듄: 파트 2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듄2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RTS게임에 대한 내용은 듄 2 문서
듄 2번 문단을
듄 2#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W-ovWrTE수정본.png


소설 목록
오리지널

(Dune, 제 1부)
듄의 메시아
(Dune Messiah, 제 2부)
듄의 아이들
(Children
of Dune, 제 3부)
듄의 신황제
(God Emperor
of Dune, 제 4부)
듄의 이단자들
(Heretics
of Dune, 제 5부)
듄의 신전
(Chapterhouse:
Dune, 제 6부)
프리퀄

영화 목록
장편
(데이비드 린치 作, 1984년)
(드니 빌뇌브 作, 2021년)
다큐멘터리
파일:JD_title_cropped_csumjm.png
(프랭크 파비치 作, 2013년)
제작 취소
듄 (2014)
(피에르 모렐 作)

드라마 목록
미니시리즈
3부작
파일:FHDunelogo.png
파일:frank-herberts-children-of-dune-5863078911b2c.png
(2000년)
듄의 아이들 (2003년)
미정

게임 목록
비디오 게임
개발사
게임 목록
(1992년) (1998년) (2001년)
(1992년)
Frank Herbert's Dune
(2001년)
Dune Generations
(2001년)(개발 취소)
기타 게임
머드
카드
보드
롤플레잉
DuneMUSH (1992년)
Dune II (1992년)
>

MUSH, Dune III (1998년)
Dune
(1997년)
Dune (1979년) 아발론 힐 社
Dune (1984년) 파커 브라더스 社

Dune (2019년) 가인 포스 나인 社

Dune: Imperium (2020년) 다이어울프 社
Dune: Chronicles of the Imperium (2000년) 라스트 유니콘 게임즈 社
Dune: A Dream Of Rain (1984년) 파커 브라더스 社

Dune: Adventure in the Imperium (2020년) 파커 브라더스 社



드니 빌뇌브 감독 장편 연출 작품



듄: 파트 2 (2024)
Dune: Part Two
파일:Dune_Part_Two_Main_Poster_KR.jpg
북미 포스터 ▼
파일:DUNE part two official poster.jpg
장르드라마, SF, 스페이스 오페라, 액션, 어드벤처, 판타지
감독드니 빌뇌브
각본드니 빌뇌브
존 스페이츠
원작프랭크 허버트 - 소설 《
제작메리 페어런트
케일 보이터
패트릭 맥코믹
타냐 라푸앵트
드니 빌뇌브
브라이언 허버트 (기획)
출연티모시 샬라메
젠데이아
레베카 페르구손
조시 브롤린
오스틴 버틀러
플로렌스 퓨
데이브 바티스타
크리스토퍼 워컨
레아 세두
스텔란 스카스가드
샬럿 램플링
하비에르 바르뎀
촬영그레이그 프레이저
편집조 워커
미술파트리스 베르메트
의상재클린 웨스트
음악한스 짐머
촬영 기간2022년 7월 4일 ~ 2022년 12월 9일
제작사파일:미국 국기.svg 레전더리 엔터테인먼트
파일:미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1] 워너 브라더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24년 2월 25일[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2024년 3월 1일[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2월 28일[4]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3월 1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4월 17일 (재개봉)[5]
화면비2.39:1 (SCOPE)
1.90:1 (IMAX DIGITAL / XTCoLa LASER)
1.43:1 / 1.90:1 (IMAX GT LASER/70MM)[* 스코프 비율의 화면과 가변 화면비를 가진 다른 IMAX GT 영화와 달리 IMAX GT 비율과 아이맥스 디지털 비율의 가변 화면비를 지원한다.]
상영 타입2D | IMAX | 4DX | ScreenX | Dolby Cinema | MX4D
상영 시간166분 (2시간 45분 37초)
제작비1억 9,000만 달러[6][7]
월드 박스오피스$710,610,347 (2024년 5월 15일 기준)
북미 박스오피스$282,110,347 (2024년 5월 15일 기준)
대한민국 총 관객 수1,999,578명 (2024년 5월 17일 기준)
스트리밍[[맥스(스트리밍)|
max
]]
(2024년 6월~7월 공개 #)
상영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13 로고.svg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4. 예고편
4.1. 기타 영상
5. 시놉시스
6. 등장인물
7. 등장행성
9. 사운드트랙
10. 평가
10.1. 호평
10.1.1. 음악과 영상미
10.1.2. 서사
10.2. 호불호가 갈리는 평가
10.2.1. 전개
10.2.2. 설명 부족
10.4. 평론가 평
12. 기타
1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LONG LIVE THE FIGHTERS

Addaam reshii a-zaanta

전사들이여 영원하라[9]

2024년 2월 28일에 개봉한 드니 빌뇌브 감독의 듄 시리즈 실사영화. 2021년 영화 〈〉의 속편이다.


2. 개봉 전 정보[편집]


  • 2021년 10월 26일, 파트 2의 제작이 확정되었다. 개봉일은 2023년 10월 20일.#

  • 촬영은 빠르면 2022년 가을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빌뇌브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조금 앞당겨서 2022년 7월부터 촬영을 시작한다고 한다.


  • 드니 빌뇌브는 던칸 아이다호가 1편과 다른 모습으로 돌아올 수 있다고 암시했다. #
    • 스포일러
      소설에서처럼 던칸이 골라로 부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원작에서 골라 던컨의 등장 시점은 2권이었고, 본작(파트 2)의 내용은 1권 후반부이다.

  • 드니 빌뇌브는 인터뷰를 통해 하코넨 가문 비중이 커진다고 말했다. #


  • 2022년 3월 11일, 페이드 로타 하코넨 역으로 오스틴 버틀러가 협상 중에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

  • 2022년 3월 16일, 빌뇌브 감독과 버라이어티지의 인터뷰에 따르면 초기 각본이 완성되었다고 한다. 아마도 계속해서 수정이 들어가겠지만 일단 초안은 나왔기에 촬영에 들어갈 준비는 끝났다고 한다. 전작보다 아이맥스 카메라로 촬영하는 비중이 늘 것이라고 밝혔다. #



  • 2022년 7월 18일, 시놉시스가 공개되었다. #

  • 2022년 12월 9일, 주인공 폴을 맡은 티모시 샬라메가 촬영이 끝났음을 알렸다.

  • 촬영장 모습이 일부 공개되었다. #

  • 2023년 4월 23일, 시네마콘에서 푸티지 영상과 함께 다양한 정보가 공개되었다.
    • 완전히 IMAX로 촬영되었다고 한다.
    • 폴 아트레이데스는 1편에서는 학생이었다면, 본 영화에서는 리더로 변한다는 언급이 있었다.
    • 챠니 카인즈 역의 젠데이아는 이번에는 챠니가 더 이상 꿈 속에서만 머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페이드 로타 하코넨 역의 오스틴 버틀러가 이 영화에서 대머리로 등장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버틀러는 페이드 로타 하코넨이 "정신병적인 연쇄 살인범이자 올림픽 검 마스터[10]"로 묘사된다고 언급했다.
    • 드니 빌뇌브플로렌스 퓨가 맡은 이룰란 공주가 본 영화에서 중요한 존재로 등장함[11]을 밝혔다.
    • 티모시 샬라메의 인스타그램에서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 2023년 5월 4일, 1차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

  • 2023년 6월 30일, 2차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


  • 2023년 8월 15일, 오펜하이머의 개봉에 맞추어 전국 IMAX관에서 예고편 상영이 시작되었고, 개봉은 11월로 예고되었다. 또한 국내 유일한 IMAX GT관인 CGV 용산아이파크몰의 IMAX관에서는 무려 1.43:1의 화면비로의 예고편 상영을 개시[12]하여 관객들의 기대를 몰고 있다.

  • 2023년 8월 25일, 워너브라더스가 개봉일을 2024년 3월 15일로 개봉을 연기했다. #

  • 2023년 11월 18일, 북미 개봉일이 3월 1일로 2주일 앞당겨졌다.

  • 2023년 11월 27일, 워너브라더스 코리아가 한국에는 2월에 개봉한다고 밝혔다.

