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 음악중심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프로그램의 명칭과 유사한 슬로건을 사용하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에 대한 내용은 KBS 2FM 문서
KBS 2FM번 문단을
KBS 2FM#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4년 방송 목록에 대한 내용은 쇼! 음악중심/차트/2024년 문서
쇼! 음악중심/차트/2024년번 문단을
쇼! 음악중심/차트/2024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음악방송 편성표

[ 펼치기 · 접기 ]

KBS 계열
월 22:00가요무대 (KBS 1TV)
목·금 00:00KBS 중계석 (KBS 1TV)
목 16:00누가 누가 잘하나 (KBS 2TV)
금 17:05뮤직뱅크 (KBS 2TV)
금 20:30이십세기 힛-트쏭 (KBS joy)
금 22:00더 시즌즈 (KBS 2TV)
토 12:10국악한마당 (KBS 1TV)
토 18:05불후의 명곡 (KBS 2TV)
일 12:10전국노래자랑 (KBS 1TV)
일 17:40열린음악회 (KBS 1TV)
MBC 계열 (미표시는 전국 지상파 방송)
수 00:50TV 예술무대
수 17:00쇼챔피언 (MBC M, MBC every1)
목 20:00트롯챔피언 (MBC ON)
토 01:00문화콘서트 난장 (광주문화방송)
토 15:15쇼! 음악중심
일 18:05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일 21:10송스틸러
SBS 계열 (미표시는 전국 지상파 방송)
월 20:00더트롯쇼 (SBS M)
화 18:00더 쇼 (SBS M)
금 00:20문화가중계
금 17:50열린예술무대 뒤란 (울산방송)
토 11:00전국 TOP 10 가요쇼 (청주방송)
일 15:20SBS 인기가요
EBS 1TV
토 00:00EBS 스페이스 공감
TV CHOSUN
화 22:00조선의 남매들 미스&미스터트롯
목 22:00미스쓰리랑
금 22:00미스터 로또
MBN
월 21:10불타는 장미단
화 22:00한일톱텐쇼
엠넷
목 18:00엠 카운트다운
KFN TV
토 20:00위문열차
아리랑 TV
수 13:00I'm Live
금 13:00Simply K-Pop CON-TOUR
ENA
매월 둘째 주 금 18:30ENA 케이팝업 차트쇼



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예능 프로그램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height=80><width=25%> 파일:안싸우면 다행이야.png
21:00
||<width=25%> 파일:피의 게임 로고 고화질.png
22:30
||<width=25%> 파일:라디오스타로고.png
22:30
||<width=25%> 파일:attachment/nhnjsnda.png
23:10
||
||<height=80> 파일:쇼! 음악중심로고 20190601.png
15:30, UHD
|| 파일:놀면 뭐하니 - 로고 1.png
18:25
|| 파일:전지적 참견 시점 로고.png
23:10
|| 파일:서프라이즈 로고.png
10:40
||
||<height=80> 파일:출비 로고.png
12:10
|| 파일:attachment/bkmngwng.png
18:05
|| 파일:방과후 설렘 로고(소).jpg
21:00
|| 파일:구해줘! 홈즈 로고.png
22:50
||
||<-4>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음악중심만 중간광고 제외 ||




K-POP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일반K-POP (역사 · 해외 · 평가) · 한류 음악산업 통계 · 한국 음원시장
아티스트 분류한국 가수 · 한국 아이돌 (목록 · 역사) · 다국적 아이돌 그룹현지화 아이돌 그룹
걸그룹 (목록 · 역사 · 포지션) · 보이그룹 (목록 · 역사 · 포지션) · 혼성그룹
유닛 · 남성 솔로 · 여성 솔로
2인조 · 3인조 · 4인조 · 5인조 · 6인조 · 7인조 · 8인조 · 9인조 · 10인조 이상
그룹이 변경된 아이돌 · 연기돌 · 형제 그룹 (자매 그룹)
매니지먼트 및
프로듀싱
연예 기획사 · 대형 기획사 (4대 기획사: SM · JYP · YG · HYBE) · 프로듀서 · 매니저 · 연습생 (조언) · 오디션 · 서바이벌 프로그램
팬 문화팬덤 (목록 (아이돌 그룹)) · 응원도구 · 응원문구 · 굿즈#아이돌 산업에서의 굿즈 (그룹별) · 삼촌팬 · 홈페이지 마스터 · 총공
직캠 · 안무 영상 · 팬송 · 오프 (팬사인회 · 팬미팅 · 위문공연) · 소속사 안티 · MR 제거 · 리액션 비디오 · 커버 · 교차편집 · 엔딩요정 · 군통령 · 군백기 · 팬튜브
각종 기록 및
순위
써클차트 (1억 스밍 · 2억 스밍 · 250만 다운 · 500만 다운 / 주간 1위 · 월간 1위 · 연간 1위) · 멜론 차트 (주간 1위 · 월간 1위 · 연간 1위 ) · 지니차트 · 벅스차트 · 한터차트 · 아이차트
유튜브 조회수 순위 (최초 24시간 · 1억 달성 시간) · 유튜브 좋아요 순위 · 유튜브 구독자 순위
케이팝 레이더 · 빌보드 차트 한국 가수 기록 · 컴백 기록 · 역대 지상파 음악방송 1위 기록
초동 기록 (걸그룹 · 보이그룹 · 솔로 가수 · 한국 가수) · 총판 기록 (걸그룹 · 보이그룹 · 솔로 가수 · 한국 가수)
대중음악 시상식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 멜론 선정 K-POP 명곡100 · 멜론의 전당 · 멜론 선정 명반
활동 플랫폼콘서트 (공연장, MC) · 유튜브 채널 · K-POP 플랫폼
음악 방송 · 뮤직뱅크 (차트 · 순위) · 쇼! 음악중심 (차트 · 순위) · SBS 인기가요 (차트 · 순위) · 엠 카운트다운 (순위) · 쇼챔피언 (순위) · 더 쇼 (순위) · Simply K-Pop · MC
논란 및 문제점한국 아이돌/비판 및 문제점 · 음원 사재기 · 음반 사재기 · 아이돌 7년 징크스 · 악성 개인팬 · 사생팬 · 극성팬 · 까빠 · 외퀴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토요일 프로그램
이전ON AIR다음
09:30~15:1515:15~16:4016:40~18:30
MBC 뉴스 (정오 시간대)
재방송
쇼! 음악중심나 혼자 산다 스페셜

쇼! 음악중심
SHOW! MUSIC CORE
파일:2023.11. 11 4분기 음악중심 MC.jpg
채널MBC TV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선정성, 언어)[1]
기간2005. 10. 29. ~ 2017. 09. 02.[2]
2017. 11. 25. ~
ON AIR

편성토요일 15:15[3]
기획최행호연출노시용, 윤혜진, 채현석
AD김문섭작가이성정, 김수지, 노민선,
이나연, 홍수경
진행영훈, 설윤, 이정하
스트리밍
Wavve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최다 1위 가수남성: 방탄소년단 (40회) / 여성: 아이유 (24회)
1. 개요
3. PPL
6. 역대 진행자 목록
6.1. 역대 스페셜 MC 목록
7. 역대 로고
9. 코리안 뮤직 웨이브
10. 지역 자체 방송
11. 방송 사고
12. 편성 변동 및 결방 사유
13. 유튜브 콘텐츠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음악의 중심, 쇼! 음악중심! 다음 주에도 기대하~ 쇼, 쇼, 쇼! 안녕~[4]

[5]

2005년 10월 29일부터 매주 토요일 오후 3시 15분에 MBC TV와 유튜브 MBC WORLD# 채널과 터치 MBC 어플에서 동시 방영하는[6] MBC생방송[7] 가요 순위 프로그램.[8] 줄여서 음중이라고 부르며 해외에선 'Music Core' 혹은 'Music Centre' 등으로 불리고 있다. 현재는 더보이즈영훈, NMIXX설윤, 배우 이정하가 방송을 진행 중이다.

