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찰구 안에 화장실이 있는 역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개찰구 안쪽, 즉 운임 구간 영역(개찰구에서 기차선로까지) 안에 공중화장실이 있는 지하철역들의 목록이다.

이런 역 중에 개찰구 바깥 역사에 화장실이 없다면, 역내 화장실 이용시 이용료를 내고 개찰구를 통과해야 한다.

도시철도 탑승(대기)중 정말 급한데 개찰구 안에 화장실이 없다면, 개찰구로 가서 옆에 있는 비상게이트에서 호출버튼을 누르거나 근처에 있는 역무원에게 부탁하자. 게이트를 열어준다.[1] 그런데 화장실이 역 개찰구 내외에 다 있어도, 유동인구가 많거나 지하철 탑승객/하차객이 많은 역이면 볼일을 보기 위해 줄을 서는 대참사가 벌어질 수도 있다. 미리 비교적 한산한 역을 찾아서 이용하거나 인근 건물의 화장실을 이용하는 게 좋다.[2]

화장실이 개찰구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는 역마다 다르므로, 자신이 가려는 역을 잘 확인해야 한다. 심지어 환승역은 노선마다 화장실의 위치가 다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런 역들에서는 지하철을 이용하고자 운임을 지불한 사람들만이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하철을 이용하지 않고 화장실만 들렀다 갈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꼭 불합리한 것은 아닌데,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굳이 개찰구 밖으로 나가지 않고서도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개찰구 밖에 화장실이 있는 역이라도 개찰구 한쪽 비상게이트/스피드게이트에 있는 승무원 호출벨을 누르고 화장실을 다녀오겠다 말하면 열어주니, 꼭 매번 이 문서에 적힌 역만을 찾아가려 할 필요는 없다. 2023년 7월 1일부터 서울교통공사 구간에 한해 교통카드 소지자는 하차 후 동일노선 10분이내 재승차 환승이 가능하기도 하고.

2. 목록[편집]



2.1. 주요 식별자[편집]



  • 취소선 처리: 해당 노선의 승강장에서는 개찰구 안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다른 노선의 승강장으로 이동해야 개찰구 안에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
  • ★: 열차가 들어오는 승강장에서 바로 화장실로 들어갈 수 있는 역
  • ☆: 개찰구 밖에도 화장실이 있는 역.[주의]

2.2. 수도권 전철[편집]


노선 이미지로 보기

[ 1호선 ]
파일:Seoul1Toilet.svg


[ 2호선 ]
파일:Seoul2Toilet.svg


[ 3호선 ]
파일:Seoul3Toilet.svg


[ 4호선 ]
파일:Seoul4Toilet.svg


[ 5호선 ]
파일:Seoul5Toilet.svg


[ 6호선 ]
파일:Seoul6Toilet.svg


[ 7호선 ]
파일:Seoul7Toilet.svg


[ 8호선 ]
파일:Seoul8Toilet.svg


[ 9호선 ]
파일:Seoul9Toilet.svg


[ 공항철도 ]
파일:AREXToilet.svg


[ 우이신설선 ]
파일:UIToilet.svg


[ 경의중앙선 ]
파일:GJToilet.svg


[ 수인분당선 ]
파일:SBToilet.svg


[ 신분당선 ]
파일:DXToilet.svg


[ 의정부경전철 ]
파일:ULRTToilet.svg


[ 인천 1&2호선 ]
파일:ICMToilet.svg


2.2.1. 수도권 전철 1호선[편집]



2.2.1.1. 경인선, 경원선서울 지하철 1호선[편집]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도봉역
  • 방학역
  • 창동역
  • 녹천역
  • 월계역
  • 석계역: 승강장에서 내려왔을 때 오른편에 있다.
  • 신이문역
  • 외대앞역: 상행선 승강장 이동 계단 아래에 있다. 화변기 1개, 양변기 1개.
  • 청량리역: 환승통로에 있다.
  • 신설동역
  • 동묘앞역: 상행선 승강장쪽에 화장실이 한 곳 있지만, 남자화장실 기준 대변기가 하나밖에 없고 유동인구가 많아 사용하기 힘들다. 개찰구 밖에서 화장실을 이용하려면 6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 동대문역: 4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 종로3가역: 3호선이나 5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 시청역: 2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 서울역: 공항철도로 갈아타야 한다. 엄청난 막장환승이니 유의할 것.
  • 남영역
  • 용산역☆: 화장실 수에 비해 유동인구가 매우 많다. 개찰구 밖도 마찬가지.
  • 노량진역: 9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 대방역
  • 신길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1번과 2번 승강장 사이 환승통로에 있다.
  • 구로역
  • 구일역
  • 온수역: 7호선 승강장으로 내려갔다가 직진 후 올라가면 개찰구 밖에 있으나, 자유롭게 나다닐 수 있도록 개찰구 1개를 열어둠
  • 부평역: 부평남부역의 경사로 기준으로 아래에 있는 개찰구에만 있음.
  • 간석역
  • 주안역: 승강장에서 선상 역사나 인천 2호선 방향으로 가지 말고, 지하상가 방향으로 내려가면 있다.
  • 도원역: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면 화장실을 이용할 수 없음을 주의

2.2.1.2. 구로역 이남 경부선 구간[편집]



2.2.2. 서울 지하철 2호선[편집]



2.2.2.1. 본선(순환선)[편집]



2.2.2.2. 지선[편집]



2.2.3. 수도권 전철 3호선[편집]




2.2.4. 수도권 전철 4호선[편집]




2.2.5. 수도권 전철 5호선[편집]




2.2.6. 서울 지하철 6호선[편집]



2.2.7. 서울 지하철 7호선[편집]



2.2.8. 서울 지하철 8호선[편집]


  • 석촌역: 9호선 영역으로 게이트에서 갈아타야 한다.
  • 가락시장역: 3호선 방향으로 내려가서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많이 급하다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자.

