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드로 알모도바르

덤프버전 :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2FE0E416-C7B3-4938-9B42-350CBEBDE048.png
아스투리아스 공상 예술부문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000,#ddd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ECB014><width=10%> '''[[1981년|{{{#white 1981년}}}]]''' ||<width=10%> '''[[1982년|{{{#white 1982년}}}]]''' ||<width=10%> '''[[1983년|{{{#white 1983년}}}]]''' ||<width=10%> '''[[1984년|{{{#white 1984년}}}]]''' ||<width=10%> '''[[1985년|{{{#white 1985년}}}]]''' || || [[헤수스 로페스 코보스]] [br] (지휘자) || [[파블로 세라노]] [br] (조각가) || [[에우제비오 샘페레]] [br] (조각가) || [[오르페온 도노스티아라]] [br] (합창단) || [[안토니오 로페즈 가르시아]] [br] (화가) || ||<rowbgcolor=#ECB014> '''[[1986년|{{{#white 1986년}}}]]''' || '''[[1987년|{{{#white 1987년}}}]]''' || '''[[1988년|{{{#white 1988년}}}]]''' || '''[[1989년|{{{#white 1989년}}}]]''' || '''[[1990년|{{{#white 1990년}}}]]''' || || [[루이스 가르시아 베를랑가]] [br] (영화 감독) || [[에두아르도 칠리다]] [br] (조각가) || [[호르헤 오테이사]] [br] (조각가) || [[오스카르 니에메예르]] [br] (건축가) || [[안토니 타피에스]] [br] (화가) || ||<-5><bgcolor=#ECB014> '''[[1991년|{{{#white 1991년}}}]]''' ||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br] (소프라노) || [[테레사 베르간자]] [br] (소프라노) || [[몽셰라 카바예]] [br] (소프라노) || [[호세 카레라스]] [br] (테너) || [[플라시도 도밍고]] [br] (테너) || ||<-2><rowbgcolor=#ECB014> '''[[1991년|{{{#white 1991년}}}]]''' || '''[[1992년|{{{#white 1992년}}}]]''' || '''[[1993년|{{{#white 1993년}}}]]''' || '''[[1994년|{{{#white 1994년}}}]]''' || || [[알프레도 크라우스]] [br] (테너) || [[필라르 로렌가르]] [br] (소프라노) || [[로베르토 마타]] [br] (화가) ||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사엔스 데 오이사]] [br] (건축가) || [[알리시아 데 라로차]] [br] (피아니스트) || ||<rowbgcolor=#ECB014> '''[[1995년|{{{#white 1995년}}}]]''' || '''[[1996년|{{{#white 1996년}}}]]''' || '''[[1997년|{{{#white 1997년}}}]]''' || '''[[1998년|{{{#white 1998년}}}]]''' || '''[[1999년|{{{#white 1999년}}}]]''' || || [[페르난도 페르난 고메스]] [br] (배우) || [[호아킨 로드리고]] [br] (작곡가) || [[비토리오 가스만]] [br] (배우) || [[세바스티오 살가도]] [br] (사진가) || [[산티아고 칼라트라바]] [br] (건축가) || ||<rowbgcolor=#ECB014> '''[[2000년|{{{#white 2000년}}}]]''' || '''[[2001년|{{{#white 2001년}}}]]''' || '''[[2002년|{{{#white 2002년}}}]]''' || '''[[2003년|{{{#white 2003년}}}]]''' || '''[[2004년|{{{#white 2004년}}}]]''' || || [[바바라 헨드릭스]] [br] (소프라노) ||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br] (작곡가) || [[우디 앨런]] [br] (영화 감독) || [[미쿠엘 바르셀로]] [br] (화가) || [[파코 데 루시아]] [br] (기타리스트) || ||<rowbgcolor=#ECB014> '''[[2005년|{{{#white 2005년}}}]]''' || '''[[2006년|{{{#white 2006년}}}]]''' || '''[[2007년|{{{#white 2007년}}}]]''' || '''[[2008년|{{{#white 2008년}}}]]''' || '''[[2009년|{{{#white 2009년}}}]]''' || || [[마이야 플리세츠카야]], [[타마라 로조]] [br] (발레리나) || [[페드로 알모도바르]] [br] (영화 감독) || [[밥 딜런]] [br](싱어송라이터) || [[엘 시스테마]] [br](육성재단) || [[노먼 포스터]] [br](건축가) || ||<rowbgcolor=#ECB014> '''[[2010년|{{{#white 2010년}}}]]''' || '''[[2011년|{{{#white 2011년}}}]]''' || '''[[2012년|{{{#white 2012년}}}]]''' || '''[[2013년|{{{#white 2013년}}}]]''' || '''[[2014년|{{{#white 2014년}}}]]''' || || [[리처드 세라]] [br](건축가) || [[리카르도 무티]] [br](지휘자) || [[라파엘 모네오]] [br](건축가) || [[미카엘 하네케]] [br](영화 감독) || [[프랭크 게리]] [br](건축가) || ||<rowbgcolor=#ECB014> '''[[2015년|{{{#white 2015년}}}]]''' || '''[[2016년|{{{#white 2016년}}}]]''' || '''[[2017년|{{{#white 2017년}}}]]''' || '''[[2018년|{{{#white 2018년}}}]]''' || '''[[2019년|{{{#white 2019년}}}]]''' || ||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br](영화 감독) || [[누리아 에스페르트]] [br](배우) || [[윌리엄 켄트리지]] [br](화가) || [[마틴 스코세이지]] [br](영화 감독) || [[피터 브룩]] [br](연극 연출가) || ||<rowbgcolor=#ECB014> '''[[2020년|{{{#white 2020년}}}]]''' || '''[[2021년|{{{#white 2021년}}}]]''' || '''[[2022년|{{{#white 2022년}}}]]''' || '''[[2023년|{{{#white 2023년}}}]]''' || '''[[2024년|{{{#white 2024년}}}]]''' || || [[엔니오 모리코네]], [[존 윌리엄스]][br](영화 음악가, 공동 수상) || [br] || [br] || [br] || [br] ||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베니스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
[ 펼치기 · 접기 ]

