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스 칼리지 런던/출신 인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킹스 칼리지 런던




파일:KCL 출신 인물 Banner_02.png
1. 개요
1.1. 참고 자료
2. 상세
2.1. 한국 관련 출신 인물
2.1.1. 동문
2.1.2. 교원
2.2. 동문 (한국 관련 인물 제외)
2.2.1. 학술 • 교육 • 연구 • 기술 • 의료 분야
2.2.1.1. 고등교육기관 수장[1]
2.2.2. 문학 분야
2.2.3. 종교 분야
2.2.4. 기업 • 금융 분야
2.2.5. 군 • 경찰 계열
2.2.6. 정치 • 정부 • 법조 • 행정 • 외교 • 공공기관 • 국제기구 계열
2.2.7. 예술 • 언론 • 방송 • 연예 계열
2.2.8. 스포츠 분야
2.2.9. 왕족 • 귀족
2.3. 교원 (한국 관련 인물 제외)
2.3.1. 역대 이사 (Principal & President)
2.3.2. 교수 • 강사 • 연구원
2.4. 가상 인물



1. 개요[편집]


KCL Alumni Community
관련 영상
[ 펼치기 · 접기 ]

킹스 칼리지 런던(KCL)을 거쳐간 모든 출신 인물들에 관한 정보를 서술한 문서.

본 대학에서 출신 인물의 정의는 동문(학위를 수여받거나 학업을 이수, 혹은 공부했던 인물들)을 비롯 이사(Principal & President), 의장(Chairman of the Council), 교수, 강사, 연구원 그리고 주임 사제(Dean)등의 신분으로 재직했던 인물들을 총칭한다.

본 문서에서는 동문교원(이사, 교수, 강사, 연구원)으로 항목을 나눠서 KCL 출신 인물에 대해 서술한다.


1.1. 참고 자료[편집]


KCL과 관련있는 인물들의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자료들을 참고하길 바란다 :



2. 상세[편집]



2.1. 한국 관련 출신 인물[편집]


  • 본 항목의 리스트는 킹스 칼리지 런던과 관련있는 한국인(한국계 포함) 동문 및 교원을 포함한 출신 인물들에 관한 정보이다.


2.1.1. 동문[편집]


성명관계비고
김혜선학사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5]
이루마학사뉴에이지 음악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6]
방인성학사교회개혁운동을 이끌고 있는 한국의 목사. 교회개혁실천연대 고문 역임[7]
차원영학사차광렬 차병원그룹 회장의 장녀이자 김남호 DB그룹 회장 부인[8]
피터 빈트학사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영국인 방송인이자 영어 강사[9]
이도훈석사제8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제6대 외교부 제2차관 역임
이상식석사부산지방경찰청장 및 국무총리비서실 민정실장 역임[10]
전성하석사뇌과학자, 교육자, 기업인이자 정치인
조지은박사옥스퍼드 대학교 아시아–중동학부 전임교수
신동훈박사한국 작곡가 최초로 영국비평가협회가 수여하는 '젊은 작곡가상'을 수상한 음악인[11]


2.1.2. 교원[편집]


성명관계비고
전광호교수킹스 칼리지 런던 안보학부 교수[12]
이혜경교수킹스 칼리지 런던 문화, 미디어, 창조산업학부 교수[13]
케이 조교수킹스 칼리지 런던 신경과학 및 기초 임상 신경과학부 (IoPPN) 교수[14]
오세훈방문연구원제33•34•38•39대 서울특별시장[15]
박진방문연구원제40대 외교부장관


2.2. 동문 (한국 관련 인물 제외)[편집]


  • Alma Mater 킹스 칼리지 런던, 혹은 킹스 칼리지 런던의 전신(前身)[16]인 인물들만 아래의 분야별 동문 리스트에 추가할 것.
  • 한국인 혹은 한국계 동문에 관한 정보는 위의 한국 관련 출신 인물 - 동문 항목에 추가하기 바란다.


2.2.1. 학술 • 교육 • 연구 • 기술 • 의료 분야[편집]



