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 파라

덤프버전 :

}}} ||




}}} ||

[ 펼치기 · 접기 ]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치멜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누네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워렌(3)(2) 파일:미국 국기.svg
윈스턴(3)(2) 파일:미국 국기.svg
차베스(3)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반스(2) 파일:미국 국기.svg
리스(3)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캄포스(1) 파일:멕시코 국기.svg
피코타(3) 파일:파나마 국기.svg
가르시아(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라피니(3)(2)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피코타(2) 파일:파나마 국기.svg
에스트라다(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메히아(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엔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 파일:미국 국기.svg
세드릭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클락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디아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연지(3) 파일:미국 국기.svg
데폴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페얀(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에노(3) 파일:쿠바 국기.svg
데폴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르시아(3) 파일:멕시코 국기.svg
오넬리(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배스(2) 파일:미국 국기.svg
션헨(3)(2)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이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피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레이(2) 파일:미국 국기.svg
타투스코(3) 파일:미국 국기.svg
앨버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2)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건(2) 파일:미국 국기.svg
폭스(3)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서캠프(3) 파일:미국 국기.svg
마에스트리(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스티요(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간도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비야누에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휠러(2)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3)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2)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2)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3) 파일:미국 국기.svg
킹험 파일:미국 국기.svg
카펜터 파일:미국 국기.svg
힐리(2)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험(2) 파일:미국 국기.svg
페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펜터(2)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터크먼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그레디(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스(3) 파일:미국 국기.svg
페라자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계약 취소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파일:fMY4DFU.jpg
이름
호세 미겔 파라(José Miguel Parra)
생년월일
1972년 11월 18일 (51세)
국적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89년 아마추어 자유계약(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95)
미네소타 트윈스 (1995~1996)
삼성 라이온즈 (1998)
요미우리 자이언츠 (1999)
피츠버그 파이리츠 (2000)
퉁이 라이온즈 (2001)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2)
한화 이글스 (2002)
퉁이 라이온즈 (2003)
뉴욕 메츠 (2004)
오릭스 버팔로즈 (2005)

1. 개요
2. 선수 경력
3. 기타
4. 연도별 주요 성적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에서 활동한 외국인 선수. 스캇 베이커와 더불어 삼성 라이온즈의 첫 외국인 선수였다.


2. 선수 경력[편집]



2.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절[편집]


1995년 LA 다저스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데뷔해 2년간 47경기에 등판해 6승 10패 5.59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평범한 선수였다.

그러나 외국인 선수 제도를 처음으로 도입했던 당시 한국리그는 마이너리그 죽돌이들이나 오는 것이었고, 콜업이 한번도 없는 선수도 흔해서 메이저 콜업이 한 번이라도 있으면 능력이 뛰어난 편이었기 때문에 2년간 47경기나 등판한 파라는 매우 우수한 경력을 지닌 선수로 평가받았다.


2.2. 삼성 라이온즈 시절[편집]


투수진 보강 차원에서 1998년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 때 삼성이 1라운드에서 뽑았다. 원래 선발 투수로 기용하려 했지만 마무리 김태한이 입대하면서 삼성은 호세 파라에게 마무리 투수를 맡겼다. 150km/h대의 빠른 공을 던졌지만 빠른 공을 받쳐 줄 변화구가 없었고,[1] 당시에는 삼성 불펜이 허약해 8회부터 파라가 투입되는 일이 많았는데, 1이닝 이상을 소화하다 보니 체력적인 문제로 9회가 되면 난타를 당하곤 했다. 파라의 강속구를 살려보고자 삼성이 시즌 후반에는 선발로 급 전향시켜 기용하기도 했으나 결국 파라는 마무리로 시즌을 마쳤다.[2]

1998년 파라의 정규시즌 성적은 7승 8패 19세이브로 세이브 6위였기에 삼성은 처음엔 파라와 재계약을 하려고 했지만, 갑자기 태도를 바꿨고 뜬금없이 일본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이적료를 받고 파라를 보냈다.[3] 이는 삼성이 파라와 재계약을 하기는 싫었으나 두산이 파라를 영입하려 했기에 비수가 되는 걸 막기 위해 일본으로 보낸 것으로 추측된다.

8월 8일에는 삼성 포수의 흑역사인 그 분의 대타로 나왔던 이순철과 배터리를 이뤄 2이닝 무실점 투구를 하는 이색적인 기록을 세웠다.

2.3. 이후[편집]


1999년 2승 3패 6.32의 평균자책점으로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요미우리에서 방출되었고 이후 피츠버그, 대만 퉁이 라이언스, 애리조나에서 활동하다가 2002년 시즌 중반 6월 중순 한화 이글스가 댄 세라피니의 대체선수로 영입했다. 이때는 불펜으로만 나오면서 31경기에서 3승 1패 4세이브를 거두었다. 하지만 6점대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면서 재계약에는 실패했다. 2004년에는 뉴욕 메츠 소속으로 메이저리그에 승격되기도 했다. 2005년 오릭스 버팔로즈에 입단했는데 이 시즌에는 개막 이후 첫 승리를 거두는 등 초반에는 순항했으나 6월 교류전 때 팔꿈치 부상으로 이탈했다. 결국 이탈 후로 1군에 돌아오지 못하고 8경기(7선발) 33이닝 4승 2패 ERA 4.09라는 기록을 남긴 후 8월에 방출되었고 이후 은퇴했다.


3. 기타[편집]


운전할 때 맨발로 하는 걸 즐겼다고 한다.


4. 연도별 주요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995
LAD
8
10⅓
0
0
0
-
4.35
10
7
7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995
MIN
12
61⅔
1
5
0
-
7.59
83
24
29
1996
27
70
5
5
0
-
6.04
88
30
50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998
삼성
60
95⅔
7
8
19
(5위)
-
3.67
79
46
55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999
요미우리
12
47⅓
2
3
0
-
5.32
43
26
25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0
PIT
6
11⅔
0
1
0
-
6.94
17
8
9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2
ARI
16
14
0
1
0
4
3.21
13
12
8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2
한화
31
39
3
1
4
0
6.00
48
21
32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4
NYM
13
14
1
0
0
1
3.21
14
6
34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5
오릭스
8
33
4
2
0
0
4.09
38
10
20
MLB 통산
(5시즌)
82
181⅔
7
12
0
5
6.09
225
87
117
NPB 통산
(2시즌)
20
80⅓
6
5
0
0
4.82
41
36
45
KBO 통산
(2시즌)
91
134⅔
10
9
23
0
4.34
127
67
87


5. 관련 문서[편집]




[1] 한국에 와서 커브볼을 배웠다는 얘기가 있었다.[2] 결국 삼성은 마무리 부재를 해결하기 위해 이듬해 팀의 프랜차이즈 양준혁해태 타이거즈임창용과 트레이드한다. 그리고 서정환 감독은 트레이드로 온 임창용을 중무리 투수로 철저하게 혹사시켰다.[3] 삼성과 요미우리는 자매구단 관계이고 당시 이건희 구단주와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감독의 친분은 말할 것도 없이 매우 유명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3:58:35에 나무위키 호세 파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