1970년1971년1972년
오슨 웰스잉마르 베리만마르셀 카르네존 포드찰리 채플린
1972년1982년
아나톨리 골로브냐빌리 와일더알레산드로 블라세티루이스 부뉴엘프랭크 카프라
1982년
조지 큐커장뤽 고다르세르게이 유트케비치알렉산더 클루게구로사와 아키라
1982년1983년
마이클 파웰사티야지트 레이킹 비더세자르 자바티니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985년1986년1987년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존 휴스턴페데리코 펠리니타비아니 형제루이지 코멘치니
1988년1989년1990년1991년
요리스 이벤스로베르 브레송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얀초 미클로시마리오 모니첼리
1991년1992년1993년
지안 마리아 볼론테잔느 모로프랜시스 포드 코폴라파올로 빌라조스티븐 스필버그
1993년1994년
로버트 드 니로로만 폴란스키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알 파치노수소 체키 다미코
1994년1995년
켄 로치우디 앨런모니카 비티마틴 스코세이지알베르토 소르디
1995년1996년
엔니오 모리코네주세페 드 산티스조프레도 롬바르도알랭 레네로버트 올트먼
1996년1997년
비토리오 가스만더스틴 호프먼미셸 모르강제라르 드파르디유스탠리 큐브릭
1997년1998년1999년
알리다 발리워렌 비티소피아 로렌안제이 바이다제리 루이스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클린트 이스트우드에릭 로메르디노 리시디노 드 로렌티스오마 샤리프
2004년2005년2006년
스탠리 도넌마노엘 드 올리베이라미야자키 하야오스테파니아 산드렐리데이비드 린치
2007년2008년2009년
팀 버튼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에르만노 올미존 라세터브래드 버드
2009년2010년2011년
피트 닥터앤드루 스탠튼리 언크리치오우삼마르코 벨로키오
2012년2013년2014년2015년
프란체스코 로시윌리엄 프리드킨델마 스쿤메이커프레더릭 와이즈먼베르트랑 타베르니에
2016년2017년2018년
장폴 벨몽도예지 스콜리모프스키제인 폰다로버트 레드포드데이비드 크로넨버그
2018년2019년2020년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줄리 앤드류스페드로 알모도바르허안화틸다 스윈튼
2021년2022년2023년
로베르토 베니니제이미 리 커티스카트린 드뇌브폴 슈레이더양조위
2023년
릴리아나 카바니




