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권(1918)

덤프버전 : (♥ 0)

파일:정부상징.svg
파일:국토교통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국토해양부장관 (2008~2013)
초대
정종환
2대
권도엽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육군
제21보병사단장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
||<width=20%> 제1대
민기식 ||<width=20%> 제2대
백남권 ||<width=20%> 제3대
최석 ||<width=20%> 제4대
민병권 ||<width=20%> 제5대
이주일 ||
|| 제6대
양중호 || 제7대
양찬우 || 제8대
박남표 || 제9대
서재관 || 제10대
정규한 ||
|| 제11대
양인석 || 제12대
최일영 || 제13대
박찬긍 || 제14대
박승옥 || 제15대
안철원 ||
|| 제16대
이재희 || 제17대
박병억 || 제18대
신치구 || 제19대
이진삼 || 제20대
용영일 ||
|| 제21대
고용복 || 제22대
이준 || 제23대
유회국 || 제24대
서충일 || 제25대
정남기 ||
|| 제26대
강기창 || 제27대
권일상 || 제28대
엄항석 || 제29대
최용주 || 제30대
김기수 ||
|| 제31대
황영수 || 제32대
강한석 || 제33대
장준규 || 제34대
정항래 || 제35대
안수태 ||
|| 제36대
김혁수 || 제37대
황병태 || 제38대
장현주 || 제39대
이상렬 || 제40대
남진오 ||




대한민국 제23대 교통부 장관
민병권
閔丙權 | Min Byung-kwon
파일:민병권.jpg
출생1918년 9월 27일
황해도 봉산군 사원면
(現 황해남도 사리원시)
사망1992년 2월 17일 (향년 73세)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자택
묘소국립서울현충원 제1장군 묘역-217호
본관여흥 민씨[1]
송암(松巖)
재임기간초대 군사원호청장
1961년 7월 6일 ~ 1962년 4월 16일
초대 원호처장
1962년 4월 16일 ~ 1963년 1월 31일
제25대 무임소 장관
1975년 12월 19일 ~ 1977년 11월 16일
제23대 교통부 장관
1977년 11월 17일 ~ 1978년 12월 22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민윤식(閔允植)[1], 어머니 밀양 박씨[2]
형제자매형 민병은(閔丙殷)[3], 민병익(閔丙益)[4]
민병정(閔丙正)[5], 민병철(閔丙哲)[6]
남동생 민병한(閔丙漢)[7], 여동생 1명
배우자최정순[8]
자녀아들 민태기(閔台基)[9], 민윤기(閔潤基)[10]
딸 민명숙(閔明淑), 민화숙(閔和淑), 민종숙(閔宗淑)
학력숭문고등보통학교 (졸업)
주오대학 (법학 / 중퇴)
육군보병학교 (졸업)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졸업)
국방대학교 (행정학 / 학사)
종교가톨릭 (세례명: 프란치스코)
의원 선수4
의원 대수6, 7, 8, 9
경력초대 원호처장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제6-7대 국회의원 (경남 함양군·거창군)
제6-7대 국회 국방위원장
천주교 군종교구 가톨릭 군종후원회 초대 회장
제8대 국회의원 (경남 함양군·거창군)
민주공화당 중앙위원장
제9대 국회의원(유신정우회)
유신정우회 원내총무
제25대 무임소 장관
제23대 교통부 장관
공화당 총재 상임고문
국토통일원 고문
군사 경력
임관군사영어학교 (1기)
복무일본 제국 육군
1944년 ~ 1945년
대한민국 육군
1948년 ~ 1963년
최종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국방부 병무국장
주요 보직육군 제19연대장
육군 제6사단참모장
육군부관학교장
육군 제21사단장
육군본부 인사국장
국방부 병무국장
참전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1] 1872년 ~ 1940년 4월 18일.[2] 1875년 ~ 1976년 7월 15일.[3] 1905년생.[4] 1907년 ~ 1983년 2월 14일.[5] 초명 민병순(閔丙舜). 1910년 ~ 1947년 4월 17일.[6] 1914년 ~ 1950년 10월 7일.[7] 1928년생.[8] 경주 최씨로, 1927년생이다. 2016년 사망했다.[9] 1948년생.[10] 1955년생.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매체에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군인, 정치인, 관료.


2. 생애[편집]


1918년 9월 27일 황해도 봉산군 사원면(현 황해남도 사리원시)에서 아버지 민윤식(閔允植, 1872 ~ 1940. 4. 18)과 어머니 밀양 박씨(1875 ~ 1976. 7. 15) 사이의 6남 1녀 중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경성부 숭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주오 대학 법학과를 중퇴하였다. 일제강점기 말기에 학병으로 강제 징집된 것을 계기로 군인이 되었다.

