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 (r1판)

편집일시 :

파일:부산국제영화제 로고.svg[[파일:부산국제영화제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50%"
[ 역대 영화제 ]
2020년대26회 · 27회 · 28회
※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회만 포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50%"
[ 관련 문서 ]


파일: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svg
2022년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
파일:27th_biffPoster.jpg
▲ 공식 포스터
개최기간2022년 10월 5일 ~ 10월 14일
개최장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영화의전당
집행위원장허문영
개막작《바람의 향기》
폐막작《한 남자》
공식 홈페이지공식홈페이지

1. 개요
2. 상영작
2.1. 개막작
2.2. 폐막작
2.3. 갈라 프레젠테이션
2.4. 아이콘
2.5. 지석
2.6. 아시아영화의 창
2.7. 뉴 커런츠
2.8. 한국영화의 오늘
2.8.1. 스페셜 프리미어
2.8.2. 파노라마
2.8.3. 비전
2.9. 월드 시네마
2.10. 플래시 포워드
2.11. 와이드 앵글
2.11.1. 한국단편 경쟁
2.11.2. 아시아단편 경쟁
2.11.3. 다큐멘터리 경쟁
2.11.4. 다큐멘터리 쇼케이스
2.12. 오픈 시네마
2.13. 미드나잇 패션
2.14. 온 스크린
2.15. 특별기획 프로그램 Special Program in Focus
2.15.1. Ⅰ - 일본 영화의 새로운 새로운 물결
2.15.2. Ⅱ - 21세기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시선
2.15.3. 특별기획 프로그램 Ⅲ - 양조위의 화양연화
2.16. 특별상영
3. 수상작 및 수상자
3.1.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3.2. 한국영화공로상
3.3. 뉴 커런츠상
3.4. 지석상
3.4.1. 지석상 특별언급
3.5. 비프메세나상
3.6. 선재상
3.6.1. 선재상 특별언급
3.7. 올해의 배우상
3.8. KB 뉴 커런츠 관객상
3.9. 플래시 포워드 관객상
3.10. 국제영화비평가연맹 (FIPRESCI)상
3.11. 아시아영화진흥기구 (NETPAC)상
3.12. 한국영화감독조합 메가박스상
3.13. CGV아트하우스상
3.14. KBS독립영화상
3.15. CGK촬영상
3.16. 크리틱b상
3.17. 왓챠상
3.18. 왓챠단편상
3.19. 오로라미디어상
3.20. 시민평론가상
3.21. 부산시네필상



1. 개요[편집]


2022년 개최된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에 관한 정보를 다룬 문서.


2. 상영작[편집]



2.1. 개막작[편집]


제목원제감독국가
바람의 향기Scent of Wind하디 모하게흐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2. 폐막작[편집]


  • 폐막식 진행자:
제목원제감독국가
한 남자[79V]ある男이시카와 케이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3. 갈라 프레젠테이션[편집]


거장 감독의 신작 또는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화제작 가운데 감독이나 배우가 영화를 직접 소개하고 관객과의 만남을 갖는 섹션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
노바디즈 히어로Viens je t'emmène알랭 기로디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스칼렛[75C]L'envol피에트로 마르첼로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2.4. 아이콘[편집]


