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5714 (r9판)

편집일시 :

>
서울특별시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white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50125413551155135515[a]
551655175519[a]55225523
55245525552855305531
5535553655375611[a]5615
56165617561856195620
5621[a]5623562556265627
56305633563457125713
57148541855185528561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1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7권역
]]



파일:보영5714번_뉴비저상.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주요 정체구간
4.2. 일평균 승차인원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71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714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광명시 하안동(광명공영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동(이화여대입구)
종점
첫차04:15기점
첫차05:30
막차22:10막차23:30~35
평일배차5~13분주말배차토요일 7~13분 / 공휴일 8~15분
운수사명보영운수인가대수34대(예비 1대)[1]
노선광명공영차고지 - 가림중학교 - 하안사거리 - 하안2동주민센터.하안주공1.3단지 - 광명시민체육관 - 광명경찰서 - 디지털3단지사거리 - 금천패션아울렛사거리 - 남구로역 - 고대구로병원 - (→ 구로변전소.구로초등학교 → 구로역.NC신구로점 → / ← 우리유앤미아파트 ← 쌍용구로정비센터 ←) - 신도림동.구로역 - 신도림역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 영등포시장 - 당산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 이화여대입구 → 서강대학교후문 → 마포자이2차아파트.대흥역 → 광성중고등학교 → 서강대학교 → 신촌로터리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보영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1.5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18번 도시형버스(하안동 - 이대역)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5714번으로 변경되었다.

  • 광명공영차고지가 완공되면서 2006년 9월 4일자로 공영차고지까지 연장하였다.

  • 2014년 7월 7일에 본래 23:00였던 광명차고지 막차시각이 22:40으로 20분 앞당겨졌다.

  • 2017년 8월 16일에 광명차고지 막차시각이 22:20으로 20분 앞당겨졌다.


  • 구로고가차도 철거공사로 인해 2018년 12월 11일부터 2019년 4월 6일까지 디지털오거리 대신 한신IT타워, 이엔씨드림타워7차 경유로 우회했다. 관련 공문 본래는 3월 31일까지만이었으나, 철거공사가 늦어지면서 연기되었다. 관련 공문

  • 2019년 9월 16일에 광명차고지 막차가 22:10으로 10분 앞당겨졌다. 또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95분/185분/175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05분/200분/190분으로 10~15분 늘어나고,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9회/11회/7회씩 감회되었다. 이에 따라, 본래 각각 5~11분/6~11분/7~13분이었던 평일/토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도 5~13분/7~13분/8~15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광명시에서 홍대입구역, 신촌로터리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며, 노선의 대부분이 많이 막히는 도로로만 간다는 게 이 노선의 단점이긴 하지만 반대로 이야기하자면 수요가 꽤 많다는 이야기가 되기도 한다. 실제로 이용 순위 50위권 내에 몇 년째 계속 들고 있다. 물론 홍대입구역에 가면 사람이 많다.

  • 5권역과 7권역을 잇는 노선이지만 5권역은 마리오아울렛만 경유하고, 대부분의 운행 구간이 6권역과 7권역 구간이라서 홍대와 구로구를 직선으로 빠르게 잇는 기능이 강하다. 그래서 번호를 6718번으로 바꿔도 될 법 하지만 모종의 사유로 변경되지 않고 있다.[2]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 중 선유도공원 때문에 유일하게 한강다리 한가운데에서 정차하는 노선이었다. 하지만 한남대교를 비롯한 몇몇 대교에 전망대가 설치되고 버스정류장이 설치되면서 이 타이틀은 의미가 없어졌다. 또한 유일하게 양화대교의 선유도공원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라는 점도 2009년 가을 이후로 603번, 761번, 7612번 버스가 추가로 정차하면서 더더욱 의미가 없어졌다. 그래도 나름대로 최초의 타이틀은 획득한 셈.


  • 주의할 점은 신촌역이대역 → 서강대학교후문 → 대흥역서강대학교정문 → 신촌역으로 편도 운행하기 때문에 곧바로 서강대학교정문, 대흥역으로 갈 사람들은 동교동삼거리에서 하차한 뒤 110B번, 6716번, 604번, 740번, 7016번, 7613번을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서강대 사과대, 문과대, 법대를 간다면 이 노선을 타는 게 더 편하다. 서강대학교에서는 6716번과 반대로 회차한다.


4.1. 주요 정체구간[편집]


  • 철산교 - 디지털단지오거리
출근시간대엔 광명경찰서에서부터 정체를 빚기도 한다. 평일 일반시간대에도 수출의다리 구간은 교량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약간의 지체를 감수해야 한다. 특히 호우로 안양천 수위가 불어나면 정말 답이 없다.[3]
퇴근시간대에는 심하면 디지털단지오거리부터 광명경찰서 구간에서 16~18대까지 보인다.

