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41

최근 편집일시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3.1. 구 471번 시절
3.2. 현 741번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4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41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진관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대왕초등학교)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30
막차
22:50
막차
00:30
평일배차
7~11분
주말배차
토요일 9~13분 / 공휴일 11~15분
운수사명
한국brt
인가대수
35대(예비 3대)[1][2]
노선
진관공영차고지 - (→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 - 구파발역입구 - 연신내역.연서시장 - 불광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한성과학고 - 서대문역사거리 - 광화문 - 종로2가 - 서울백병원 - 남산1호터널 - 순천향대학병원 - 한남대교 -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양재꽃시장 - 안골마을 - 헌인릉 - 세곡푸르지오 - 대왕초등학교


2. 개요[편집]


한국brt에서 운행하는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5.8㎞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3.1. 구 471번 시절[편집]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신설되었다. 이 때는 471번이었고, 기점이 삼송동, 종점이 송파공영차고지였으며, 인가댓수는 51대였다.



  • 2012년 12월 1일에 구파발역입구 중앙차로 정류장 대신 구파발역경유로 변경되었다.


  • 구파발역 환승센터가 만들어지면서 2017년 5월 17일부터 차고지 방향도 1, 4번 출구 측에 정차한다. 이 때문에 정차하기 위해서 한 바퀴를 돌게 되었다.

  • 2017년 9월 15일에 서대문역 - 종로 - 삼일대로 - 남산1호터널 구간이 서대문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회현역 → 명동역 →/← 숭례문 ← 시청 ← 을지로2가 ←) - 남산1호터널로 변경되었고, 동시에 양 방향 모두 구파발역 환승센터 대신 통일로에 있는 구파발역입구 중앙 정류소에 정차한다.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공사로 인한 임시 우회였는데,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완공된 이후에도 원 노선으로 환원되지 않았다.[3]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5월 12일, 이 노선의 번호를 권역에 맞게 741번으로 변경하고 서울역 경유를 종로로 환원함과 동시에 세곡동 구간을 단축하고 16대를 감차하여 진관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해 은평뉴타운 1지구와 통일로를 경유해 서울역으로 가는 가칭 702번을 신설한다는 계획안이 공개되었다. 관련 공문


3.2. 현 741번[편집]


  • 2018년 9월 21일, 지난 5월 중순에 나왔던 계획안이 수정되어 공지되었다. 그리고 2018년 10월 15일부터 계획안이 실행되면서, 13개월만에 종로2가를 경유하는 2017년 9월 중순까지의 경로로 환원되었다. 다만, 이와 동시에 741번으로 번호가 바뀌었고 숫자 4와 7의 위치가 서로 맞바뀌었다 16대가 감차되면서, 이 여파로 운행횟수가 평일 기준으로 무려 60회 감회되어(192회 → 132회) 배차간격도 종전에 비해 많이 늘어나게 되었다.[4] 또한, 구파발역 환승센터는 여전히 미경유한다. 관련 공문

  • 2019년 12월 7일 이 노선의 '내곡IC~세곡동사거리' 구간을 단축하는 노선 조정안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동년 12월 23일 열린 노선조정 심의 결과 취소되었다.관련 게시물


4. 특징[편집]


  • 서울 지하철 3호선과 대다수 중복되지만[5] 전 구간에서 수요가 많은 노선이며 구파발역 - 독립문역 구간에서 환승 없이 직통으로 한남동강남대로 일대를 연결하는 덕분에 은평구 수요가 상당하며[6], 470번과 동일하게 명동 일대에서 한남동, 강남구로 가는 수요도 상당하다.

  • 노선의 선형을 보면 거의 모든 구간이 대로로만 달린다는 특징을 지녀서 주간선다운 노선이다. 게다가 서대문역 ↔ 광화문 ↔ 종로1·2가를 제외하고는 전부 직진형 노선이다. 신호 대기로 좌회전이나 우회전하는 부분은 서대문역(농협본사) - 종로2가 구간 뿐이다. 지도를 잘 보면 3호선이 돌아가면서 빠지는 노선을 직선으로 메우는 구성을 하고 있다. 3호선과 경쟁력도 여기에서 생기는 듯하다.