동시대를 대표하는 거장들의 신작을 소개하는 섹션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
개미 대왕[79V]Il Signore Delle Formiche지아니 아멜리오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내가 꿈꾸는 나라[75C]Mi país imaginario파트리시오 구즈만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노 베어스[79V]No Bears자파르 파나히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다크 글래시스[72B]Occhiali neri다리오 아르젠토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만찬Feast브리얀테 멘도사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미래의 범죄들[75C]Crimes of the Future데이비드 크로넨버그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바르도, 약간의 진실을 섞은 거짓된 연대기[79V]Bardo, Falsa Cronica de unas Cuantas of Verdades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본즈 앤 올[79V]Bones and All루카 구아다니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부서지는 파도[79V]When The Waves Are Gone라브 디아즈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브라더 앤 시스터[75C]Frère Et Sœur아르노 데플레섕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브로커[75C]고레에다 히로카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소설가의 영화[72B]홍상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슬픔의 삼각형[75C]Triangle of Sadness루벤 외스틀룬드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아마겟돈 타임[75C]Armageddon Time제임스 그레이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어느 멋진 아침[75C]Un beau matin미아 한센 로브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이니셰린의 밴시[79V]The Banshees of Inisherin마틴 맥도나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칼날의 양면[72B]Avec amour et acharnement클레르 드니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홍상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퍼시픽션[75C]Tourment sur les îles알베르트 세라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페어리테일Сказка알렉산드르 소쿠로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에스토니아
피터 폰 칸트[72B]Peter von Kant프랑수아 오종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헤어질 결심[75C]박찬욱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화이트 노이즈[79V]White Noise노아 바움백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EO[75C]IO예지 스콜리모프스키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R.M.N.[75C]R.M.N.크리스티안 문지우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79V] A B C D E F G 제79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상영작.[75C] A B C D E F G H I J K [72B] A B C D 제7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상영작.



2.5. 지석[편집]


세 편 이상의 장편영화를 만든 아시아 중견 감독의 신작 경쟁 부문으로, 최우수작 두 편을 선정하여 지석상을 수여한다. 지석상은 아시아영화의 성장과 지원에 헌신해 온 고(故) 김지석 수석 프로그래머의 뜻을 기억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제목원제감독국가
6명의 등장인물Six CharactersM.L. 뿐드헤바놉 데와쿤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동에 번쩍 서에 번쩍이광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디셈버December안슐 차우한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라이프&라이프Life & Life알리 가비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바람의 향기Scent of Wind하디 모하게흐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변모Alteration욜킨 투이치에브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스토리텔러The Storyteller아난스 나라얀 마하데반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열일곱Seventeeners프리스비 코나누르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6. 아시아영화의 창[편집]


아시아의 중견감독들과 신인감독들의 다양한 시각과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신작 및 화제작을 소개하는 섹션이다. 최근 아시아영화의 주요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제목원제감독국가
계략Scheme파르캇 샤리포브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공중 정원[79V]Hanging Gardens아메드 야신 알 다라지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금붕어Goldfish푸샨 크리팔라니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나나[72B]Nana카밀라 안디니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돌거북이Stone Turtle우밍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러브 라이프[79V]Love Life후카다 코지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레일라의 형제들[75C]برادران لیلا사에드 루스타이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룩앳미 터치미 키스미Look At Me Touch Me Kiss Me호유항, 제나르 마에사 아유, 김태식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리턴 투 서울[75C]Retour à Séoul데이비 추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리틀 블루Little Blue이이팡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마리암Mariam아르빈드 프라타프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모범생 아논Arnold is a Model Student소라요스 프라파판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물고기를 향한 설교Sermon to the Fish힐랄 바이다로프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바람이 하는 말The Wind Will Say웨이 레나이 용야오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배달의 기사Zwigato난디타 다스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비욘드 더 월[79V]Beyond The Wall바히드 잘릴반드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성스러운 거미[75C]Holy Spider알리 아바시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세일즈 걸The Sales Girl센게도르지 잔치브도르지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쑥의 향기The Scent of the Wormwood아이벡 다이르베코프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알립니다Declaration마헤쉬 나라야난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애정신화B for Busy샤오이휘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우리 최고의 순간In Our Prime리우유린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자서전Autobiography막불 무바락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조이랜드[75C]Joyland사임 사디크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집 팝니다Home for Sale탈라이벡 쿨멘데브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추방된 사람들Nezouh수다드 카아단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토라의 남편Tora′s Husband리마 다스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플랜 75[75C]Plan 75하야카와 치에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행운Fortune무히딘 무자파르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홍콩 패밀리Hong Kong Family에릭 창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흙으로 돌아가다[72B]Return to Dust리뤼준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79V] A B C [72B] A B [75C] A B C D E



2.7. 뉴 커런츠[편집]


아시아 영화의 미래를 이끌 신인 감독들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장편 경쟁 부문으로, 최우수작 두 편을 선정하여 뉴 커런츠상을 수여한다.