동문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성명업적 및 대표 경력
피터 힉스힉스 입자로 유명한 이론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울프상, 디랙 상 수상자[1]
시슬리 손더스말기 환자 간병 및 완화치료의 선구자. 간호학에서 호스피스 케어의 목적성과 중요성을 확립[2]
막스 타일러황열병에 관한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남아공의 바이러스학자이자 면역학자
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노벨 생리학·의학상, 코플리 메달을 수상한 영국의 생화학자
토머스 호지킨영국의 의사이자 병리학자. 호지킨 림프종의 발견으로 유명[3]
어니스트 스탈링생리학 분야의 기본이 되는 개념들과 법칙들을 정립한 영국의 생리학자[4]
리처드 돌흡연폐암의 상관관계를 최초로 규명한 영국 출신의 의사이자 전염병학자. 로열 메달, 가드너 국제상, 쇼 상 수상자
프랜시스 골턴빅토리아 시대의 유전학자
존 밀른현대 지진학의 창시자. 최초의 근대적 수평 지진계를 발명한 영국의 지질학자이자 광산 기술자. 로열 메달, 라이엘 메달 수상자[5]
레이몬드 카텔개인 심리적 구조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심리학자. 자기보고검사인 16가지 성격요인으로 유명
루이스 슬로틴맨해튼 계획에 참여했던 물리학자
마이클 레빗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구조 생물학자이자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6]
마이클 호턴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이자, 래스커상 수상자. 헤파티티스 C와 헤파티티스 D 게놈 발견[7]
닉 보스트롬스웨덴 출신 철학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이자 인류 미래 연구소 창립 소장
에이브러햄 피네오 게스너캐나다의 지질학자이자 발명가. 등유의 아버지라 불리는 인물로 원유의 증류공정을 최초로 발견
패트릭 스텝토체외수정을 개발해 불임치료에 획기적 돌파구를 마련한 영국 출신의 산부인과 의사[8]
앤서니 포슨단백질 신호전달과 연관성 연구로 유명한 과학자. 울프상, 교토 상 수상자. 토론토 대학교 교수[9]
헬렌 그윈본영국의 식물학자이자 진균학자(眞菌學者). 대영제국 훈장 1등급(GBE) 수훈자
키스 캠벨영국의 생물학자. 복제 양 돌리로 유명. 쇼 상 수상자
로버트 존 바틀렛영국의 심리학자. 前 영국 심리학회(BPS) 회장
마이클 피셔통계역학의 다양한 분야, 특히 상전이와 임계 현상의 이론에 공헌한 영국의 물리학자. 울프상 수상자
앤드루 페이비언영국의 천체물리학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천문학연구소 교수이자 왕립천문학회(RAS) 회장
스티븐 로즈알츠하이머 병 치료와 기억 형성에 관여하는 생물학적 과정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신경생물학자
에드워드 월터 몬더영국의 저명한 천문학자. 몬더 극소기라는 태양 활동 주기 연구로 유명. 흑점 연구와 태양 자기장 연구로 태양 연구 분야에 크게 기여
에드워드 제임스 스톤영국의 천문학자. 왕립천문학회(RAS) 회장이자 RAS 골드 메달 수상자
더들리 스탬프20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지리학자. 왕립지리학회(Royal Geographical Society) 회장
존 휴스래스커상을 수상한 영국의 신경과학자. 왕립학회회원이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명예 교수
R. 존 엘리스엽록체 관련 연구로 유명한 영국의 효소학자. 가드너 국제상 수상자
리처드 홀스턴영국의 유전학자. 영국 암 연구소(Institute of Cancer Research) 교수[10]
노린 머리영국의 분자 유전학자. 영국 유전학회(Genetical Society) 회장 및 왕립학회 부회장 역임
앤드루 킹영국의 신경 생리학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이자 영국 웰컴 트러스트 재단 선임 연구원
루돌프 피터스영국의 생화학자. 로열 메달 수상자
라자 라마나인도 최초의 핵실험을 주도한 핵물리학자. 인도 바바 원자력연구소(BARC) 소장, 인도 원자력위원회 위원장 및 국방부 차관 역임[11]
키스 걸영국의 분자 미생물학자 겸 생화학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이자 세인트 에드문드 홀의 학장(Principal)
무하마드 압둘 바리방글라데시계 영국인 물리학자. 前 영국 무슬림위원회 사무총장
토머스 본드영국의 외과의사. 세계 최초의 프로파일러 중 한명[12]
제임스 고언스영국의 의사이자 면역학자. 로열 메달 수상자이자 울프상 수상자[13]
키프로스 니콜라이데스영국의 의사이자 모체태아의학의 거두. 2020년 NAM 수상자. 넷플릭스 의학 다큐멘터리 서전스 컷: 수술대 위의 개척자들 시즌 1-1화 출연자
앤드루 폴러드영국의 면역학자이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개발처인 옥스퍼드 백신그룹 연구원장(Director)이자 영국 백신·접종 면역공동위원회(JCVI) 의장(Chair)
토머스 아미티지영국의 내과 의사. 왕립 맹인 연구소(Royal National Institute of Blind People)의 설립자[14]
조지 존슨영국의 내과 의사. 콜레라와 신장병 치료 연구의 선구자
라이어널 스미스 빌영국의 내과 의사. 의학 연구에서 현미경 관찰법(Microscopy)을 대중화시킨 장본인
존 필영국의 산부인과 의사. 1961 ~ 1973년까지 엘리자베스 2세의 칙임(勅任) 산부인과 전문의 역임
러셀 브록영국의 의사. 현대 개심수술의 선구자
라이어널 펜로즈영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유전학 전문의. 래스커상 수상자
피오나 우드호주의 성형외과 의사. 서호주 대학교 교수이자 왕립 퍼스 병원(Royal Perth Hospital) 이사(Director)
레이타 파리아인도의 내과 의사이자 1966년 미스 월드우승자. 인도 여성 최초의 미인대회 우승자이자 미스 월드 출신 최초의 의사[15]
사이먼 배런코언영국의 임상 심리학자.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교수겸 자폐증 연구소(ARC)와 아스퍼거 증후군 의심자 진료소(CLASS) 소장
레이먼드 고슬링영국인 과학자. KCL에서 박사과정 중 모리스 윌킨스로절린드 프랭클린을 도와 DNA 구조 발견에 기여[* King's College London - Ray Gosling on DNA research
[br 윌킨스와 프랭클린이 그의 박사과정 슈퍼바이저였다. 고슬링은 후에 '''KCL'''로 돌아와 교수로 활동했다.]
토머스 캐빌리어-스미스진핵생물 분류 체계로 유명한 진화생물학자이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앵거스 존 베이트먼영국의 유전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 성(性) 선택 이론인 베이트먼의 원리(Bateman's principle)로 유명
마르셀로 글레이서다트머스 대학교 자연철학 애플턴 석좌교수이자 대중 저술가. 템플턴상 수상자. 우주론 연구로 유명하며, 《최종 이론은 없다: 거꾸로 보는 현대 물리학》(A Tear at the Edge of Creation)의 저자
재닛 손턴영국의 구조생물학자. 영국 왕립학회 회원이자 EMBL-EBI의 수장(Director). 구글 딥마인드가 개최한 단백질 구조 예측(CASP) 대회 대표 자문위원이자 심사위원
존 에드윈 미드윈터영국의 전기공학자. 영국 IEE 회장 역임
존 울프 배리영국의 토목공학자. 런던의 대표 명물 타워 브리지의 설계자이자 영국토목기술협회(ICE) 회장
헨리 딘호주의 토목공학자. 시드니 트램웨이와 호주-횡단철도 건설
윌리엄 헨리 프리스영국 웨일스 출신의 전기공학자 겸 발명가. 무선 전신술 발전에 기여. 영국 과학협회(BSA)와 영국 토목기술협회(ICE) 회장
헨리 마크 브루넬영국의 토목공학자. 이삼바드 킹덤 브루넬의 아들
에드워드 미들턴 베리19세기에 활동한 영국의 건축가. 런던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를 건축한 것으로 유명
스티브 본영국의 컴퓨터공학자. 본 셸의 개발자
이언 컬리모어영국의 컴퓨터공학자이자 수학자. 후에 아타리 포트폴리오가 되는 dip 포켓 PC의 최초 개발자
조너선 엘리엇 에스브리지영국의 간호사. 영국 간병인-조산사의회(NMC) 초대 회장(President)
아일라 스튜어트영국의 간호사. 영국 세인트 바톨로뮤 병원(St Bartholomew's Hospital)의 간호 총 책임자이자 영국 왕립 간호사협회(Royal British Nurses' Association) 창립 멤버
시어도라 터너영국 세인트 토마스병원의 간호 총 책임자. 영국 간호사 노동조합인 RCN 회장
엘리스 피셔미국 간호학의 선구자
코포워롤라 아베니 프랫영국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 최초의 흑인 간호사이자 나이지리아 간호학계의 대모[16]
윌리엄 킹던 클리퍼드영국의 수학자. 수리물리학에서 중요한 클리퍼드 대수를 고안함
마틴 J. 테일러영국의 수학자. 런던 수학회화이트헤드 상과 애덤스 상(Adams Prize) 수상자. 옥스퍼드 대학교맨체스터 대학교 학장(Warden) 역임
레오니트 미르스키미르스키 정리, 미르스키-뉴먼 정리로 유명한 수학자
토머스 윌모어영국의 기하학자. 前 런던 수학회 부회장이자 더럼 대학교 석좌교수
이디스 몰리영국의 문인 학자. 영국 최초의 여성 대학 교수이자 최초의 여성 학장(Chair)[17]
조 볼러영국의 수학자, 교육자 겸 작가. 스탠퍼드 대학교의 수학 교육학 교수이자 youcubed의 공동 창업자 겸 교무부장
키스 데블린미국의 수학자 겸 대중 저술가. 스탠퍼드 대학교H-STAR 연구소 공동 설립자 겸 상임이사
존 캐도건영국의 화학자. 영국 왕립 화학회 회장
아서 더컴영국의 화학자. 화학공학 연구원(IChemE) 회장
제프리 오진영국의 화학자. 토론토 대학교 물질 화학과 석좌교수
뭄타즈 알리 카지파키스탄의 화학자. 파키스탄 과학 아카데미 회장. 유네스코 이사회 멤버이자 과학 고문
나이절 스크루턴영국의 생화학자이자 생명공학 혁신가. 맨체스터 대학교 교수
하워드 돌턴영국의 미생물학자. 영국 환경식품농무부(DEFRA) 최고 과학 자문위원 (Chief Scientific Advisor)
에이브릴 캐머런영국의 사학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수재나 클라크캐나다계 영국인 음악학 연구자이자 이론가. 하버드 대학교 음악 대학 교수
크리스틴 홀트영국의 뇌과학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뇌과학 명예 교수
타라 스와트영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신경과학자. MIT 슬론 경영대학원과 KCL 부교수이자 대중 저술가
미리엄 로스차일드영국의 자연 과학자. 벼룩 연구에 대한 그녀의 헌신을 기리고자 Flea Lady란 애칭으로 불림
데이비드 벨러미영국의 식물학자이자 작가, 환경운동가
에릭 그로브영국의 저명한 해군 사학자 겸 국방 전력 분석가
알리 안사리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의 이란학 연구소 창립 멤버이자 교수
하산 우가일몰디브 출신의 수학자 겸 컴퓨터 공학자. 몰디브인 최초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이자 몰디브인 최초의 대학 교수
아제이 카카르영국의 의사. 추밀원 소속 자문위원이자 UCL 외과 교수
윌리엄 D. 리처드슨영국의 생물학자 겸 교수. UCL Wolfson Institute 학장
루이스 월퍼트영국의 생물학자 겸 과학 저술가이자 방송인. UCL 생물학 명예교수
나카야 우키치로일본의 물리학자 겸 수필가
[1] King's People - Peter Higgs[2] King's People - Cicely Saunders[3] King's People - Thomas Hodgkin

KCL의 가이스 캠퍼스엔 그의 공헌에 감사하고자 그의 이름을 딴 빌딩이 있다
[4] King’s People - Ernest Starling[5] 관련 기사[6] King's People - Michael Levitt[7] King's News Centre[8] 안타깝게도 1988년 사망하여 201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결국 스텝토와 시험관 아기를 공동으로 연구한 로버트 에드워즈 혼자 수상하였다.[9] 관련 기사[10] 관련 기사[11] 중앙일보 부고 기사[12] 참고 1 참고 2[13] 관련기사[14] 위키피디아 참고[15] 참고[16] King’s People - Kofoworola Abeni Pratt[17] 現 레딩 대학교(University of Reading) 영문학과


2.2.1.1. 고등교육기관 수장[17][편집]

동문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성명업적 및 대표 경력
조지 키친영국의 종교인이자 신학자. 초대 더럼 대학교 총장(Chancellor)
찰스 제임스 마틴영국의 과학자. 리스터 예방의학 연구소(Lister Institute of Preventive Medicine) 이사(Director)
앤서니 셀던영국의 사학자이자 토니 블레어 전기 집필로 유명한 작가. 버킹엄 대학교 부총장(VC)
낸시 로스웰영국의 신경과학자. 영국의학연구회(MRC) 의장. 맨체스터 대학교 최초의 여성 이사(President)[1]
앨리슨 리처드영국의 인류학자이자 교육행정가. 케임브리지 대학교 부총장(VC)
리처드 사이크스영국의 생화학자.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이사(Rector)[2]
앨릭 메리슨영국의 물리학자. 브리스톨 대학교 부총장(VC)
앤드루 헤인스영국의 전염병학자.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LSHTM) 이사(Director)
재닛 리터먼영국의 음악학자. 영국 왕립음악원 이사(Director)이자 미들섹스 대학교 총장(Chancellor)
베리 아이프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Guildhall School of Music and Drama) 이사(Principal)
로버트 앨리슨영국의 지리학자. 러프버러 대학교 이사(President)
조지프 포프영국의 공학자이자 교육행정가. 애스턴 대학교 부총장(VC)
로버트 스트리트영국의 물리학자이자 교육행정가. 서호주 대학교 부총장(VC)
크리스틴 잉골프스도티르아이슬란드의 약리학자. 아이슬란드 대학교 이사(Rector)[3]
케네스 헤어캐나다의 기후학자.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이사(President)
제임스 배럿호주의 안과 의사. 멜버른 대학교 부총장(VC)
폴 웰링스영국의 생태학자. 울런공 대학교랭커스터 대학교 부총장(VC)
맬컴 길리스호주의 음악학 연구자이자 언어학자. 런던 시티 대학교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부총장(VC)
프레더릭 로버트슨영국의 법조인이자 교육행정가. 펀자브 대학교 부총장(VC)
바니 피티야나남아공의 인권 변호사 겸 신학자. 남아프리카 대학교(UNISA) 부총장(VC)
크리스 타일러영국의 공학자. 브래드포드 대학교 부총장(VC)
앤 라이트영국의 영문학자. 선더랜드 대학교 부총장(VC)
스티브 웨스트영국의 발병 전문가. 웨스트 오브 잉글랜드 대학교(UWE Bristol) 부총장(VC)
케네스 바커영국의 음악학 연구자 겸 교육 행정가. 드몽포트 대학교, 테임즈 벨리 대학교[4] 부총장(VC)
버너뎃 포터영국의 수녀이자 교육행정가. 로햄튼 대학교 부총장(VC)
롭 워너영국의 신학자. 플리머스 마존 대학교 부총장(VC)


