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대역 (r1판)

편집일시 :

오산대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광운대 방면
세 마
← 2.7 ㎞
1호선
(P159)
신창 방면
오 산
2.7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Osan College
한자烏山大
간체자乌山大学
가나烏山大(オサンデ
주소
경기도 오산시 청학로 236 (수청동 435-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을종)
(평택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경부선2005년 12월 27일
1호선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서울 방면
세 마
← 2.7 ㎞
경부선
오산대
부산 방면
오 산
2.7 ㎞ →
1. 개요
2. 역 정보
2.1. 역무시설
2.2. 역명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교통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수도권 전철 1호선 P159번. 경기도 오산시 청학로 236 (수청동 435-1)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attachment/osandae.png
현 역사(2005년 준공)

파일:오산대역 1호선.jpg
맞이방


2.1. 역무시설[편집]


경부선 수원~천안 2복선화와 함께 만들어진 역이다. 1995년 2복선 계획이 입안될 시기에는 계획에 없었으나[1] 지역 주민 및 오산시의회 등에서 현재의 오산대역 자리에 역 신설을 요청하였고[2], 철도청은 1997년에 오산시와 협약을 맺어 철도청과 오산시가 각각 50%씩 관련 비용을 부담해 오산대역을 짓기로 하였다. 1999년에 철도청에서 예산 부족을 이유로 오산대역 신설을 백지화하려 해 오산시 및 지역 주민과 갈등을 빚었으나[3] 경제성 분석 결과 오산대역 신설은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공사에 들어갔다.[4] 그러나 그 뒤로도 철도청과 오산시가 역광장 및 진입도로 조성 공사비 부담 비율로 인해 갈등을 벌여 공사가 중단된 바 있다.[5]

2005년 1월 병점~천안 구간 복복선 개통 때는 개업하지 않고 미개통 역으로 남아 있었다가 동년 12월에 개통했다.

개통 때 1번 출구와 2번 출구가 모두 만들어졌으나 한동안 1번 출구는 출입을 막아놓고 사용하지 않다가 2010년에 개방되었다. 1번 출구 주변은 역 앞에 도로조차 제대로 없었던 미개발지였기 때문이다. 2번 출구 방면에 있는 1번 국도(현 청학로)가 역 인근을 지나는 유일한 도로였는데 세교신도시 개발과 함께 2010년에 1번 국도가 오산대역 동쪽으로 이설되고(현 경기대로) 시가지가 조성됨에 따라 그 때까지 굳게 닫혀있었던 1번 출구의 사용이 개시되었다. 이때 1번 국도가 청학로에서 경기대로로 바뀌었다.

2021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분당선 오산지선과의 환승역으로 올랐다.

역 앞의 육교를 역사와 바로 연결하는 공사를 시행하고 있다. 금정역처럼 육교가 역사와 곧바로 연결되어 출구가 여러개 생길 가능성이 있다. 최근 아예 육교가 폐쇄 예정이기도 하고 길도 코레일 역처럼 짓는걸 보면, 거의 확실한 듯 하다.


2.2. 역명[편집]


역명은 인근에 있는 대학인 오산대학에서 이름을 따 오산대역이라고 하였다.

개통 전 공사 역명은 소재지 법정동 이름에 따라 수청역(水淸驛)이었다. 그러나 오산대학(현 오산대학교)에서 오산대역 역명을 희망하였고[6], 이에 오산시와 오산대학이 지역 주민들의 동의 하에[7] 2002년 5월에 협약을 맺어 역명을 오산대역으로 정하였다. 그 대신 오산대학은 역사 주변에 어린이집과 문화센터를 건립하여 오산시에 기부하기로 하고, 그 전까지는 지역의 행정동 내 주민자치위원회인 신장동주민자치위원회에 매년 3,000만 원을 기부하기로 하였다.

2015년에 이 협약이 교육부의 지적으로 인해 제대로 이행되지 못할 위기에 놓이자 지역 주민들은 역명을 '수청역'으로 바꿔야 한다며 반발하기도 하였다.[8] 그 전부터 지역 사회에서는 오산대가 협약을 제대로 이행할 마음이 없다며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었는데, 오산대가 개통 후 약 10년 간 어린이집과 문화센터를 지으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뒤로 관련 기사가 없고 역명도 바뀌지 않았다.

철도거리표 등에 기재된 공식 영문명은 'Osan College'이고 차내 노선도와 역명판, 폴사인, 스크린도어 등지에는 전부 이렇게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각 역에 있는 수도권 전철 노선도와 안내방송에서는 'Osan University'로 안내되고 있다. 오산대역 개통 때 오산대의 이름은 '오산대학'이었고 영문 명칭도 Osan College였으나 2012년에 이름을 '오산대학교'로 바꾸면서 영문명도 'Osan University'로 고쳤는데[9], 이러한 사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오산대는 오산대역보다는 오산역에 약간 더 가깝다. 오산대까지 오산대역에서는 걸어서 20분 이상 걸리지만, 오산역에서는 10분 정도 걸린다. 하지만 대부분 서울 경기권에서 통학을 하기 때문에 셔틀버스 정류장이 바로 앞에 있는 오산대역을 지나 오산역까지 갈 일이 없다. 무료 셔틀버스도 오산역에는 없고 오산대역에만 있다. 거리가 있을 뿐 오산대역과 오산대학교는 청학로라는 같은 도로상에 위치해 있다.