공개 생방송[9]상암 MBC 신사옥 미디어센터 공개홀에서 진행한다. 2014년 9월 13일부터 MBC 상암동 신사옥에서 진행, 2008년 2월 2일까지는 여의도 방송센터 D스튜디오에서, 같은 해 2월 16일부터 2014년 8월 30일까지는 일산 드림센터 6스튜디오에서 진행했다. 참고[10][11][12]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쇼! 음악중심/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PPL[편집]


시기PPL
2010.6.5 ~ 7.31노키아
2010.8.7 ~ 2011.8.20네이버 뮤직
2011.8.27 ~ 2012.3.10올레 뮤직
2012.4.21 ~ 6.9SK텔레콤
2014.8.16 ~ 2018.3.3멜론
2019.8.24 ~ 2020.7.18네이버 VIBE
2020.9.26 ~ 2021.5.8FLO
2023.1.7 ~ 2023.12.23
프로그램 PPL이 허용된 이후 노래 제목 자막에 노키아, 네이버 뮤직, 올레뮤직의 광고가 쓰였다가 사라졌다. 또한 매주 한 아티스트에 대한 응원 메시지를 남기는 형식으로 미투데이의 광고가 삽입되기도 했으나 사라졌다. 2012년 4월 SK텔레콤의 광고가 삽입되었다가 같은 해 6월 사라졌다. 2014년 8월부터 2018년 3월까지 노래 소개 시 멜론의 광고가 나왔다. 2013년 4월 순위제가 도입되고 자체 자막에 순위가 떴는데, 멜론 PPL 시행 이후 곡 제목 자막에 순위가 뜨지 않았다. 멜론 PPL은 504회(2016년 5월 4일)부터 멜론 디자인 개편으로 디자인, CG가 변경되었다가 520회(2016년 9월 3일)부터 멜론의 로고 변경으로 인해 또 다시 변경되었다. 그러다 2018년 3월부터 복면가왕과 동시에 멜론 PPL 광고를 종료하였다. 그러나 멜론 PPL 이전의 자체 자막이 아닌 새로운 자체 자막이 도입되었다. 이때도 제목 자막에 차트 순위가 뜨지 않았다. 2개월 후, 복면가왕은 다시 멜론 광고를 시행 중이지만 음악중심은 따로 PPL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가, 2019년 8월부터 2020년 7월까지 네이버 VIBE의 광고를 시행했다. 2020년 7월부터 자체 자막 디자인으로 변경하였다가, 같은 해 9월부터 2021년 5월까지 FLO의 광고를 시행했다. 그리고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다시 FLO의 광고를 시행했다. 현재는 자체 자막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13][14]

4. 쇼! 음악중심 차트[편집]






4.1. 쇼! 음악중심 차트 역대 1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쇼! 음악중심/차트/1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쇼! 음악중심 차트 최고 점수 TOP 10[편집]


동점인 경우 날짜가 빠른 순으로 기재한다. 집계 기준별 최고 점수는 쇼! 음악중심/차트에 정리되어 있다. 2024년 현재 기준 만점이 10,000점이므로 이 기록들은 깨기 불가능하다.
순위날짜가수곡명점수비고
1위2020.12.5방탄소년단Life Goes On11,881
2위2020.12.1210,981
3위2020.1.4Red VelvetPsycho10,895
4위2020.6.13TWICEMORE & MORE10,871
5위2020.4.25Apink덤더럼(Dumhdurum)10,780
6위2021.4.24강다니엘Antidote10,702
7위2020.11.28방탄소년단Life Goes On10,656
8위2020.11.14Dynamite10,630
9위2020.9.2610,602
10위2020.3.7ON10,518

4.3. 쇼! 음악중심 차트 최다 수상[편집]


동회인 경우 날짜가 빠른 순으로 기재한다. 이 외 다관 수상 기록은 쇼! 음악중심/차트에 정리되어 있다. 이후 M-Chart 집계 기준이 발매 후 2달 이내의 곡 (단, 3주 (2024년 4월 13일 이전 5주) 연속 1위 제외)으로 변경되면서 이 기록은 깨기 불가능하다.



5. 코너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쇼! 음악중심/코너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역대 진행자 목록[편집]


진행자방송 기간역대
신동욱, 홍수아2005.10.29 ~ 2006.04.291대
브라이언, 장미인애2006.05.04 ~ 2006.11.042대
브라이언, 김현중2006.11.11 ~ 2007.03.313대
브라이언, 안소희, 현아[15]2007.05.26 ~ 2007.06.30[16]4대
브라이언, 강인2007.07.07 ~ 2007.11.035대
안소희, T.O.P, 선예2007.11.10 ~ 2008.04.266대
솔비, 대성, 승리2008.05.10 ~ 2009.03.287대
티파니, 유리2009.04.04 ~ 2012.01.288대
지연, 수지, 온유, 민호2010.10.30 ~ 2011.07.099대
지연, 수지2011.07.16 ~ 2011.10.08[17]
소녀시대-태티서2012.02.18 ~ 2013.04.1310대
민호, 김소현, 노홍철2013.04.20 ~ 2014.06.2811대
민호, 김소현, 지코2014.07.19 ~ 2015.04.18[18]12대
민호, , 예리2015.05.09 ~ 2015.11.1413대
김새론, 김민재2015.11.21 ~ 2016.09.2414대
김새론, 차은우, 이수민2016.10.01 ~ 2017.04.1515대
차은우, 박시연2017.04.22 ~ 2018.01.27[19]16대
강미나, 마크, 옹성우2018.02.24 ~ 2018.09.22[20]17대
강미나, 마크2018.09.29 ~ 2019.01.12-
강미나2019.01.19 ~ 2019.02.02[21]
강미나, 찬희, 현진2019.02.16 ~ 2020.05.3018대
찬희, 현진, 김민주2020.06.13 ~ 2021.02.1319대
찬희, 김민주2021.02.20 ~ 2021.04.24[22]
찬희, 김민주, 예지2021.05.01 ~ 2021.07.1720대
김민주, 정우, 리노[23]2021.08.14 ~ 2023.01.2821대
정우, 리노[24]2023.02.04 ~ 2023.04.08-
정우, 리노, 설윤[25]2023.04.15 ~ 2023.11.0422대
설윤, 영훈, 이정하2023.11.11 ~ 현재23대

유독 쇼! 음악중심 같은 경우 MC 교체 시 논란이 가장 많은 편이었다. 2010년 민호, 온유 그리고 2015년 예리의 MC 투입은 SM 밀어주기 아니냐는 논란이 많으며 또한 2014년 지코, 2015년 김민재, 김새론 투입은 전 MC에 비해 별로라며 진행 전부터 거센 비난을 들어야만 했다.

그렇다고 해서 쇼! 음악중심 MC 조합이 별로였던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2009~2012년 유리, 티파니 조합이나 2010~2011년 수지, 지연, 민호, 온유 조합 같은 경우 호평이 많았으며 특히 2013년 4월, 최고의 아역 배우로 사랑받는 김소현과 2년 만에 다시 돌아온 민호 그리고 당시 무한도전으로 엄청난 인기를 받았던 노홍철이 순위제 재신설과 동시에 투입되면서 쇼! 음악중심의 MC는 당시 음악 방송 MC 조합 중 넘사벽 급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다만, 노홍철의 진행이 다소 부담스러웠다는 의견도 없진 않았지만 역시 무한도전 버프인지 호평이 훨씬 더 많았다. 그러나 2014년 6월 말, 음악중심 기획 PD가 바뀌고 3개월 후 노홍철을 사실상 강제 하차시켰다.[26]

지코 투입 후에 예전만큼은 아니었지만 일단 음악 방송 MC 조합 TOP 자리는 계속 유지하였다. 하지만 이슈화되지는 않았지만 과도한 스페셜 MC 투입으로 잠시 비난을 받기도 하다가 지코가 진행을 맡은 지 어느 정도 시기가 지나자 특집 방영분과 일부를 제외하곤 민호와 지코를 번갈아 가며 격주로 각각 출연시키고 그 빈 자리를 스페셜 MC로 대신 메꾸는 일이 다반사였다. 그러다 보니 기존 민호, 지코, 김소현 3MC의 신선한 진행을 볼 기회가 현저히 줄어들게 되면서 MC 조합의 선호도가 하락세를 타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이후에 하락세는 계속되었다. 2015년 4월, 김소현지코 하차 후[27] 동년 5월, 예리[28]를 투입시키지만 KBS 뮤직뱅크의 아이린, 박보검 조합이 수직 상승하면서 결국 MC 조합 TOP 자리에서 내려오게 된다. 그래도 스페셜 MC 투입 횟수는 현저히 줄어들었고 신선하며 순수한 진행 덕분인지 처음에는 혹평이 많았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호평이 더욱 많아 다시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동년 11월, 프로그램 개편으로 MC들을 당일 통보 강제 하차시키면서 레베럽을 중심으로 엄청난 비난을 받게 된다.