제목원제감독국가
괴인이정홍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그 겨울The Winter Within아미르 바쉬르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그 여자 쉬밤마Shivamma자이샨카르 아리아르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노 엔드No End나데르 사에이바르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다시 찾은 블루Blue Again타파니 루스완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메멘토 모리: 어스MEMENTO MORI: EARTH마르쿠스 부 마인 끄엉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아줌마Ajoomma허슈밍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지옥만세임오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천야일야Thousand and One Nights구보타 나오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침묵의 장소A Place Called Silence샘 쿠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2.8. 한국영화의 오늘[편집]



2.8.1. 스페셜 프리미어[편집]


특별한 대중적 매력과 위상을 지닌 동시대 한국 주류 상업 영화의 최신작 및 대표작을 프리미어로 상영하는 섹션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
20세기 소녀방우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소년들정지영



2.8.2. 파노라마[편집]


동시대 한국영화의 역량과 흐름을 만끽할 수 있는 그해의 다양한 대표작 및 최신작을 선보이는 섹션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장건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경관의 피이규만
고속도로 가족이상문
교토에서 온 편지김민주
다음 소희[75C]정주리
드림팰리스가성문
앵커정지연
오픈 더 도어장항준
한산: 용의 출현김한민



2.8.3. 비전[편집]


뛰어난 작품성과 독창적 비전을 지닌 한국독립영화 최신작을 선보이는 섹션이다. 다양한 상이 수여된다.


제목원제감독국가
공작새변성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기행이하람
길고 재미없는 영화가 끝나갈 때윤지혜
너와 나조현철
물비늘임승현
비닐하우스이솔희
빅슬립김태훈
엄마의 땅박재범
울산의 별정기혁
이어지는 땅조희영
페이퍼맨기모태
Birth유지영



2.9. 월드 시네마[편집]


비아시아권 중견 작가들과 신인 감독들의 신작 및 유수 국제영화제 수상작을 포함하여 한 해 세계 영화의 전체적인 흐름을 조망할 수 있는 섹션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
그, 그리고 그들의 아이들[79V]Les enfants des autres레베카 즐로토브스키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내겐 짜릿한 꿈이 있어I Have Electric Dreams발렌티나 마우렐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라인[72B]The Line우르슬라 마이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러브 달바Love According to Dalva엠마누엘 니코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레이먼드 & 레이Raymond & Ray로드리고 가르시아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룰 34Rule 34줄리아 무라트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말없는 소녀The Quiet Girl콤 베어리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모니카[79V]Monica안드레아 팔라오로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믿거나 말거나, 진짜야[72B]Incredible but True쿠엔틴 듀피유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밤, 혹은 클라라의 죽음The Night of the 12th도미닉 몰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뱅어. 띵곡이 필요해BANGER.아담 세들락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보이 프롬 헤븐[75C]Boy from Heaven타릭 살레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브라더Brother클레멘트 버고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블랑키타Blanquita페르난도 구초니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빌어먹을 휘게Fucking Bornholm안나 카제약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사일런트 트윈스The Silent Twins아그네즈카 스모친스카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산이 부른다The Mountain토마스 살바도르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새턴 볼링장Saturn Bowling파트리샤 마쥐이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시골 경찰 지지의 한여름 모험The Adventures of Gigi the Law알레산드로 코모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아르키Harkis필립 포콩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알카라스의 여름[72B]Alcarràs카를라 시몬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애프터썬Aftersun샬롯 웰스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여덟 개의 산[75C]LE OTTO MONTAGNE펠릭스 반 그뢰닝엔,샤를로트 반더미르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와서 직접 봐봐You Have to Come and See It호나스 트루에바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우타마, 우리집UTAMA알레한드로 로아이사 그리시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자기만의 방A Room of My Own이세브 소소 블리아제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장님 버드나무와 잠자는 여자Blind Willow, Sleeping Woman삐에르 폴데스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코르사주[75C]Corsage마리 크류처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클로즈[75C]Close루카스 돈트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클론다이크Klondike마리나 얼 고르바흐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키아라Chiara수산나 니키아렐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프롤로고스Prologos만타스 크베다라비시우스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프리즌 77Prison 77알베르토 로드리게즈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플럭스 고메[72B]Flux Gourmet피터 스트릭랜드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79V] A B [72B] A B C D [75C] A B C D



