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발고양이

최근 편집일시 : (♥ 0)



멸종 위기 동물
[ 펼치기 · 접기 ]
파일:IUCN 멸종위기등급.svg
가나다 순으로 항목 정렬>
※ 문서가 없는 동물은 멸종 위기 동물/목록 참고
※ # 표시가 뒤에 붙어있는 동물은 아종
야생 절멸 (EW)
바바리사자# · 사불상 · 칼상어 · 케이프사자#
위급 (CR)
가는부리대머리수리 · 가래상어 · 가비알 · 갠지스상어 · 거친우산문어 · 검은머리촉새 · 검은볏긴팔원숭이 · 검은짧은꼬리원숭이 · 검은코뿔소 · 검자주복 · 구티 사파이어 오너멘탈 · 귀천산갑 · 남중국호랑이# · 넓적부리도요 · 다마가젤 · 동부고릴라 · 두건독수리 · 둥근귀코끼리 · 디윈턴황금두더지 · 레드테일블랙샤크 · 레무르잎개구리 · 루펠독수리 · 매부리바다거북 · 메콩자이언트메기 · 모래뱀상어 · 목화머리타마린 · 바베이도스실뱀 · 바키타 · 방사거북 · 베타 루틸란스 · 베타 미니오핀나 · 베타 부르디갈라 · 베타 오메가 · 베타 크라켄스 · 베타 클로로파링스 · 베타 푸스카 · 베타 핑귀스 · 베타 헨드라 · 벵골대머리수리 · 보르네오오랑우탄 · 보르네오코끼리# · 보트롭스 인술라리스 · 부세 · 북부흰코뿔소# · 붉은가슴흰죽지 · 붉은늑대 · 붉은머리독수리 · 붉은정강이두크 · 뿔제비갈매기 · 사올라 · 샴악어 · 서부고릴라 · 서부로랜드고릴라# · 서인도양실러캔스 · 수마트라오랑우탄 · 수마트라코뿔소 · 스쿱헤드귀상어 · 시베리아철갑상어 · 시베리아흰두루미 · 아닥스 · 아라비아표범# · 아무르표범# · 아시아대왕자라 · 아시아치타# · 아시아큰거북 · 아프리카야생당나귀 · 아홀로틀 · 안고노카거북 · 알프레디리코리스구라미 · 앤더슨도롱뇽 · 양쯔강대왕자라 · 양쯔강돌고래 · 양쯔강악어 · 에스키모쇠부리도요 · 오르나티카우다리코리스구라미 · 오리노코악어 · 원앙사촌 · 유럽뱀장어 · 유황앵무 · 이리오모테삵# · 이집트땅거북 · 이토 · 인도독수리 · 인도차이나표범# · 자바코뿔소 · 자이언트바브 · 작은눈귀상어 · 장완흉상어 · 전자리상어 · 중국장수도롱뇽 · 중국줄무늬목거북 · 징기스칸 · 철갑상어 · 카카포 · 카스피해늑대# · 칼루가철갑상어 · 캘리포니아콘도르 · 켐프각시바다거북 · 쿠바악어 · 쿠프레이 · 큰귀상어 · 큰머리거북 · 큰철갑상어 · 타파눌리오랑우탄 · 페르시아놀란도마뱀붙이 · 필리핀수리 · 필리핀악어 · 학교상어 · 홍살귀상어 · 홍살보닛헤드귀상어 · 흰등독수리 · 흰머리독수리 · 흰배중부리도요 · 히롤라
위기 (EN)