2.2.2. 문학 분야[편집]



동문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성명업적 및 대표 경력
아서 C. 클라크SF 소설의 거장[1]
버지니아 울프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유명한 작가[2]
존 키츠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영국의 시인[3]
존 러스킨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저명한 예술 평론가이자 사회 사상가 겸 독지가
토머스 하디더버빌가의 테스로 유명한 영국의 소설가 겸 시인
윌리엄 슈웽크 길버트영국의 극작가이자 시인
윌리엄 서머싯 몸영국의 소설가 겸 극작가
크리스토퍼 이셔우드영미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퀴어’를 대표하는 인물로 동성애 인권 운동에도 크게 기여
하니프 쿠레이시영국의 극작가이자 소설가. 더 타임스가 선정한 1945년 이후 최고의 영국 작가 50인 중 한명. 펜 핀터 상 수상자
마이클 모퍼고영국 아동용 소설의 대가이자 시인 겸 오페라 대본 작가[4]
애니타 브루크너부커 상을 수상한 영국의 미술사학자이자 소설가. 케임브리지 대학교 최초의 여성 슬레이드 석좌교수. 영국 학술원 회원 및 대영제국 커맨더 훈장 수훈자
수잔 힐우먼 인 블랙으로 유명한 영국의 소설가. 데일리 텔레그래프의 월간 칼럼니스트[5]
알랭 드 보통스위스 출신의 철학자이자 소설가 겸 수필가[6]
폴라 브로드웰미국의 작가이자 미국육군사관학교 출신의 육군 예비역 중령. 제4대 CIA 국장이었던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의 전기 작가이자 그와의 불륜 스캔들로 유명
실비아 윈터캐리비안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흑인과 탈식민지적 상황에 대해 연구한 학자
모린 더피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 겸 소설가. 영국 왕립문학회(Royal Society of Literature) 벤슨 메달 수상자[7]
존 랠스턴 소울캐나다의 저술가이자 수필가. 국제PEN클럽(International PEN) 회장
세실 스콧 포레스터혼블로워 시리즈로 유명한 영국의 작가
아프리카누스 호턴시에라리온 출신의 크리오 아프리카 민족주의 작가이자 영국군 군의관[8]
래드클리프 홀영국의 작가. 소설 '고독의 우물'(The Well of Loneliness)로 유명
퀜틴 크리스프스팅의 노래 Englishman in New York의 주인공으로 잘 알려진 영국 출신의 작가 겸 배우이자 동성애 인권운동가
쿠쉬완트 싱인도 문학을 대표하는 저명한 작가이자 법조인. 인도의 前 상원의원
리처드 코스텔라네츠미국의 작가이자 예술 비평가
로런스 노퍽영국의 소설가. 서머싯 몸 문학상 수상작인 랑프리에르의 사전으로 유명
그윈 다이어캐나다 출신의 작가이자 칼럼니스트 겸 군사 역사학자[9]


2.2.3. 종교 분야[편집]


주요 동문
파일:Churchill Julius 뉴질랜드관구장.jpg
파일:데즈먼드 투투_Profile_Portrait_02.jpg
파일:조지 캐리 대주교.jpg
파일:조너선 색스_템플턴 수상자_프로필_01.jpg
파일:리처드 클락 아마 관구장좌 대교구 관구장 주교.jpg
파일:사라 멀랠리 주교.jpg
처칠 줄리어스데즈먼드 투투조지 캐리조너선 색스리처드 클락사라 멀랠리
초대 성공회
뉴질랜드관구장
제10대 성공회
남아프리카관구장
제103대
캔터베리 대주교
연합 히브리 회중
최고 랍비
성공회
아일랜드관구장
제133대 성공회
런던교구장

동문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성명업적 및 대표 경력
데즈먼드 투투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철폐에 기여한 평화 운동가이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 제10대 성공회 남아프리카관구장[1]
조너선 색스제12대 연합 히브리 회중 최고 랍비를 역임한 신학자 겸 철학자이며 前 영국 하원의원. 템플턴상 수상자
조지 캐리제103대 캔터베리 대주교
아서 차드웰성공회 한국교구장 서리
리처드 클락아일랜드 아마 관구장좌 대교구(Archdiocese of Armagh) 대주교(아일랜드관구장)[2]
처칠 줄리어스초대 성공회 뉴질랜드관구장(Primate of New Zealand)[3]
주스트 데 블랭크제6대 성공회 남아프리카관구장[4]
조셉 아비오던 아데틸로예제2대 성공회 나이지리아관구장[5]
세라 멀랠리영국 성공회 서열 5위인 제133대 성공회 런던교구장. 성공회 역사상 첫 여성 주교[6]
닉 홀텀영국 성공회 주교. 前 성공회 솔즈베리교구장(Bishop of Salisbury)[7]
팀 데이킨영국 성공회 주교. 前 성공회 윈체스터교구장(Bishop of Winchester)[8]
마틴 월리스영국 성공회 주교. 前 성공회 요크교구장(Bishop of Selby)[9]
로빈 워드영국 성공회 신부이자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 스티븐 하우스와 앵글로-카톨릭 신학대학 학장
앤서니 티슬턴영국 성공회 사제이자 신학자. 해석학과 교리학의 세계적인 권위자
E.W. 불링거영국 성공회 성직자이자 성서학자. 극단적 세대주의의 대표 이론가
찰스 킹즐리영국 성공회 성직자이자 대학교수 겸 사회운동가, 작가. 찰스 다윈과의 친밀한 관계로 유명
피터 툰영국 성공회 사제이자 신학자
하이디 베이커미국의 기독교 선교사. 국제 기독교 선교단체인 아이리스 글로벌CEO


2.2.4. 기업 • 금융 분야[편집]



동문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성명업적 및 대표 경력
월터 오언 벤틀리영국의 자동차 / 항공기 엔진 기술자. 자동차 회사 벤틀리의 창업자
칼루스트 굴벤키안Mr. Five Percent란 별명으로 유명한 석유 사업가이자 자선가. 굴벤키안 재단과 이라크 석유회사(IPC)의 설립자. 로열 더치 쉘의 탄생에 기여[1]
윌리엄 트리턴영국의 농기계 전문가이자 사업가. 탱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사람이자, William Foster & Co.의 회장(Chairman)
오마르 아이쉬락前 메드트로닉, GE 헬스케어의 CEO. 인텔 이사회 의장(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역임[2]
에드워드 패커드화학비료 산업의 발전에 공헌한 영국의 사업가. Fisons회장(Chairman)
로리 태프너영국 카우츠 은행 CEO. UBS 그룹 이사회 의장(Chairman of the Board)이자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 경영자 역임. Quintet회장(Chairman)[3]
데릭 몬뉴욕증권거래소부회장이자 前 씨티그룹 부회장, 살로몬 브라더스(Salomon Brothers)의 CEO 역임[4]
해리엇 그린토마스 쿡CEO이자 前 IBM 아시아-태평양 지부 총괄 CEO[5]
팀 프라이스영국의 사모펀드(PEF) 테라 퍼마 캐피탈CEO
로렌스 오크하트스코틀랜드 출신의 사업가. 前 Castrol, Scottish Widows, BBA 회장이자 로이즈 금융지주 임원
율펠 압 귈름웨일스 출신의 경제 전문가. Principality Building Society회장(Chairperson) 역임. 플라이드 컴리 소속의 정치인이자 경제 정책 고문(Chief Economic Advisor)[6]
존 베텔영국의 금융가이자 자유당 정치인. 바클리스 이사(Director) 역임[7]
스티브 모그포드BAE SystemsCOO이자 Salex ESUnited UtilitiesCEO[8]
수전 길크리스트브런스윅 그룹의 CEO이자 King's Business School의 부학장[9]
앨런 파월BBC 이사회 의장(Chairman)
제인 트랜터BBC 창작국장이자 BBC 월드와이드 LA지국 경영 부사장. 배드 울프 프로덕션 공동 창립자
뎁 프라가드뉴스위크CEO[10]
에릭 니콜리EMICEO
알렉스 비어드영국 왕립 오페라 하우스(Royal Opera House) 최고 경영자(Chief Executive)
엘리엇 로영국의 항공기 제조업체 아브로 설립자
너새니얼 필립 로스차일드Asia Resource Minerals의 설립자이자 이사회 공동 의장
클라우스 하이만다국적 클래식 음반사인 낙소스 설립자
마커스 웰던노키아CTO이자 벨 연구소(Bell Labs) 사장
나빈 셀바두라이위치기반 SNS포스퀘어의 공동 설립자
스티븐 스트리터게임 제작 및 유통 회사인 에이도스 인터랙티브의 창업자
윌리엄 포일영국의 런던의 역사적인 서점 체인 포일스(Foyles)의 설립자
데이비드 탱홍콩의 럭셔리 패션 브랜드 상하이 탱(Shanghai Tang)의 설립자[11]
대니얼 슈라이버미국의 보험회사 레모네이드(Lemonade, Inc)의 공동 설립자이자 CEO
에마 베이츠Diem의 공동 설립자 겸 CEO
벤저민 코헨영국의 사업가, 기자 겸 온라인 출판인. 핑크뉴스(PinkNews)의 설립자 겸 CEO[12]
도미닉 윌리엄스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이자, 암호화폐디피니티(Dfinity)의 창시자
파멜라 콘CurbioCOO. 前 현대자동차 UAM 사업부 글로벌 전략·운영 담당 상무이사[13]
엘 바데모시바이낸스 Labs의 아프리카 지역 총괄 책임자
이사벨 두스 산투스앙골라 출신의 사업가. 2013년 포브스선정 아프리카 최고 부자 여성[14]