  • 교통 정체가 없다면 간선 상위권의 표정속도[7], 3호선보다 우수한 선형 덕에 강남에서 은평/서대문까지 쭉 가는 승객들도 많다. 이미 강남역에서 입석 공간도 얼마 안 남는 경우가 빈번하며 통일로 진입 전까지 거의 타기만 한다. 내리는 사람이 있어도 그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다시 채운다.

  • 2018년 10월 14일까지는, 470번과 함께 작은 숫자인 4가 앞에 왔었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 번호 부여 규칙 중, 주간선 노선의 노선번호의 경우 출발지 권역이 어느쪽이든 상관없이 항상 작은 숫자가 앞쪽에 붙는다는 예외적 규칙이 있었기 때문이다.



  • 구파발역 환승센터에 들어가지 않고, 통일로상의 구파발역입구(12011·12012) 정류장에 정차한다.


  • 세곡동 방면 운행시 금화초등학교, 서울시교육청 정류소는 471번 시절보다 차량이 적어진 탓에 배차간격과 소요시간을 줄이기 위해 무정차 통과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71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9,139명
-
2014년
28,629명
▽ 510
2015년
28,493명
▽ 136
2016년
27,255명
▽ 1,238
2017년
26,250명
▽ 1,005
2018년
22,603명
▽ 3,647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41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8년
22,503명
-
2019년
18,323명
▽ 4,180
2020년
15,061명
▽ 3,262
2021년
14,273명
▽ 788
2022년
15,522명
△ 1,249
※ 하차 인원 미포함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작거나 큰 노선 변경 등을 거치며 승객이 약 11,000명이나 빠져나갔다. 특히 2018년과 2019년의 전년 대비 승객수 감소폭이 큰 편인데, 이는 2017년 9월 노선 조정에 따라 4권역과 7권역에서 종로를 오가는 수요가 이탈하였고, 2018년 10월에는 원래 수요 비중이 높았던 종로 구간을 다시 운행하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기존 인가대수의 1/3가량이 감차됨에 따라 운행횟수가 크게 줄어든 점이[8] 비교적 강한 영향을 미쳐 수요 감소세를 지속시켰기 때문이다.[9]


4.2. 노선[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41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대왕초등학교
23454

은곡마을.LH이편한세상
23412



은곡마을.강남신동아파밀리에
23537


은곡마을진입로
23434




강남신동아파밀리에1단지
23413
세곡푸르지오
23437




세곡푸르지오
23439
헌인마을.서울농업기술센터
22337




헌인마을.서울농업기술센터
22336
-




헌인농장
22335
헌인릉.강남서초예비군훈련장
22334




헌인릉.강남서초예비군훈련장
22333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강동송파예비군
22332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강동송파예비군
22331
안골마을
22330




안골마을
22329
서초포레스타입구
22398




서초포레스타입구
22399
탑성마을
22328




탑성마을
22327
염곡마을.서초50플러스센터
22326




염곡마을.서초50플러스센터
22325
코트라
22302




하나로마트.코트라
22301
양재2동주민센터.양재꽃시장
22293




AT센터.양재꽃시장
22298
언남고교
22295




시민의숲
22294
교육개발원입구
22002




교육개발원입구
22001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22004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22003
뱅뱅사거리
22006




뱅뱅사거리
22005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22008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22007
신분당선강남역
22010




신분당선강남역
22009
지하철2호선강남역
22012




지하철2호선강남역
22011
논현역
22014




논현역
22013
신사역
22016




신사역.푸른저축은행
22015
한남대교전망카페
23531




-
한남5거리
03166




-
순천향대학병원
03162




순천향대학병원.한남오거리
03165
-




남산1호터널
02289
서울백병원.국가인권위.안중근활동터
02002




남대문세무서.서울백병원
02001
종로2가사거리
01001




종로2가.삼일교
01004
종로2가
01014




종로2가
01013
종로1가
01012




종로1가
01011
광화문
01010




광화문
01009
서울역사박물관.경교장.강북삼성병원
01123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01007
서대문역사거리.적십자병원
01169