  • 2023년 12월 8일부터 9일까지 드니 빌뇌브 감독이 내한하여 <듄: 파트 1> 무대 인사 진행과 동시에 <듄: 파트 2> 초반 10분 푸티지를 상영하는 시사회가 열렸다. 이는 전 세계 최초로 <듄: 파트 2>가 공개되는 순간이었고, 국내 멀티플렉스 3사의 플래그십 스토어의 대표 특별관인 용아맥, 코돌비, 월수플에서 행사가 진행되었다. 특히 1.43:1의 IMAX GT 비율 상영을 지원하는 용아맥에서는 푸티지 영상 역시 1.43:1의 비율의 영상을 상영하여 팬들의 기대를 한 껏 높이었다.
    • 용아맥에서 진행된 상영회에서 <듄: 파트 2>의 화면비가 2.39:1↔1.43:1 가변 화면비가 아닌 1.90:1↔1.43:1 가변 화면비임이 밝혀졌다.

  • 2023년 12월 13일, 3차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



3. 포스터[편집]


파일:Dune: Part Two teaser poster.jpg
파일:DUNE part two poster 2.jpg
파일:DUNE part two official poster.jpg
1차 포스터2차 포스터
한국 포스터 ▼
파일:폴 & 챠니 듀오 포스터.jpg
파일:Dune_Part_Two_Main_Poster_KR.jpg
1차 포스터듀오 포스터메인 포스터


파일:Dune: Part Two IMAX (Shai-hulud) poster.jpg
파일:DUNE part two IMAX 70mm Film.jpg
파일:Dune: Part Two IMAX poster.jpg
IMAX 포스터
파일:DUNE part two Dolby cinema.jpg
파일:DUNE part two Dolby cinema poster.jpg
파일:Dune: Part Two ScreenX poster.jpg
Dolby Cinema 포스터ScreenX 포스터


4. 예고편[편집]


티저 예고편

2차 예고편

3차 예고편


4.1. 기타 영상[편집]


운명을 건 전투의 시작

되살아난 전율

티모시&젠데이아의 2024년 새해 인사

나는 폴 아트레이데스다

운명의 반격은 지금부터

주요 장면 미리보기

듄 세계관 1분 요약

분노의 복수 시작

극장 존재의 이유

심장 듄듄한 리뷰


5. 시놉시스[편집]


황제의 모략으로 멸문한 가문의 유일한 후계자 (티모시 샬라메).

어머니 레이디 제시카(레베카 퍼거슨)와 간신히 목숨만 부지한 채 사막으로 도망친다.

그곳에서 만난 반란군들과 숨어 지내다 그들과 함께 황제의 모든 것을 파괴할 전투를 준비한다.

한편 반란군들의 기세가 높아질수록 불안해진 황제와 귀족 가문

잔혹한 암살자 페이드 로타(오스틴 버틀러)를 보내 반란군을 몰살하려 하는데

2월, 운명의 반격이 시작된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한 소년스파이스를 보호하는 거대한 생명체를 가진 사막의 유목민들의 구원자가 된다. 그 스파이스는 사람들을 여행자, 신비주의자 혹은 미치광이로 만들어 버린다.

구글 내 시놉시스


6. 등장인물[편집]


배역배우 이름비고
아트레이데스 가문
폴 무앗딥 아트레이데스티모시 샬라메[13]
레이디 제시카 아트레이데스레베카 페르구손
거니 할렉조시 브롤린
엘리아 아트레이데스안야 테일러조이[14]
프레멘
스틸가하비에르 바르뎀
챠니젠데이아
시샤클리수일라 야쿠브
하코넨 가문
페이드 로타오스틴 버틀러
블라디미르 하코넨 남작스텔란 스카스가드
짐승 라반 하코넨데이브 바티스타
코리노 가문
이룰란 공주플로렌스 퓨
황제 샤담 4세크리스토퍼 워컨
베네 게세리트
모히암 대모샬럿 램플링
레이디 마고트 펜링레아 세두


7. 등장행성[편집]



8. 줄거리 및 탐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듄: 파트 2/줄거리 및 탐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사운드트랙[편집]


Dune: Part Two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음악 : 한스 짐머 (Hans Zimmer)
발매일: 2024년 2월 23일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트랙제목재생시간듣기비고
1Beginnings Are Such Delicate Times8:5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Eclipse5:13파일:유튜브 아이콘.svg[1]
3The Sietch2:3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Water of Life3:0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A Time of Quiet Between the Storms 4:21파일:유튜브 아이콘.svg[2]
6Harvester Attack3:4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Worm Ride2:1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Ornithopter Attack2: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Each Man Is a Little War1:2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Harkonnen Arena5:2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Spice0:3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Seduction2:0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Never Lose Me1:1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Travel South1: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Paul Drinks1:4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Resurrection2:1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Arrival1:4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Southern Messiah5:2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The Emperor1:3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Worm Army3:3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Gurney Battle3:2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You Fought Well1:4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Kiss the Ring3:1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Only I Will Remain6:44파일:유튜브 아이콘.svg[3]
25Lisan al Gaib6:3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체 듣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1] 1편의 예고편에서 사용되었던 핑크 플로이드Eclipse와는 제목만 같다.[2] 메인 테마곡[3] 엔딩 크레딧 곡. 메인 테마곡에 보컬이 약간 적용된 버전이다.
OST도 주된 호평 요소로 취급받을만큼 매우 좋은 평을 듣는다. 전작과 중복되는 느낌의 곡도 있고, 오리지널 느낌의 곡도 호평받는다.

10. 평가[편집]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dune-part-two, 메타크리틱_critic=79, 메타크리틱_user=8.4,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dune_part_two, 로튼토마토_tomato=92, 로튼토마토_popcorn=95,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IMDb=tt15239678, IMDb_user=8.7, IMDb_highlight=display,
IMDb_list= IMDb Top 250, IMDb_rank=24, IMDb_date=24년 5월 10일,
레터박스=dune-part-two, 레터박스_user=4.5,
레터박스_list=Letterboxd Top 250, 레터박스_rank=21, 레터박스_date=24년 5월 7일,
알로시네=278742, 알로시네_presse=4.2, 알로시네_spectateurs=4.5,
MYmoviesit=2024/dune-2, MYmoviesit_MYMOVIES=4.50, MYmoviesit_CRITICA=3.86, MYmoviesit_PUBBLICO=3.86,
키노포이스크=4540126, 키노포이스크_user=8.7,
야후재팬=デューン 砂の惑星PART2, 야후재팬_user=4.7,
Filmarks=99843, Filmarks_user=4.2,
도우반=35575567, 도우반_user=8.3,
무비스=fden15239678, 무비스_user=9.5,
왓챠=mWvqG3e, 왓챠_user=4.2,
키노라이츠=100219, 키노라이츠_light=97.09, 키노라이츠_star=4.1,
네이버영화=듄: 파트2, 네이버영화_audience=8.99,
CGV=87947, CGV_egg=96,
롯데시네마=20710, 롯데시네마_user=9.4,
메가박스=23095500, 메가박스_user=9.2,
MRQE=dune-part-two-m100147344, MRQE_user=82,
시네마스코어=A,
TMDB=693134-dune-part-two, TMDB_user=82,
RogerEbertcom=dune-part-two-movie-review-2024, RogerEbertcom_user=3.5,
씨네21=61093, 씨네21_expert=7.50, 씨네21_user=8.67,
갤럭시시네마=dune-2, 갤럭시시네마_user=8.6,
파리부시네벌스=dune-col-gezegeni-bolum-iki-filmi, 파리부시네벌스_user=9.5,
엠파이어=dune-part-two, 엠파이어_user=4,
인디와이어=dune-part-two-movie-review-1234955419, 인디와이어_user=C)]
SF 장르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과 함께 반지의 제왕과 비견되는 열광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IMDB 점수는 개봉 이후 9.0점까지 꾸준하게 상승하며 IMDB Top 250에서 10위에 진입하였다. 이후에는 8.8점으로 하락하며 순위도 15위로 내려갔다. 구체적인 변경 내역은 기록 사이트(아마 써드파티) 참조.