503번과 달리 곧장 중앙버스전용차로으로 들어가지 않고 신도림역부터 중앙차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그 앞에서 정체크리. 예전에는 문래고가차도에서도 정체됐으나 문래고가차도 철거 이후에는 그 자리에 버스중앙차로를 이어주어 정체가 발생하지 않는다.

출퇴근 시간의 정체가 극심하며, 특히 선유도 정류장에 정차하기 위해 교통체증이 심한 와중에도 가장 우측 차선으로 차선변경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구간에선 하행만 막히는데 NH와 RH 구분 없이 신호 한 번 잘못 걸리면 인천 광역버스와 함께 아름다운 기차놀이를 하게 된다.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714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25,370명-
2014년24,628명▽ 742
2015년23,191명▽ 1,437
2016년22,508명▽ 683
2017년21,880명▽ 628
2018년20,369명▽ 1,511
2019년20,059명▽ 310
2020년15,507명▽ 4,552
2021년14,769명▽ 738
※ 하차 인원 미포함


4.3.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714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마포자이2차아파트.대흥역
14213
서강대학교후문
14212
광성중고등학교
14173
대흥교회
14210
서강대학교
14170
종점이화여대입구
14208
신촌로터리
14169
이화여대입구
14207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14063
이상 회차 구간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13021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14062
동교동삼거리
13019
동교동삼거리
14061
홍대입구역
14016
홍대입구역
14015
서교동
14014
서교동
14013
합정역
14012
합정역
14011
선유도공원
19277
선유도공원
19278
당산역
19173
당산역
19172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
19174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
19175
삼환아파트
19125
당산푸르지오아파트
19126
신화병원
19121
신화병원
19122
영등포시장
19120
영등포시장
19104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19821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19112
남부지방법원등기국.구로세무서.에이스하이테크시티
19004
남부지방법원등기국.구로세무서.에이스하이테크시티
19003
문래동남성아파트
19002
문래동남성아파트
19001
신도림역
17001
신도림역
17002
신도림중학교
17153
신도림중학교
17152
구로역
17155
구로역
17154
쌍용구로정비사업소
17143
구로역.AK플라자
17145
우리유앤미아파트
17141
구로변전소.구로초등학교
17142
구로119안전센터
17140
구로119안전센터
17139
구로4동우체국.고대구로병원정문
17138
구로4동우체국.고대구로병원정문
17137
구로시장
17136
구로시장
17135
남구로역
17133
구로4동자치회관
17134
가리봉시장
17132
가리봉시장
17131
금천패션아울렛사거리.마리오
18113
디지털단지오거리
17389
-금천패션아울렛사거리.W몰
18114
디지털3단지사거리
18111
디지털3단지사거리
18112
-철산래미안자이아파트
38116
광명성애병원
38113
광명성애병원
38114
광명경찰서
38110
광명경찰서
38115
철산4단지
38122
철산푸르지오하늘채아파트
38112
광명이편한세상센트레빌아파트
38140
복지관운동장
38134
하안1동주민센터
38643
하안1동주민센터.이편한세상센트
38642
광명시민체육관
38614
광명시민체육관
38144
하안2동주민센터.하안주공1.3단지
38145
하안2동주민센터.하안주공1.3단지
38149
하안4동주민센터.하안주공4.10단지
38170
하안4동주민센터.하안주공4.10단지
38171
하안사거리.7단지
38155
하안사거리.12단지
38159
하안3동주민센터.하안주공7.8단지
38165
하안3동주민센터.하안주공7.8단지
38153
가림중학교
38155
가림중학교
38154
가림초등학교.자동차경매장
38164
자동차경매장.가림초등학교
38137
하안버스공영차고지
38142
하안버스공영차고지
38626
광명공영차고지종점 · 광명공영차고지기점
38608 · 38629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구로역, 신도림역, 영등포역[4]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당산역,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역, 이대역[5]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영등포시장역[6]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합정역, 대흥역[7]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철산역[8], 남구로역[9]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당산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과천/안양/군포/의왕>

과천/안양/군포
541

안양/군포>
안양시 단독
152교대
6515교대
>

500석수

5618석수

과천시 단독>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의왕시 경유 노선은 군포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1] 토요일 30대 / 공휴일 26대 운행[2] 동사 503번은 608번, 5012번은 6011번, 5712번은 6717번[3] 서부간선도로 진입로가 철산교 아래쪽 안양천으로 내려갔다 올라가는 구조라서, 호우때는 서부간선도로 진입이 통제된다. 가뜩이나 막히는 동네인데, 서부간선도로로 진입할 수 없는 차량들이 뒤엉키기 시작하면 말 그대로 마비상태가 된다.[4]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하차[5] 이화여대입구 하차[6] 영등포시장 정류장 하차[7] 마포자이2차아파트.대흥역 하차[8] 광명경찰서 하차 후 도보[9] 이화여대입구 방향은 구로4동주민센터(자치회관) 하차, 광명공영차고지 방향은 남구로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