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3323

덤프버전 :

>
서울특별시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color: #ffc600"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30113212321432163217
32203313331433153316
33173318331933213322
33233411341234133414
34163417342034223426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1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5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7권역
]]


파일:3323_4487.png
파일:3323_2803.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32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3323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강동공영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보훈회관)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20
막차23:40막차00:20
평일배차12~16분주말배차17~22분
운수사명대원여객인가대수8대[1][2]
노선강동공영차고지 - 강일리버파크9.10단지 - 미사강변동원로얄듀크 - 강동리엔파크13.14단지 - 강동리엔파크9단지 - 강일역 - 상일동역 - 상일동산.롯데캐슬베네루체 - 초이동 - 중앙보훈병원역 - 보훈회관


2. 개요[편집]


대원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9.2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고덕강일3지구(강동리엔파크)가 입주를 시작했으나 이 단지 쪽에 다니는 버스노선이 전무하여 2021년 초 신설 계획이 세워졌다. 마을버스로 상일동역까지만 짧게 운행 예정이었으나, 이후 지선버스로 계획이 변경되어 중앙보훈병원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관련 기사


  • 2021년 9월 13일을 기해 회차경로가(진황도로 61길 → 진황도로 → 풍성로)에서 (진황도로 → 풍성로) 형태로 변경되었다.[3] 이번 노선조정으로 운행 거리는 줄어들었지만 인가 운행소요시간은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80분에서 90분으로 늘어났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 횟수도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 횟수는 평일 88회/토요일 및 공휴일 66회에서 평일 80회/ 토요일 및 공휴일 60회로 각각 8회/6회씩 감회되었으며 경로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배차간격은 평일 12~15분/토요일 및 공휴일 15~19분에서 평일 12~16분/토요일 및 공휴일 17~22분으로 확대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노선 길이는 짧지만, 시도 경계선을 2번이나 넘나든다.[4]

  • 강동구의 마을버스강동02번, 강동05번보다 노선 길이가 짧으며, 강동01번과도 노선 길이가 비슷하다.[5]

  • 노선이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서 아파트 단지에서 강일역중앙보훈병원역으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많아지면서 점점 이용객이 증가하는 편이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굉장히 붐비는 편이고, 퇴근 시간에 중앙보훈병원역에서 탑승하면 만원버스 그 이상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323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21년1,263명-
2022년1,976명△ 713
※ 하차 인원 미포함
  • 2021년 자료는 개통일인 7월 19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과천/안양/군포/의왕>

과천/안양/군포
541

안양/군포>
안양시 단독
152교대
6515교대
>

500석수

5618석수

과천시 단독>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의왕시 경유 노선은 군포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32:58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332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 공휴일 6대 운행[2] 예비차량은 341번, 370번, 2312번, N31번과 공동 사용[3] 단, 정차 정류소 변동은 일체 없음.[4] 고덕강일3지구 인근에서 한 번, 초이동 중앙차로 정류소에서 한 번.[5] 애초에 강동구의 마을버스가 모두 타 구에 비해 노선 길이가 긴 편이면서 지선버스의 기능과 유사한 면이 많고, 2312번 노선과 유사한 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