2.10. 플래시 포워드[편집]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선보인 비아시아권 신인 감독들의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장편을 소개하는 부문으로, 관객 투표를 통해 플래시 포워드상을 수여한다.


제목원제감독국가
델타Delta미켈레 반누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라이스보이 슬립스Riceboy Sleeps앤소니 심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무루Muru테아레파 카히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분노의 딸Daughter of Rage라우라 바우마이스터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생토메르[79V]Saint Omer알리스 디옵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소년배La Jauría안드레스 라미레즈 풀리도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썬 오브 람세스Sons of Ramses클레망 코지토르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야자수와 전선Palm Trees and Power Lines테아레파 카히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천둥''Thunder'카르멘 자키에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피해자는 누구인가Victim미할 블라스코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2.11. 와이드 앵글[편집]



2.11.1. 한국단편 경쟁[편집]


영화의 시선을 넓혀 색다르고 차별화된 비전을 보여주는 단편영화와 다큐멘터리를 모아 선보이는 섹션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
그리고 집정은욱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꽃들도신은섭
단편영화 유니버스이한
더더더정해일
도어이민형, 배성열, 김창민
문 앞에 두고 벨 X이주영
송곳니김정민
절규김은성
최여영의 해남 여행여영은
캐리어우먼황동욱
타인의 삶노도현
호수박소현



2.11.2. 아시아단편 경쟁[편집]


영화의 시선을 넓혀 색다르고 차별화된 비전을 보여주는 단편영화와 다큐멘터리를 모아 선보이는 섹션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
기억의 길The Memory Lane우지타 슌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꿈의 고향A Cambodian Night′s Dream기욤 수온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따스한 오후Southern Afternoon란 티안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만취꾼Drunkard꺼 위치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바람의 계곡The Valley of the Wind사미라 나우르즈나세리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어떤 장례식Smoke Gets In Your Eyes앨빈 리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우울의 그림자Shades of Melancholy카라시 자니쇼프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친애하는 나에게Dear Me수차나 사하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괴Destruction이고르 스몰라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향유Jouissance사딕 에스하치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11.3. 다큐멘터리 경쟁[편집]


영화의 시선을 넓혀 색다르고 차별화된 비전을 보여주는 단편영화와 다큐멘터리를 모아 선보이는 섹션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
남쪽, 적막철도On the Train샤오추첸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눈썹김보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두 사람을 위한 식탁김보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또 바람이 분다김태일, 주로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이비 드랙 퀸BABY QUEEN루이 왕 핑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사갈이동우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생츄어리왕민철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수라황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죽은 후에도After Passing Away수유팅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축구광 자흐라The Football Aficionado샤흐민 모르타헤자데, 팔리즈 쿠쉬델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친애하는 어머니, 죽음에 대해 써보려 합니다Dear Mother, I Meant to Write about Death첸시이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11.4. 다큐멘터리 쇼케이스[편집]