로튼 토마토 평론가 점수는 개봉 이전 97%로 시작해 드니 빌뇌브 감독 작품 중 역대 최고점을 갱신했다. 템포가 느려 지루하다는 반응이 여럿 나왔던 1편에 비해 2편은 상대적으로 템포가 빠르고 관객들의 수용이 용이해져 1편에 비해 로튼토마토 관객 평도 높아졌다. 국내의 반응은 해외만큼 폭발적이진 않지만 1편에 비해 평론가 평점과 관객 평점은 모두 확실하게 높아졌다.


10.1. 호평[편집]



10.1.1. 음악과 영상미 [편집]


단연 돋보이는 건 음악과 영상미. 이는 1편과 공유하는 특징으로 한스 짐머의 웅장한 오리지널 스코어드니 빌뇌브의 환상적인 영상미가 더해져 압도된다는 호평이 많다. 음악의 경우 과하다 싶을 정도로 크다는 평가가 있었던 전작보다는 자제한 느낌이긴 하지만, 여전히 온몸을 울리는 듯한 사운드트랙이 그 특유의 압도적인 느낌을 잘 전달하고 있다. 영상미의 경우 전작처럼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우주선이 이륙하여 하이라이너를 이용해 우주 여행을 하는 장면처럼 압도적인 스케일의 미장센을 보여주지는 않지만, 엄청난 스케일의 전투와 장엄한 세계관의 분위기를 담아내는 측면에서는 전작보다 발전했다.

샤담 4세의 우주선은 칼라단의 아트레이데스 우주선이나 하코넨 우주선과 다른 반사광이 있는 금속재질의 원구형 외형으로 등장해 차별점을 이루고, 실제 장소와 결합한 시각효과도 매우 뛰어나다. 특히 후반부에서 프레멘 부대가 샤이 훌루드를 타고 사다우카 부대를 공격하는 장면에서는 엄청난 전율을 느낄 수 있다. 후기들을 봐도 대부분 IMAXDolby Cinema를 겨냥하고 만든 것 같다는 말들이 나올 정도로 이번 작도 고급 상영관에서 보지 않으면 손해라고 평가받을 정도다. 단순히 음향과 영상미만 좋은 것이 아니라 이런 장면들이 적재적소에 잘 삽입되어 장면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며 캐릭터의 심리를 잘 대변한다.

10.1.2. 서사[편집]


메인 빌런인 페이드 로타 하코넨에 대한 평도 좋다. 원작과 동일하게 미남이면서도 뛰어난 책략을 지닌 남작 후계자로서 시종일관 분위기를 압도하며, 주인공인 폴 아트레이데스의 대적자로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해냈다. 다만 페이드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 원작과 다르게 각색한 부분이 꽤 많은데, 이 부분은 원작 팬들에게 호불호가 갈린다. 오스틴 버틀러의 연기력은 대부분 인정하는 편. 페이드 로타가 처음 등장하는 투기장 장면이 인상깊다는 평이 많은데, 이 장면은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된 장면으로, 흑백으로만 표현되어 기에디 프라임의 적막한 환경을 표현함과 동시에 압도적인 영상미를 보여준다.

원작의 핵심인 영웅주의의 폐해라는 주제, 초인들이 인류에 있어서는 재앙이라는 주제, 지도자들의 결함이 광신적으로 따르는 신도(=프레멘)들에 의해 극대화된다는 주제 모두 영화 속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폴이 퀴사츠 해더락으로 각성할 때의 연출을 보면 마치 타락하는 것처럼 나오는데, 이후에 폴이 원작에서 어떤 행보를 걸어가는지 생각해보면 알맞는 연출이라 할 수 있다. 챠니만 예언이 우리를 노예로 만든다며 반대하지만, 폴을 만류할 수 없음을 깨닫고 결말에 이른다. 본편 속 폴과 챠니가 서로의 마음을 털어놓고 첫키스를 나누는 씬의 메인 테마곡이 엔딩에서 다시 나온다는 점도 두 사람의 엇갈린 운명을 말해준다.

챠니가 폴과 함께하지 않는 결말은 시리즈의 서사를 크게 바꿀 수 있는 중요한 변경 사항이다. 폴이 소설 3편에서 챠니가 죽을 운명을 막지 못해 얼마나 좌절했는지 아는 원작 팬들은 챠니가 후속작에서 생존할 수 있을지 여부를 궁금해하면서 본작의 변경 사항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10.2. 호불호가 갈리는 평가[편집]


그밖에 지엽적인 문제이지만, 한국 상영판 번역에서 페다이킨을 절반 정도는 페다이킨으로 음역하고 나머지 절반은 프레멘 전사로 의역한 점을 지적하는 경우가 있다. 국내에서는 듄이 듄 2, 듄 2000, 엠퍼러: 배틀 포 듄과 같은 전략 게임 시리즈로 주로 알려졌고 해당 게임 시리즈에서 페다이킨이 일반 병종과 구분되어 등장했기 때문에 해당 설정에 애착을 가진 게임 팬들이 많다. 하지만 페다이킨은 원래 프레멘 전사를 부르는 말인 게 맞고 무앗딥이 프레멘의 지도자가 되면서 친위대로 의미가 바뀌었기 때문에 원작에서 벗어났다고 할 순 없다. 폴이 프레멘 사회에 받아들여졌을 때, 폴이 페다이킨이 될 수 있겠다고 시샤클리가 언급하는 장면이 영화에도 있다.


10.2.1. 전개[편집]


영화의 이야기 전개가 상당히 빠르고, 원작 내용이 많이 잘리고 각색된 점이 논쟁거리. 듄의 한국 내 출판을 맡은 황금가지 편집장도 그러한 내용의 트윗을 했다. 원작과의 차이점은 원작과의 차이점 부분 참조.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는 한정된 러닝타임 안에 이야기를 다 담아내야 했기 때문이다. 특히 제시카 아트레이데스가 대모가 되어 프레멘 집단 내에 광신적인 신앙을 퍼뜨리는 과정과, 폴 아트레이데스가 무앗딥, 우슬, 퀴사츠 해더락이 되는 과정이 좀 과하다 싶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는 느낌이 없지 않다.

문제는 이게 전작인 듄 파트 1과는 정반대의 경향을 띤다는 것. 전작은 느리고 늘어지는 전개 때문에 제대로 사건이 진행된 것도 없이 갑자기 영화가 끝난 거 같다는 비판을 받았던 반면에, 이번 작은 내용이 군데군데 많이 빠지고 생략된 듯한 빠른 급전개로 지적을 받는 중이다. 결국 파트 2 분량을 좀 더 파트 1로 나눠줬어야 전개 속도가 적절했을 텐데 1, 2편 간에 이야기 배분이 제대로 되지 않은 느낌이 든다는 것.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처럼 매우 긴 서사를 가진 작품들이 영화화될 때 서사가 압축되는 과정[15]을 듄도 비슷하게 겪었다. 단적으로 원래 블라디미르 하코넨을 살해하는 쪽은 폴이 아닌 여동생 엘리아였다. 반면 영화판에서는 파트 2 내내 태아 상태로만 나오며 폴은 수 년에 걸쳐 프레멘 집단에 들어가 적응하고 그들과 상생하고 나아가 메시아가 되는 원작의 긴 서사를 불과 9개월도 안되는 시간에 이루게 되었다. 다만 이러한 서사 압축이 단순히 소설과 영화의 매체적 차이 때문이 아니라 드니 빌뇌브가 다른 행보를 선택한 폴의 이야기를 다루기 위한 의도적인 밑밥일 수도 있다는 추측도 있다.

여기에 처음 알려진 상영시간보다 더 짧아지기도 했다. 하시미르 펜링 역으로 추정되는 팀 블레이크 넬슨의 연기분이 러닝타임 문제로 편집 과정에서 모두 제거되었다. 그 여파로 나름 중요한 장면들까지 상당히 바뀐 터라 원작 팬들 입장에서는 실망할 수 있는 부분이다. 사실 꽤 많은 급전개와 생략을 감수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상영시간이 2시간 45분 37초나 되는지라 여기서 더 늘렸다간 정말로 3시간이 넘어갔을테니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도 덕분에 지루하게 질질 끄는 부분 없이 팍팍 스토리가 진행되는 건 장점이다.