가이양 · 갈라파고스물개 · 갈라파고스펭귄 · 강거두고래 · 개리 · 검은잎원숭이 · 고래상어 · 골리앗개구리 · 굿펠로우나무타기캥거루 · 귀머거리도마뱀 · 그레비얼룩말 · 그물무늬기린 · 긴칼뿔오릭스 · 까치상어 · 나무타기천산갑 · 나일리추에 · 난쟁이도요타조 · 난쟁이푸른양 · 날개귀상어 · 남방참다랑어 · 남부돼지꼬리원숭이 · 남생이 · 납작머리삵 · 노란눈펭귄 · 노란배측범잠자리 · 노란뺨긴팔원숭이 · 뉴질랜드장어 · 느시 · 단순청상아리 · 달마수리 · 대왕고래 · 대왕쥐가오리 · 돌묵상어 · 돼지코거북 · 드릴 · 디블러 · 딩기소 · 따오기 · 떡붕어 · 레드 슬레이트 오너멘탈 · 레서판다 · 로즈라인바브 · 리코리스구라미 · 림가젤 · 마운틴가젤 · 마운틴리드벅 · 말레이가비알 · 말레이맥 · 말레이천산갑 · 말레이큰박쥐 · 말레이호랑이# · 몽골야생말# · 문조 · 바바리원숭이 · 바위뉴질랜드굴뚝새 · 반텡 · 뱀잡이수리 · 뱀장어 · 버마승냥이# · 베이사오릭스 · 베타 리비다 · 베타 안토니 · 베타 알비마르기나타 · 베타 칸노이데스 · 베타 키니 · 베타 투시아이 · 베타 페르세포네 · 베타 포이르스키 · 베타 피 · 베타 힙포시데로스 · 벵골호랑이# · 보노보 · 보닛헤드귀상어 · 보르네오황금고양이 · 보리고래 · 보세마니무지개고기 · 북미흰두루미 · 북방긴수염고래 · 북부바위뛰기펭귄 · 북부승냥이# · 붉바리 · 붉은무지개고기 · 붉은스틴브라스 · 붉은어깨도요 · 블래키스톤물고기잡이부엉이 · 사바나천산갑 · 사자꼬리원숭이 · 산니알라 · 산악고릴라# · 산호두꺼비고기 · 상괭이 · 설카타거북 · 세인트루시아보아 · 수원청개구리 · 수달사향고양이 · 수마트라승냥이# · 스텔렛철갑상어 · 스피키가젤 · 승냥이 · 시베리아호랑이# · 아마존강돌고래 · 아시아사자# · 아시아아로와나 · 아시아코끼리 · 아이아이 · 아프리카들개 · 아프리카코끼리 · 아프리카펭귄 · 안데스산고양이알락꼬리마도요 · 알락꼬리여우원숭이 · 야생말 · 얼룩말상어 · 오네이트파라다이스피쉬 · 오카피 · 왕눈물떼새 · 우수리승냥이# · 이베리아스라소니 · 이집트독수리 · 인도강돌고래 · 인도차이나호랑이# · 자바공작 · 자바뿔매 · 저어새 · 점박이거북 · 조프루아거미원숭이 · 주름얼굴독수리 · 주머니개미핥기 · 중국악어도마뱀 · 쥐가오리 · 청다리도요사촌 · 청상아리 · 초원수리 · 침팬지 · 카구 · 카스피물범 · 케아 · 코모도왕도마뱀 · 코주부원숭이 · 큰긴팔원숭이 · 큰민어 · 큰수달 · 큰양놀래기 · 큰천산갑 · 태즈메이니아데블 · 토바베타 · 토쿠원숭이 · 페르시아다마사슴 · 푸른나무왕도마뱀 · 푸른무지개고기 · 푸른바다거북 · 프랑수아랑구르 · 플레임테트라 · 피그미하마 · 필리핀원숭이 · 하르베이리코리스구라미 · 하와이몽크물범 · 해달 · 헨다손매 · 호랑이 · 호사비오리 · 호주폐어 · 환도상어 · 황금들창코원숭이 · 황금볏과일박쥐 · 황새 · 회색관두루미 · 후흔 · 흉상어 · 흑상어 · 흰뺨상어 · 흰손긴팔원숭이 · 흰점배무늬수리 · 히말라야잉어
취약 (VU)