그리고 나서 투입된 김민재, 김새론 조합은 역대 가장 혹평을 받은 음악 방송 MC 조합으로 찍히게 된다. 이후 각종 기사나 게시판에서 음악 방송 MC 조합 중 가장 언급이 적게 되며 사실상 음악 방송 MC 조합들의 하위권이라도 봐도 무방하다. 그렇게 조용히 진행하다가 2016년 9월 24일 김민재가 드라마 촬영 스케줄로 하차한다.

이어 2016년 10월 1일부터 이수민차은우가 투입되어 3MC 체제가 부활하게 되었으며, 또한 둘의 등장으로 MC들의 평균 나이가 더 어려졌다.

2017년 4월 15일 봄 개편과 함께 김새론, 이수민이 하차하였으며, 그 다음주인 4월 22일부터 당시 PRISTIN의 멤버였던 박시연이 들어오며 차은우와 다시 2MC 체제로 진행하게 되었다. 기사

2018년 1월 27일 박시연차은우가 모두 하차하였다. 그 다음주인 2월 3일 방송은 Red Velvet 예리iKON 비아이, 바비 3명이 임시 진행하였고,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 방송으로 2주간 결방된 후 2월 24일부터 NCT마크, 당시 Wanna One 소속이었던 옹성우구구단 소속이었던 강미나 3인 체제로 진행하게 되었다. 기사

2018년 9월 20일 옹성우가 MC에서 하차하였다. 기사 이후에는 미나와 마크 2인 MC 체제로 진행되었고, 가끔 스페셜 MC가 투입되어 진행되었다.

이후 마크가 2019년 1월 12일 하차하였고, 2월 2일까지 강미나를 제외하고는 스페셜 MC가 들어오다가[29] 2월 9일 설 연휴로 결방되었고, 그 다음주인 2월 16일부터 SF9 찬희, Stray Kids 현진이 새 MC로 투입되었다.

2020년 5월 30일을 끝으로 강미나가 MC에서 하차하였다. 기사 이어 현충일 프로야구 중계 편성으로 인해 한 주 건너뛴 뒤인 6월 13일부터 당시 IZ*ONE으로 활동했던 김민주가 새 진행자로 합류하였다. 기사 참고로 여성 MC로는 이수민 이후 2001년생이 다시 진행자로 들어왔으며, 전임자전전임자에 이어 또 다시 프로듀스 101 시리즈 출신이 발탁되었다.

2021년 2월 20일 현진이 그룹 팬미팅으로 불참한 자리에 인기드라마 펜트하우스에서 배로나 역을 맡은 배우 김현수가 스폐셜 MC를 맡았다. 임시 MC지만 이수민, 김새론 이후 오랜만에 MC 자리에 배우가 투입되었고, 특이 사항으로 펜트하우스의 SBS가 아닌 MBC를 통해 음악 방송을 밟아보게 되었다.[30] 참고로 김현수는 신입사관 구해령 특별 출연 이후 약 2년만에 MBC에 출연했다.

해당 방송 며칠 뒤 현진이 학교폭력 논란[31]으로 활동을 중단하면서 2월 27일부터 사실상 하차하였다. 팬미팅 스케줄로 불참하기 전에는 제작진으로부터 MC 2주년을 축하하며 종신 계약을 하자는 문구의 맞춤 케이크도 선물 받으면서 나름 장수 MC 쪽에 속하는 듯하였지만, 웃프게도 그 날이 마지막이 되어버렸다. 불명예 하차이지만 나름 타이밍이 도와준 건지 팬미팅 종료 후 사건이 수면 위로 터지는 바람에 스케줄 불참 이후로 자연스레 안나오는 것으로 되어지면서 갑작스레 강제적으로 짤리는 모양새는 얼떨결에 면하게 되었다. 빈자리는 라디오스타가 그랬던 것처럼 스페셜 MC 체제로 채워지다, 5월 초부터 ITZY예지가 반고정으로 투입되었다.[32]

2021년 7월 17일을 끝으로 찬희가 하차하였다. 찬희와 같은 날 투입 되었던 현진 역시 원래였다면 이날 같이 하차 소감을 전할 수 있었을 것인데, 과거의 논란이 발목을 잡으며 마무리를 깔끔하게 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후 3주동안 올림픽 중계로 인한 결방된 뒤 8월 14일부터 NCT정우Stray Kids리노가 새 MC로 발탁되었다. 세 명 각각의 본명인 김정우, 김민주, 이민호의 끝글자를 딴 '우주호'[33]라는 이름이 세 MC에게 붙여졌다.

2023년 1월 13일, 매체를 통해 김민주의 MC 하차 소식이 알려졌다. 마지막 방송은 1월 28일이 된다.

2023년 3월 23일, 김민주의 후임 MC로 NMIXX설윤이 발탁되었다는 단독 보도가 나왔으며, 이후 4월 6일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 # 4월 8일 방송은 NMIXX가 뮤직뱅크 인 파리 참석으로 인해 불참하는 관계로, 정식 진행은 4월 15일부터이다.

2023년 11월 4일을 끝으로 정우리노가 하차하게 되고, 더보이즈영훈, 배우 이정하가 새 MC로 발탁되어 진행하게 된다.

역대 최장수 MC는 도합 3년 2개월을 진행했던 민호[34]이다. 역대 최장수 여자 MC는 도합 2년 10개월을 진행했던 티파니[35]가 했다. 또한 역대 최연소 MC로는 안소희현아로, 만 14세 나이에 MC를 진행했다.

6.1. 역대 스페셜 MC 목록[편집]