파일:sezar-trophy.png
세자르 공로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6년1977년1978년
잉그리드 버그만다이애나 로스앙리 랑글루아자크 타티로버트 도프만
1978년1979년1980년
르네 고시니마르셀 카르네샤를 바넬월트 디즈니피에르 브롱베르제
1980년1981년1982년
루이스 드 푸네스커크 더글러스마르셀 파뇰알랭 레네조르주 댄시거즈
1982년1983년1984년
알렉산드르 노우츠킨장 네니안제이 바이다Raimu르네 클레망
1984년1985년
조르주 드 보르가르에드위지 푸이에르크리스티앙 자크다니엘 다리외크리스틴 구즈레날
1985년1986년
알렝 프와레모리스 자르베티 데이비스장 들라누아René Ferracci
1986년1987년1988년1989년
클로드 란츠만장뤽 고다르세르지 실버만베르나르 블리에폴 그리모
1990년1991년1992년
제라르 필리프장 피에르 오몽소피아 로렌미셸 모르강실베스터 스탤론
1993년1994년1995년
장 마레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제라드 우리장 카르메잔느 모로
1995년1997년1997년
그레고리 펙스티븐 스필버그로렌 바콜앙리 베르누이샤를 아즈나부르
1997년1998년1999년
앤디 맥도웰마이클 더글러스클린트 이스트우드장뤽 고다르페드로 알모도바르
1999년2000년
조니 뎁장 로슈포르조지안 발라스코조르주 크라벤느장피에르 레오
2000년2001년2002년
마틴 스코세이지데리 코울샬럿 램플링아녜스 바르다아누크 에메
2002년2003년
제러미 아이언스찰리 리치베르나데트 라퐁스파이크 리메릴 스트립
2004년2005년2006년
미셸린 프레슬자크 뒤트롱윌 스미스휴 그랜트피에르 리차르
2007년2008년
마를렌 조베르주드 로잔느 모로로베르토 베니니로미 슈나이더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더스틴 호프먼해리슨 포드쿠엔틴 타란티노케이트 윈슬렛케빈 코스트너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스칼렛 요한슨숀 펜마이클 더글러스조지 클루니페넬로페 크루스
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로버트 레드포드없음*
* 내정자(브래드 피트)의 수상 거부로 당해의 수상자를 공석 처리.






페드로 알모도바르 카바예로
Pedro Almodóvar Caballero
파일:페드로알모도바르.jpg
이름페드로 알모도바르 카바예로
(Pedro Almodóvar Caballero)
국적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출생1949년 9월 25일, 라만차
신체177cm
직업영화 감독, 시나리오 작가, 영화 제작자
활동1974년 – 현재
데뷔페피, 루시, 봄 그리고 다른 평범한 소녀들

1. 개요
2. 생애
3. 영화적 특징
4. 필모그래피
5. 평가
6. 기타


1. 개요[편집]


스페인의 영화감독. 본명은 페드로 알모도바르 카바예로(Pedro Almodóvar Caballero). ‘카를로스 사우라’와 함께 오늘날 스페인 영화를 대표하는 거장이다.


2. 생애[편집]


1949년 9월 25일 스페인 카스티야 라 만차에 있는 시우다드레알 주 칼사다 데 칼라트라바(Calzada de Calatrava)에서 태어났다. 8살이 되던 해 가족과 에스트레마두라로 이주하였다. 이사한 이후 그는 어린 시절을 수도원에서 보냈으나, 억압적인 수도원 생활과 어울리지 않았다. 수도원에서 그가 할 수 있는 일탈은 영화관에 가는 것이었다. 이 때 영화에 빠진 그는 16살 때 마드리드로 상경한다.