2.2.5. 군 • 경찰 계열[편집]



동문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성명업적 및 대표 경력
페트르 파벨군인(대장, Armádní Generál) 출신의 제4대 체코 공화국 대통령. 前 북대서양 조약 기구 군사위원회 의장(Chair of the NATO Military Committee)[1]
존 하딩세계 1차, 2차 대전에서 활약한 영국의 군인(육군 원수). 육군참모총장(Chief of the Imperial General Staff)과 영국령 키프로스 당시 총독(Governor) 역임[2]
토니 라다킨영국의 군인(해군 대장). 국방참모총장(Chief of the Defence Staff)[3]
에이드리언 브래드쇼영국의 군인(해병대 대장). 前 북대서양 조약 기구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 부사령관[4]
에드 데이비스영국의 군인(해병대 중장). 해병대 총사령관(Commandant General Royal Marines)이자 북대서양 조약 기구 연합육군사령부(Allied Land Command) 부사령관. 지브롤터총독(Governor)
리처드 페어스영국의 군인(공군 대장). 영국 공군 폭격 사령부 사령관(Commander-in-Chief of RAF Bomber Command)
마이클 위그스턴영국의 군인(공군 대장). 공군참모총장(Chief of the Air Staff)
크리스 모란영국의 군인(공군 대장). 영국 공군 총사령관(Commander-in-Chief of Air Command)
사이먼 브라이언트영국의 군인(공군 대장). 영국 공군 총사령관(Commander-in-Chief of Air Command)
팀 앤더슨영국의 군인(공군 중장). 前 영국 군사 항공국
로버트 프라이영국의 군인. 前 왕립 해병대 총사령관
사이먼 메이올영국의 군인. 前 영국 국방 참모 부국장
마틴 슈에레브몰타의 군인. 몰타군 합동참모의장(Commander of the Armed Forces of Malta)[5]
네오 키안 홍싱가포르의 군인이자 관료. 前 싱가포르 합동참모의장이자 교육부 장관. 現 싱가포르 MRT CEO
탄 스리 Md 하심 후세인말레이시아의 군인(육군 대장). 前 국방참모총장
올라 이브라힘나이지리아의 군인(해군 대장). 前 국방참모총장
멜 헙펠드호주의 군인(공군 대장). 공군참모총장(Chief of Air Force of Royal Australian Air Force)
프라탭 찬드라 랄인도의 군인(공군 대장). 前 공군참모총장(Chief of the Air Staff)
소하일 아만파키스탄의 군인(공군 대장). 前 공군참모총장(Chief of Air Staff)
하르샤 아베이위크라마스리랑카의 군인(공군 대장). 前 공군참모총장(Chief of Air Staff)
니샨타 울루게튼스리랑카의 군인(해군 중장). 해군참모총장(Commander of the Navy of the Sri Lanka Navy)
A.T.M. 자히룰 알람방글라데시의 군인(육군 중장). 前 UN 평화 유지군 라이베리아 사절단 총 책임자
다카기 가네히로각기병의 원인을 찾아낸 일본 해군 군의총감
하야시 다다스일본 메이지 시대의 외교관이자 정치인. 초대 일본 육군 군의총감이자 前 외무대신
존 D. 알렉산더미합중국 해군 제독(해군 중장). 제5항모전단장과 제3함대 사령관 역임
폴 크레스포미국 해병대 대위이자 보수 우익 정치 평론가
조지 아쿠포 담페어가나의 경찰. 경찰청장(Inspector General of Police)[6]
리처드 A. 포큰레스미국의 경찰. 뉴욕 경찰국의 경찰부위원장(Deputy Commissioner)[7]
존 예이츠영국의 경찰. 런던광역경찰청 차장(Deputy Commissioner)이자 대테러 전담반 수장
콜린 크램폰영국의 경찰. 웨스트 요크셔 지역경찰청 치안감(Chief Constable)
[1] 국제관계학 석사(M.A.)
NATO - General Petr Pavel 참고
[2] 위키피디아 참고[3] 관련 기사[4] 사령관은 미군 유럽사령관이 당연직으로 겸직한다.[5] 위키피디아 참고[6] 참고[7] 참고


2.2.6. 정치 • 정부 • 법조 • 행정 • 외교 • 공공기관 • 국제기구 계열[편집]