스페셜 MC 목록
~2010년
2007년
날짜인물소속 그룹[1]
4월 7일배슬기-
4월 14일원더걸스[A]
4월 21일윤하-
4월 28일아이비
5월 12일안소희, 현아원더걸스
5월 19일남규리씨야
2008년
5월 24일앤디신화
6월 7일SS501[A]
2009년
1월 31일소녀시대[A]
9월 5일수영, 서현소녀시대
9월 12일오상진-
9월 19일수영, 서현소녀시대
2010년
2월 20일대성, 승리BIGBANG
5월 29일정용화, 선예, 유빈CNBLUE / 원더걸스
6월 5일은혁, 시원, 크리스탈SUPER JUNIOR / f(x)
6월 12일김현중, 구하라, 한승연SS501 / 카라
6월 19일정용화, 서현CNBLUE / 소녀시대
8월 7일온유, 크리스탈SHINee / f(x)
8월 14일온유, 크리스탈, 닉쿤, 수지샤이니 / f(x) / 2PM / 미쓰에이
8월 21일아이유, 윤두준, 이기광- / 비스트
8월 28일정진운, 효민, 지연2AM / 티아라
9월 4일오상진, 티파니, 유리- / 소녀시대
9월 11일이홍기, 현아, 한선화FTISLAND / 4minute / 시크릿
9월 18일은혁, 리지, 크리스탈SUPER JUNIOR / 애프터스쿨 / f(x)
9월 25일신현준, 정준호-
10월 2일손담비, 오상진
10월 9일산다라박, 공민지2NE1
10월 16일태민, KEY, 샤이니 / 미쓰에이
10월 23일준호, 찬성2PM
[1] 당시 소속 기준으로 작성.[A] A B C 멤버 전원이 스페셜 MC로 출연했다.
2011년~2015년
날짜인물소속 그룹
2011년
6월 11일윤두준, 양요섭비스트
6월 18일영민, 광민보이프렌드
7월 16일닉쿤, 찬성2PM
7월 23일택연, 찬성
7월 30일이준, 천둥엠블랙
8월 13일 ~ 8월 20일은혁, 동해SUPER JUNIOR
8월 27일신동, 성민
9월 3일천둥, 지오엠블랙
9월 10일규현, 은혁, 예성SUPER JUNIOR
9월 17일이성열, 남우현인피니트
9월 24일은혁SUPER JUNIOR
10월 1일신동, 은혁
12월 17일현아, 장현승4minute / 비스트
2012년
2월 4일이홍기, 이재진, 최종훈FTISLAND
2월 11일니엘, 천지, 엘조틴탑
4월 7일정용화, 효연CNBLUE / 소녀시대
8월 4일윤두준, 다솜, 보라씨스타 / 비스트
8월 18일보라, 윤두준, 양요섭
9월 29일황광희, 한선화, 전효성제국의아이들 / 시크릿
11월 24일이준, 한선화엠블랙 / 시크릿
12월 1일이준, 오연서엠블랙 / -
2013년
2월 9일진영, 산들, 바로B1A4
3월 16일조권, 임슬옹, 민아2AM / 걸스데이
6월 29일하하-
7월 6일, 8월 3일박형식제국의아이들
8월 24일양요섭비스트
9월 28일시우민EXO
10월 5일찬열
10월 26일효민티아라
11월 30일수지미쓰에이
2014년
1월 4일세훈, 시우민EXO
1월 18일B1A4[A]
2월 8일박형식제국의아이들
4월 5일헨리SUPER JUNIOR
5월 31일김성규, 인피니트
6월 7일VIXX
6월 21일박형식제국의아이들
7월 5일빅토리아f(x)
7월 12일주니어GOT7
8월 30일구하라카라
9월 6일이특, 규현SUPER JUNIOR
10월 11일에일리-
10월 18일정민보이프렌드
10월 25일VIXX
11월 1일홍진영-
11월 8일방탄소년단
11월 22일효린, 주영-
11월 29일윤보미Apink
12월 6일인피니트
12월 13일초아AOA
2015년
1월 17일육성재비투비
1월 24일리지애프터스쿨
2월 7일장동우, 리지인피니트 / 애프터스쿨
2월 28일니엘틴탑
3월 7일류수정러블리즈
3월 14일에릭남-
3월 21일신비여자친구
4월 4일솔라마마무
4월 11일첸(EXO), 예리EXO / Red Velvet
4월 25일강균성, 윤보미, 강남노을 / Apink / M.I.B
5월 2일찬열, 초아, 혜리EXO / AOA / 걸스데이
7월 18일장동우인피니트
7월 25일육성재, 오하영비투비 / Apink
8월 8일산들B1A4
8월 15일주헌몬스타엑스
10월 3일원우, 정한, 우신, 샤오세븐틴 / 업텐션
10월 24일샤오업텐션
2016년~2020년
2021년~
날짜인물소속 그룹
2021년
2월 20일김현수-
2월 27일예지ITZY
3월 6일민호SHINee
3월 13일김세정-
3월 20일박지훈
3월 27일강미나
4월 17일주헌몬스타엑스
4월 24일차은우ASTRO
5월 29일마크NCT
6월 5일조이Red Velvet
7월 10일장우영2PM
12월 18일재민NCT
2022년
1월 15일찬희SF9
1월 22일주연더보이즈
3월 12일, 3월 19일재준[1]TAN
3월 26일Stray Kids
5월 21일차은우ASTRO
6월 4일조유리-
6월 11일김재환
6월 25일, 7월 2일다현TWICE
7월 9일강승윤WINNER
7월 16일, 7월 23일예지ITZY
8월 20일주연더보이즈
9월 17일다현, 김재환TWICE / -
10월 8일승민Stray Kids
10월 22일Stray Kids
11월 12일도영NCT
12월 3일예지, 리아ITZY
2023년
1월 7일문빈&산하ASTRO
1월 14일민혁, 주헌몬스타엑스
2월 4일, 2월 11일쟈니NCT
2월 18일시은STAYC
2월 25일영훈, 현재, 주연, 더보이즈
3월 4일영훈, 주연
3월 11일강미나, 찬희- / SF9
3월 25일설윤NMIXX
4월 8일쟈니NCT
5월 13일카리나, 이민혁aespa / 비투비
6월 24일창빈Stray Kids
7월 1일윤호ATEEZ
7월 22일전현무, 해원- / NMIXX
8월 19일주학년, 에릭, 선우더보이즈
9월 2일마크NCT
9월 9일은석RIIZE
9월 16일주학년, 선우더보이즈
9월 23일KEY, 승희SHINee / 오마이걸
10월 21일규진, 배이NMIXX
10월 28일승한, 은석RIIZE
12월 9일박진주, 이미주주주 시크릿
2024년
1월 13일에릭더보이즈
2월 3일도훈TWS
3월 9일유아오마이걸
4월 6일범규투모로우바이투게더
4월 13일은석, 원희RIIZE / ILLIT
4월 20일에릭더보이즈
5월 4일김규빈, 박건욱ZEROBASEONE
5월 11일레이, 리즈IVE
5월 18일김규빈ZEROBASEONE
6월 1일윈터aespa
[1] 스폐셜 MC가 아닌 인턴MC라는 타이틀로 했다.

7. 역대 로고[편집]


쇼! 음악중심 역대 로고
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09~2015).jpg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5~2019).svg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
2009 ~ 20152015 ~ 20192019 ~ 현재

  • 현재 방송 중인 6개 음악방송 중 로고 변화가 적은 편인 음악방송이다. 2020년대 이후 로고를 바꾸지 않은 유일한 음악방송이다. 하지만 다른 방송국에 비해 이정표 기념, 야외 특집, 크리스마스 하이라이트 편 등 로고 변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36]

8. 출연 보이콧[편집]


음악캠프를 2달간 멈추게 만들었던 연제협 소속 가수들의 무더기 출연 거부 사태 이후로도 특정 소속사 가수들이 출연을 자의로든 타의로든 보이콧하는 사례가 많았다. 아래에 적힌 사항들은 쇼! 음악중심뿐만 아니라 MBC의 다른 예능 프로그램에도 모두 적용된 것.

가장 먼저 2006년까지 SG워너비, 씨야GM기획의 가수들이 MBC에 출연하지 못했다. 2002년 총괄 프로듀서 겸 대표이사였던 김광수가 당시 모 PD에게 금품 제공 등 로비를 했다가 실형을 선고받은 여파 때문.[37]

2007년 11월부터는 약 1년 간 SM엔터테인먼트 가수들이 쇼! 음악중심을 비롯한 MBC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지 않았다.[38] 당시 SUPER JUNIOR의 멤버 강인일밤의 <불가능은 없다>와 SBS 일요일이 좋다의 <인체탐험대>에 중복 출연한 것이 논란이 되었고, SM엔터테인먼트와 당시 일밤과 쇼! 음악중심의 책임 프로듀서였던 고재형 CP[39]를 비롯한 MBC 예능국[40]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었고, 얼마 후 강인이 불가능은 없다에서 하차하는 데 합의해 표면적으로 문제가 해결된 듯 했으나 이 여파로 슈퍼주니어[41], 소녀시대[42], SHINee[43], 심지어 동방신기까지 음악중심에 출연하지 않았다.[44]

이 때문에 동방신기는 <주문-MIROTIC> 활동 중반에서야 음중 무대에 오를 수 있었고, 소녀시대는 <Kissing you>를 MBC에서는 2008년 음중 연말 결산 방송에서야 겨우 부를 수 있었다.[45] 또한 샤이니는 데뷔 후 6개월 만에 <아.미.고>로 쇼! 음악중심에서 데뷔했다. 그러면서 이 시기에는 YG빅뱅[46]JYP원더걸스[47]가 음중에서 특급 대우를 받았다.[48]

SM과의 갈등은 그 중심이었던 고재형 CP가 2008년 중반 당시 검찰의 PD 비리 수사 과정에서 드러난 연예 비리 혐의에 연루되어 물러나면서[49] 김엽 CP[50]로 교체되고 동방신기가 4집 발매 당시 공감토크쇼 놀러와녹화에 참여한 후 쇼! 음악중심에 출연하면서 회복되었다.

이후 한동안 모든 소속사 가수들이 출연하다가 2009년 4월부터 11개월 동안 이번에는 YG 소속 가수들이 출연을 보이콧했다. 당시 YG 측은 "'주 1회 방송 출연'[51]이라는 홍보 전략 때문에 방송사 선정에 신중해졌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지만, 당시 YG와 SBS, SM과 MBC가 급속도로 밀월 관계를 형성하던 모습을 볼 때 핑계일 가능성이 높다.[52] 동맹의 역전? YG의 양현석은 당시 인터뷰를 통해 사실이 아니라는 말과 함께 "인터넷도 전혀 하지 않는 저희 어머니가 'MBC와 싸우지 말라'고 하시더라"고 말하기도 했다.

2010년 2월 20일 음악중심 200회 특집에서 전 MC였던 대성승리가 특별 MC로 출연하고, 2NE1[53]이 출연하는 데 양측이 합의하면서 이 보이콧은 일단락되었다. 2012년에 다시 YG 가수들이 음악중심에 나오지 않기도 했으나, 9월 1일에 싸이가 출연했다. 2013년엔 7월에 2NE1이 잠깐 나왔고, 그 이후로는 또 다시 관계가 시궁창이다.[54]

그러다가 2016년 말 빅뱅이 라디오 스타에 출연한 후, 2017년 초 블랙핑크지수로제가 라디오 스타에 출연한 데다 곧이어 미쓰라 진복면가왕에 출연하였고, 뒤이어 AKMU도 복면가왕, 듀엣가요제,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 연달아 출연하였다. 그리고 4월 WINNER도 마리텔 녹화를 한 후 4월 8일 쇼! 음악중심 546회에 데뷔 후 처음으로 출연하며 싱글 1집 활동을 시작으로 YG 가수들은 음중에 계속해서 출연하는 중이다.