가봉북살무사 · 가시고기 · 갈라파고스땅거북 · 갑상선가젤 · 개복치 · 검은관두루미 · 검은머리갈매기 · 검은발고양이 · 고기잡이삵 · 고대갈매기 · 고라니 · 고슴도치해마 · 고퍼거북 · 구름표범 · 귀상어 · 그리스거북 · 그린란드상어 · 금개구리 · 기린 · 긴꼬리천산갑 · 긴수염올빼미 · 난쟁이악어 · 남방호랑고양이 · 남부땅코뿔새 · 남부바위뛰기펭귄 · 남아메리카맥 · 남아프리카치타# · 넓적부리황새 · 네뿔영양 · 노랑부리검둥오리사촌 · 노랑부리백로 · 녹색혹비늘돔 · 눈다랑어 · 눈표범 · 느림보곰 · 늪악어 · 닐기리담비 · 다이아몬드거북 · 대서양대구 · 대서양타폰 · 덴텍스 · 도르카스가젤 · 동굴영원 · 돛새치 · 두루미 · 듀공 · 레몬상어 · 마사이사자# · 마카로니펭귄 · 말레이곰 · 매가오리 · 맨드릴 · 메가칠레 플루토 · 메추라기도요 · 무태상어 · 미흑점상어 · 바가리우스 야렐리 · 바다꿩 · 바다이구아나 · 바다코끼리 · 바라싱가 · 바바리양 · 백기흉상어 · 백상아리 · 버마비단뱀 · 베이라영양 · 베타 디미디아타 · 베타 미다스 · 베타 브로우노룸 · 베타 시모룸 · 베타 우베리스 · 베타 이바노룸 · 베타 코키나 · 볏도마뱀붙이 · 병어 · 보넷원숭이 · 보르네오구름표범 · 본테복 · 부채머리수리 · 북극곰 · 북방물개 · 북부돼지꼬리원숭이 · 북중국표범# · 불도롱뇽 · 붉은가슴기러기 · 붉은얼굴원숭이 · 붉은이마가젤 · 비악상어 · 빈투롱 · 뿔쇠오리 · 사무라이개미 · 사자 · 사향노루 · 산양 · 산얼룩말 · 샛별돔 · 서인도제도매너티 · 샴싸움고기 · 세가락갈매기 · 세동가리혹돔 · 셸리수리부엉이 · 소말리아동굴고기 · 소코가오리 · 순록 · 숲꺅도요 · 스네어스펭귄 · 시로 · 실버샤크 · 쑥새 · 아라비아오릭스 · 아마존매너티 · 아메리카악어 · 아시아흑곰 · 아카메 · 아프리카매너티 · 아프리카황금고양이 · 악어거북 · 안경곰 · 안데스콘도르 · 안데스홍학 · 알다브라땅거북 · 알락뜸부기 · 알류샨제비갈매기 · 야자집게 · 연지느러미상어 · 오렌지러피 · 웨카 · 은상어 · 은지느러미상어 · 이주갈색가오리 · 인도네시아고래상어 · 인도네시아실러캔스 · 인도들소 · 인도별거북 · 인도코뿔소 · 일본장수도롱뇽 · 자라 · 자바리 · 자이언트일런드 · 작은발톱수달 · 장수거북 · 재두루미 · 죄머링가젤 · 줄꼬리뱀 · 중국살쾡이 · 지중해몽크물범 · 참고래 · 참수리 · 청호반새 · 체리바브 · 치사상어 · 치타 · 칠성상어 · 칼꼬리영원 · 케이프독수리 · 코뿔바다오리 · 코뿔새 · 코뿔소살무사 · 코알라 · 코드코드 · 콜로라도파이크미노우 · 쿼카 · 퀴비에가젤 · 큰갑옷도마뱀 · 큰개미핥기 · 큰빌비 · 클라크가젤 · 킹코브라 · 타이멘 · 타킨 · 턱자바리 · 토피영양# · 틸라피아 · 파란농어 · 파타고니아해마 · 파푸아수리 · 판다 · 팔색조 · 펜두상어 · 포사 · 표범 · 필리핀수리부엉이 · 하마 · 항라머리검독수리 · 해밀턴개구리 · 향유고래 · 헬벤더 · 호랑고양이 · 호스필드거북 · 호주쏘가리 · 황갈색수리 · 황금타킨# · 황소상어 · 훔볼트펭귄 · 흑기흉상어 · 흑두루미 · 흰선두꺼비고기 · 흰올빼미 · 흰점박이두꺼비고기 · 흰죽지 · 흰죽지수리 · 흰철갑상어