하지만 1970년대는 프랑코 정권으로 인하여 문화가 억압받던 시기였다. 마드리드의 영화학교가 문을 닫았다는 것을 상경해서야 알게 된 그는, 크게 실망한다. 이후 마드리드에 정착하여 노동자로 일하면서 돈을 조금씩 모아 혼자 단편영화를 찍는다.

1980년, 스페인이 민주화되고 '라 모비다 마드릴레냐' 운동이[1] 일어나자 그는 '페피, 루시, 봄,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라는 작품을 상영한다. 이듬해 '정열의 미로'라는 작품을 통해, 컬트적인 인기를 얻는다. 이후 '나쁜 습관(1984)', '욕망의 법칙(1987)'이 대표작.

1988년 발표한 초기 대표작인 블랙 코미디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는 베니스 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했다.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에 후보에 올랐다. 1990년 <욕망의 낮과 밤>[2], 1991년 <하이 힐>(Tacones lejanos),1993년 <키카>(Kika)로 이어지는 평판작들을 연달아 발표했다. 이들 영화에서 알모도바르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욕망을 주제로 다루면서 강간과 납치, 살인, 폭력을 적극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여성의 영화’라는 명명을 얻었다. 안토니오 반데라스가 출연한 <욕망의 낮과 밤>은 사랑하는 여자를 납치하여 소유하고자 하는 기이한 도착 심리의 주인공이 등장하는 작품으로 정작 페미니즘 비평가들로부터는 원색적인 비난을 받기도 했다.

1995년 알모도바르 영화 세계는 펄프 로맨스 작가인 마리사 파레데스(Marisa Paredes)를 기용한 <비밀의 꽃>(La flor de mi secreto)을 계기로 조금씩 변화를 보인다. 분노와 치기, 도발이 교차되었던 이전 영화들에 비해, 1990년대 중반 이후 알모도바르는 인간과 삶에 대한 성숙한 시선이 돋보이는 심리 드라마들을 발표를 한다.그해, 카예 뒤 시네마 올해의 영화 6위로 선정되었고, 국제적으로도 비평적으로 크게 평가 받았다.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 1995년

순위제목감독
1의식클로드 샤브롤
2르 가르슈모리스 피알라
3시간술레이만 시세
4매디슨 카운티의 다리클린트 이스트우드
5나를 잊어줘노에미 르보브스키
6비밀의 꽃페드로 알모도바르
7소나티네기타노 다케시
8에드 우드팀 버튼
9올리브 나무 사이로압바스 키아로스타미
10매드니스존 카펜터

1997년 <라이브 플래쉬>로 50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 되었으며 페넬로페 크루즈와는 첫 작품이다.이후로 감독과 지속적인 인연을 맺게 되어, 많은 작품을 함께하게 된다. 국내에서는 부산 국제 영화제 월드 시네마 부문에서 처음 상영되었다.

1999년 대중적으로도 알려진 작품이자, 한층 깊어진 연출력의 <내 어머니의 모든 것>가 52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 되어,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부산 국제 영화제에도 초청되어, 좋은 반응을 얻은 1990년대 대표작으로 페넬로페 크루즈가 수녀역으로 출연했다. <내 어머니의 모든 것>은 죽은 아들의 아버지를 찾아가는 어머니의 이야기를 보여주는 이 영화는 자매애와 가족의 힘이라는 익숙한 주제를 반복하면서 미학적으로 성숙해가는 작가 세계의 진화를 입증하였다. 베티 데이비스(Bette Davis), 로미 슈나이더(Romy Schneider), 지나 롤랜즈(Gena Rowlands) 같은 여배우들에게 헌정된 이 영화는, 아카데미 시상식,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석권했다. 토론토 영화제 선정 세계 100대 영화에 97위로 선정 되기도 하였다.