2011년 연말에는 당시 <너랑 나>로 활동하던 아이유가 음악중심에 출연하지 않았다. 다만 이는 소속사와의 마찰 때문이 아닌데, 당시 아이유는 인기가요에서 MC를 하고 있었고, 음악중심은 지상파에서 유일하게 순위제를 실시하지 않던 상태라 아이유의 컨디션 조절을 위해 당시 소속사인 로엔이 MBC에 양해를 구했고, MBC 역시 흔쾌히 부탁을 수락한 것.[55] 실제로 음중만 안 나왔지 가요대제전 등에는 꼬박꼬박 출연진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특히 로엔은 대기업으로 커진 현재도 MBC와는 굉장히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자사 오디션 프로그램이던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시리즈 출연자들에게만 열려 있던 출연 기회 때문에 말이 많았다. 허각, 버스커 버스커, 이하이 등 타사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 가수들은 아예 출연 한 번 하지 못한 것. 이 때문에 타사 음악 방송들과 비교를 당했다.[56] 하지만 2013년 4월 순위제 도입과 개편에 따른 PD 교체 이후 타 방송사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이라도 출연을 가능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내용 기사 실제로 허각의 경우 2013년 11월에 발매한 향기만 남아를 시작으로 음악중심에 출연하게 되었다.

프로듀스 101 시즌1 때만 하더라도 이 출신에 대한 배척이 굉장히 심했다. 단적인 예로 다이아의 경우엔 2015년에는 잘만 출연하였지만 정채연기희현의 프로듀스 101 출연 이후로는 꽁꽁 막혀버렸다. 구구단도 마찬가지였으며, 아이오아이는 두말할 것도 없었다.[57] 그리고 유연정이 합류한 우주소녀도 나오지 못하였다. 이 배후에는 위에서 언급된 당시 김엽 예능본부장을 비롯한 윗선이 관여했다는 추측이 제기되었고, 이듬해인 2017년 여름 밝혀진 MBC 블랙리스트 사태 이후 해당 의혹은 거의 기정사실화되었다. 아이오아이 활동 끝물이었던 2017년 1월 음악중심 방송에 다이아의 유닛 빈챈현스, L.U.B우주소녀가 출연하였고, 이후 2017년 4월 22일부터 2018년 1월까지 프리스틴시연이 MC를 맡게 된다.

프듀 시즌2로 와서는 종영 이후 1달 정도가 지난 7월 15일에 노태현이 멤버로 있는 그룹 핫샷이 출연했고, 7월 29일에는 이우진이 멤버로 합류한 그룹 더 이스트라이트가 출연했다. 그리고 Wanna One오빠생각에 출연함에 따라 쇼! 음악중심 출연 가능성도 매우 높아졌고, 결국 8월 19일에 에너제틱으로 출연하면서 견제는 없어진 것으로 추정. 이듬해 1월엔 JBJ까지 출연하였다. 그리고 2018년 초 결성된 KBS의 오디션 서바이벌 더 유닛의 남녀 데뷔 조 UNBUNI.T 역시 활동 내내 빠짐없이 출연하였다.

다만 데뷔조 결성과 동시에 조작 논란이 터진 프로듀스 X 101X1은 출연을 하지 못했다. 다만 이 점은 다른 지상파들도 똑같은 이유를 들어 출연에 난색을 표했고, 결국 X1은 지상파 방송사 그 어느 곳도 출연하지 못한 채 활동 6개월만에 해당 논란으로 해체되었다.

2019년 말부터는 빅히트 엔터테인먼트(현 HYBE)와의 관계가 틀어졌다. 이는 4년 가까이 지속되며 대표이사가 2번 바뀔 동안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가, 2023년 10월 30일 양 사 대표이사 간 회동과 11월 6일 상호 이해 및 제작 협력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마침내 양 사의 갈등이 막을 내렸다. 그리고 11월 18일 방송에 ENHYPEN[58]이, 11월 25일 방송에 &TEAM[59]이 데뷔 후 처음으로 출연했다.[60]

2023년부터는 걸그룹 하이키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61]

2024년부터는 YG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이 출연하지 않고 있다.

9. 코리안 뮤직 웨이브[편집]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연간 3차례에 걸쳐 해외에서 진행하는 특집 방송 코리안 뮤직 웨이브를 진행해왔고, 2015년부터는 문화방송 사옥이 여의도에서 상암동으로 이전하여 DMC 페스티벌의 한 일원으로 내려왔으며 횟수도 연 1회로 줄고 장소도 국내로 변경되었다.


10. 지역 자체 방송[편집]


의외로 이 시간대는 서울 본사 방송의 의무 편성 시간대가 아닌지라, 지역 로컬 프로그램의 유동적 편성이 가능하다. 실제로 방영 초창기 광주MBC는 아예 편성하지 않고 해당 시간대에 로컬 정보 프로그램을 편성하였는데, 이로 인해 광주,전남 중북부지역 시청자들의 엄청난 항의가 이어졌고 결국 얼마 못 가 지역 자체 방송 시간대를 이동하였다.

대구MBC의 경우 매년 대구 FC의 홈 개막전을 중계했고[62], 이 외에도 봄철과 가을철 낮 시간대에 하는 주말 홈경기를 수시로 중계하면서 이 시기만 되면 방송이 띄엄띄엄 나가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다만 한국프로축구연맹 자체 중계가 확대된 2020년부터는 K리그 중계를 하지 않는다.

부산MBC의 경우 동절기 여자농구 시즌에 부산 연고 팀인 BNK 썸의 토요일 홈 경기가 있을 경우 자체 제작[63]으로 중계방송을 하며, 이 경우에는 방영되지 않는다.[64] 여기에 농구 중계 이외에도 총선이나 지방선거 토론회 일정이 잡히는 경우에도 방영되지 않는다.

포항MBC의 경우 주관 행사인 <삼일문화대상>[65]과 <포항산단 근로자 가요제>, <독도어울림>, <영덕 풋볼페스타> 등의 중계가 해당 시간대에 잡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로 인해 1년에 몇 차례 비정기적으로 방영되지 않는다.

11. 방송 사고[편집]


음악중심은 유독 2011년 ~ 2012년경에 방송 사고가 잦았지만, 2013년 4월경 1위가 바뀌는 대형 사고를 저지른 이후엔 큰 사고를 내지 않고 있다. MC의 진행 실수, 카메라 전환 실수, 카메라 촬영 실수 등 작은 사고들이 빈번하게 발생한다.[66]

  • 2007년 5월 12일 SG워너비의 <아리랑> 무대에서 엔딩 직전 카메라가 암전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 2007년 6월 30일 천상지희의 <한번 더, OK?> 무대에서 린아의 마이크가 도중에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 2008년 5월 24일 SS501박정민이 안무를 틀리는 실수를 했다.


  • 2009년 12월 12일 티아라의 <Bo Peep Bo Peep> 무대 도중 다음 순서였던 2PMJUN. K가 마이크가 켜져 있는 줄 모르고 말을 하는 실수를 했다. 일명 난입 피쳐링 사고.

  • 2010년 1월 30일 소녀시대의 <Oh!> 컴백 무대 도중 송출 오류로 약 5초 간 검은 화면이 뜨는 방송 사고가 발생했다. # 이 당시 뉴스데스크에서 BB탄총의 위험성을 실험하면서 소녀시대가 광고 모델로 스티킹 되어 있던 비타500 병을 직격으로 맞추는 병크를 터트린 직후라 팬들의 항의가 빗발쳤고, 이 후 MBC에서는 완전판을 무료로 VOD 서비스 해줬다.

  • 2010년 3월 6일 카라의 <Lupin> 무대에서 한승연이 안무를 추던 도중 쿵 소리가 날 정도로 세게 넘어졌다. 하지만 이후 무슨 일 있었냐는 듯 계속해서 노래를 불렀다.

  • 2010년 10월 16일 미쓰에이의 <Breathe> 무대 도중 의 신발이 안무 도중 날아가는 일이 벌어졌다.