검은발고양이(작은점박이고양이)
Black-footed cat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학명 Felis nigripes
Burchell, 1824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포유강 Mammalia
식육목 Carnivora
고양이과 Felidae
고양이속 Felis
검은발고양이 Felis nigripe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취약.svg

1. 개요
2. 발견
3. 신체적 특징
4. 행동과 생태
5. 먹이
6. 번식 및 생활사
7. 위협



1. 개요[편집]


남아프리카의 건조한 대초원과 야생 사바나에 사는 남아프리카 고유종으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작은 야생 고양이이다. 이름과 달리 발바닥만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이다.

2. 발견[편집]


남아프리카 북부의 카루에서 발견되어 1824년에 기술되었다. 보츠와나 남부에서 기록되었고, 나미비아, 앙골라 남부, 짐바브웨 남부에서는 발견 기록이 없다.

3. 신체적 특징[편집]


집고양이보다도 훨씬 더 작아, 모래고양이붉은점삵과 함께 고양이과 동물 중 가장 작은 편이다. 몸길이는 암컷은 15.7~17cm이고, 수컷은 42.5~50cm이다. 무게는 암컷은 1.1~1.65kg이고, 수컷은 1.6~2.4kg이다. 어깨 높이는 25cm 미만이다.

황갈색 털을 가지고 있고 전체적으로 검은 반점으로 뒤덮여 있다. 머리는 몸의 나머지 부분보다 어둡지만 눈 위쪽은 몸의 다른 부분보다 옅다. 수염은 흰색이고 귀에는 회색빛의 짙은 갈색 털이 나 있다. 목과 등에는 일부 줄무늬가 있으며 반점은 어깨에 줄을 지어 난다. 앞다리와 뒤다리에는 불규칙한 줄무늬가 있고 꼬리에는 불규칙한 얼룩무늬가 있다. 목의 고리무늬는 색상이 다양한 검은색 반원을 형성하며 눈 입에는 옅은 황백색이 늘어져 있다. 두 개의 검은 줄무늬가 눈꼬리에서 뺨을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24~30mm의 겉털은 밑 부분이 회색이고 끝이 흰색이거나 어두운 색이다. 속털은 짧고 물결 모양으로 촘촘하다. 털은 겨울이 되면 더 두꺼워지고 길어진다. 눈의 동공은 수직으로 수축되고 연한 녹색에서 진한 노란색이다.


4. 행동과 생태[편집]


야행성이고 암컷이 새끼를 돌볼 때를 제외하고는 대개 혼자 산다. 빈 굴에 있는 속이 빈 흰개미 더미와 빽뺵한 덮개에서 하루를 보내고 이 굴을 피나처로 확장하기 위해 활발하게 파낸다. 궁지에 몰리면 맹렬하게 자신을 방어해서 개미집 호랑이라는 뜻의 'miershooptier'로 불린다. 땅딸막한 몸과 짧은 꼬리 때문에 나무를 잘 타지는 못한다. 암컷은 1년에 평균 6.23~15.53km의 범위를 돌아다니고 수컷은 19.44~23.61km의 범위를 돌아다닌다. 성체 수컷의 범위는 암컷 1~4마리의 범위와 겹친다. 전체 범위에 걸쳐 냄새로 영역을 표시한다. 짝짓기를 할 수 있는 암컷은 최대 41회 오줌을 뿌리고 임신한 암컷은 덜 뿌린다. 이밖에도 물체를 문지르거나 발톱으로 긁어내거나 눈에 띄개 배설물을 쌓아 놓아 표시를 하기도 한다. 먼 거리에서도 울음소리를 듣기 위해 울음소리가 다른 고양이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지만 서로 가까이 있을 때는 더 조용히 가르랑거리거나 꾸룩꾸룩하는 소리를 낸다. 위협을 받으면 쉭쉭 소리를 내며 으르렁거린다.