영화의 시선을 넓혀 색다르고 차별화된 비전을 보여주는 단편영화와 다큐멘터리를 모아 선보이는 섹션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
내 친구 알리스Alis클레어 와이스코프, 니콜라스 반 헤멜릭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두 사람Life Unrehearsed반박지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레트로그레이드Retrograde매튜 하이네만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물꽃의 전설고희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미얀마 다이어리[72B]Myanmar Diaries미얀마 영화 집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블루 아일랜드Blue Island찬쯔운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사랑의 불꽃Fire of Love사라 도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숨쉬는 모든 것[75C]All That Breathes샤우낙 센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슈퍼 에이트 시절[75C]The Super 8 Years아니 에르노, 다비드 에르노-브리오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씨 유 프라이데이, 로빈슨See You Friday, Robinson미트라 파라하니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우리가 지켜보는 동안While We Watched비나이 슈클라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유니버스원태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유령의 해오민욱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이노센스Innocence기 다비디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죽은 친구를 구하는 법How to Save a Dead Friend마루시아 시로에치코프스카야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철수에게 자유를Free Chol Soo Lee하줄리, 이성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초토화작전Scorched Earth이미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LA 주류 가게의 아메리칸 드림Liquor Store Dreams엄소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72B] [75C] A B



2.12. 오픈 시네마[편집]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신작 및 국제적인 관심을 모은 화제작을 영화의전당 야외극장에서 상영한다.


제목원제감독국가
맥스와 민, 그리고 미야옹자키Max, Min and Meowzaki파드마쿠마르 나라시마무르티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블랙 파라오, 숲속의 남자, 그리고 공주The Black Pharaoh, the Savage and the Princess미셸 오슬로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비크람Vikram로케쉬 카나가라즈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어느 짧은 연애의 기록[75C]Diary of a Fleeting Affair엠마누엘 무레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대니얼 콴, 대니얼 쉐이너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今夜、世界からこの恋が消えても미키 타카히로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킹덤 2: 아득한 대지로Kingdom 2: Far and Away사토 신스케



2.13. 미드나잇 패션[편집]


작품성과 오락성을 겸비한 호러, 사이언스 픽션, 컬트영화를 신작 위주로 소개하는 부문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
더 메뉴The Menu마크 밀로드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더 프라이스 위 페이The Price We Pay기타무라 류헤이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사탄의 노예: 영의 조우Satan′s Slaves: Communion조코 안와르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제티카Jethica피트 오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14. 온 스크린[편집]


영화의 확장된 흐름과 가치를 포괄하는, 그 해 최신의 드라마 시리즈 화제작을 상영하는 부문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배급러닝타임
글리치노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넷플릭스 로고.svg189분[1]
몸값전우성파일:TVING 로고.svg103분[2]
썸바디정지우파일:넷플릭스 로고.svg150분[3]
약한영웅 Class 1유수민파일:wavve 로고.svg130분[4]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이호재파일:왓챠 로고.svg129분[5]
욘더이준익파일:TVING 로고.svg92분[6]
커넥트미이케 다카시파일:Disney+ 로고.svg133분[7]
킹덤 엑소더스[79V]The Kingdom Exodus라스 폰 트리에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jg_20151214111040.jpg120분[8]
피의 저주Blood Curse키모 스탐보엘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Disney+ 로고.svg134분[9]
[1] 10부작 중 4부작 상영.[2] 6부작 중 3부작 상영.[3] 8부작 중 3부작 상영.[4] 8부작 중 3부작 상영.[5] 12부작 중 4부작 상영.[6] 6부작 중 3부작 상영.[7] 6부작 중 3부작 상영.[79V] [8] 5부작 중 2부작 상영.[9] 6부작 중 3부작 상영.