  • 2011년 2월 12일 MC 민호온유이정의 컴백 무대를 소개하던 중 민호의 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사고가 발생했다. 결국은 온유민호에게 마이크를 건네 소개를 마무리했다. #

  • 2011년 2월 26일 G.NA의 <Black & White> 무대에서 제작진의 모습이 보인 장면이 찍혀 나갔고, 이정의 <Let's Dance> 무대에선 가사 자막 오류가 났다.

  • 2011년 9월 10일 첫 무대였던 스윗 리벤지가 노래를 부르는 도중에 갑자기 쭉 리와인드되더니 음중 시작 직전 광고까지 갔다가 무대가 새로 시작되는 일이 있었다.

  • 2012년 4월 7일 2AM의 <너도 나처럼> 무대에 바로 앞에 했던 양요섭정은지의 <LOVE DAY> 자막이 뜨는 실수가 있었다.

  • 2012년 4월 28일 써니힐의 <백마는 오고 있는가> 무대에 노을의 <떠나간다>의 리허설 녹음본이 1분 30초 가량 오송출되는 대형 음향 사고가 났다. 중간에 급하게 끊고 MC 태티서에게 카메라가 넘어갔으며, 이들도 당황한 모양이었지만 이내 신속하게 사과 멘트를 남겼다. 이후 다음 팀을 먼저 내보낸 뒤 다시 무대를 가졌으며, 다시보기와 MBC MUSIC 재방송분에선 이 부분이 편집되었다.


  • 2012년 11월 17일 쥬얼리의 <Look At Me> 무대 도중 화면이 2초 간 암전되는 방송사고가 있었다.

  • 2013년 4월 20일 7년 만에 부활한 음악중심 차트 첫 번째 1위 수상자를 발표하면서 대형 방송 사고를 쳐 버렸다. 케이윌인피니트가 1위 후보였던 당시, 최종 점수 그래프는 케이윌을 1위로 표시했다. 그에 따라 MC들은 케이윌에게 1위 트로피를 건네주며 축하했지만 알고 보니 오류로 그래프가 뒤바뀌어 있었다!!! MC였던 노홍철은 크게 당황하면서 1위를 인피니트로 정정하며 연신 사과 멘트를 해야 했다. #[67] 이후 약 반년이 지난 동년 11월 2일 방송에서 케이윌이 1위를 받게 되자 MC 노홍철의 "오늘은 진짜 1위입니다!"라는 멘트와 함께 트로피가 수여되었다.

  • 2013년 6월 1일 MC 민호의 마이크가 나오지 않는 사고가 발생했다.

  • 2014년 2월 8일 AOA의 <짧은 치마> 무대 시작 시 곡 순위 소개가 8위로 잘못 나갔다. 실제로는 5위였다.

  • 2014년 12월 13일 MC 소개 자막에서 지코민호로 잘못 나갔다.

  • 2014년 12월 20일 러블리즈의 <Candy Jelly Love> 무대 도중 카메라맨이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 2017년 2월 18일 레드벨벳조이가 무대 도중 에어샷이 터지자 놀라서 외마디 괴성을 질렀다.

  • 2017년 3월 4일 우주소녀의 <너에게 닿기를> 무대 초반에 2초간 무대 아래 스탠딩 카메라가 바닥을 비추는 일이 발생했다.

  • 2018년 2월 3일 RAINZ의 <Turn It Up> 무대 후반에 2초 가량 MC석 카메라가 잘못 송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 2018년 4월 7일 오마이걸 반하나의 <바나나 알러지 원숭이> 무대 도중 2초 가량 다음 무대 준비 중이던 몬스타엑스가 카메라에 전파를 타는 방송사고가 발생했다.

  • 2018년 6월 30일 1위 후보인 BTOB의 그룹명 표기가 'BOTB'라고 잘못 나왔다.

  • 2020년 9월 26일 프로미스나인의 <Feel Good (SECRET CODE)> 무대에서 카메라 전환 오류로 무대 중앙에서 단독 안무를 하고 있던 이나경 대신 측면에서 대기 중이던 송하영이 오송출되었다.

  • 2020년 10월 24일 MC 현진이 동영상 조회수 TOP 3 순위를 소개하던 도중 숫자를 잘못 읽어서 진행이 꼬이는 일이 발생했다.

  • 2021년 5월 29일 로켓펀치의 <Ring Ring> 무대에서 카메라 전환 오류로 소희의 단독 안무 파트 대신 대기 중이던 윤경의 뒷모습이 오송출되었다.


  • 2022년 7월 23일 1위 발표에서 무대 아래에 있던 유재석이미주, 정지소의 목소리가 본방송에 들어가는 일이 있었다. 현장 음성에는 송출이 안 되었는지,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 모양새였다. 또한 이날 1위 발표 후의 꽃가루 폭죽이 가야G의 깜짝 등장 이후에 예고 없이 갑자기 터지는 일도 있었다.


12. 편성 변동 및 결방 사유[편집]


날짜사유
2005년 12월 31일2005 MBC 가요대제전으로 인한 결방.
2006년 1월 28일설 연휴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6년 6월 24일2006 FIFA 독일 월드컵 조별예선 H조 최종전 사우디아라비아 : 스페인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6년 10월 7일추석 연휴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6년 10월 28일2006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5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6년 12월 2일창사 45주년 특집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7년 2월 17일설 연휴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7년 5월 5일2007 경기 세계도자비엔날레 축하공연 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7년 9월 22일추석 연휴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7년 10월 20일LPGA 하나은행 코오롱 챔피언십 여자골프대회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7년 12월 1일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아시아예선 대한민국 : 대만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8년 2월 9일설 연휴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8년 4월 19일2007-08 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2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8년 5월 3일2008 프로야구 두산 : LG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8년 8월 23일2008 베이징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8년 9월 13일추석 연휴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8년 10월 11일2008 프로야구 준플레이오프 3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8년 12월 13일한·중·일 정상회담 뉴스특보로 인한 결방.
2009년 2월 21일특집 생방송 <일자리가 미래다>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9년 5월 23일노무현 前 대통령 서거로 인한 방송 취소.
2009년 8월 22일김대중 前 대통령 국장 애도기간으로 인한 결방.
2009년 10월 3일추석 연휴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9년 10월 10일2009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3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9년 12월 12일<2009 저작권 클린 콘서트>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10년 2월 13일설 연휴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10년 3월 27일2010 프로야구 개막전 KIA : 두산, 한화 : SK 이원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0년 4월 3일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인한 방송 취소.
2010년 4월 17일 ~ 4월 24일노조 파업으로 인한 결방.
2010년 11월 27일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1년 4월 2일2011 프로야구 개막전 LG : 두산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1년 10월 29일2011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4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1년 11월 26일2011 아시아 시리즈 예선 2차전 삼성 : 소프트뱅크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1년 12월 31일2011 MBC 가요대제전으로 인한 결방.
2013년 3월 30일2013 프로야구 개막전 두산 : 삼성, LG : SK 이원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4년 2월 15일2014 소치 동계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4년 3월 29일2014 프로야구 개막전 LG : 두산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4년 4월 19일 ~ 5월 3일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인한 결방.
2014년 9월 27일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4년 10월 4일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해 14시 35분으로 시작 시간 변경.
2015년 3월 28일2015 KBO 리그 개막전 SK : 삼성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5년 5월 30일2015 KBO 리그 한화 : 롯데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5년 10월 10일2015 KBO 준플레이오프 1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5년 10월 31일2015 KBO 한국시리즈 5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6년 4월 2일2016 KBO 리그 롯데 : 넥센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6년 8월 6일2016 리우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6년 10월 8일2016 DMC 페스티벌 특집방송 <AMN 뮤콘 개막특집 빅 콘서트>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16년 12월 31일2016 MBC 가요대제전으로 인한 결방.
2017년 1월 28일설 연휴로 인한 결방.
2017년 3월 11일박근혜 대통령 탄핵 뉴스특보로 인한 결방.
2017년 4월 1일2017 KBO 리그 개막전 LG : 넥센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7년 9월 9일 ~ 11월 18일KBS·MBC 연대 총파업으로 인한 방송 중단.
2017년 12월 30일2017 MBC 연기대상으로 인한 결방.
2018년 2월 10일 ~ 2월 17일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8년 3월 24일2018 KBO 리그 개막전 롯데 : SK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8년 5월 5일2018 KBO 리그 두산 : LG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8년 8월 25일 ~ 9월 1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8년 9월 15일2018 DMCF 특집방송 <2018 코리안 뮤직 웨이브>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18년 11월 10일2018 KBO 한국시리즈 5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8년 11월 24일2018 오렌지라이프 챔피언스트로피 박인비 인비테이셔널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9년 2월 9일설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19년 3월 23일2019 KBO 리그 개막전 LG : KIA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9년 5월 4일2019 KBO 리그 SK : 롯데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9년 7월 13일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중계방송으로 인해 17시로 시작 시간 변경.
2019년 9월 7일제13호 태풍 링링 북상 관련 뉴스특보 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9년 10월 5일2019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최종전 예비 편성 여파로 결방.
2019년 11월 30일2019 오렌지라이프 챔피언스트로피 박인비 인비테이셔널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0년 1월 25일설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20년 5월 16일2020 KBO 리그 롯데 : 한화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0년 6월 6일2020 KBO 리그 두산 : KIA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0년 8월 8일2020 오렌지라이프 챔피언스트로피 박인비 인비테이셔널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0년 12월 19일MBC 예능국 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인한 방송 취소.
2021년 2월 13일설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21년 4월 3일2021 KBO 리그 개막전 삼성 : 키움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1년 4월 10일2021 KBO 리그 SSG : LG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1년 7월 24일 ~ 8월 7일2020 도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1년 9월 18일추석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22년 1월 1일2021 MBC 가요대제전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22년 1월 29일 ~ 2월 19일설 연휴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2년 3월 5일동해안 지역 산불 뉴스특보로 인해 14시 55분으로 시작 시간 변경.
2022년 4월 2일2022 KBO 리그 개막전 LG : KIA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2년 4월 16일세월호 참사 8주기 기억식 뉴스특보로 인한 결방.
2022년 4월 30일검찰청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관련 뉴스특보로 인해 15시 05분으로 시작 시간 변경.
2022년 5월 21일한미정상회담 공동기자회견 뉴스특보로 인해 14시 10분으로 시작 시간 변경.
2022년 5월 28일2022 KBO 리그 키움 : 롯데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2년 6월 18일2022 KBO 리그 LG : 키움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2년 7월 30일보령머드축제 특집 방송 취소로 인한 결방.
2022년 9월 3일제11호 태풍 힌남노 북상 관련 뉴스특보로 인해 15시 05분으로 시작 시간 변경.
2022년 9월 10일2022 KBO 리그 KIA : 두산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2년 10월 15일2022 KBO 준플레이오프 1차전 편성 여파로 결방.[68]
2022년 11월 5일이태원 참사 국가애도기간 선포로 인한 결방.
2022년 12월 3일2022 카타르 월드컵 H조 최종전 대한민국 : 포르투갈 재방송으로 인해 15시 30분으로 시작 시간 변경.
2022년 12월 31일2022 MBC 가요대제전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23년 1월 21일설 연휴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23년 2월 11일 ~ 2월 25일방송 분량 관계로 15시 25분부터 16시 35분까지 방송.
2023년 3월 25일소년판타지 미리보기 편성으로 인한 15시 25분부터 16시 40분까지 방송.
2023년 4월 1일2023 KBO 리그 개막전 KIA : SSG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3년 9월 30일 ~ 10월 7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3년 12월 30일 ~ 2024년 1월 7일연말 시상식 일정으로 인한 결방.
2023년 2월 10일설 연휴 특선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24년 3월 23일2024 KBO 리그 개막전 키움 : KIA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13. 유튜브 콘텐츠[편집]