오산대학교에서는 이를 두고 '비발디사계가 끝나기 전에 학교에 도착했다!'는 광고를 내보내기도 했다. 안토니오 비발디사계 3악장, 여름 3악장, 가을 3악장, 겨울 3악장으로 전 곡을 완주하는 데 45분 소요된다.

부역명은 물향기수목원이었지만 돈을 내지 않아서 없어졌다. 그래도 한동안 부역명이 그대로 붙어있다가 (물향기수목원)이라고 써 있던 곳에 영어 명칭을 덧대었고, 일본어와 중국어 명칭을 기존 영어 명칭이 써 있던 곳에 덧대어 붙였다.

부역명이 전문대학인 경우는 예전에도 있었으나, 오산대역은 전문대학이 역명으로 명명된 첫 사례이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 1번 출구 육교 건너편에 상가들이 밀집해 있다.
  • 세교신도시가 있다.
  • 바로 앞에 물향기수목원이, 옆에 홈플러스 오산점이 있다.
  • 오산대는 오산대역에서 2km쯤, 오산역에서 1.1km 정도 거리가 있으므로 걸어서 오산대로 가려면 오산역에서 내려야 하지만, 오산대역에 오산대학교행 버스가 운행 중이라서 시간만 잘 맞춘다면 오산대역에서 내릴 수 있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Seoulmetro1_icon.svg비고
2005년1,126명[10]
2006년2,763명
2007년3,485명
2008년3,443명
2009년3,267명
2010년3,082명
2011년3,204명
2012년3,435명
2013년4,236명
2014년5,654명
2015년5,823명
2016년5,895명
2017년6,270명
2018년6,601명
2019년6,920명
2020년4,671명
2021년5,586명
2022년6,706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1] 「수원~천안구간 5개역 신설」, 경향신문, 1995-07-26[2] 「"오산 수청역 세워달라"」, 경향신문, 1997-06-10[3] 「오산시 세마역 신설 철도청선 "예산없다"」, 중앙일보, 1997-09-21[4] 「오산에 세마·수청역 신설」, 인천일보, 2000-02-23[5] 「수원~천안 복복선 개통 차질」, 평택시민신문, 2003-03-16[6] 「지하철 역명칭 유치전 활발」, 중부일보, 2002-03-30[7] 「[언중언]`강원대역'」, 강원일보, 2009-10-06[8] 「신장동 주민, "오산대역 수청역으로 바꾸겠다" 왜?」, 미디어와이, 2015-08-19[9] 오산대학교 영문 홈페이지[10] 개통일인 12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세마역과 더불어 개통 초기에 예산낭비의 대표주자로 언론에서 모질게 비판을 받았으나, 그래도 세마역만큼 이용률이 낮지 않았다. 개통 초창기부터 3천 명씩 타고 내리던 역이었기 때문이다.

  • 2013년~2014년에 세교신도시의 대규모 입주가 진행되면서 2년 사이에 1.5배 이상 이용객이 가파르게 늘었다.

  • 동탄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이용하는데, 주로 오산대역과는 조금 떨어져 있는 동탄7동, 8동 주민들이 이용한다. 오산대역을 종점으로 하는 H19번 버스의 이용객이 꽤 되기 때문이다. 많은 승객들이 오산대역에서 한꺼번에 내린다. 게다가 배차 간격도 길지 않으며 은계동 ~ 오산대역 사이에 정류장이 없는 데다가 버스 노선이 깔끔하다는 이유도 한몫했다. 또한 동탄1신도시에서도 오산 버스 9번(동탄1동, 동탄2동), 오산 버스 201번(동탄3동 푸른마을)을 이용한다. 다만 9번의 경우는 배차 간격이 긴 편이다. 201번은 스마트시티센터에서 하차해야 오산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 오산대역 바로 앞에 지어지고 있는 포스코더샵의 입주가 2020년 6월부터 시작되고, 분양 예정인 세교2지구의 입주가 몇년 뒤 시작되면 이용객이 큰 폭으로 늘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22년 필봉터널이 개통하여 동탄2신도시에서의 접근성이 크게 좋아져 이용객이 추가로 늘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버스들이 오산에서 화성으로 갈 때 필봉터널과 삼미터널을 이용하지 않고 크게 돌아서 가며, 자차 수요외에는 오산과 화성시의 갈등으로 인해 필봉터널을 경유하는 버스 개통이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5. 승강장[편집]


파일:오산대역 2019승강장.png
오산대역 승강장
2018년 1월 기준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세마
21
오산



6. 연계 교통[편집]


오산대역 버스 정류장 정보
파일:지하철 출구_1.png 1번 출구
오산대역후문
(24-321)
'''
일반
'''
C2
'''
마을
'''
H19
오산대역후문
(24-322)
'''
마을
'''
H19
파일:지하철 출구_2.png 2번 출구
오산대역
(24-032, 세교신도시 방면)
'''
일반
'''
8, 9, 20-1
오산대역
(24-038, 오산 시내 방면)
'''
일반
'''
8, 9, 20-1
오산대역
(24-236)
'''
마을
'''
99
오산대역.물향기수목원
(24-264, 세교신도시 방면)
'''
직행
'''
1311, 1311B
'''
좌석
'''
300
'''
일반
'''
7, 20, 20-1, 46, 301, C3
오산대역.물향기수목원
(24-266, 오산 시내 방면)
'''
직행
'''
1311, 1311B
'''
좌석
'''
300
'''
일반
'''
7, 20, 20-1, 46, 301, C3
[각주]

7. 둘러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