동문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성명업적 및 대표 경력
마이클 콜린스아일랜드의 혁명지도자 겸 정치인
린든 핀들링바하마의 국부(國父). 초대 바하마 연방 총리
사로지니 나이두인도의 정치인, 독립운동가이자 여류시인[1]
아흐마드 마수드아프가니스탄의 정치인.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창설자 겸 총사령관. 아프가니스탄 영웅 아흐마드 샤 마수드의 아들
글라프코스 클레리데스키프로스의 제4대 대통령
타소스 파파도풀로스키프로스의 제5대 대통령
프랑스알베르 르네세이셸 공화국의 제2대 대통령
고드프리 비나이사우간다의 법조인. 제5대 우간다 대통령
압드 알아르라만 알바자즈이라크의 제28대 총리이자 대통령 권한대행. 제2대 석유 수출국 기구(OPEC) 사무총장 역임[2]
모리스 비숍그레나다의 공산주의 혁명가. 혁명을 통해 그레나다 인민정부를 세우고 제2대 총리(수상)를 역임
마루프 바킷요르단의 총리직을 2번 역임한 정치인[3]
리 무어세인트키츠 네비스총리[4]
윌리엄 헤어5대 리스토웰 백작. 영국령 인도의 마지막 국무장관이자 가나의 마지막 총독(Governor)[5]
어니스트 클라크영국의 관료. 태즈메이니아총독(Governor)[6]
어거스터스 재스퍼트영국령 버진아일랜드총독(Governor)[7]
나이절 필립스영국의 공군출신 외교관. 포클랜드 제도총독(Governor)[8]
마틴 버크영국의 외교관.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총독(Governor)[9]
존 프리먼영국의 외교관.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총독(Governor)[10]
시드니 건먼로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총독(Governor)[11]
압둘라이 오스만 콘테시에라리온의 부통령이자 외무상
마이클 키자나 와말와케냐의 제8대 부통령
앤 매클렐런캐나다의 정치인이자 법조인. 캐나다 부총리, 보건부 장관과 공공치안부 장관 역임[12]
나탈리아 게르만몰도바의 부총리. 몰도바 총리 권한대행과 외교부 및 유럽 통합부 장관, UN 중앙아시아 특사 역임[13]
레셉 악다그터키의 정치인. 총리 권한대행과 보건부 장관 역임[14]
지하드 바하 엘딘이집트의 자유주의 진영을 대표하는 정치인이자 부총리
하넬로레 크라프트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총리이자 독일 사회민주당 부의장
라이스 야팀말레이시아의 제 18대 국가 원로원 의장. 국방부 장관, 문화예술유산부 장관 역임
로저 호킨스로디지아국방부 장관
조지프 다우다시에라리온의 국방부 장관
하산 알-투라비수단의 정치인이자 1989년 수단 군사 쿠데타의 실질적 설계자. 수단 국회의장외무부 장관 역임
탄 추안 진싱가포르의 제10대 국회의장이자 前 노동부 장관
프리탐 싱싱가포르의 정치인. 싱가포르 제1야당인 노동당의 당수이자 사무총장
올가 케팔로지아니그리스의 정치인이자 관광부 장관[15]
마그누스 브루너오스트리아의 정치인. 오스트리아 재무부 장관[16]
캐서린 도리온캐나다의 정치인이자 퀘벡연대 소속 국회의원[17]
악셀 르메르프랑스의 정치인. 프랑스 디지털부 장관[18]
톰 더브라윈네덜란드의 외교관이자 정치인. 네덜란드 무역개발협력부 장관[19]
야네스 지아 토바르콜롬비아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 콜롬비아 교육부 장관이자 과학기술혁신부 이사[20]
제롬 피츠제럴드바하마의 정치인 겸 법조인. 바하마 교육부 장관이자 과학기술부 장관
쉬리다스 람팔가이아나의 정치인이자 제2대 영연방 사무총장[21]. 가이아나 외무장관, 워릭 대학교 총장(Chancellor) 역임[22]
데이비드 아서 싱가이아나의 정치인이자 외교관. 주 가이아나대사와 주택재건부 장관 역임
프레더릭 윌스가이아나의 정치인이자 법조인. 가이아나 외무장관
유리 사디비체코의 국방부 장관이자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체코 대표 대변인
존 카요 데 파 예미나이지리아의 정치인이자, Ekiti State 주지사. 고체 광물 개발부 장관
알프레드 밀너자유당 소속의 정치인이자 행정가, 은행가.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내각의 핵심 참모이자 대영제국의 확장과 이를 연방화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된 '로즈 밀너 그룹'의 리더. 영국의 트란스발과 오렌지강 식민지 초대 총독이자 식민장관 역임
헨리 코튼자유당 소속의 정치인. 영국의 인도 식민지배 시절 인도 국민 회의대표
헨리 글래드스턴자유당 소속의 정치인이자 사업가. 영국의 前 총리 윌리엄 글래드스턴의 아들로 그의 총리 재임 시절 국무총리 비서관 역임
앨런 글레이서 민스영국의 의사이자 정치인. 영국 역사상 최고의 흑인 시장[23]
스티브 에이킨영국의 정치인. 북아일랜드 얼스터 연합당대표[24]
리처드 브레인영국의 정치인. 前 UKIP대표[25]
제임스 로우더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영국 역사상 최장기(제27-31대) 서민원 의장[26]
브랜든 루이스영국의 보수당 정치인이자 법조인. 법무부 장관(Lord Chancellor), 보수당 의장(Chairman of the Conservative Party), 북아일랜드 국무장관, 주택 및 계획부 장관, 이민국 장관 역임[27]
해럴드 왓킨슨보수당 소속 정치인. 前 국방부 장관이자 교통민간항공부 장관
존 맥그리거보수당 소속 정치인. 前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자 재무부 장관[28]
마크 프랑수아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보수당 국회의원들의 정책 연구소인 ERG[29] 회장(Chairman). 前 영국 국방부 보훈차관과 평준화, 주택 및 지역사회부[30] 장관[31]
존 글렌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前 예술, 문화 유산 및 관광부 장관이자 재무부 장관. 리시 수낙 내각의 재무부 서기국장[32]
사라 뉴턴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장애인 보건 및 노동부 장관[33]
알렉스 버가트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보리스 존슨 내각의 국무총리 주재 국회사무처장[34]과 도제 및 기술 담당 국무차관[35] 역임[36]
마이클 톰린슨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궁내 부장관(Vice-Chamberlain of the Household) 역임[37]
케이 스윈번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유럽의회 의원(MEP)[38]
개리 스트리터보수당 소속 정치인[39]
매튜 오포드보수당 소속의 정치인[40]
밥 실리보수당 소속의 정치인[41]
댄 폴터보수당 소속의 정치인이자 정신과 의사[42]
페이 존스보수당 소속의 정치인[43]
가간 모힌드라보수당 소속의 정치인[44]
임란 아메드 칸보수당 소속의 정치인[45]
데이비드 워버턴보수당 소속의 정치인[46]
키어 스타머제19대 노동당 당수[47]
시드니 웹영국 노동조합법 제정에 힘쓴 사회학자, 경제학자 겸 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前 영국 상무성 장관이자 LSE 공동 설립자
존 윌멋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클레멘트 애틀리 내각의 항공기 제작부 장관이자 공급처 장관
이디스 서머스킬노동당 소속의 정치인이자 의사. 영국 역사상 최초로 의학 교육을 받은 여성중 한명이자 클레멘트 애틀리 내각의 국민보험부 장관[48]
데이비드 오언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前 외무장관이자 보건사회보장성 장관
호러스 킹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제43-45대 영국 서민원 의장이자 최초의 노동당 출신 서민원 의장[49]
테런스 보스턴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내무부 장관[50]
루시 파월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맨체스터 센트럴 지역구 의원이자 그림자 내각 디지털, 문화 및 스포츠부 장관[51]
스탠리 클린턴데이비스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前 상무부 장관
닉 데이킨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前 교육부 그림자 장관[52]
댄 자비스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사우스요크셔시장(Mayor of South Yorkshire)[53]
가레스 토머스노동당 소속의 정치인[54]
줄리 모건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보건사회서비스부 차관[55]
튤립 시디크노동당 소속의 정치인[56]
숀 스피어스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유럽의회 의원(MEP)[57]
피터 프라이스보수당, 자유민주당 소속 정치인. 유럽의회 의원(MEP)[58]
제임스 무어하우스보수당, 자유민주당 소속 정치인. 유럽의회 의원(MEP)[59]
세라 월러스톤보수당, 자유민주당 소속 정치인. 前 영국보건위원회 위원장[60]
레베카 타일러자유민주당 소속의 정치인이자 보건학자. 유럽의회 의원(MEP)[61]
알렉스 칼라일자유민주당 소속의 귀족원 의원이자 법정 변호사[62]
세라 올니자유민주당 소속의 국회의원. 前 자유민주당 대변인[63]
필립 리노 딜 브렉시트에 반대한 前 보수당, 자유민주당 소속의 정치인. 자유민주당 대변인 역임[64]
크리즈티나 모르바이헝가리의 정치인이자 법조인. 유럽의회 의원(MEP)[65]
줄리아 모이이탈리아의 생화학자이자 정치인. 유럽의회 의원(MEP)[66]
베르나르디노 레온스페인 출신의 외교관. UN 리비아 특사이자 스페인 국무총리 비서관[67]
니콜라이 믈라데노프불가리아 출신의 정치인이자 외교관. UN 중동 특사이자 불가리아 외무부 장관, 국방장관 역임[68]
프랜시스 댕남수단의 외교관이자 정치인. 남수단 UN 상임대표
셰쿠 투레이시에라리온의 외교관. 시에라리온 UN 상임대표
로이스 미셸 영벨리즈의 외교관. 벨리즈 UN 상임대표[69]
사니아 니시타르WHO 아동 비만종식위원회(ECHO) 의장. 에흐사(Ehsaas) 빈곤 완화 프로그램 리더이자 파키스탄 총리실 사회안전망 분야 특별보좌관. 2020년 BBC선정 올해의 여성 100인 중 한명[70]
에드워드 손턴영국의 외교관. 주 영국대사
로렌스 미들턴영국의 외교관. 주한 영국대사
토골라니 마부라탄자니아의 외교관. 주 탄자니아대사[71]
존 키트머영국의 외교관. 주그리스 영국대사
주디스 고프영국의 외교관. 주스웨덴 영국대사
휴 모티머영국의 외교관. 주슬로베니아 영국대사
콜린 먼로영국의 외교관. 주크로아티아 영국대사
빅터 핸더슨영국의 외교관. 주예멘 영국대사
존 터크놋영국의 외교관. 주네팔 영국대사
다이애나 멜로즈영국의 외교관. 주쿠바 영국대사
퍼 시뮤노비치크로아티아의 외교관. 주 크로아티아대사
존 힐렌미국의 관료, 사업가이자 前 정치-군사 담당 차관보
앤드루 엑숨미국의 관료. 前 중동 지역 미 국방차관보[72]
크리스티나 로카미국의 관료. 前 중남아시아 담당 차관보
데니스 궉홍콩의 정치인. 前 홍콩 입법회 의원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파키스탄의 법조인, 외교관. 제9대 국제사법재판소장(President)이자 前 유엔 총회 의장. 초대 파키스탄 외무부 장관[73]
카림 칸영국의 법조인. 국제형사재판소(ICC)의 검사장[74]
테레사 쳉홍콩의 법조인이자 정치인. 홍콩 제4대 율정사(律政司) 사장[75]
크리스토퍼 웨라만트리스리랑카의 법조인. 국제사법재판소 부재판장(Vice President). 국제 핵무기방지 법조인협회(IALANA)[76] 회장(President)이자 모내시 대학교 법과대학 명예교수[77]
패트릭 립튼 로빈슨자메이카의 법조인. 국제사법재판소의 재판관. 구유고슬로비아 국제형사재판소장(President) 역임[78]
압둘 코로마시에라리온의 법조인. 국제사법재판소의 재판관
필리프 쿠브뢰르벨기에의 법조인. 국제사법재판소 사무처장(Registrar)[79]
제니 로영국의 공무원. 영국 대법원(Supreme Court of the United Kingdom)의 Chief Executive이자 추밀원 사법위원회장[80]
매켄지 차머스영국의 판사. 지브롤터 대법원의 대법원장
레너드 놀스바하마 대법원의 대법원장
시릴 폰테인바하마 대법원의 대법원장
제임스 윅스영국의 판사. 2차 대전 종전 후, 케냐로 건너가 케냐 역사상 최장기 대법원장이 됨[81]
웨인 마틴호주의 판사. 서호주 대법원대법원장[82]
소폰 라타나콘태국의 판사. 대법원장
해리 디아스 반다라나이케스리랑카의 판사. 대법원장
세실 켈식트리니다드 토바고의 판사. 대법원장
해럴드 볼러스가이아나 독립 후 최초의 대법원장
줄리어스 사코디에도가나의 판사. 대법원장
은토멩 마자라레소토의 법조인. 대법원장. 레소토 역사상 첫 여성 대법원장[83]
존 타일러나이지리아 대법원의 대법관이자 최초의 라고스대법원장(Chief Justice of Lagos State)[84]
윌리엄 브렛영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 前 잉글랜드-웨일스 법무장관[85]
에드워드 클라크영국의 법정 변호사이자 정치인. 前 잉글랜드-웨일스 법무장관
마이클 위틀리싱가포르의 판사. 법무부 장관
로이스 브라운에번스버뮤다의 법조인. 버뮤다 정치 / 법조계의 상징적인 인물로 버뮤다 최초의 여성 법무부 장관이자 진보노동당 대표(당수)[86]
트레버 모니즈포르투갈계 버뮤다인 판사. 법무부 장관
마이클 아쉬코디 아그바무쉬나이지리아의 판사. 법무부 장관
파리스 알-라위트리니다드 토바고의 판사. 법무부 장관[87]
말린 말라후 포르테자메이카의 판사, 정치인. 법무부 장관[88]
에드먼드 데이비스영국의 판사. 상임항소법관(Lords of Appeal in Ordinary 또는 Law Lords)[89]
제레미 설리반영국의 판사. 잉글랜드-웨일스 항소원(Court of Appeal)의 재판관(Lord Justice of Appeal)이자 수석 재판소장[90]
로빈 울드영국의 판사. 잉글랜드-웨일스 항소원(Court of Appeal) 재판관(Lord Justice of Appeal)[91]
제럴딘 앤드루스영국의 판사. 잉글랜드-웨일스 항소원(Court of Appeal) 재판관(Lord Justice of Appeal)[92]
필딩 클ㅌ영국의 식민지 법정 변호인. 피지, 홍콩, 자메이카의 대법관
자이샨커 마닐랄 셸라트인도 대법원의 대법관[93]
코피 아두모아 보스먼가나의 판사. 대법관[94]
보비 치마그럽영국의 판사. 영국 고등법원(High Court of Justice)의 왕실 재판소(Queen's Bench Division) 판사. 영국 최초의 아시아계 여성 고등법원 판사[95]
데이비드 포스켓영국의 판사. 영국 고등법원(High Court of Justice) 판사[96]
호러스 에이버리영국의 법조인. 영국 고등법원(High Court of Justice) 판사
턴지 스완드나이지리아계 영국인 변호사. 영국 역사상 최초의 흑인 영국 법정 변호사실 수장
브라이언 올트먼영국의 법조인이자 IICSA 대표 변호인
루이스 블룸 쿠퍼영국의 법조인이자 작가. PSA의 창립 의장이자 북아일랜드 국무장관
댄 사루시영국의 법조인이자 국제법 학자. 옥스퍼드 대학교 법학대학 교수
콜린 그래피미 국무부 유럽 담당 차관보이자 페퍼다인 대학교 법학대학 교수 겸 이사. 前 SEAL의 의장
엘리자베스 윌름셔스트영국의 법조인. 영국 외무성의 법률 고문이자 채텀 하우스 국제문제연구소의 선임연구원. UCL 법학대학 교수
[1] King's People - Sarojini Naidu[2] 위키피디아[3] 관련 기사[4] 위키피디아[5] 위키피디아[6] 위키피디아 참고[7] 트위터, 버진 아일랜드 정부 공식 유튜브[8] 영국 정부 공식 프로필, LinkedIn[9] 위키피디아[10] 위키피디아[11] 위키피디아[12] LinkedIn, 관련 영상[13] UN 프로필, 트위터,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14] 위키피디아 참고[15] 공식 웹사이트[16] 페이스북, 트위터, 관련 기사, 관련 영상[17] 프로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관련 영상[18] LinkedIn, 트위터, 관련 영상[19] 위키피디아 참고[20] 콜롬비아 국장차관을 지내던 시절 대한민국에 방한한 적이 있다.국민일보 기사[21] 15년으로 역대 최장기 영연방 사무총장 재임[22] 위키피디아 참고[23] 1904년부터 1906년까지 영국 Thetford시 시장 역임[24]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25]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26] 위키피디아 참고[27]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28] 위키피디아 참고[29] 보수당 소속 국회의원 중 유럽 연합 통합 회의론자들이 주축인 정책 연구소[30] Department for Levelling Up, Housing and Communities[31]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 1, 관련 영상 2[32] 위키피디아 참고[33]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34] Parliamentary Private Secretary to the Prime Minister[35] Parliamentary Under-Secretary of State for Apprenticeships and Skills[36]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37] 위키피디아 참고[38]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39]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40]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41]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42]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43]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44]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45] 불명예 퇴직. 위키피디아 참고[46] 불명예 퇴직. 서울신문 기사 참고[47] 참고 1(KCL 동문 홍보 영상 - 1분 15초부터)
[48] King's People - Edith Summerskill, 관련 영상[49] 위키피디아 참고[50] 위키피디아 참고[51]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52]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53]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54] 위키피디아 참고[55] 관련 영상[56]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57] 위키피디아 참고[58] 위키피디아 참고[59] 위키피디아 참고[60]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61] 위키피디아 참고[62]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63]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64] 위키피디아 참고[65] 위키피디아[66] 위키피디아 참고[67] 위키피디아[68] 관련 영상[69] 위키피디아[70] 공식 홈페이지
WHO 영상
2020 BBC 선정 올해의 여성 100인
[71] King's alumnus takes up leadership position as Ambassador for his home country
KCL InTouch - Embarking on new frontiers 참고
[72] 위키피디아, 관련 영상[73] 위키피디아 참고[74] Chief Prosecutor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카림 칸 - 위키피디아 참고
관련 기사 - 1, 관련 기사 - 2
[75] 법무장관(Secretary for Justice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76] IALANA 홈페이지[77] 위키피디아 참고[78] 관련 영상[79] 위키피디아 참고[80] 제니 로 - 위키피디아
관련 기사
[81] 위키피디아 참고[82] 위키피디아 참고[83] 위키피디아 참고[84] 위키피디아 참고[85] Solicitor General for England and Wales
위키피디아 참고
[86] 위키피디아 참고[87] 참고[88] 예일 대학교 펠로우 소개
World Economic Forum 소개
트위터
[89] 위키피디아 참고[90] 참고[91] 위키피디아 참고[92] 참고[93] 위키피디아 참고[94] 위키피디아 참고[95] 위키피디아 참고[96] KCL 재학 당시 kclsu(학생회) 회장이었다.