폴이 살아있다는 걸 안 황제가 친히 아라키스에 왕림하고, 폴과 프레멘 집단이 이를 노려 공격하는 과정이 좀 어거지로 너무 빠르게 전개된다는 느낌 또한 상당하다. 핵무기를 터뜨려 방어막을 무력화 시키고 프레멘 집단이 단체로 돌격하는 장면은 멋지지만 그 외에 본격적으로 맞붙는 장면은 아무래도 '영화의 대미'를 장식하기에는 좀 짧다는 평. 영화에서 프레멘 집단은 하코넨 가문이 점거하고 있던 아라키스 행성의 수도 아라킨까지 싸그리 털어버리는데 그 장면도 짧게 압축된다. 다만 원작 소설인 듄도 전반부 전개는 느리다가 후반부에 급전개 되는 식인 경우가 많았고, 도리어 소설에 비하면 영화가 이런 급전개가 덜한 편이다. 무엇보다 1984년작 듄 영화와 비교하면 이번 작의 전개 속도는 진짜 엄청나게 개선된 것이다.

또한 악역의 비중이나 존재감이 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2020년대 듄 영화화가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스타워즈 오리지널 삼부작과 주로 비교되고 있는 와중에, 반지의 제왕의 사우론, 스타워즈의 다스 베이더처럼 극을 휘어잡는 강력한 메인 빌런이 딱히 없다는 점을 아쉬워하는 의견이 제법 있다. 나름의 좋은 평을 받고 있는 이번 작의 최종보스인 페이드 로타 하코넨의 경우 영화 중반부터 나와 존재감을 발휘해 늦은 감도 있었다. 물론 애초에 듄 시리즈는 정치 싸움 + 종교 비판 + 영웅주의(메시아)의 위험성이 주제지 메인 빌런이 중요한 작품이 아니긴 하다. 하지만 전반부의 프레멘 사회 적응기에 비중을 할애한 탓에 본격적으로 악역과 대립하는 후반부의 무게감이 떨어지게 됐다는 평가가 없지 않다.


10.2.2. 설명 부족[편집]


원작을 아는 사람이라면 전혀 문제될게 없는 내용이지만,일반 관람객이 느끼기에 어? 할수도 있는 부분이다.

* 마지막 전투를 시작하는 핵폭탄을 쏘는 장면에서,왜 본진이 아닌 뒤의 산맥 쪽에 쏘는지 의아하다는 반응이 있다.
원작에야 사람에게 쏠수 없다는 핵 조항이 설명되지만 본편에선 암시도 되지 않는다.
* 레이저총의 묘사가 굉장히 훌륭하고,연출및 활약도 좋지만.정작 중요한 마지막 전투에는 쓰지 않는데,[16] 이에 대한 의문도 생겼다.
*[듄(2021)|전작] 과 마찬가지로 세계관의 설명은 없다시피해서,먼 미래임에도 칼로 싸우는게 이해가 안 된다는 평이 있다.인공지능,기계식 무기는 왜 발전되지 않았느냐는 것.[17]


10.3. 데이비드 린치의 듄과의 비교[편집]


이전의 각색 시도였던 듄(1984)이 반영웅적인 원작을 전형적인 영웅서사로 각색하는 바람에 원작을 훼손했다는 평가를 받아 왔고, 이를 의식하여 이번 작은 폴의 권력 쟁취 과정에 부정적인 색채를 더욱 가미했다. 하지만 이 때문에 주인공 관점에서 몰입하게 해주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가 다수 삽입되어, 블록버스터 상업영화로서 요구되는 카타르시스는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평이다. 하지만 개봉 전부터 빌뇌브 감독은 폴 아트레이데스를 안티히어로로 묘사할 것이라 못 박은 바 있고, 원작의 스토리를 생각해보면 긍정적으로 묘사되서는 안 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원작 팬들에게는 호평을 받는다. 프랭크 허버트는 폴을 안티히어로로 그리기 위해 듄의 메시아를 집필했고, 폴이 권력을 독차지하게 되는 일은 곧 초인 독재자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이라 소설에서도 명시된 바 있었다.

듄(1984)와 비교해 한 가지 더 아쉬운 점이 있다면 길드 관련 장면이 생략됐다는 점이다. 듄(1984)에서 눈길을 끄는 장면이었던 항법사(내비게이터)가 들어 있던 탱크가 나오는 장면이나 항법사가 하이라이너 항로를 설정하는 장면 등이 빌뇌브의 듄 시리즈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파트 3에서 나오길 기대해야 할 듯하다.


10.4. 평론가 평[편집]


Visually thrilling and narratively epic, Dune: Part Two continues Denis Villeneuve's adaptation of the beloved sci-fi series in spectacular form.

시각적으로 스릴 넘치고 서사적인, '듄: 파트 2'는 드니 빌뇌브가 사랑받는 SF 시리즈를 화려한 형태로 각색한 것을 이어간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회의하는 영웅, 단호한 감독

김혜리 (씨네21) (★★★★)


큰 야망, 큰 이미지, 덩달아 eye도 max

이용철 (씨네21) (★★★★)


오래된 이야기, 장악하는 사운드, 넘치는 이미지. 강강강으로 찍어누른다

송경원 (씨네21) (★★★★)


거대하면서 섬세하고, 광활하면서 폐쇄적이고, 거칠면서 부드러운, 신비의 영웅신화 혹은 우주적 창세기

허남웅 (씨네21) (★★★☆)


지금 백인 남자 메시아 서사라니, 어쩔 수 없는 경계와 의심을 흩뜨리는 빌뇌브의 황홀경

임수연 (씨네21) (★★★★)


메시아는 도래했는가. 설득을 위한 장엄하고 묵직한 걸음들

조현나 (씨네21) (★★★☆)


이 시대의 마지막 메시아 서사. 그 착오의 다리를 의무적으로 두들기며

김철홍 (씨네21) (★★★☆)


녹색의 낙원으로 인도할 메시아의 탄생과 성전의 시작

오진우 (씨네21) (★★★★)


특출난 영화적 고심까진 없는 최고급 팬무비

이우빈 (씨네21) (★★★)


시네마적 정공법으로 시추하고 복원해낸 낡은 설화

정재현 (씨네21) (★★★☆)


감독의 원작을 향한 경외가 사막의 태양보다 뜨겁다

이유채 (씨네21) (★★★☆)


흘러넘치는 표면의 활극과 모래의 시간

김예솔비 (씨네21) (★★★★)


내가 그대들을 이끌 것이다. 시네마로!

안승일 (★★★★)


고유한 기후를 간직한 판타지를 만나는 기쁨

김신 (씨네21) (★★★★)


우주 너머 사막을 540도로 찍어내는 시각 마스터피스. 파트3는 720도의 영화가 되리라

남지우 (씨네21) (★★★★☆)


비주얼 너머의 현시대적 선택들, 야심에 걸맞은 성취

박수용 (씨네21) (★★★★)


한 방울도 헛되이 흘리지 않는 영화의 지독한 세공력과 우아한 보법

이동진 (★★★★)


11. 흥행[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듄: 파트 2/흥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기타[편집]


  • 드니 빌뇌브는 본작이 흥행에 성공하면 듄의 메시아를 소재로 영화를 한 편 더 만들어 3부작으로 시리즈를 마무리하고 싶다고 밝혔다. ## 2023년 12월 방한 당시 인터뷰에서 파트 3 각본을 집필 중이며 제작 착수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것 같다고 밝혔다. # 특히 본 작의 흥행과 배우들의 스케쥴, 감독의 구상에 따라 성사여부가 달라지겠지만, 감독이 원작을 다소 각색한 부분이 있고, 원작과의 일관성을 되찾으려면 그 각색에 따라 풀어야 할 실마리를 남겨 놓은 만큼 차기작의 제작은 흥행과 제작사의 결정과는 별도로 필연적인 문제로 남겨졌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전작인 파트 1이 스타워즈: 새로운 희망이라면, 본작 파트 2는 전작의 모든 것들을 제대로 확장시킨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과 같다면서 극찬했다.[원문] 이 말은 들은 드니 빌뇌브는 엄청난 칭찬이라면서 놀란에게 감사해했고, 어린 시절 자신이 제국의 역습을 극장에서 관람했던 경험은 자신의 영화 인생에 거대한 영향을 미친 일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