8.15 광복 이후 귀국하여 군사영어학교 1기로 입교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또한 6.25 전쟁 당시 6사단 19연대장으로 춘천-홍천 전투를 치뤘으며, 이 과정에서 11명의 대전차 파괴 특공대를 편성, 승리로 이끌었다. 1956년에는 21사단장을 지냈으며 1957년에는 육본 인사국장을 역임하였다. 1961년에는 군인 신분으로 국가보훈처의 전신인 원호처장에 임명되었으며, 1963년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이후 제6대, 제7대,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남도 함양군-거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신정우회 1기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75년 무임소장관에 임명되었다. 1977년 이리역 폭발사고로 경질된 최경록의 뒤를 이어 교통부(현 국토교통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장관 재임 시절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미국으로 망명한 김형욱중앙정보부장에게 귀국을 권유하였으나 실패하였다.[2]

1992년 2월 17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함양·거창
ta-hash-start=w-2fd5d41ec6cfab47e32164d5624269b1[[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9,257 (56.77%)당선 (1위)초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65,734 (69.96%)재선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52,761 (58.5%)3선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통일주체국민회의 선출당선4선

4. 매체에서[편집]




5. 둘러보기[편집]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ddd><tablebgcolor=#003764><width=30%><rowbgcolor=#575757> 직위 || 명단 ||
|| 경제기획원장관 ||<colbgcolor=#ffffff,#1f2024> 태완선남덕우신현확 ||
|| 국토통일원장관 || 김영선김용식신도성유상근이용희 ||
|| 외무부장관 || 김용식김동조박동진 ||
|| 내무부장관 || 김현옥홍성철박경원김치열구자춘 ||
|| 재무부장관 || 남덕우김용환김원기 ||
|| 법무부장관 || 신직수이봉성황산덕이선중김치열 ||
|| 국방부장관 || 유재흥서종철노재현 ||
|| 문교부장관 || 민관식유기춘황산덕박찬현 ||
|| 농수산부장관 || 김보현정소영최각규장덕진이희일 ||
|| 상공부장관 || 이낙선장예준최각규 ||
|| 건설부장관 || 장예준이낙선김재규신형식고재일 ||
|| 보건사회부장관 || 이경호고재필신현확홍성철 ||
|| 교통부장관 || 김신최경록민병권황인성 ||
|| 체신부장관 || 신상철문형태장승태박원근이재설 ||
|| 문화공보부장관 || 윤주영이원경김성진 ||
|| 총무처장관 || 서일교심흥선심의환 ||
|| 과학기술처장관 || 최형섭최종완 ||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제9대 국회 전국구 (1기)
[ 펼치기 · 접기 ]

갈봉근강문봉강문용고재필구범모구태회
권갑주권일권중동권효섭김기형김도창
김동성김명회김삼봉김성용김세련김세배
김신김영도김용성김재규[B]김종필김재순
김진봉김창규김충수남상돈노진환문태갑
민병권박동묘박정자박찬현백두진백영훈
서영희서인석송호림송효순신광순신상초
안종열안춘생엄경섭오정근오주환유민상
윤태일이도선이범준이성가[A]이숙종이영근
이종식이진희이해랑임삼장동식장준한
장창국전재구정광호정복향정재호주영관
지종걸최영철최영희최용수한태연함명수
함재훈함종빈허무인[A]현오봉황창주송효순 [C]
김충수 [C]이승복 [C]남상돈 [C]
[B] 임기 중 사퇴.[A] A B 임기 중 사망.[C] A B C D 승계.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제9대 국회 전국구 (2기)
[ 펼치기 · 접기 ]

갈봉근강문봉[B]강문용고재필구범모구태회
권갑주권일권중동권효섭김기형김도창
김동성김명회김삼봉김성용김세련김세배
김신김영도김용성김익준김종필김진복
김진봉김창규김충수남상돈노진환문태갑
민병권박동묘박정자박찬현백두진백영훈
서영희서인석송호림송효순신광순신상초
안종열안춘생오정근윤여훈윤주영윤태일
이도선이범준이성근이숙종이영근이정식
이종식이종찬이진희장동식전부일전재구
정일영정재호주영관지종걸 [B]최영철최영희
최우근한태연함명수현오봉변우량 [C]마달천 [C]
[B] A B 임기 중 사퇴.[C] A B 승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6:49:36에 나무위키 민병권(191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참공파 30세 병(丙) 항렬.[2] 그가 김형욱에게 보내진 특사 중 한 명인 이유는 김형욱도 황해도 출신이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