2.2.7. 예술 • 언론 • 방송 • 연예 계열[편집]



동문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성명업적 및 대표 경력
데릭 저먼영국의 영화감독이자 동성애 인권운동가[1]
존 디콘록밴드 의 베이시스트
존 엘리엇 가디너역사주의 연주로 유명한 영국의 지휘자. 그래미상 수상자이자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마이클 나이먼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영국의 피아니스트, 작곡가 겸 음악학자. 골든 글로브 음악상 수상자
그리어 가슨1940년대 MGM을 대표하는 영국출신 배우. 오스카 상 수상자이자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에드먼드 그웬골든 글로브아카데미 남우 조연상 수상자인 영국의 배우
보리스 칼로프프랑켄슈타인으로 유명한 영국의 배우이자 그래미 어워드 수상자
애디왈레이
애키누에이아그바제이
영국의 배우이자 전직 모델[2]
아이샤 하트영국의 여배우
바니타 산두인도계 영국인 배우
다비트 모로니영국의 오르간, 하프시코드 연주자이자 음악학자
앤 더들리영국의 클래식, 팝, 영화음악 작곡가. 오스카 상 수상자
피터 애셔영국의 유명 음악 프로듀서이자 팝 듀오 피터 앤 고든의 멤버. 그래미 어워드 수상자
수지 딕비영국의 합창 지휘자이자 음악 교육학자
데이비드 브루스영국의 현대 고전 음악 작곡가이자 음악학자[3]
다이 후지쿠라일본의 현대 고전 음악 작곡가이자 음악학자[4]
존 에반영국의 록 밴드 제쓰로 툴의 키보디스트
켈리 오케릭영국의 인디 록 밴드 블록 파티(Bloc Party)의 리더[5]
JB 길영국의 가수 겸 배우. 영국의 보이밴드 JLS의 멤버[6]
아드난 사미인도의 가수, 음악가,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인도 음악계의 술탄(Sultan of Music)으로 불리는 거장
마이클 베리영국의 방송 프로듀서. 前 BBC TV 드라마국장이자 임원
마틴 바시어BBC, ITV, MSNBC의 기자이자 뉴스 앵커. 다이애나 스펜서, 마이클 잭슨과의 인터뷰로 유명
소피 롱영국의 방송인이자 기자. BBC 뉴스 앵커
프랜신 라쿠아이탈리아의 방송인이자 기자. 블룸버그 통신의 메인 앵커[7]
페라 스톨영국 엘르코스모폴리탄의 편집장(Editor in Chief)[8]
하그리브스 파킨슨파이낸셜 타임즈의 편집장
존 델런더 타임스의 편집장
시드니 제이콥슨더 선의 편집장
시릴 케네스 버드前 펀치(Punch)의 편집장
벡스터 랭리前 모닝 스타(Morning Star)의 편집장
로리 브렘너스코틀랜드 출신의 유명 코미디언이자 정치 풍자 작가
허버트 브레넌아일랜드 출신의 영화 감독, 극작가이자 배우.
사샤 저바시영국의 영화 감독이자 극작가. 에미상 수상자
실라 아팀우간다계 영국인 배우이자 극작가 겸 싱어송라이터[9]
줄리엣 오브리영국의 배우[10]
에밀리 베링턴영국의 배우[11]
일페네시 하데라미국의 배우[12]
브리 터너미국의 배우[13]
프란치스카 바이스오스트리아의 배우[14]
줄리어스 딘영국의 마술사[15]


2.2.8. 스포츠 분야[편집]


주요 동문
파일:해리 젬.jpg
파일:베리 데이비스.jpg
파일:캐서린 그레인저_프로필.jpg
파일:디나 애셔-스미스_프로필.jpg
해리 젬배리 데이비스캐서린 그레인저디나 애셔스미스
테니스 탄생의
공동 기여자
BBC 스포츠 해설가영국체육회 회장
글래스고 대학교 총장
영국 여자 육상
최고 기록 보유자