  • 드니 빌뇌브는 본작을 감독하는 데 영감을 준 5개의 작품으로 아라비아의 로렌스,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 AKIRA, 페르소나, Beep Beep[18] 등을 꼽았다. #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무색하게도, 개봉 이후 스틸가의 광신도적 면모와 압도적 연출에 힘입어 국가 안 가리고 리산 알 가입상습숭배인터넷 밈으로 부상했다. 한국어로는 가입(=join)이 뜻과 발음 모두 맞아 떨어지면서 고급 레스토랑 밈과도 결합한 것은 덤. 감독의 의도를 이해했는지의 여부 이전에 스틸가와 프레멘의 광신이 희화화하는 데 제격이었기 때문에 대다수의 관객이 희화화에 참여하면서 밈이 된 것이다.
  • 티모시 샬라메, 젠데이아, 오스틴 버틀러, 스텔란 스카스가드, 드니 빌뇌브 감독이 2월 21일에 내한하여, 2월 23일까지 한국에서의 일정을 보냈다.
    • 유튜브. 내한 기자 회견에서는 '듄친자'라는 말도 언급됐다.
    • 티모시 샬라메가 배우 및 제작진들에게 볼 하트를 하자고 제의하면서 선보였다. #
    • 주연 배우 티모시 샬라메와 젠데이아는 내한 홍보 일정의 일환으로 한국 예능 유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하였다. 기존 해외 스타들은 주로 영상의 형태로 출연했었는데[19], 실제로 출연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 유튜브. 자이언트 펭TV 출연 방송도 진행되었다.


  • 북미 개봉 당시 샤이 훌루드 모양 팝콘통을 AMC 극장에서 판매했는데, 팝콘을 집고 다시 빼려고 하면 실리콘으로 된 이빨이 빗자루마냥 손에서 팝콘을 다 털어내서 많이 먹는 것이 불가능한 데다 통의 지름이 작아서 손을 넣고 빼기 힘든 것과 더불어, 그 모습이 심히 징그러웠던지라 말이 많았다. 특히 손을 넣고 빼기 힘들다는 단점을 역이용해 저금통으로 재활용한 사례도 있다. 동전과 말린 지폐는 쏙 들어가지만, 그걸 통을 분해하지 않고서는 꺼낼 수 없기에 이런 기발한 아이디어가 나온 것. 감독 드니 빌뇌브는 보자마자 욕설을 내뱉었다. #1 #2 레이디 제시카 역의 레베카 페르구손은 인터뷰에서 이게 대체 뭐냐고 하자 사회자가 거기에 손을 넣는 거라고 하며 당황해했다. # 이를 두고 SNL에서 패러디했다. # 물론 오나홀로 쓰려는 사람들도 있었다...

  • 이 영화는 IMAX GT 상영관에서 1.43:1 화면비를 지원한다. IMAX 필름 카메라로 촬영하는 데 드는 극심한 제작비를 충당 가능함과 동시에, 이를 고집하기까지 하는 감독은 전 세계에 크리스토퍼 놀란이 거의 유일하다. 그렇기에 1.43:1 화면비도 원래는 거의 놀란의 전유물에 가까웠는데 1.43:1을 사용하는 감독이 하나 늘어난 것. 놀란이나 드니 빌뇌브나 후속작이 나오려면 멀었기 때문에 2024년 10월 개봉하는조커: 폴리 아 되가 1.43:1 개봉을 확정지으면서 2025년까지 1.43:1 화면비로 상영된 영화는 조커: 폴리 아 되와 본작이 유일할 전망이다. 유의할 점은 듄의 경우엔 IMAX 필름 카메라가 아닌 Arri Alexa LF IMAX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했기에 1.43:1을 지원할지언정 아이맥스 필름의 18K 화질을 보여주지는 못한다.

  • IMAX 15/70MM로 상영이 불가한 한국은 해당사항이 아니지만, 북미/영국/호주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영화임에도 불구, 오펜하이머 70MM의 인기에 힘입어 극장 12곳에서 IMAX 15/70MM로 상영한다.

  • 전작에서 지원하지 않았던 ScreenX 포맷을 지원한다.







13. 둘러보기[편집]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 No. 1-25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라이온 킹나랏말싸미타짜: 원 아이드 잭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파일:OGT1.jpg
파일:OGT2.jpg
파일:OGT3.jpg
파일:OGT4.jpg
파일:OGT5.jpg
No. 1}}}
2019. 7. 4.
No. 2}}}
2019. 7. 19.
No. 3}}}
2019. 7. 24.
No. 4}}}
2019. 9. 11.
No. 5}}}
2019. 9. 25.
조커말레피센트 2날씨의 아이겨울왕국 2포드 V 페라리
파일:OGT6.jpg
파일:OGT7.jpg
파일:OGT8-1.jpg
파일:OGT9.jpg
파일:OGT10.jpg
No. 6}}}
2019. 10. 2.
No. 7}}}
2019. 10. 17.
No. 8}}}
2019. 10. 30.
No. 9}}}
2019. 11. 21.
No. 10}}}
2019. 12. 4.
캣츠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남산의 부장들버즈 오브 프레이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파일:OGT11.jpg
파일:OGT12.jpg
파일:OGT13.jpg
파일:OGT14.jpg
파일:OGT15.jpg
No. 11}}}
2019. 12. 24.
No. 12}}}
2020. 1. 8.
No. 13}}}
2020. 1. 22.
No. 14}}}
2020. 2. 5.
No. 15}}}
2020. 2. 19.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반도다만 악에서 구하소서테넷뮬란
파일:OGT16.jpg
파일:OGT17.jpg
파일:OGT18.jpg
파일:OGT19.jpg
파일:OGT20.jpg
No. 16}}}
2020. 6. 17.
No. 17}}}
2020. 7. 15.
No. 18}}}
2020. 8. 5.
No. 19}}}
2020. 8. 26.
No. 20}}}
2020. 9. 17.
원더우먼 1984소울톰과 제리미나리자산어보
파일:OGT21.jpg
파일:OGT22.jpg
파일:OGT23.jpg
파일:OGT24.jpg
파일:OGT25.jpg
No. 21}}}
2020. 12. 23.
No. 22}}}
2021. 1. 20.
No. 23}}}
2021. 2. 24.
No. 24}}}
2021. 3. 3.
No. 25}}}
2021. 3. 31.
>
⠀[ No. 26-50 ]⠀
서복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크루엘라루카인 더 하이츠
파일:OGT26.jpg
파일:OGT27.jpg
파일:OGT28.jpg
파일:OGT29.jpg
파일:OGT30.jpg
No. 26}}}
2021. 4. 15.
No. 27}}}
2021. 5. 19.
No. 28}}}
2021. 5. 26.
No. 29}}}
2021. 6. 17.
No. 30}}}
2021. 6. 30.
블랙 위도우정글 크루즈더 수어사이드 스쿼드프리 가이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파일:OGT31.jpg
파일:OGT32.jpg
파일:OGT33.jpg
파일:OGT34.jpg
파일:OGT35.jpg
No. 31}}}
2021. 7. 14.
No. 32}}}
2021. 7. 28.
No. 33}}}
2021. 8. 4.
No. 34}}}
2021. 8. 11.
No. 35}}}
2021. 9. 1.
007 노 타임 투 다이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고장난 론이터널스
파일:OGT36.jpg
파일:OGT37.jpg
파일:OGT38.jpg
파일:OGT39.jpg
파일:OGT40.jpg
No. 36}}}
2021. 9. 29.
No. 37}}}
2021. 10. 13.
No. 38}}}
2021. 10. 20.
No. 39}}}
2021. 10. 27.
No. 40}}}
2021. 11. 10.
유체이탈자리슨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파일:OGT41.jpg
파일:OGT42.jpg
파일:OGT43.jpg
파일:OGT44.jpg
파일:OGT45.jpg
No. 41}}}
2021. 11. 24.
No. 42}}}
2021. 12. 9.
No. 43}}}
2021. 12. 15.
No. 44}}}
2021. 12. 22.
No. 45}}}
2022. 1. 12.
킹메이커나일 강의 죽음더 배트맨모비우스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파일:OGT46.jpg
파일:OGT47.jpg
파일:OGT48.jpg
파일:OGT49.jpg
파일:OGT50-1.jpg
No. 46}}}
2022. 1. 26.
No. 47}}}
2022. 2. 9.
No. 48}}}
2022. 3. 1.
No. 49}}}
2022. 3. 30.
No. 50}}}
2022. 4. 13.