MBCkpop
  • 본방송 클립
    • 무대

  • 직캠
    • 예능연구소 4K (전체 정면캠)
    • 예능연구소 4K (개인 정면 세로캠)
    • 예능연구소 4K (최애직캠)[69]

  • 웹예능[70]

  • 그 외 콘텐츠
    • 교차편집[71]
    • 가수 무대 모음집
    • 매월 동영상 조회수 TOP10 모음집[72]
    • 플레이 리스트
    • 기타 영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11:01:25에 나무위키 쇼! 음악중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0년 6월 19일까지는 12세 이상 시청가였다가 선정성 문제로 15세 이상 시청가로 상향되었다. 다만 중학생 팬들의 가요 프로그램 방청이 불가능해진 것과 사전 심의 강화를 이유로 2010년 7월 24일 방송분은 12세 이상 시청가로 일시적으로 환원되었다가(#) 철퇴를 맞으며 15세 이상 시청가로 상향되었다.[2] MBC 총파업으로 인해 3개월 간 방송 중단.[3] MBC 편성에 따라 오후 3시~3시 30분 사이에서 유동적으로 바뀐다.[4] 클로징 때마다 MC들이 하는 멘트이며 이 멘트를 사용한 지도 어느덧 10여 년이 넘었다. 2013년 4월, 노홍철이 MC가 된 이후 한동안 해당 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인사 후 방송을 마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내 몇 개월 뒤,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다.[5] 2021년 1월 13일, 라디오 스타(황금어장) 방송에서 밝히기를 솔비가 낸 아이디어라고 한다.[6] 해외 K-POP 팬들을 위한 유튜브 생방송을 하고 있다. 좋은 점은 터치 MBC 어플에서는 카메라 별로 따로 나뉘어서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무대 위의 아이돌(가수)의 대기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단, 유튜브 생방송은 한국 지역 접속자는 볼 수 없다.[7] 아래 기술하는 방송 사고 덕분에 5분 지연 생방송을 하고 있었지만 어느 때부터인가 하지 않고 그냥 생방송으로 진행하고 있는 모양이다. 2010년 들어 중대형급 방송 사고가 일어나고 있는 걸 봐서는 아닌 게 확실한 듯 보인다.[8] 재방송은 MBC M에서 했으나, 지금은 재방송으로 하지 않게 되었다.[9] 공개 생방송도 모든 사람들이 방송국 앞에서 기다려도 볼 수 없다.[10] 6스튜디오가 현재 공개홀로 쓰이고 있다. 복면가왕 무대 진행 때에도 이 스튜디오를 사용한다.[11] 가끔 가다 5스튜디오를 쓸 때도 있었다. 5스튜디오는 6스튜디오와 달리 좌석 없이 스탠딩으로만 방청객을 수용한다.[12] 2014년 9월 6일에는 상암 신사옥 이전을 맞아 신사옥 광장에서 진행하였다.[13] 2019년 6월부터 음악중심의 자막 디자인은 다른 음악방송과 달리 그린과 핑크 두 가지 컬러로 번갈아 사용된다. 특히 출연순번이 홀수(1번, 3번...)인 공연은 녹색, 출연순번이 짝수(2번, 4번,...)인 공연은 핑크색으로 표시된다.[14] 쇼! 음악중심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가 아닌 플랫폼의 광고도 곡 제목 소개 자막이 아닌 방송 종료 시점에 광고 자막을 띠워주는 방법으로 PPL을 시행했는데 2017년 연말에 틱톡 PPL을 시행했었고 2020년 9월부터 2021년 5월까지 FLO 광고와 함께 Wavve 광고도 시행된 적이 있다.[15] 안소희현아는 만 14세 나이로 역대 최연소 MC이다.[16] 2007년 4월 7일 ~ 5월 19일은 일일 MC 체제로 진행되었다. 정식 MC 신고식은 5월 26일이다.[17] 이때는 수지, 지연과 스페셜 MC가 함께 진행했다.[18] 실질적으로 김소현은 딱 2년 만에 이 자리를 뜨는 것이다.[19] 이 중 2017년 9월 9일부터 11월 18일까지 MBC 파업으로 인해 장기간 결방되면서 실질적인 진행 기간은 7개월 남짓이다.[20] 2018년 9월 22일부로 옹성우 하차. 허나 옹성우는 이전에도 워너원 해외 투어 스케줄 관계로 대부분 기간 MC를 보지 못했다.[21] 남자 MC는 스폐셜 MC가 들어오는 형식이었다.[22] MC 한 자리에는 매주 스페셜MC가 들어왔다.[23] 정우의 우, 민주의 주, 리노(이민호)의 호를 따 '우주호'로 불렀다.[24] 정우의 우, 리노의 리를 따 '우리두리즈'로 불렀다.[25] 정우의 쩡, 설윤(설윤아)의 아, 리노의 리를 따 '쩡아리'로 불렀다.[26] 직접적으로 강제 하차라고 밝히진 않았지만 동년 9월 상암 MBC 개막 기념 특별 생방송에서 노홍철이 간접적으로 언급하였으며 출연중이던 무한도전에서도 몇번 언급된 바 있다.[27] 김소현은 딱 2년, 지코는 8개월 만에 자리를 뗬다.[28] 4월 김소현을 대신해서 스페셜MC로 딱 한 번 했었다.[29] 1월 19일에는 B1A4 신우, ASTRO 차은우 2명이 들어왔고, 1월 26일과 2월 2일에는 차은우 단독 스페셜 MC가 들어왔다.[30] SBS는 언젠가부터 원래 MC가 스케줄 문제 등으로 빠져도 대체 투입을 잘 안 하는 편이다.[31] 후에 쌍방싸움이었던 것이 밝혀지며 종결났지만 논란 당시에는 음중 MC에서 하차하는 등 쇼! 음악중심과 현진의 이미지에 엄청난 피해를 줬던 사건이다.[32] 여담이지만 제작진들은 예지를 대단히 마음에 들어했는지 2021년 가요대제전의 스페셜 무대인 MC즈 멤버에 예지를 넣기도 했다. 현재 고정 MC인 김민주와의 호흡도 좋아 많은 팬들이 민주-예지 콤비의 부활을 기다리고 있다.[33] 그래서 우주선 그림이 CG로 띄워졌고, 이 세명은 그 우주선의 선장이라는 컨셉이 붙었다.[34] 2010년 10월 30일 ~ 2011년 7월 9일, 2013년 4월 20일 ~ 2015년 11월 14일[35] 2009년 4월 4일 ~ 2010년 7월 31일, 2011년 10월 15일 ~ 2013년 4월 13일[36] 이 로고 변형은 일반적으로 시청 시에만 표시되며 인트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37] 특히 2005년 SG워너비의 2005 MBC 가요대제전 본상 수상 거부로 정점을 찍었다.