2.15. 특별기획 프로그램 Special Program in Focus[편집]



2.15.1. Ⅰ - 일본 영화의 새로운 새로운 물결[편집]


올해 특별기획 프로그램Ⅰ은 ‘일본영화의 새로운 물결’이다. 2010년 이후 데뷔한 일본 감독들의 작품 가운데 언론과 평단의 호평을 받은 10편을 선정했다. 과연 일본 영화의 차세대 감독은 누가 있는지, 일본영화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지, 가늠해 볼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제목원제감독국가
나선은하螺旋銀河구사노 나츠카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나의 작은 나라マイスモールランド가와와다 에마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내가 돌아갈 곳僕の帰る場所후지모토 아키오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너의 눈을 들여다보면[72B]ケイコ 目を澄ませて미야케 쇼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벼랑 끝의 남매岬の兄妹가타야마 신조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빛의 노래ひかりの歌스기타 교시
세 번째의, 정직三度目の、正直노하라 다다시
우리 집わたしたちの家기요하라 유이
유코의 평형추由宇子の天秤하루모토 유지로
타카라, 내가 수영을 한 밤泳ぎすぎた夜이가라시 고헤이, 다미앵 마니벨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15.2. Ⅱ - 21세기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시선[편집]


올해 특별기획 프로그램 Ⅱ는 “21세기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시선”이다. 뤼미에르 형제 이래 완전한 객관성을 추구해온 20세기 전통적인 다큐멘터리와는 결을 달리하는, 미학적으로 또 기술적으로 새롭고 대담한 시도를 선보인 열 편의 작품을 선정했다. 2000년대에 등장한 창의적이고 모험적인 다큐멘터리스트들의 비전을 엿볼 수 있는 자리다.


제목원제감독국가
나의 위니펙My Winnipeg가이 매딘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리바이어던Leviathan베레나 파라벨, 루시엔 카스탱-테일러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성스러운 도로Sacro GRA지안프랑코 로시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세 자매三姊妹왕빙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실비아의 도시에서 찍은 사진들Some Photos in the City of Sylvia호세 루이스 게린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에브리씽 윌 비 오케이[72B]Everything will be OK리티 판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은빛 수면, 시리아의 자화상Silvered Water, Syria Self-Portrait오사마 모하메드, 위암 시마브 베디르산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인체해부도[75C]De Humani Corporis Fabrica베레나 파라벨, 루시엔 카스탱-테일러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카메라를 든 사람Cameraperson커스틴 존슨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괴의 자연사[75C]THE NATURAL HISTORY OF DESTRUCTION세르게이 로즈니차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72B] [75C] A B



2.15.3. 특별기획 프로그램 Ⅲ - 양조위의 화양연화[편집]


올해 특별기획 프로그램 Ⅲ은 “양조위의 화양연화”이다. “양조위의 화양연화”에서는 양조위 배우가 직접 선택한 영화 여섯 편을 상영한다.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수상자이기도 한 양조위는 그만의 연기와 분위기로 여전히 그의 ‘화양연화’를 살고 있는, 우리 시대 최고의 배우이다. 이 여섯 편의 영화를 통해 결코 잊을 수 없는 양조위의 눈빛을 다시 만나보시길 추천한다.


제목원제감독국가
2046 (리마스터링)2046왕가위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동성서취射鵰英雄傳之東成西就유진위
무간도無間道유위강, 맥조휘
암화暗花유달지
해피 투게더 (리마스터링)春光乍洩왕가위
화양연화 (리마스터링)花樣年華왕가위



2.16. 특별상영[편집]


제목원제감독국가
낙동강최종학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지석김영조



3. 수상작 및 수상자[편집]



3.1.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편집]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은 한 해 동안 아시아 영화 산업과 문화발전에 있어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아시아 영화인에게 수여된다. 올해 수상자는 <비정성시>(1989), <중경삼림>(1994), <해피 투게더>(1997), <화양연화>(2000), <무간도>(2002) 등 유수의 작품에 출연하며 홍콩영화를 이끌고 아시아를 넘어 세계무대에서 종횡무진 활약하는 배우 양조위다.


