡 - 평양박치기, 검은 신사
    • 프란체스카 도너 - 호주[12]


8. 중국[편집]


  • 춘추시대
    • 공자 - 지성(至聖), 만세사표(萬世師表)
    • 식부인 - 도화부인(桃花夫人)
  • 전국시대
    • 맹자 - 아성(亞聖)
    • 장자 - 남화진인(南華眞人)
  • 서한
    • 이광 - 비장군(飛將軍)
  • 동한
  • 조위
  • 촉한
    • 유비 - 귀 큰 놈(大耳兒, 大耳翁) : 귀가 컸다는 외모적 특징 때문에 별명이라기보다는 사실 유비의 적수들이 멸칭으로 부른 이름이다. 여포와 조조가 유비를 이렇게 칭한 기록이 정사에 있다.
    • 관우 - 미염공(美髥公)
    • 제갈량 - 와룡(臥龍)/복룡(伏龍)
    • 방통 - 봉추(鳳雛)
    • 마량 - 백미(白眉)
  • 손오
    • 손책 - 손랑(孫郞) : 손책의 별명은 연의의 '소패왕(小覇王)'이 유명하지만, 정사 손책전에는 보이지 않는다.
    • 도개(到漑) / 유종(劉鬷) - 청리(淸吏) : 소연은 일찍이 지방의 관리를 발탁할 때 청렴하고 공평한 사람을 선발했는데 도개와 유종은 이 당시에 관리가 되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은 인물이다. 이 부분은 초기 양의 치세를 보여주는 부분이며 당시에도 청리라 칭송받는 이가 국가에 여럿이 존재했다.
    • 두보 - 시성(詩聖)
    • 이백 - 시선(詩仙)
    • 한유 - 창려선생(昌黎先生) : 창려는 현 허베이 성 동북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한유의 본관이 이곳 출신이다. 하지만 한유 자신은 현 허난 성 멍저우(孟州) 시에서 태어났다.
    • 이극용 - 독안룡(獨眼龍)
  • 북송
    • 포증 - 청천(靑天), 포흑(包黑)
    • 건륭제 - 십전노인(十全老人): 사실 이건 자칭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9. 일본[편집]




10. 오스만 제국[편집]




11. 미국[편집]




12. 멕시코[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2:38:48에 나무위키 역사 인물 별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어머니인 마틸다가 신성 로마 황제인 하인리히 5세의 황후였고 하인리히 사후 앙주 백작이던 조프루아 플랜태저넷과 재혼하여 헨리 2세를 낳았다.[2] 디에프라는 노르망디 소재의 항구도시의 자작을 겸하긴 했으나 당시의 자작은 백작대리(Viscount)였기 때문에 실제로 그 땅의 주인은 아니었다.[3] 다만 이 별명은 별명이 아닌 성씨처럼 쓰이기도 했다. 당시엔 성씨가 없던 시절이라 대부분 자신의 영지명을 성씨처럼 사용했는데 주어진 영지가 없던[2]그의 동생인 윌리엄은 FitzEmpress를 성씨처럼 사용했다. 아이슬란드인들이 자신의 성씨를 자신의 부모에서 따오는 것과 비슷하다.[4] 엘리자베스의 애칭 중 하나이다.[5] 부친 루이 6세와 구분하기 위함이었다.[6] 실제 루이 왕호를 마지막으로 사용한건 그의 동생 루이 18세이다. 제1공화국 시기 기준. 그땐 마지막인줄 알았지 말제(末帝)?[7] 엄밀히 따지면 별명은 아니다. 루이 필리프 1세 시기의 프랑스 국왕의 정식 호칭이 '프랑스 국민의 왕'이었다.[8] 7월 혁명을 통해 즉위한 그를 고깝게 여긴 유럽 군주들이 부른 멸칭[9] 당시 프랑스의 평균키는 165cm, 나폴레옹은 168cm이었으나 당시 귀족들의 평균은 170cm을 넘겼고 본인의 호위무사들 역시 다들 키가 큰데다 본인이 직접 "하늘에서 키를 잰다면 내가 제일 크다."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기에 작은 이미지가 생긴 것 뿐이다. 또한 그의 조카인 나폴레옹 3세는 진짜로 단신이었기에 더욱 단신 이미지에 영향을 주었다.[10] 의자왕은 왕자 시절 효자로 유명했다.[11] 이게 무려 당대 신하들이 "전하는 해동요순이십니다." 라고 한거다.[12] 항목에도 나와있지만 프란체스카 도너는 오스트리아 출신인데 호주=오스트레일리아와 헷갈린 사람들이 붙인 별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