2002년에 그녀에게(Hable con Ella) 역시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 되었으며, 75회 아카데미 시상식와 56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각본상, 60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28회 LA 비평가협회 감독상을 수상하였다.가수 윤상이 이 영화를 보고, 감동 받아서 작곡한 곡의 뮤직 비디오로도 사용하면서, 대중적으로도 더 알려지게 되었다. BBC 선정 '21세기 위대한 영화 100편' 28위, 타임지 선정 100대 영화, 필름 코멘트 선정 2000년대 영화 베스트 100 25위에 선정된, 감독의 대표작중 하나이다.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 2002년

순위제목감독
1남자들이 모르는 은밀한 것들장 클로드 브리소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3친애하는 당신아피찻퐁 위라세타꾼
4국경 저편에서샹탈 아케르만
5불확정성의 원리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6종교의 시간마르코 벨로키오
7그녀에게페드로 알모도바르
8스파이더데이비드 크로넨버그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미야자키 하야오
1024-
제리거스 밴 샌트

2004년 수도원에서 보낸 자신의 유년기 체험에 기초한 <나쁜 교육>을 칸 영화제에서 발표했다.

2006년 살인 미스터리와 유령적 존재를 모티프로 모성적 세계로의 귀의를 선언한 <귀향>(Volver)을 발표했다. <귀향>은 칸 영화제 각본상과 페르소나인 페넬로페 크루즈칸 영화제/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더 가디언 선정 21세기 100대 영화 46위, 필름 코멘트 선정 2006년 베스트 9위[3]에 선정되는등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09년 페넬로페 크루즈와는 네번째 작업인 <브로큰 임브레이스>(Los abrazos rotos)는 감독이 다시 한 번 섹슈얼리티와 욕망의 누선을 자극하는 스토리, 알프레드 히치콕적인 서스펜스를 자유자재로 혼합했다.

2011년 <내가 사는 피부>는 다중 정체성과 신체 변이, 관계의 교환이라는 그의 작품 1980년대적 주제로 회귀한 이야기로 오랜만에 안토니오 반데라스가 출연했다. 초강력 인공피부를 완성하기 위해 생체실험을 감행하는 의학박사 로버트가 실험대상인 베라의 신체에 집착하면서 과거를 둘러싼 비밀이 밝혀지는 이야기였다. 플래시백 구조를 통해 표층 아래 놓인 충격적 과거를 누설하는 이 영화에서 서스펜스와 호러, 멜로드라마, SF로까지 영역을 확장한 장르의 교배는 점입가경이라는 평가이다.

2013년작 <아임 소 익사이티드>(Los amantes pasajeros)는 비행기를 무대로 펼쳐지는 소품 코미디로 페넬로페 크루즈안토니오 반데라스, 파즈 베가 등 스페인을 대표하는 배우들이 대거 출연했다.

2016년작 <줄리에타>(Julieta)는 2016년 칸 영화제 경쟁작으로 중년 여성 줄리에타가 18세 때 갑자기 자신을 떠난 딸의 친구와 우연히 마주친 후 과거의 상실감을 떠올리며 딸의 흔적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카예 뒤 시네마 올해의 영화 6위로 선정되었고, 좋은 평가를 받았다.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 2016년

순위제목감독
1토니 에드만마렌 아데
2엘르폴 버호벤
3네온 데몬니콜라스 빈딩 레픈
4아쿠아리우스클레버 멘돈사 필류
5슬랙 베이브루노 뒤몽
6줄리에타페드로 알모도바르
7스테잉 버티컬알랭 기로디
8정글의 법칙안토닌 페레자코
9캐롤토드 헤인즈
10숲으로 이룬 꿈클레르 시몽

2019년<페인 앤 글로리>로 칸 영화제에 진출하여, 감독의 페르소나인 안토니오 반데라스칸 영화제/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4]

2021년 <패러렐 마더스>로 오랜만에 칸 영화제가 아닌, 제7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받았다. 또한 개막작으로 선정되었다. 제40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초청을 통해 감독으로써 알려졌고, 제7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평생공로상까지 수상한 터라, 감회가 새로울 것으로 보인다. 페넬로페 크루즈가 출연하며, 강인하고, 독립적인 여성들의 연대와 사랑을 보여주었다.