서대문역사거리.농협중앙회
02281
영천시장
13037




영천시장
13036
독립문역.한성과학고
13035




독립문역.한성과학고
13034
-




안산초등학교
13033
무악재역
13032




무악재역
13031
인왕산.홍제원아파트
13040




홍제삼거리.인왕산한신휴플러스
13030
홍제역.서대문세무서
13029




홍제역.서대문세무서
13028
산골고개
13027




산골고개
13026
녹번역
12027




녹번역
12028
한전서대문은평.북한산푸르지오
12025




한전서대문은평.북한산푸르지오
12026
불광역3호선.서울혁신파크
12023




불광역3호선.서울혁신파크
12024
불광역3.6호선
12021




불광역3.6호선
12022
동명여고.천주교불광동성당
12019




동명여고.천주교불광동성당
12020
연신내역.연서시장
12017




연신내역.연서시장
12018
세명컴퓨터고등학교
12015




세명컴퓨터고등학교
12016
박석고개.신도고등학교
12013




박석고개.신도고등학교
12014
구파발역입구
12011




구파발역입구
12012
은평뉴타운10단지
12009




은평뉴타운10단지
12010
-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35160
진관공영차고지
12470 · 12469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40:14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74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비차 3대 중 2대는 전일에 걸쳐 대당 일 2회씩 운행하며 단축 투입 차량인 셈.[2] 토요일 27대 / 공휴일 22대 운행[3] 471번이 서울역을 경유한다는 것을 빌미로 706번703번이 불광역으로 단축되어서 아무 대책 없이 종로로 바로 돌릴 수도 없긴 하다. 하지만 정작 서대문역 - 서울역 구간에는 과잉 공급이 야기된 반면, 이 노선의 종로 공백이 너무 커서 720번에 헬게이트가 열렸다. 또한 이 노선은 그 나름대로 703번706번에서 대량 추가된 서울역행 승객들, 여기에다 720번에 못 탄 기존 종로행 승객 중 서대문역까지는 여전히 가는 이 노선에 타고 보는 승객들까지 합쳐지면서 차고지 포함 3번째 정류소인 은평뉴타운10단지에서부터 입석이 발생한다는 증언이 나오는 등 헬게이트가 열리고 있다.[4] 세곡동 구간의 단축이 포함되어 있던 5월의 계획안에서는 운행 횟수가 평일 기준 47회 감회된 145회가 될 예정이었다. 즉 세곡동 구간이 유지로 계획이 바뀌면서 이 노선의 일 운행횟수가 기존 계획보다도 13회 더 줄은 것.[5] 신분당선 또한 3호선 다음으로 상당수 겹친다.[6] 연신내역 이후로는 좌석이 거의 없다.[7] 차만 안 막히면 강남에서 종로는 30분, 홍제는 45분, 연신내는 1시간 이내로 끊어버릴 수 있다. 이 정도면 전철 최속달편이랑 별 차이가 안 나는 수준이다.[8] 이때 감차분은 모두 신설된 708번에 투입되었는데, 708번 신설을 위한 모든 차량들이 오직 이 노선에서만 차출되었다. 이 708번은 사실상 2017년 11월 1일자로 도심 구간이 모두 단축된 옛 706번의 회차경로를 계승시키고 그와 동시에 2017년 9월부터 741번(당시 471번)이 1년여간 운행하다가 다시 철수하게 되는 경찰청/서울역 구간 상에서 재차 발생하게 될 버스 공급 감소를 메우기 위한 의도로 신설된 노선이다.[9] 은평구/서대문구의 통일로 연선과 도심 간을 오가는 통행 수요의 경우 702A/B번, 704번, 705번, 720번, 그리고 2018년 신설된 708번 등으로 이탈하였으며 헌릉로, 강남대로, 한남대로 연선과 도심 간을 오가는 통행 수요의 경우 140번, 470번, 서울 지하철 3호선 등으로 이탈하였다.[10] 종로1가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