⠀[ No. 51-75 ]⠀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범죄도시2쥬라기 월드: 도미니언버즈 라이트이어탑건: 매버릭
파일:OGT51.jpg
파일:OGT52.jpg
파일:OGT53.jpg
파일:OGT54.jpg
파일:OGT55.jpg
No. 51}}}
2022. 5. 11.
No. 52}}}
2022. 5. 18.
No. 53}}}
2022. 6. 1.
No. 54}}}
2022. 6. 15.
No. 55}}}
2022. 6. 25.
헤어질 결심토르: 러브 앤 썬더미니언즈 2비상선언헌트
파일:OGT56.jpg
파일:OGT57.jpg
파일:OGT58.jpg
파일:OGT59.jpg
파일:OGT60.jpg
No. 56}}}
2022. 6. 29.
No. 57}}}
2022. 7. 13.
No. 58}}}
2022. 7. 20.
No. 59}}}
2022. 8. 3.
No. 60}}}
2022. 8. 10.
오펀: 천사의 탄생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블랙 아담원피스 필름 레드아바타: 물의 길
파일:OGT61.jpg
파일:OGT62.jpg
파일:OGT63.jpg
파일:OGT64.jpg
파일:OGT65.jpg
No. 61}}}
2022. 10. 12.
No. 62}}}
2022. 10. 15.
No. 63}}}
2022. 10. 19.
No. 64}}}
2022. 11. 30.
No. 65}}}
2022. 12. 21.
더 퍼스트 슬램덩크교섭바빌론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대외비
파일:OGT66.jpg
파일:OGT67.jpg
파일:OGT68.jpg
파일:OGT69.jpg
파일:OGT70.jpg
No. 66}}}
2023. 1. 4.
No. 67}}}
2023. 1. 18.
No. 68}}}
2023. 2. 1.
No. 69}}}
2023. 2. 15.
No. 70}}}
2023. 3. 1.
스즈메의 문단속샤잠! 신들의 분노에어존 윅 4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파일:OGT71.jpg
파일:OGT72.jpg
파일:OGT73.jpg
파일:OGT74.jpg
파일:OGT75.jpg
No. 71}}}
2023. 3. 8.
No. 72}}}
2023. 3. 15.
No. 73}}}
2023. 4. 5.
No. 74}}}
2023. 4. 12.
No. 75}}}
2023. 4. 26.

⠀[ No. 76-100 ]⠀
드림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슬픔의 삼각형인어공주범죄도시3
파일:OGT76.jpg
파일:OGT77.jpg
파일:OGT78.jpg
파일:OGT79.jpg
파일:OGT80.jpg
No. 76}}}
2023. 4. 29.
No. 77}}}
2023. 5. 3.
No. 78}}}
2023. 5. 17.
No. 79}}}
2023. 5. 24.
No. 80}}}
2023. 5. 31.
플래시엘리멘탈보 이즈 어프레이드바비밀수
파일:OGT81.jpg
파일:OGT82.jpg
파일:OGT83.jpg
파일:OGT84.jpg
파일:OGT85.jpg
No. 81}}}
2023. 6. 14.
No. 82}}}
2023. 6. 21.
No. 83}}}
2023. 7. 5.
No. 84}}}
2023. 7. 19.
No. 85}}}
2023. 7. 26.
콘크리트 유토피아오펜하이머베니스 유령 살인사건크리에이터화란
파일:OGT86.jpg
파일:OGT87.jpg
파일:OGT88.jpg
파일:OGT89.jpg
파일:OGT90.jpg
No. 86}}}
2023. 8. 9.
No. 87}}}
2023. 8. 15.
No. 88}}}
2023. 9. 13.
No. 89}}}
2023. 10. 4.
No. 90}}}
2023. 10. 11.
블루 자이언트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더 마블스서울의 봄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파일:OGT91.jpg
파일:OGT92.jpg
파일:OGT93.jpg
파일:OGT94.jpg
파일:OGT95.jpg
No. 91}}}
2023. 10. 18.
No. 92}}}
2023. 10. 25.
No. 93}}}
2023. 11. 8.
No. 94}}}
2023. 11. 22.
No. 95}}}
2023. 12. 20.
노량: 죽음의 바다류이치 사카모토: 오퍼스
파일:OGT96.jpg
파일:OGT97.jpg
No. 96}}}
2023. 12. 23.
No. 97}}}
2023. 12. 27.

⠀[  Re.  ]⠀
라라랜드콜 미 바이 유어 네임위플래쉬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파일:OGTR1.jpg
파일:OGTR2.jpg
파일:OGTR3.jpg
파일:OGTR4-1.jpg
파일:OGTR4-2.jpg
Re. 1}}}
2020. 3. 25.
Re. 2}}}
2020. 6. 11.
Re. 3}}}
2020. 10. 28.
Re. 4}}}
2021. 3. 11.
Re. 4}}}
2021. 3. 18.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러빙 빈센트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너의 이름은.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파일:OGTR4-3.jpg
파일:OGTR5.jpg
파일:OGTR6-1.jpg
파일:OGTR7.jpg
파일:OGTR8-1.jpg
Re. 4}}}
2021. 3. 18.
Re. 5}}}
2021. 3. 17.
Re. 6}}}
2021. 5. 5.
Re. 7}}}
2021. 9. 9.
Re. 8}}}
2021. 9. 15.
그래비티호빗 3부작화양연화중경삼림사랑은 비를 타고
파일:OGTR9.jpg
파일:OGTR10.jpg
파일:OGTR11.jpg
파일:OGTR12.jpg
파일:OGTR13.jpg
Re. 9}}}
2021. 10. 6.
Re. 10}}}
2021. 11. 18.
Re. 11}}}
2022. 2. 24.
Re. 12}}}
2022. 4. 20.
Re. 13}}}
2022. 9. 21.
브이 포 벤데타타이타닉해피 투게더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샤이닝
파일:OGTR14.jpg
파일:OGTR15.jpg
파일:OGTR16.jpg
파일:OGTR17.jpg
파일:OGTR18.jpg
Re. 14}}}
2022. 11. 2.
Re. 15}}}
2023. 2. 8.
Re. 16}}}
2023. 4. 1.
Re. 17}}}
2023. 5. 27.
Re. 18}}}
2023. 6. 28.
오즈의 마법사다크 나이트겨울왕국헤드윅
파일:OGTR19.jpg
파일:OGTR20.jpg
파일:OGTR21.jpg
파일:OGTR22.jpg
Re. 19}}}
2023. 9. 9.
Re. 20}}}
2023. 11. 15.
Re. 21}}}
2023. 11. 30.
Re. 22}}}
2023. 12. 6.