3. 영화적 특징[편집]


그의 영화의 특징을 말하자면 독특하고 선명한 색채, 파격적인 성적 접근으로 볼 수 있다. <내 어머니의 모든 것>(1999)'(Todo sobre Mi Madre) 에서 남편의 몸에 여자 가슴이 달려있는 특이한 설정이 대표적. 그가 표현하는 사랑은 일상적인 사랑과는 거리가 멀며, 순수하긴 하지만 어찌 보면 황당하고 뒤틀린 사랑이다. 또 성적 본능에 충실한 장면이 많아 관객들의 숨겨진 성욕을 자극한다. 뒤틀린 사랑을 따뜻한 시선으로 풀어내는 것이 그의 영화의 특징이다. 이러한 취향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아, 대중적이기보다는 매니악한 감독이라 볼 수 있다. 스페인 내에서도 보통 자국보다는 프랑스 등지에서 더 인정받는 감독으로 인식되고 있다. 때문에 한국보다는 이탈리아 등 유럽권에서 더 인정받는 김기덕 감독과 비슷한 점이 있다. 내용은 둘째치고서라도 영화의 영상미만큼은 많은 사람들이 아름답다고 느낄 정도.

안토니오 반데라스페넬로페 크루즈가 대표적인 영화적 페르소나이다.


4. 필모그래피[편집]






연도제목역할비고
연출각본제작기타
1980페피, 루시, 봄 그리고 다른 평범한 소녀들 Pepi, Luci, Bom y otras chicas del montónOO조연
1982정열의 미로 Laberinto de pasionesOOO미술, 조연
1983나쁜 버릇 Entre tinieblasOO조연
1984내가 뭘 잘못 했길래 ¿Qué he hecho yo para merecer esto?OO단역
1986마타도르 MatadorOO
1987욕망의 법칙 La ley del deseoOO
1988신경 쇠약 직전의 여자 Mujeres al borde de un ataque de nerviosOOO
1990욕망의 낮과 밤 ¡Átame!OO
1991하이 힐 Tacones lejanosOO
1993키카 KikaOO
1995비밀의 꽃 La flor de mi secretoOO
1997라이브 플래쉬 Carne trémulaOO
1999내 어머니의 모든 것 Todo sobre mi madreOO
2002그녀에게 Hable con ellaOO
2004나쁜 교육 La mala educaciónOOO
2006귀향 VolverOO
2009브로큰 임브레이스 Los abrazos rotosOOO
2011내가 사는 피부 La piel que habitoOOO
2013아임 소 익사이티드 Los amantes pasajerosOO
2016줄리에타 JulietaOOO
2019페인 앤 글로리 Dolor y gloriaOO
2021패러렐 마더스 Madres ParalelasOO[5]
2023이상한 삶의 방식 Strange Way of LifeOO[6]


5. 평가[편집]


||
[ 펼치기 · 접기 ]