성명국가
양조위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양조위는 아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배우 중 한 명으로 손꼽히는 홍콩 출신의 배우이자 가수다. 왕가위 감독의 <중경삼림>(1994), <해피 투게더>(1997), <화양연화>(2000) 등으로 잘 알려진 그는 베니스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세 작품 <비정성시>(1989)와 <씨클로>(1995), <색, 계>(2007)에 출연했다. 또한, 2003 미국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부문에 노미네이트된 <영웅: 천하의 시작>(2002)과 <무간도>(2002),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2021) 등 필모그래피를 쌓아왔다. 1980년대부터 배우 활동을 시작한 양조위는 2000 칸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으며, 이외에도 홍콩 영화 금상장에서 5관왕, 금마장에서 3관왕이라는 쾌거를 달성하며 남우주연상 최다 수상자라는 기록을 세웠다.



3.2. 한국영화공로상[편집]


한국영화공로상은 한국영화에 대한 전세계적 대중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국영화를 국제영화계에 널리 소개하는데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된다. 올해는 뉴욕아시아영화제 공동창립자이자 큐레이터 및 작가로서 지난 20년간 한국영화를 알려온 고란 토팔로빅을 선정하였다.


성명국가
고란 토팔로빅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고란 토팔로빅은 지난 20년간 미국에서 영화제 기획, 큐레이터, 작가로서 한국영화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그는 1999년 미국에서 최초로 한국영화를 조명한 비영리 예술문화단체 ‘서브웨이 시네마’를 창립했으며 이사회 임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뉴욕아시아영화제 공동 창립자이자 프로그래머, 그리고 前 집행위원장인 고란 토팔로빅은 14년간 100편 이상의 한국영화를 소개하는 등 한국영화가 뉴욕아시아영화제 프로그램의 한 축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최민식, 이정재 등 국내 유명 배우의 회고전과 박찬욱, 봉준호 등 감독과의 대화를 진행하며, 한국영화 산업을 알리는 데 힘썼다. 최근에는 『끊임없는 발명: 새로운 한국 영화, 1996-2003 회고전』을 개최하였으며, 방송 『새로운 한국 영화』 시리즈의 큐레이터를 맡았다.



3.3. 뉴 커런츠상[편집]


아시아영화 경쟁부문인 뉴 커런츠 섹션에 상영된 신인 감독들의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장편영화 중에서 두 편을 선정하여 각각 3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한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선정한 뉴 커런츠상은 아시아의 재능있는 신인 감독 발굴 및 격려의 의미를 갖는다.


수상작감독국가


3.4. 지석상[편집]


지석상은 장편 작품 3편 이상을 연출한 아시아와 한국 감독의 신작 경쟁 부문으로, 아시아 영화의 성장과 지원에 헌신해온 故 김지석 수석 프로그래머의 정신과 뜻을 기억하기 위해 2017년에 신설되었다. 지석 섹션에 선정된 작품 중 두 편을 선정하여 부산국제영화제 후원회에서 각 1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한다.


수상작감독국가


3.4.1. 지석상 특별언급[편집]




3.5. 비프메세나상[편집]


와이드 앵글 경쟁부문에 초청된 한국과 아시아 다큐멘터리 중 최우수 작품을 각 1편씩 선정하여, 그 작품의 감독에게 각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수상작감독국가


3.6. 선재상[편집]


와이드 앵글 경쟁부문에 초청된 한국과 아시아 단편 중 최우수 작품을 각 1편씩 선정하여, 그 작품의 감독에게 각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수상작감독국가


3.6.1. 선재상 특별언급[편집]




3.7. 올해의 배우상[편집]


올해의 배우상은 뉴 커런츠와 한국 작품과 오늘-비전 부문 작품을 대상으로 한국 장편독립영화의 새로운 배우들을 주목하기 위한 상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남, 여 배우 각 1인이 심사위원으로 나서며, 최고의 남, 여 배우 1명씩 선정해 폐막식에서 각각 5백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상금은 부산국제영화제 후원회에서 후원한다.


수상작배우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8. KB 뉴 커런츠 관객상[편집]


뉴 커런츠에 선정된 영화를 대상으로 관객으로부터 최고의 호평을 받은 작품에 2천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상금은 KB국민은행에서 후원한다.