2.2.9. 서울 지하철 9호선[편집]


  • 김포공항역
  • 마곡나루역: 공항철도로 갈아타야 한다.
  • 당산역[3]
  • 국회의사당역
  • 여의도역★: 화장실이 개화 방면 승강장에 있다.
  • 노량진역
  • 동작역
  • 고속터미널역
  • 종합운동장역: 2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 석촌역
  • 올림픽공원역


2.2.1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편집]




2.2.11.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편집]




2.2.12. 신분당선[편집]




2.2.13. 인천국제공항철도[편집]


  • 공항화물청사역
  • 운서역
  • 검암역
  • 계양역
  • 김포공항역
  • 마곡나루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홍대입구역
  • 공덕역
  • 서울역☆: 수도권 전철 서울역 중 유일하게 개찰구 안에도 화장실이 있는 노선이다.[4]


2.2.14. 의정부 경전철[편집]




2.2.15.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편집]




2.2.16. 수도권 전철 경춘선[편집]



2.2.17. 수도권 전철 서해선[편집]


  • 김포공항역
  • 초지역☆: 5번 출구 근처에만 있다. 2~4번 출구 근처 대합실은 화장실이 개찰구 밖에 있다. 1번 출구가 있는 4호선 대합실 화장실도 개찰구 안에 있다.
  • 원시역


2.2.18. 김포 골드라인[편집]




2.3. 인천 도시철도[편집]


공식 분류로는 수도권 전철에 포함되나, 편의상 문단을 분리한다.

2.3.1. 인천 도시철도 1호선[편집]



2.3.2. 인천 도시철도 2호선[편집]


  • 검암역: 공항철도로 갈아타야 한다.
  • 석남역: 7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 주안역: 1호선 승강장으로 올라갔다가 지하상가 방향으로 내려가면 있다.
  • 운연역

2.4. 동남권 광역전철[편집]


부산교통공사 운영구간에선 2호선을 제외하면 없다. 과거 1호선 지상구간에 있었으나 시설 재배치로 개찰구의 위치가 달라져 사라졌다. 대신 이 재배치 덕에 대합실 내부를 종단할 수 있게 되었다.

2.4.1. 부산 도시철도 2호선[편집]


  • 수영역★☆: 2호선 승강장 민락방면 끝에 있다.[5] 개찰구 밖 화장실은 약 100m 떨어져 있다.
  • 부산대양산캠퍼스역★☆: 장산방면은 승강장, 양산방면은 이동통로상에 있다.
  • 남양산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 방면의 대합실 층에 있다.

2.4.2. 부산김해경전철[편집]


  • 모든 역: 개찰구와 계단이 있는 길목에 있다.

부산김해경전철의 모든 역사는 설계가 비슷하여 모든 역의 화장실이 비슷한 위치에 있다. 게다가 무인운영이라 상주하고 있는 역무원도 없다. 즉,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표를 끊어야 하며, 화장실만 쓰려고 개찰구를 넘어가는 것은 무임승차로 간주된다! 정말 급한 경우가 아니면 역이 아닌 다른 곳을 이용하는 게 좋다.

2.4.3. 동해선 광역전철[편집]


  • 부전역☆: 개찰구 바로 앞에 있다.
  • 벡스코역☆: 동해선 역사 1·2번 출구측 개찰구 안쪽 환승통로 부근에 있다.


2.5. 대구 도시철도[편집]



2.5.1. 대구 도시철도 1호선[편집]




2.5.2. 대구 도시철도 2호선[편집]




2.5.3. 대구 도시철도 3호선[편집]




2.6. 대전 도시철도[편집]



2.6.1. 대전 도시철도 1호선[편집]


  • 판암역: 무료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쪽문이 설치되어 있다.
  • 신흥역☆: 장애인화장실만 안쪽에 있다. 도저히 안 되겠으면 쓰자.

2.7. 광주 도시철도[편집]



2.7.1. 광주 도시철도 1호선[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5:02:43에 나무위키 개찰구 안에 화장실이 있는 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탑승 방향을 착각했을 경우도 마찬가지로 역무원에게 부탁한다.[2] 하지만 대부분의 건물은 화장실을 외부인이 이용할 수 없도록 잠가 놓았다.[주의] 이 표시가 없다면 도시철도 탑승료 없이는 화장실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역무원에게 화장실 이용 허락을 부탁하는 방법밖에 없다.[3] 원래는 전부 안에만 있었는데 7,10,11,12,13번 출구쪽 역사내에 연결된 화장실은 바깥으로 빠지도록 울타리가 개수되었다.8,9번 출구쪽에서 안으로 들어오면서 볼 수 있는 화장실이 하나 더 있는데 이건 개찰구 내에 있다.[4] 1, 4호선은 공항철도로 갈아타야지만 개찰구 안에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으며, 경의중앙선은 개찰구 안에서는 아예 화장실 이용이 불가능하다.[5] 지상출구 8, 10, 11, 13번의 아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