5. 먹이[편집]



날씨에 관계없이 섭씨 10~35도의 온도에서 밤에 사냥한다. 먹이를 뒤에서 공격하고 앞발을 옆구리에 대고 며느리발톱으로 먹이를 땅바닥에 놓는다. 2~3km/h의 속도로 이동하고 초목 덮개 밖으로 먹이를 쫓는 빠른 사냥, 0.5~0.8km/h의 속도로 먹이를 쫓고 조심스럽게 풀 사이를 구불구불하게 지나면서 머리를 좌우로 돌리면서 경계심 있게 주변을 확인하는 느린 사냥, 앉아서 기다리는 사냥의 세 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몸집이 작아 설치류나 작은 새 등 작은 먹이를 주로 사냥하지만, 자기보다 무거운 토끼도 잡아먹는다. 에너지 요구량이 매우 높아 하룻밤에 평균 체중의 약 6분의 1에 해당하는 약 250~300g의 먹이를 사냥한다. 먹이는 총 54종이 확인되었고 그 중 게르빌쥐가 가장 중요한 먹이다. 식단으로 충분히 수분을 얻을 수 있지만 가능하면 물을 마신다.

모든 고양이과 동물을 통틀어 사냥 성공률이 가장 높다.[1]

6. 번식 및 생활사[편집]


수컷은 9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지고 암컷은 7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발정 기간은 약 36시간, 임신 기간은 약 63~68일이다. 암컷은 10월~3월 사이에 연간 최대 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암컷은 거의 5시간~10시간 동안만 교미를 받아들이며 교미는 20~50분마다 발생한다. 새끼는 태어났을 때 60~93g이며 태어났을 때는 눈을 뜨지 못하고 무력하지만 몇 시간만 지나면 기어갈 수 있다. 3~10일이 지나면 눈을 뜨고 2~3주가 지나면 젖니가 빠진다. 한 달 안에 단단한 먹이를 먹고 두 달이 지나면 젖을 뗀다. 영구치는 148~158일에 나온다. 2주 안에는 걸을 수 있고 3주 후에는 올라다닐 수 있다. 새끼는 주로 속이 빈 토끼굴이나 흰개미 둥지에서 태어난다. 생후 4일부터 어미는 밤에 최대 10시간 동안 새끼를 혼자 남겨 둔다. 3~4개월 후에 독립한다.

7. 위협[편집]


과도한 방목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토끼 개체수 감소, 질병, 부적절한 농업 관행이 위협 요소로 여겨진다. 현재 IUCN에서 취약 등급으로 되어 있으며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다.
[1] 사실 소형 육식동물들은 대형 육식동물들보다 사냥 성공률이 더 높은 경우가 더 많고, 그래야만 하다. 상위포식자들은 비교적 크고 종종 위험한 먹잇감들을 사냥하기 때문에 실패할 확율이 높지만 한 번 사냥에 성공하면 며칠은, 적어도 하루는 먹을 수 있다. 반면 소형 육식동물들은 신진대사도 상대적으로 더 빠르고 사냥감의 크기도 몸에 비해 훨씬 작기 때문에 하루에 한번 내지는 하루에 여러 번 사냥에 성공해야 연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