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태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헌
신익희 김약수 윤치영김동원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장택상 김동성조봉암조봉암윤치영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최순주 조경규곽상훈조경규황성수 이재학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이재학한희석 임철호김도연이재형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이영준서민호소선규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나용균장경순이상철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윤제술장경순정성태
제8대
장경순정해영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김진만이철승구태회이민우
제10대
민관식고흥문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채문식김은하윤길중고재청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최영철김녹영 조연하공석장성만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노승환김재광김재광조윤형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황낙주허경만이춘구 이한동홍영기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오세응김영배신상우김봉호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홍사덕 김종하김종호김태식조부영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김덕규박희태이용희이상득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이윤성문희상정의화홍재형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이병석박병석정갑윤이석현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심재철박주선이주영주승용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김상희정진석김영주정진석 정우택

역대 국회의장


역임한 지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7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정성태
鄭成太 | Jung Sung-tae
파일:정성태 부의장.jpg
출생 1915년 7월 28일
전라남도 광주군 (現 광주광역시)
사망2000년 8월 17일 (향년 85세)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일산백병원
본관하동 정씨
재임기간제7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1970년 9월 7일 ~ 1971년 6월 30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최봉진
자녀슬하 4남 2녀
친인척조카 정두언
학력보성전문학교 (법과 / 졸업)
의원 선수6
의원 대수3, 4, 5, 6, 7, 8
약력광주상업고등학교 교장
제3대 국회의원 (전남 광주시)
제4대 국회의원 (광주시 갑)
제5대 민의원의원 (광주시 갑)
제6,7대 국회의원 (광주시 갑)
제7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제8대 국회의원 (광주시 갑)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기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2. 생애[편집]


1915년 전라남도 광주군에서 태어나 1940년에 보성전문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1945년 8.15 광복 이후 자신의 보성전문학교 재학 당시의 스승이었던 설산 장덕수의 권유로 한국민주당에 입당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탈당했다. 이후 이범석의 족청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1950년 공무원을 사퇴하고 고향인 광주에서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무소속 박철웅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그 후 광주상업고등학교(현 광주동성고등학교)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임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무소속으로 전라남도 광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당이 창당하자 이에 참여하여 민주당 구파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전라남도 광주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대에는 정치판이 혼탁하여 선거판에 나온 사람들 모두 돈을 물 쓰듯 쓰는 것이 예사였으나, 정성태는 리어카를 타고 다니면서 연설을 할 정도로 검소한 선거운동을 하였다. 지역구 유권자들에게는 물론이고 선거운동원들에게도 제대로 식사를 챙겨주지 못할 만큼 어려운 상황 속에서 선거운동을 했지만, 매번 당선되는 기염을 토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전라남도 광주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4년 한일기본조약 반대운동에 참여했으며, 1965년 8월 13일 한일기본조약 비준에 항의하는 뜻으로 민중당에 탈당계를 제출해 윤보선, 김도연, 서민호, 정일형, 김재광 등과 함께 국회의원직이 자동 상실되었다. 이로 인하여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는 정민회 유수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1966년 신한당에 참여하였다가 다시 통합야당 신민당에 참여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신민당 후보로 전라남도 광주시 갑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1970년 6월부터 1971년 6월까지 국회부의장직을 역임했다. 1969년 8월 31일 광주에서 ‘3선 개헌반대 천리길 헌정수호행진’을 시작해 11일 동안 걸어서 서울에 진입하려다가 정사복 경찰중대에게 저지당하고 서울 삼청동 자택으로 이끌려갔다. 당시에 정성태의 천리도보 행진은 전국적으로 큰 화제가 되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 신민당 후보로 전라남도 광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일당 김녹영 후보와 민주공화당 박철 후보에 밀려 낙선하고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2000년 8월 17일에 사망하였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50제2대 국회의원 선거전남 2[A]
[[무소속|
무소속
]]
6,237 (12.59%)낙선 (4위)
1954제3대 국회의원 선거전남 1[*A ]21,164 (41.08%)당선 (1위)초선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전남 1[B]
19,568 (54.03%)재선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23,158 (67.14%)3선[1]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
[[민정당|
]]
21,408 (57.69%)4선[2]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44,364표 (50.43%)5선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39,678 (59.59%)6선[3]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전남 1[A]17,357 (12.48%)낙선 (3위)

역대 선거 벽보[4]
[ 펼치기 · 접기 ]
파일:7정성태.png
파일:8정성태.png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1[*B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1[*B ])
파일:9정성태.png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1[A])
[A] 광주시

4. 기타[편집]


같은 항렬의 친척 동생을 운전사로 채용했는데, 그 운전사의 넷째 아들이 故 정두언 전 의원이다. 정두언은 자신의 족숙인 정성태가 자신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8:28:48에 나무위키 정성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광주시[B] 광주시 갑[1] 1961.5.16 자격정지
(5.16 군사정변)
[2] 65.08.06: 당적 이탈로 인한 자격 상실 (헌법 38조)[3] 1972.10.17 자격박탈(10월 유신)[4] 제2~6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