90위 영화 목록
90위〈에덴〉 (2014)
89위〈이기적인 거인〉 (2013)
88위고모라〉 (2008)
87위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2006) 켄 로치
86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2007) 코엔 형제
85위버닝 (2018) 이창동
84위〈열대병〉 (2005)
83위아들의 방〉 (2001) 난니 모레티
82위〈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2012)
81위〈피쉬 탱크〉 (2009)
80위레퀴엠〉(2000)
79위〈페르세폴리스〉 (2007)
78위오션스 일레븐〉 (2001)
77위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003)
76위〈텐〉 (2002)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75위〈필로미나의 기적〉 (2013) 스티븐 프리어스
74위예언자〉 (2009)
73위〈레이디 수잔〉(2016)
72위바시르와 왈츠를〉 (2006)
71위〈카르페나움〉 (2018)
70위〈앵커맨 〉 (2004)
69위패딩턴 2〉 (2017)
68위〈미스터 터너〉 (2014) 마이크 리
67위송곳니〉 (2009)
66위브로크백 마운틴〉 (2005) 이안
65위행복한 라짜로〉 (2018)
64위인크레더블〉 (2004)
63위케빈에 대하여〉 (2011)
62위〈행복을 기다리며〉 (2002)
61위〈The Souvenir〉 (2019)
60위19곰 테드〉(2012)
59위〈와시푸르의 갱〉 (2012)
58위〈폭풍의 언덕〉 (2011)
57위〈흔적없는 삶〉 (2018)
56위〈쇼를 사랑한 남자〉 (2013)
55위〈러시아 방주〉 (2002) 알렉산더 소쿠로프
54위소셜 네트워크〉 (2010) 데이비드 핀처
53위〈화염의 바다〉(2016)
52위아모레스 페로스〉 (2000)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51위와호장룡〉 (2000) 이안
50위비포 선셋〉 (2004) 리처드 링클레이터
49위〈24시간 파티를 하는 사람들〉
48위〈하우스 오브 미스〉
47위〈Magaret〉 (2011)
46위귀향〉 (2006) 페드로 알모도바르
45위〈13th〉 (2016)
44위토니 에드만〉 (2016)
43위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2016) 마틴 스콜세지
42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2007)
41위아가씨 (2016) 박찬욱
40위〈unreiated〉(2007)
39위〈믹의 지름길〉 (2010)
38위〈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2011) 누비 세일란
37위도그빌〉 (2003) 라스 폰 트리에
36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2011)
35위〈45년후〉 (2015)
34위〈더 차일드〉 (2002) 다르덴 형제
33위〈로열 테넌바움〉
32위그래비티〉 (2013) 알폰소 쿠아론
31위아노말리사〉 (2015) 필립 카우프만
30위리바이어던
29위〈네브라스카〉
28위트리 오브 라이프〉(2011) 테렌스 멜릭
27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6위하나 그리고 둘〉 (2008) 에드워드 양
25위겟 아웃〉 (2017)
24위〈Lda〉 (2013)
23위〈보랏〉 (2006)
22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1)
21위하얀 리본〉 (2009) 미카엘 하네케
20위로마〉2018
19위링컨
18위시리어스 맨
17위그레이트 뷰티
16위액트 오브 킬링
15위어느 가족〉 (2018) 고레에다 히로카즈
14위〈백인의 것〉
13위파 프롬 헤븐
12위사울의 아들
1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001) 데이비드 린치
10위팀 아메리카: 세계 경찰
09위자마
08위문라이트
07위시네도키, 뉴욕
06위히든〉 (2005) 미카엘 하네케
05위화양연화
04위언더 더 스킨
03위보이후드
02위노예 12년
01위데어 윌 비 블러드





6. 기타[편집]


  • 아동성범죄자 로만 폴란스키의 선처를 바라는 탄원서에 서명하였다.
  • 미국에서 그의 작품들은 대체적으로 소니 픽처스 클래식에서 배급된다.
  • 그의 페르소나안토니오 반데라스페넬로페 크루즈이며, 특히 안토니오 반데라스는 80년대부터 그의 작품에 여러번 출연했다. 페넬로페 크루즈는 라이브 플레쉬부터 알모도바르 영화에 출연했으며, 알모도바르의 욕망의 낮과 밤을 보고 연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페드로의 2019년작 '페인 앤 글로리(Pain and Glory)'는 두 페르소나 배우가 함께 출연한다.
  • 퀸스 갬빗을 좋게 보고 안야 테일러조이랑 같이 일하고 싶다고 밝힌바 있다.[7] #
  • 윌 스미스를 싫어한다. 제70회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장과 심사위원 관계로 만난 적이 있는데, 이때 충돌이 심해서 기자회견장에서 표출될 정도였고 우연의 일치로 윌 스미스의 크리스 락 폭행 사건 당시 시상식장에 있는 바람에 대놓고 악마라고 까는 인터뷰를 남기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5:35:49에 나무위키 페드로 알모도바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독재시절 검열과 통제에 대한 반작용으로, 민주화 이후 불어닥친 문화적 자유화 분위기 전반을 일컫는 말.[2] 안토니오 반데라스 주연으로 원제목은 '날 묶어줘!' 한국 개봉제목이 저것인데 음악이 바로 엔니오 모리코네다![3] 필름 코멘트/연도별 베스트[4]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 후보에도 올랐다.[5] 제7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개막작[6] 단편, 제76회 칸 영화제 개막작[7] 안야 테일러조이도 스페인어가 유창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