동문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성명업적 및 대표 경력
해리 젬영국의 법조인이자 군인 겸 스포츠맨. 테니스(Lawn Tennis) 탄생에 기여
캐서린 그레인저영국의 조정선수이자 법학자. 2012 런던 올림픽 조정 금메달리스트이자 세계 선수권대회 6회 우승자. 영국체육회(UK Sport) 회장이자 글래스고 대학교 총장(Chancellor)[1]
프랜시스 호턴영국의 조정선수. 세계 선수권대회 4회 우승자이자 2004 아테네 올림픽, 2008 베이징 올림픽,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은메달리스트[2]
애너벨 버넌영국의 조정선수. 세계 선수권대회 2회 우승자이자 2008 베이징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폴 베넷영국의 조정선수. 세계 선수권대회 2회 우승자이자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조 서맨사 리영국의 조정선수. 유럽 선수권대회 우승자이자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키어런 웨스트영국의 조정선수. 2000 시드니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2002 세계 선수권대회 우승자
디나 애셔스미스영국 여성 육상계 최고 스타이자 최고 기록 보유자. 2016년, 2018년 유럽 육상 선수권대회 200m 챔피언[3]
이마니 라라 란시 쿼트2018년 유럽 육상 선수권대회 400m 4인 계주 금메달리스트이자 2019년 도하 세계 선수권대회 은메달, 2020 도쿄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라비아이 닐슨세계 육상 선수권대회 400m 4인 계주 은메달리스트
제이드 나이트영국의 여성 럭비선수. 웨일스 국가대표
배리 데이비스영국의 스포츠 해설가[4]
엘사 데즈먼드아일랜드의 루지 국가대표 선수이자 내과 의사[5]
잭 도우너영국의 스트리트 축구 선수, 스포츠분야 인플루언서. 영국 스트리트 축구계의 레전드[6]
[1] King's People - Katherine Grainger
Dame Katherine Grainger to become Glasgow university chancellor

조정 선수로 올림픽에서 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현역일때 부터 운동과 공부를 병행했는데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LLB,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MPhil, 그리고 KCL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은 법학자다. 운동과 학문 두 가지에서 다 성공을 거둔 문무 겸비(?)의 독특한 경력으로 인해 영국내에서도 굉장히 주목 받았다.

2020년 6월 15일부로 본인이 석사학위를 취득했던 글래스고 대학교의 총장으로 취임했다.
[2] 위키피디아 참고[3] King's People - Dina Asher-Smith[4] BBC 인터뷰 영상
FourFourTwo 인터뷰 영상
90min Football 인터뷰 영상
[5] 위키피디아
조선일보 기사
[6] 철학과 B.A. 2016 entry(영국에서는 학번을 entry라고 한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2.2.9. 왕족 • 귀족[편집]


동문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성명업적 및 대표 경력
알렉산더 윈저얼스터 백작. 2대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 알렉산더 월터 조지의 장남. 즉 조지 5세의 증손자이자 글로스터 공작 헨리의 손자
클레어 윈저얼스터 백작부인. 알렉산더 윈저의 배우자이자 소아과 전문의
나폴레옹 외젠 루이
장 조제프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3세의 외아들로 프랑스 최후의 황태자
마르가리타 공주엘리자베스 2세필립 마운트배튼의 조카
안토니아 공주영국의 귀족이자 자선가, 빌헬름 2세의 증손녀
마지다 볼키아브루나이의 왕자. 하사날 볼키아의 넷째 자식
압둘 마틴 볼키아브루나이의 왕자. 하사날 볼키아의 열번째 자식
프리스댕 왕자태국의 외교관이자 짜끄리 왕실 가문 출신 왕족
셰이크 칼리드 빈 술탄
빈 자예드 알 나얀
아랍 에미리트 아부다비 알나얀 왕가의 왕족
셰이크 메샬 압둘라
알-제이버 알-사바
쿠웨이트 왕족(Al-Sabah) 출신
존 보일14대 코크 백작(Earl of Cork)
로저 램바트13대 케번 백작(Earl of Cavan)
루퍼트 온슬로8대 온슬로 백작(Earl of Onslow)
드 앨런슨5대 헤들리 남작(Baron Headley)
마이클 에번스프리크12대 카베리 남작(Baron Carbery)


2.3. 교원 (한국 관련 인물 제외)[편집]


  •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교원(이사, 교수, 강사, 연구원)으로 재직했던 인물들만 아래의 리스트에 추가할 것.
  •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총장(Chancellor)은 실권없는 명예직이자 런던 대학교 소속 모든 대학들의 명목상 수장이므로 본 항목(교원)에 추가하지 않는다. 본교에서 총장의 역할은 이사(Principal & President)가 담당하며, 이사는 교원의 범주에 속한다.[18]
  •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주임 사제(Dean)는 일반 대학에서의 딘(Dean)과는 달리 교직이 아닌 성직(聖職)이므로 본 항목(교원)에 추가하지 않는다. 다만 공식적인 역할과 직함을 가진 재직자이므로 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재직엔 포함시킨다.
  • 킹스 칼리지 런던의 이사회 의장(Chairman of the Council)은 대학의 공식 임원이자 재직자다. 허나 교원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행정직이므로 본 항목(교원)에 추가하지 않는다. 다만 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재직엔 포함시킨다.
  • 한국인 혹은 한국계 교원에 관한 정보는 위의 한국 관련 출신 인물 - 교원 항목에 추가하기 바란다.


2.3.1. 역대 이사 (Principal & President)[편집]


역대 KCL 이사 목록
List of Principals of King's College London
[ 펼치기 · 접기 ]
No.성명재임 기간기타 경력
초대윌리엄 오터
(William Otter)
1831년 – 1836년성공회 치체스터교구장
제2대휴 제임스 로즈
(Hugh James Rose)
1836년 – 1838년더럼 대학교 교수
제3대존 론스데일
(John Lonsdale)
1838년 – 1843년성공회 리치필드교구장
제4대리처드 윌리엄 젤프
(Richard William Jelf)
1843년 – 1868년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
제5대알프레드 베리
(Alfred Barry)
1868년 – 1883년호주 성공회 시드니교구장
제6대헨리 웨이스
(Henry Wace)
1883년 – 1897년캔터베리 대성당 주임 사제. KCL 동문
제7대아치볼드 로버트슨
(Archibald Robertson)
1897년 – 1903년성공회 엑시터교구장
제8대아서 헤들럼
(Arthur Headlam)
1903년 – 1912년성공회 글로스터교구장
제9대로널드 버로스
(Ronald Montagu Burrows)
1913년 – 1920년맨체스터, 카디프 대학교 교수
제10대어니스트 바커
(Ernest Barker)
1920년 – 1927년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
제11대윌리엄 레지널드 홀리데이
(William Reginald Halliday)
1928년 – 1952년글래스고, 리버풀 대학교 교수
제12대피터 노블
(Peter Noble)
1952년 – 1968년런던 대학교 부총장(Vice-Chancellor)
제13대존 해킷
(John Hackett)
1968년 – 1975년영국 육군 대장
제14대리처드 웨이
(Richard George Kitchener Way)
1975년 – 1980년런던 교통국장(Chairman)
제15대닐 캐머런
(Neil Cameron)
1980년 – 1985년영국 국방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제16대스튜어트 서덜랜드
(Stewart Ross Sutherland)
1985년 – 1990년에든버러 대학교 이사(Principal)
제17대존 베이넌
(John David Emrys Beynon)
1990년 – 1992년카디프 대학교 교수, 서리 대학교 학장
제18대아서 루커스
(Arthur Maurice Lucas)
1993년 – 2003년자연사학회 회장(President)
제19대릭 트레이너
(Richard Hughes Trainor)
2004년 – 2014년옥스퍼드 대학교 엑시터 컬리지 학장(Rector)
제20대에드 번
(Edward Byrne)
2014년 – 2021년 1월모내시 대학교 부총장(Vice-Chancellor)
권한 대행에블린 웰치
(Evelyn Kathleen Welch)
2021년 2월 – 2021년 6월브리스톨 대학교 부총장(Vice-Chancellor)
제21대시티지 카푸어
(Shitij Kapur)
2021년 6월 – 현재KCL, 토론토 대학교 교수. 멜버른 대학교 학장


2.3.2. 교수 • 강사 • 연구원[편집]