⠀[  Special  ]⠀
브링 더 소울: 더 무비겨울왕국 2: 싱어롱기생충: 흑백판알라딘메가박스 20주년 기념 골든 티켓
파일:OGTS1.jpg
파일:OGTS2.jpg
파일:OGTS3.jpg
파일:OGTS4.jpg
파일:OGTS5.jpg
Sp. 1}}}
2019. 8. 7.
Sp. 2}}}
2019. 12. 14.
Sp. 3}}}
2020. 4. 29.
Sp. 4}}}
2020. 7. 23.
Sp. 5}}}
2020. 8. 6.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자우림, 더 원더랜드마이 샤이니 월드
파일:OGTS6.jpg
파일:OGTS6-2.jpg
파일:OGTS7.jpg
파일:OGTS8.jpg
Sp. 6}}}
2021. 1. 27.
Sp. 6}}}
2021. 6. 16.
Sp. 7}}}
2023. 6. 10.
Sp. 8}}}
2023. 11. 10.


파일:씨네Q 로고.svg
⠀[ No. 1-20 ]⠀
킬러의 보디가드 2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블랙 위도우내 남자친구의 결혼식랑종
파일:SPT1.jpg
파일:SPT2.jpg
파일:SPT3.jpg
파일:SPT4.jpg
파일:SPT5.jpg
No. 1}}}
2021. 6. 23.
No. 2}}}
2021. 6. 30.
No. 3}}}
2021. 7. 14.
No. 4}}}
2021. 7. 14.
No. 5}}}
2021. 7. 14.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모가디슈인질귀문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파일:SPT6.jpg
파일:SPT7.jpg
파일:SPT8.jpg
파일:SPT9.jpg
파일:SPT10.jpg
No. 6}}}
2021. 7. 21.
No. 7}}}
2021. 7. 28.
No. 8}}}
2021. 8. 18.
No. 9}}}
2021. 8. 25.
No. 10}}}
2021. 9. 1.
보이스정글의 아이, 코코그래비티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파일:SPT11.jpg
파일:SPT12.jpg
파일:SPT13.jpg
파일:SPT14.jpg
파일:SPT15.jpg
No. 11}}}
2021. 9. 15.
No. 12}}}
2021. 9. 22.
No. 13}}}
2021. 10. 6.
No. 14}}}
2021. 10. 13.
No. 15}}}
2021. 10. 20.
라스트 듀얼: 최후의 결투이터널스연애 빠진 로맨스유체이탈자엔칸토: 마법의 세계
파일:SPT16.jpg
파일:SPT17.jpg
파일:SPT18.jpg
파일:SPT19.jpg
파일:SPT20.jpg
No. 16}}}
2021. 10. 20.
No. 17}}}
2021. 11. 10.
No. 18}}}
2021. 11. 24.
No. 19}}}
2021. 11. 24.
No. 20}}}
2021. 11. 24.
>
⠀[ No. 21-40 ]⠀
팬텀: 더 뮤지컬 라이브라스트 나잇 인 소호매트릭스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파일:SPT21.jpg
파일:SPT22.jpg
파일:SPT23.jpg
파일:SPT24.jpg
파일:SPT25.jpg
No. 21}}}
2021. 12. 1.
No. 22}}}
2021. 12. 1.
No. 23}}}
2021. 12. 9.
No. 24}}}
2021. 12. 15.
No. 25}}}
2021. 12. 22.
매트릭스: 리저렉션특송하우스 오브 구찌킹메이커나일 강의 죽음
파일:SPT26.jpg
파일:SPT27.jpg
파일:SPT28.jpg
파일:SPT29.jpg
파일:SPT30.jpg
No. 26}}}
2021. 12. 22.
No. 27}}}
2022. 1. 12.
No. 28}}}
2022. 1. 19.
No. 29}}}
2022. 1. 26.
No. 30}}}
2022. 2. 16.
더 배트맨뜨거운 피모비우스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파일:SPT31.jpg
파일:SPT32.jpg
파일:SPT33.jpg
파일:SPT34.jpg
파일:SPT35.jpg
No. 31}}}
2022. 3. 1.
No. 32}}}
2022. 3. 23.
No. 33}}}
2022. 3. 30.
No. 34}}}
2022. 4. 13.
No. 35}}}
2022. 5. 4.
범죄도시2쥬라기 월드: 도미니언브로커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버즈 라이트이어(애니메이션)
파일:SPT36.jpg
파일:SPT37.jpg
파일:SPT38.jpg
파일:SPT39.jpg
파일:SPT40.jpg
No. 36}}}
2022. 5. 18.
No. 37}}}
2022. 6. 1.
No. 38}}}
2022. 6. 8.
No. 39}}}
2022. 6. 15.
No. 40}}}
2022. 6. 15.

⠀[ No. 41-60 ]⠀
탑건: 매버릭헤어질 결심토르: 러브 앤 썬더외계+인 1부
파일:SPT41.jpg
파일:SPT42.jpg
파일:SPT43.jpg
파일:SPT44.jpg
파일:SPT45.jpg
No. 41}}}
2022. 6. 22.
No. 42}}}
2022. 7. 6.
No. 43}}}
2022. 7. 6.
No. 44}}}
2022. 7. 13.
No. 45}}}
2022. 7. 20.
한산: 용의 출현비상선언오싹한 동거불릿 트레인파라다이스 하이웨이
파일:SPT46.jpg
파일:SPT47.jpg
파일:SPT48.jpg
파일:SPT49.jpg
파일:SPT50.jpg
No. 46}}}
2022. 8. 3.
No. 47}}}
2022. 8. 3.
No. 48}}}
2022. 8. 17.
No. 49}}}
2022. 8. 24.
No. 50}}}
2022. 8. 26.
공조2: 인터내셔날아바타 리마스터링늑대사냥정직한 후보 2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
파일:SPT51.jpg
파일:SPT52.jpg
파일:SPT53.jpg
파일:SPT54.jpg
파일:SPT55.jpg
No. 51}}}
2022. 9. 7.
No. 52}}}
2022. 9. 21.
No. 53}}}
2022. 9. 21.
No. 54}}}
2022. 9. 28.
No. 55}}}
2022. 9. 28.
대무가블랙 아담프로메어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데시벨
파일:SPT56.jpg
파일:SPT57.jpg
파일:SPT58.jpg
파일:SPT59.jpg
파일:SPT60.jpg
No. 56}}}
2022. 10. 12.
No. 57}}}
2022. 10. 19.
No. 58}}}
2022. 10. 20.
No. 59}}}
2022. 11. 9.
No. 60}}}
2022. 11. 16.

⠀[ No. 61-80 ]⠀
올빼미원피스 필름 레드압꾸정아바타: 물의 길영웅
파일:SPT61.jpg
파일:SPT62.jpg
파일:SPT63.jpg
파일:SPT64.jpg
파일:SPT65.jpg
No. 61}}}
2022. 11. 23.
No. 62}}}
2022. 11. 30.
No. 63}}}
2022. 11. 30.
No. 64}}}
2022. 12. 14.
No. 65}}}
2022. 12. 21.
3000년의 기다림더 퍼스트 슬램덩크교섭유령바빌론
파일:SPT66.jpg
파일:SPT67.jpg
파일:SPT68.jpg
파일:SPT69.jpg
파일:SPT70.jpg
No. 66}}}
2023. 1. 4.
No. 67}}}
2023. 1. 4.
No. 68}}}
2023. 1. 18.
No. 69}}}
2023. 1. 18.
No. 70}}}
2023. 2. 1.
다음 소희타이타닉: 25주년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궁지에 몰린 쥐는 치즈 꿈을 꾼다카운트
파일:SPT71.jpg
파일:SPT72.jpg
파일:SPT73.jpg
파일:SPT74.jpg
파일:SPT75.jpg
No. 71}}}
2023. 2. 8.
No. 72}}}
2023. 2. 8.
No. 73}}}
2023. 2. 15.
No. 74}}}
2023. 2. 17.
No. 75}}}
2023. 2. 22.
대외비스즈메의 문단속소울메이트샤잠! 신들의 분노모나리자와 블러드 문
파일:SPT76.jpg
파일:SPT77.jpg
파일:SPT78.jpg
파일:SPT79.jpg
파일:SPT80.jpg
No. 76}}}
2023. 3. 1.
No. 77}}}
2023. 3. 8.
No. 78}}}
2023. 3. 15.
No. 79}}}
2023. 3. 15.
No. 80}}}
2023. 3. 22.