[38] 이 때 MBC에서 섭외를 안 했는지, SM에서 섭외에 불응했는지는 알 수 없다.[39] 당시 고재형 PD는 "내가 관계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SM 소속 연예인의 출연은 힘들 것"(당시 고 CP는 일밤과 쇼! 음악중심을 맡고 있었다.) "MBC가 공식적으로 SM엔터테인먼트 소속 연예인 출연 금지 처분은 내린 적이 없다. 강인 파문 후에 '라디오 스타'에 슈퍼주니어가 출연했고 다른 MBC 특집 방송에서도 SM엔터테인먼트 소속 연예인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나와 관련된 프로그램에서 SM엔터테인먼트 소속 연예인들이 출연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40] 참고로 예능을 제외한 드라마와 라디오 프로그램에는 정상적으로 출연할 수 있었다.[41] 정규 2집 후속곡 <Marry U>와 슈퍼주니어-Happy 활동을 MBC에서 하지 못했다.[42] 당시 SBS엠넷에서 엄청난 푸시를 받던 것과 달리 MBC에서는 음악 방송은 커녕 예능 하나 못 나가고 언급조차 잘 안 되는 상황이 2008년 11월까지 이어졌다.[43] 2008년 5월에 데뷔하자마자 음중 보이콧으로 <누난 너무 예뻐>, <산소 같은 너> 활동 당시 MBC에 출연하지 못하고 스친소에서 잠깐씩 언급되는 수준에 그쳤다.[44] 2008년 2월 오리콘 주간 차트 1위 달성을 기념해 <Purple Line>으로 SBS 인기가요와 KBS 뮤직뱅크에 출연했지만, MBC에는 출연하지 않았다.[45] 1집 타이틀곡 <소녀시대>의 경우 2007년 KBO 골든글러브 시상식과 자선 콘서트에 출연했지만, 쇼! 음악중심에는 역시 출연하지 않았다.[46] 활동할 때 마다 거의 무조건 엔딩 무대가 보장되었고, 2~3곡 리믹스도 기본이었다.[47] 박진영 컴백 무대에서의 유빈이 랩으로 참여한 무대, 레드카펫 인트로로 알려진 <So Hot> 컴백 무대가 모두 음악중심이었다.[48] 대표적인 사례가 이 두 그룹의 스페셜 스테이지인데, 양 쪽 모두 당시 5명이었던 두 그룹의 멤버들이 3:2로 나눠서 대결을 펼치는 식으로 스페셜 스테이지를 꾸몄다. 이는 오직 빅뱅(2007년 12월 15일 100회 특집)과 원더걸스(2008년 1월 5일)만을 위한 특별 무대였다.[49] 해당 혐의가 인정되어 2008년 11월 징역 10개월과 추징금 3,300만원을 선고받았다.[50] 이후 승진해 예능본부장까지 오르고, MBC 아카데미 사장으로 영전되었다. 허나 예능본부장 재임 시절 윤도현, 배칠수, 송강호 등 진보 성향의 연예인들과 오상진, 문지애, 최현정 등 부당노동행위에 항의해 퇴사한 자사 아나운서 출신들의 섭외를 막고, 작곡가 김형석을 당시 야당이던 더불어민주당의 선거 로고송을 만들었다는 이유로 고정 프로그램에서 강제로 하차시키는 등 사실상의 연예인 블랙리스트를 운용한 것은 물론, 무한도전창조경제 홍보로 이용하려는 시도를 하는 등 보수 정권의 방송 장악에 동조한 행각이 드러나 비판을 받았고, 결국 이러한 행적으로 불명예스럽게 떠나야 했다.[51] 그래놓고 2NE1은 뮤직뱅크에 무대하러 나오기도 했다.[52] 실제로 2009년에는 2NE1SBS 인기가요로 데뷔했고, G-DRAGON의 솔로 데뷔와 YG에서 기획한 스페셜 스테이지가 모두 SBS를 통해 방송되었다. 반면 쇼! 음악중심은 소녀시대의 Gee 활동 종료 이후 MC를 소녀시대의 티파니유리로 교체하였고, 순간 최고 시청률 17.2%를 찍은 전설의 헬기장 소원을 말해봐를 기획하기도 했다.[53] 2NE1의 MBC 첫 출연은 2009년 12월 27일 일밤의 코너 단비였다.[54] 사실 뮤직뱅크와의 관계가 안 좋게 비춰지는 것에 묻혔을 뿐 쇼! 음악중심과의 관계는 더 안 좋다고도 볼 수 있다.[55] 여기에 더해 당시 목요일에 JTBC에서 뮤직 온 탑이 방영될 때라 아이유는 엠 카운트다운에도 한동안 출연하지 않았다.[56] 단 KBS 뮤직뱅크슈퍼스타K 출연자 외에 타 프로그램 출연자들은 방송 출연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시즌 3 출신인 박수진과 한동근이 각각 2014년과 2016년에 출연하였다.[57] 그러나 프로듀스 101에서 탈락한 권은빈이 속한 CLC의 출연과 솔로로 데뷔한 김주나의 출연, 그리고 키미, 형은, 세이, 지니가 속한 불독의 출연은 막지 않았다. 이와 별도로 2016년 추석 특집 프로그램 아이돌 요리왕한혜리가 출연했다. 이 말인 즉슨, 프로듀스 101 자체가 아닌 아이오아이 멤버 관련만 보이콧을 한다고 볼 수 있다.[58] A B[59] A B[60] 다만 ADOR 소속 NewJeans는 출연하지 않고 있다.[61] 다만, 멤버 휘서의 경우 EL7Z UP 활동으로 출연을 했다.[62] 참고로 대구FC의 홈 개막전 날짜가 프로야구 개막 날과 겹치는 경우에도 대구MBC는 본사의 프로야구 중계를 내보내지 않고 대구FC의 홈 개막전 경기 중계를 편성했다. 이로 인해서인지 MBC 본사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삼성 라이온즈의 개막전 경기를 지상파에 편성하지 않았다.[63] 2023년 기준 부산MBC 김동현 아나운서가 캐스터를, 김영만원주 DB 감독이 해설을 맡고 있다.[64] 참고로 이 부산MBC 중계로 인해 BNK 썸은 주말 홈 경기를 여자농구 구단 중 유일하게 14시에 진행하고 있다.[65] 매년 12월 말에 진행된다.[66] 타 방송들보다 좀 많은 편이다.[67] 참고로 옆 동네에서는 3년 전에 비슷한 일이 있었다.[68] 우천으로 인해 정규시즌이 당초 계획보다 늦게 끝나서 포스트시즌 전체 일정이 하루씩 순연되면서, 다음날인 16일에 준PO 1차전이 열렸다.[69] 2022년 3월 19일부터 생겼다.[70] 다만 제작 주체는 음악중심팀이 아닌 it's Live팀에서 제작한다.[71] MBC 방송분만 사용한다.[72] KBS KPOP에서 먼저 했었는데 그것을 의식하고 만든 듯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