교원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성명관계업적 및 대표 경력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설립자 • 교수영국의 간호사이자 행정가, 사회 개혁가. 세계 최초의 간호학교 설립자[1]
찰스 라이엘교수영국의 지질학자. 지질학계의 명저 《지질학의 원리》(Principles of Geology)를 KCL에서 저술했다. 코플리 메달 수상자[2]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교수스코틀랜드 출신의 물리학자 겸 수학자[3]
존 프레더릭 대니엘교수영국의 화학자이자 기상학자. 초대 KCL 화학부 교수. 로열 메달, 코플리 메달 수상자[4]
찰스 휘트스톤교수영국의 발명가, 물리학자이자 전기 공학자. KCL 재임기간 동안 휘트스톤 브릿지와 입체경(Stereoscope)의 발명과 근대적 의미의 전신기를 완성시킴. 로열 메달, 코플리 메달 수상자[5]
프레더릭 데니슨 모리스교수영국의 성공회 신학자겸 작가. 기독교 사회주의 창시자 중 한명[6]
조지프 리스터교수영국 출신의 외과의사. 멸균법에 따라서 시행하는 무균 수술법 확립에 기여[7]
로버트 벤틀리 토드교수아일랜드 출신의 내과의사. 중풍 연구의 선구자
찰스 스콧 셰링턴교수영국의 신경생리학자이자 병리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찰스 글러버 바클라교수영국의 물리학자. 원소들에 대한 특성 X-선의 발견으로 노벨 물리학상 수상. 영국 왕립학회 휴즈 메달 수상자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교수영국의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8]
아놀드 J. 토인비교수영국의 역사가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교수영국의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9]
줄리언 헉슬리교수영국의 생물학자. 유네스코 초대 사무총장. 과학 대중화에 기여
존 랜들교수영국의 생물물리학자. KCL 물리학 석좌 교수이자 KCL 랜들 연구소의 설립자
모리스 윌킨스교수X선 회절을 이용한 DNA 이중 나선 구조를 규명.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겸 래스커상 수상자[10]
아널드 베켓교수영국의 약리학자. 도핑 방지를 위한 테스트를 개발한 것으로 유명[11]
제임스 화이트 블랙교수영국의 약리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울프상, 래스커상 수상자[12]
서스턴 다트교수영국의 음악학자이자 작곡가. 본인 스스로도 세계적인 음악가였지만 존 엘리엇 가디너, 데이빗 머로니, 크리스토퍼 호그우드를 키워낸 교육자로도 유명
프랭크 켈리교수영국 의학연구심의회(MRC) 환경보건부 회장. WHO 대기오염 분야 정책자문[13]
존 엘리스교수영국의 물리학자. CERN의 대표 연구원이자 폴 디랙상 수상자
팀 허버드교수유전자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 인간 유전자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GENCODE 프로젝트로 유명[14]
수전 스탠드링교수영국의 의사. 해부학 교재의 명저 《그레이 아나토미》의 수석 편집 위원
해럴드 앨리스교수영국의 의사. MRCS 시험을 준비하는 의학도들을 위한 교육서와 매년 IJS에서 수여하는 해럴드 앨리스 상(Harold Ellis Prize)으로 유명
사이먼 웨슬리교수영국의 정신과 의사. 영국 왕실 칙임(勅任) 정신과 교수이자 존 매덕스 상 수상자
프란체스코 루비노교수대사 및 비만 수술의 창시자라 불리는 의사. 비만수술에서 대사수술의 개념을 최초로 만들어 과학적으로 증명한 연구자[15]
존 맥그래스교수영국의 피부병 전문의이자 KCL 분자 피부과학 연구그룹의 수장. 수포성 유전피부 질환분야의 세계적 석학
에드 볼스교수노동당 정치인. 영국 어린이, 가족 및 학교부 장관과 재무부 장관을 역임[16]
알렉스 캘리니코스교수마르크스주의와 반전·반자본주의 이론의 세계적 권위자. 사회주의 노동자당(SWP)의 중앙 위원장
로런스 프리드먼교수전쟁학 및 군사전략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 포클랜드 전쟁 공식 역사 기록관[17]
에프라임 카르시교수이스라엘 출신의 영국인 역사학자. 중동 및 지중해 역사연구의 세계적 석학
알리스터 맥그래스교수영국의 성공회 사제이자 기독교 복음주의 신학자 겸 저술가
줄리아 길라드학장 • 방문교수호주 최초의 여성 총리. KCL 산하 Global Institute for Women's Leadership과 Menzies Centre for Australian Studies의 학장(Chair)[18]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전임강사페루 출신의 작가이자 언론인. 노벨 문학상 수상자[19]
로절린드 프랭클린선임연구원영국의 생물물리학자. KCL에서 재직하던 시절, X선 결정학을 통해 DNA, 바이러스, 석탄, 흑연의 구조를 밝혀내는데 결정적으로 기여[20]
로저 펜로즈선임연구원영국의 수학자이자 이론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1] King's People - Florence Nightingale[2] King’s People - Charles Lyell[3] KCL에서 교수로 재직한 5년여 동안 학자로서 전성기를 보냈다. 그를 대표하는 연구업적 및 명예의 대부분은 KCL 교수 재직시절의 연구로 이룩했다.[4] King's People - John Frederic Daniell[5] KCL - Wheatstone Collection
Why Sir Charles Wheatstone should be the new face of the £50 note

KCL을 대표하는 교수 중 한명으로 KCL의 The Faculty of Natural & Mathematical Sciences엔 그의 이름을 딴 연구소가 있다.
[6] Frederick Maurice - King's College London[7] King's People - Joseph Lister[8] The Nobel Prize - Owen Willans Richardson[9] King's College London - Plaque: Edward Appleton[10] King's People - Maurice Wilkins, KCL - Wilkins and Franklin, 1960 Lasker Awards

자신의 전체 커리어의 7할 이상을 KCL에서 보냈다. 그의 공헌에 감사하고자 워털루 캠퍼스에 그와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이름을 딴 건물이 있다
[11] History of Pharmacology at King's[12] King's People - Sir James Black
Sir James Black awarded the Nobel Prize for medicine

그의 공헌에 감사하고자 KCL 덴마크 힐 캠퍼스엔 그의 이름을 딴 건물이 있다
[13] 박원순 前 서울시장이 런던 방문 당시 대기질 개선방안에 대해 자문을 구했던 그 교수다. 참고[14] 관련기사[15] King's People - Professor Francesco Rubino
관련기사
관련영상
[16] King's College London - News Centre, 관련기사

고든 브라운의 정치자문으로 영국내에선 굉장히 유명한 정치인이지만 대한민국에선 그냥 강남 스타일 춤 따라한 외국 정치인으로 알려짐
[17] KCL - Professor Sir Lawrence Freedman[18] 2018년에 학장으로 임명됐으며, 지난 2016년엔 1년동안 방문교수로 KCL에 재직한 바 있다.[19] KCL News

작가와 교직 두 가지를 병행하는 것에 한계를 느낀 그는 KCL에서의 Lectureship을 끝으로 아카데믹 커리어는 그만두고 전임 작가로서의 길을 걷는다
[20] King's People - Rosalind Franklin, Franklin at 100

그의 공헌에 감사하고자 KCL의 워털루 캠퍼스엔 그와 모리스 윌킨스의 이름을 딴 건물이 있다.


2.4. 가상 인물[편집]



[1] 영연방 국가의 대부분의 대학에서 총장(Chancellor)은 일종의 명예직으로 실권이 없으며 명목상의 수장이다. 대학을 운영하는 실질적인 수장은 부총장(VC), 또는 이사 혹은 회장(President, Principal, Rector, Director, Provost)으로 불리는 인물들에게 있다.

본 리스트는 대학뿐만 아니라 학위를 수여하는 고등교육기관의 (KCL 출신의) 명목상 수장과 실질적 수장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글래스고 대학교의 총장(Chancellor)인 캐서린 그레인저는 스포츠 선수로서의 업적이 더 크기 때문에 하단의 스포츠 분야에 서술되어 있으며, 워릭 대학교의 총장이었던 쉬리다스 람팔외교 분야, 그리고 KCL의 이사(President & Principal)였던 헨리 웨이스는 상단의 역대 이사 목록에 서술되어 있다.
[2] 1847년 제정된 대학 평의원직으로 KCL을 거쳐간 출신 인물들을 대상으로 대학 이사회에서 선정 및 수여한다. KCL이 개인에게 수여할 수 있는 최고위 명예직으로 대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공인한다는 뜻이다.

동문 중엔 데즈먼드 투투, 피터 힉스, 쉬리다스 람팔 등이 있으며, 교원 출신 중엔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모리스 윌킨스, 제임스 화이트 블랙 등이 KCL 평의원직을 수여받은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KCL에서 학업을 이수하지 않았거나 재직하지 않은 인물들 중에서도 평의원직을 수여받은 인물들이 간혹 있는데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대표적이다. 비비안은 지난 2008년 KCL의 새로운 졸업식 가운 디자인 및 대학의 기타 색상 지정에 기여한 공로로 자신의 재능으로 대학의 발전에 기여한 자로 인정 받아 수여받은 것이며, 이는 특수한 케이스다.

KCL의 평의원직을 수여받은 인물들은 이름에 FKC가 따라 붙는다.
[3] 동문 전체에 관한 목록이 아닌 대표적 인물들을 간추린 명단[4] 위키피디아에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들 중 KCL에서 학위를 수여받거나 학업을 이수한 인물들을 지칭[5] 관련기사[6] King's Classical Alumni Playlist 참고[7] 관련기사
JTBC 뉴스 인터뷰
[8] 관련기사[9] 조승연의 탐구생활 출연
개인 YouTube 채널
[10] 관련 기사[11] 관련기사[12] 관련 기사[13] King's People[14] King's People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
관련 기사
[15] 경향신문 기사[16] * Queen Elizabeth College
* Chelsea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이하 Chelsea College)
* King's College Hospital Medical School
* Guy's Hospital Medical School
* St Thomas's Hospital Medical School
* United Medical and Dental Schools of Guy's and St Thomas' Hospitals (이하 UMDS)
[17] 영연방 국가의 대부분의 대학에서 총장(Chancellor)은 일종의 명예직으로 실권이 없으며 명목상의 수장이다. 대학을 운영하는 실질적인 수장은 부총장(VC), 또는 이사 혹은 회장(President, Principal, Rector, Director, Provost)으로 불리는 인물들에게 있다.

본 리스트는 대학뿐만 아니라 학위를 수여하는 고등교육기관의 (KCL 출신의) 명목상 수장과 실질적 수장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글래스고 대학교의 총장(Chancellor)인 캐서린 그레인저는 스포츠 선수로서의 업적이 더 크기 때문에 하단의 스포츠 분야에 서술되어 있으며, 워릭 대학교의 총장이었던 쉬리다스 람팔외교 분야, 그리고 KCL의 이사(President & Principal)였던 헨리 웨이스는 상단의 역대 이사 목록에 서술되어 있다.
[18] Law Insider 참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킹스 칼리지 런던 문서의 r112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킹스 칼리지 런던 문서의 r11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22:40:06에 나무위키 킹스 칼리지 런던/출신 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