⠀[ No. 81-100 ]⠀
던전 앤 드래곤: 도적들의 명예존 윅 4킬링 로맨스라이스보이 슬립스드림
파일:SPT81.jpg
파일:SPT82.jpg
파일:SPT83.jpg
파일:SPT84.jpg
파일:SPT85.jpg
No. 81}}}
2023. 3. 29.
No. 82}}}
2023. 4. 12.
No. 83}}}
2023. 4. 14.
No. 84}}}
2023. 4. 19.
No. 85}}}
2023. 4. 26.
무명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동물소환 닌자 배꼽수비대롱디인어공주
파일:SPT86.jpg
파일:SPT87.jpg
파일:SPT88.jpg
파일:SPT89.jpg
파일:SPT90.jpg
No. 86}}}
2023. 4. 26.
No. 87}}}
2023. 5. 3.
No. 88}}}
2023. 5. 4.
No. 89}}}
2023. 5. 13.
No. 90}}}
2023. 5. 24.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리마스터링범죄도시3라이드 온그 여름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파일:SPT91.jpg
파일:SPT92.jpg
파일:SPT93.jpg
파일:SPT94.jpg
파일:SPT95.jpg
No. 91}}}
2023. 5. 24.
No. 92}}}
2023. 5. 31.
No. 93}}}
2023. 5. 31.
No. 94}}}
2023. 6. 7.
No. 95}}}
2023. 6. 14.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BTS Solo Documentaries엘리멘탈플래시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파일:SPT96.jpg
파일:SPT97.jpg
파일:SPT98.jpg
파일:SPT99.jpg
파일:SPT100.jpg
No. 96}}}
2023. 6. 14.
No. 97}}}
2023. 6. 16.
No. 98}}}
2023. 6. 14.
No. 99}}}
2023. 6. 14.
No. 100}}}
2023. 6. 21.

⠀[ No. 101-120 ]⠀
귀공자굿바이여름날 우리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보 이즈 어프레이드
파일:SPT101.jpg
파일:SPT102.jpg
파일:SPT103.jpg
파일:SPT104.jpg
파일:SPT105.jpg
No. 101}}}
2023. 6. 21.
No. 102}}}
2023. 6. 21.
No. 103}}}
2023. 6. 28.
No. 104}}}
2023. 6. 28.
No. 105}}}
2023. 7. 5.
바비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밀수헌티드 맨션비공식작전
파일:SPT106.jpg
파일:SPT107.jpg
파일:SPT108.jpg
파일:SPT109.jpg
파일:SPT110.jpg
No. 106}}}
2023. 7. 19.
No. 107}}}
2023. 7. 20.
No. 108}}}
2023. 7. 26.
No. 109}}}
2023. 7. 26.
No. 110}}}
2023. 8. 2.
더 문콘크리트 유토피아보호자달짝지근해: 7510
파일:SPT111.jpg
파일:SPT112.jpg
파일:SPT113.jpg
파일:SPT114.jpg
파일:SPT115.jpg
No. 111}}}
2023. 8. 2.
No. 112}}}
2023. 8. 9.
No. 113}}}
2023. 8. 15.
No. 114}}}
2023. 8. 15.
No. 115}}}
2023. 9. 6.
닌자터틀: 뮤턴트 대소동베니스 유령 살인사건그란 투리스모거미집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
파일:SPT116.jpg
파일:SPT117.jpg
파일:SPT118.jpg
파일:SPT119.jpg
파일:SPT120.jpg
No. 116}}}
2023. 9. 14.
No. 117}}}
2023. 9. 13.
No. 118}}}
2023. 9. 20.
No. 119}}}
2023. 9. 27.
No. 120}}}
2023. 9. 27.

⠀[ No. 121-140 ]⠀
1947 보스톤크리에이터화란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블루 자이언트
파일:SPT121.jpg
파일:SPT122.jpg
파일:SPT123.jpg
파일:SPT124.jpg
파일:SPT125.jpg
No. 121}}}
2023. 9. 27.
No. 122}}}
2023. 10. 3.
No. 123}}}
2023. 10. 11.
No. 124}}}
2023. 10. 12.
No. 125}}}
2023. 10. 18.
소년들만추 리마스터링더 마블스뉴 노멀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파일:SPT126.jpg
파일:SPT127.jpg
파일:SPT128.jpg
파일:SPT129.jpg
파일:SPT130.jpg
No. 126}}}
2023. 11. 1.
No. 127}}}
2023. 11. 8.
No. 128}}}
2023. 11. 8.
No. 129}}}
2023. 11. 8.
No. 130}}}
2023. 11. 8.
다크 나이트헝거게임: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서울의 봄괴물싱글 인 서울
파일:SPT131.jpg
파일:SPT132.jpg
파일:SPT133.jpg
파일:SPT134.jpg
파일:SPT135.jpg
No. 131}}}
2023. 11. 15.
No. 132}}}
2023. 11. 15.
No. 133}}}
2023. 11. 22.
No. 134}}}
2023. 11. 29.
No. 135}}}
2023. 11. 29.
나폴레옹3일의 휴가냉정과 열정 사이배트맨말하고 싶은 비밀
파일:SPT136.jpg
파일:SPT137.jpg
파일:SPT138.jpg
파일:SPT139.jpg
파일:SPT140.jpg
No. 136}}}
2023. 12. 6.
No. 137}}}
2023. 12. 6.
No. 138}}}
2023. 12. 13.
No. 139}}}
2023. 12. 13.
No. 140}}}
2023. 12. 1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12:44:51에 나무위키 듄: 파트 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PA No.54589[2] IMAX 팬 시사회[3] 미국배우조합 파업 여파로 기존 2023년 11월에서 2024년 3월로 개봉이 연기되었다.[4] 2월 27일에 전야제 개봉하였다.[5] 듄(2021) 포함 연속 상영회이며, 메가박스 한정 재개봉이다. 27일까지 상영한다.[6] 출처 제작비와는 별개로 마케팅비가 1억 달러 이상 추가로 지출되었다고 한다. #[7] 추정되는 손익분기점은 약 5억 달러 수준이라고 한다. #[8] 등급분류 결정내용: 주제의 이해도를 비롯하여, 돌덩이로 군인을 내리치는 장면, 칼로 베거나 찌르는 장면, 칼, 총, 전투기를 사용한 검투와 전투 속 살상 묘사, 화염에 불타는 거대 구조물, 시신들이 모래더미 속에 빠져들어가는 모습 등이 있으나 대부분 간접적이거나 간결하게 표현되어 폭력성 및 공포의 수위가 보통인 12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
[9] 차콥사어로는 "Yah Hya Chouhada." 영화에서는 "Addam reshii a-zaanta."출처[10] 원문: Olympic sword-master crossed with a psychotic serial killer[11] 원문: a vital piece in the chess game of this story[12] 다만 기존 예고편의 상하를 확장한 확장 비율의 1.43:1이 아닌 좌우를 크롭한 1.43:1을 상영하였다.[13] 프레멘 이름으로 '우슬' 이라고도 불리운다.[14] 폴의 예지몽에서만 등장한다.[15] 이쪽은 아예 주인공 프로도가 반지를 소유하고 있던 17년의 시간을 단 몇 달로 압축해버렸다.[16] 라스건이 유일하게 뚫을수 없는 것이 방어막인데,만약 레이저로 방어막을 건드릴 경우 도시 규모의 핵 폭발이 일어나고 영화가 끝난다[17] 기계의 반란을 우려한 종교단체가 인공지능 등 기계를 무력화시켰고,주술적인 힘이 발달해 역사적으로 관련된 의미를 지녔던 칼을 장려했다는 설정[원문] For me, I dont think its too much to say that if Dune: Part One was Star Wars, this to me was very much The Empire Strikes Back, which is my favorite of the Star Wars films. And I just think its an incredibly exciting expansion of all the things you introduced in the first one.[18] 척 존스가 감독한 1952년작 루니 툰 단편 애니메이션. 로드 러너와일 E. 코요테가 주연이다.[19] 이 중 티모시 샬라메의 절친이자 젠데이아의 연인인 톰 홀랜드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