수상작감독국가


3.9. 플래시 포워드 관객상[편집]


플래시 포워드 관객상은 플래시 포워드 섹션에 선정된 영화를 대상으로 관객으로부터 최고의 호평을 받은 작품에 수여하는 상이다. 감독에게 상금 1천만 원을 수여하며, 부산국제영화제 후원회에서 후원한다.


수상작감독국가


3.10. 국제영화비평가연맹 (FIPRESCI)상[편집]


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은 뉴 커런츠 부문 작품 가운데 뛰어난 작품성과 진취적인 예술적 재능을 선보인 작품에 수여하는 상이다.


수상작감독국가


3.11. 아시아영화진흥기구 (NETPAC)상[편집]


뉴 커런츠 섹션에 상영되는 영화 중, 넷팩 심사위원들이 선정한 최고의 영화에 수여되는 상. 1990년에 국제기구로 설립된 아시아영화진흥기구는 아시아영화의 배급과 상영 확대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수상작감독국가


3.12. 한국영화감독조합 메가박스상[편집]


한국영화감독조합 메가박스상은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서 2편의 영화를 선정, 각각 5백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상금은 한국영화감독조합과 메가박스에서 후원한다.


수상작감독국가
울산의별 (Star Of Ulsan)정기혁 (JUNG Kihyuk)대한민국 (Korea)


3.13. CGV아트하우스상[편집]


CGV아트하우스상은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 작품을 대상으로 한국영화의 새로운 비전을 보여준 작품에 수여되는 상으로, 선정된 1편에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상금은 CJ CGV 아트하우스에서 후원한다.


수상작감독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14. KBS독립영화상[편집]


KBS독립영화상은 한국 독립영화의 지원을 목적으로 한국영화의 오늘-비전과 뉴 커런츠 부문의 한국 작품을 대상으로 선정하며, 선정된 1편에게는 1천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상금은 KBS가 후원한다.


수상작감독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15. CGK촬영상[편집]


CGK(한국촬영감독조합)촬영상은 한국영화의 오늘_비전과 뉴 커런츠 부문에서 촬영이 돋보이는 한국 작품 1편을 선정하며, 선정된 작품의 촬영감독에게 5백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상금은 한국촬영감독조합에서 후원한다.


수상작촬영감독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16. 크리틱b상[편집]


크리틱b상은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과 뉴 커런츠 부문 한국 작품을 대상으로 부산영화평론가협회에서 구성한 심사위원단이 선정하며, 선정된 1편에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수상작감독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17. 왓챠상[편집]


왓챠상은 한국 영화계 신인 감독을 육성하기 위해 마련한 상으로, 뉴 커런츠 부문 한국 작품과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 작품을 대상으로 2편의 영화를 선정하여 각 1천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상금은 왓챠에서 후원한다.


수상작감독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18. 왓챠단편상[편집]


올해 신설된 왓챠단편상은 한국영화계 단편감독을 고무하기 위해 마련한 상으로, 한국단편 경쟁 부문 작품을 대상으로 1편을 선정하여 5백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상금은 왓챠에서 후원한다.


수상작감독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19. 오로라미디어상[편집]


오로라미디어상은 한국 영화계 신인 감독을 육성하기 위해 마련한 상으로, 뉴 커런츠 부문 한국 작품과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 작품을 대상으로 2편의 영화를 선정하여 각 1천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상금은 오로라미디어에서 후원한다.


수상작감독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20. 시민평론가상[편집]


시민평론가상은 영화의전당 비평교실이 배출한 시민평론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서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의 감독에게 차기작을 제작할 수 있도록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상금은 조니워커에서 후원한다.


수상작감독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21. 부산시네필상[편집]


부산시네필상은 대학생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와이드 앵글 다큐멘터리 쇼케이스에 소개된 한국 및 아시아 다큐멘터리를 대상으로 심사한 후 최우수 작품에 시상하는 상으로 5백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부산 지역 영화 관련학과 대학생들이 심사위원단으로 참여한다.


수상작감독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0-12 01:24:05에 나무위키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