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3일
(♥ 0)
분류
1. 개요[편집]
1년의 34번째 날에 해당한다.
2. 사건[편집]
- 313년 - 밀라노 칙령: 로마 제국의 황제인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가 제국 내의 모든 사람들에게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신앙의 자유를 허락하고, 종교 박해 시기에 몰수한 교회의 재산 등을 다시 돌려주도록 하는 것에 대해 밀라노에서 합의했고, 그해 6월 13일 니코메디아에서 공포했다.
- 1451년 - 메흐메트 2세가 오스만 제국 술탄의 지위를 물려받았다.
- 1908년 - 그리스 축구 클럽 파나티나이코스 FC가 창단되었다.
- 1925년 - 황포군관학교에서 양성된 교군이 군벌 천중밍을 토벌하기 위해 출정함으로 국민당의 1차 동정이 시작되었다.
- 1942년 - 일본 제국 야마구치현 우베시에 있는 죠세이 탄광에서 해수 유입사고가 발생해 조선인 노동자 183명이 희생되었다.
- 1946년 - 퉁화 사건이 일어났다.[1]
- 1977년 - 조원 일식집 화재 사고가 일어났다.
- 1985년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데스몬드 투투 사제가 요하네스버그 성공회 주교로 임명되었다.
- 1989년 -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가 파라과이의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2]
- 2005년 - 호주제 규정 민법 781조 1항 및 778조의 헌법불합치를 판결내렸다.
- 2009년 - 일본의 활화산 아사마 산이 폭발했다.
- 2016년
- 부천 여중생 백골 시신 사건이 일어났다.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인천국제공항역 ~ 용유역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2020년 - 대한법률구조공단 소속변호사 노동조합이 파업에 들어갔다. 변호사들이 벌인 파업으로는 대한민국 사상 최초이다.
- 2023년
- 중국 정찰풍선 사건이 일어났다.
- 노퍽 서던 소속 화물열차가 오하이오주에서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고, 화물에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오하이오-펜실베니아 국경 주민들이 긴급 대피했다.
3. 기념일 및 절기[편집]
- 한국수어의 날 - 한국수어가 국어와 동등한 자격을 가진 농인의 공용어로 인정받게 되는 날인 「헌국수화언어법」 제정일을 기념해 한국수어 사용 권리를 신장하고 한국수어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고취하기 위해 제정된 법정 기념일이다. 2020년 9월, '한국수어의 날'을 2월 3일로 지정하는 「한국수화언어법 일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되었으며 이 개정안은 12월 2일에 통과되어 12월 22일에 공포되어 관련 법정 기념일이 되면서 2021년에 처음 맞이하게 되었다.[3]
- 세쯔분(세츠분) - 봄의 전날을 의미한다.
- 내셔널 당근 케이크 데이 - 기사
4. 축일[편집]
- 성 라우렌시노, 성 이냐시오, 성녀 첼레리나, 성 첼레리노
- 성 라우렌시오
- 성 레메디오, 성 티지데
- 복자 마태오
- 성녀 베르부르가
- 성 블라시오
- 복자 스테파노 벨레시니
- 성 심프로니오, 성 펠릭스, 성 히폴리토
- 성 안스카리오
- 복자 오도리코
- 성녀 이아
- 성녀 클라우디나 테브네
- 복자 유스트 다카야마 우콘
5. 생일[편집]
5.1. 실존 인물[편집]
- 1809년 - 펠릭스 멘델스존(~1847년): 독일의 음악가
- 1830년 - 로버트 게스코인세실(~1903년): 44,46,49대 영국 총리
- 1859년 - 자오빙쥔(~1914년): 중화민국 3대 국무총리
- 1894년 - 렌초 데베키(~1967년): 이탈리아의 전 축구감독
- 1912년
- 1922년 - 문형태(~2006년): 대한민국의 군인
- 1941년 - 정풍송[4] : 대한민국의 작곡가
- 1944년 - 김석곤: 대한민국의 특수임무유공자
- 1943년 - 후쿠모토 세이조: 일본의 배우
- 1953년 - 이와사키 시게루: 일본의 자위관
- 1956년 - 네이단 레인: 미국의 배우
- 1958년 - 그레고리 맨큐: 미국의 경제학자
- 1960년 - 요아힘 뢰브: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1964년 - 타가메 겐고로: 일본의 만화가
- 1967년
- 1968년 - 블라디 디박: 세르비아의 前 농구선수
- 1969년 - 보 바이든(~2015년): Beau Biden,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의 장남
- 1970년 - 위윅 데이비스: 영국의 배우
- 1971년
- 1972년 - 윤도현: 대한민국의 가수
-
1973년 - 이상민: 대한민국의 가수[5] - 1974년 - 김제동: 대한민국의 방송인
- 1975년 - 김기철: 대한민국의 수능 영어 강사
- 1976년 - 김동주: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
- 1978년 - 채리나: 한국의 가수
- 1979년 - 쿠사나기 미즈호: 일본의 만화가
- 1980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한승엽: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 1986년 - 야나기하라 카나코: 일본의 코미디언
- 1988년 - 규현: 대한민국의 가수, 그룹 슈퍼주니어의 멤버
- 1989년 - 지아: 대한민국의 걸그룹 미쓰에이의 전 멤버
- 1990년
- 1991년 - 염혜선: 대한민국의 배구선수
- 1992년 - 표예진: 대한민국의 배우
- 1993년 - 류소영: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 1994년 - 윤설: 대한민국의 배우
- 1996년
- 1997년 - 이게타 히로에: 일본의 모델, 배우
- 1998년 - 한왕호: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Peanut"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레온 브롤베브: 크로아티아의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goblin'
- 2004년 - 레이: 걸그룹 IVE의 멤버
- 2005년 - 공유빈: 걸그룹 tripleS의 멤버
5.2. 가상 인물[편집]
- 13호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게토 스구루 - 주술회전
- 김라탄 - 언원티드
- 나나쿠사 하즈키 -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 나딘 - 백야극광
- 니노미야 아스카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니시무라 아쿠지 - 두근두근 마녀신판
- 릭 아디슨 - 란스 시리즈
- 미라 - 영원한 7일의 도시
- 수원 - 새벽의 연화
- 샘 - 트레인 히어로
- 세오 나루미 - 스탠드 마이 히어로즈
- 시로키타 쿠로하 - Re:스테이지!
- 아마하 츠바사 - Starry☆Sky
- 야도마루 리사 - 블리치
- 애쉬 - 아르카나 파밀리아
- 엘모 - 세서미 스트리트
- 오니가사키 카이코쿠 - 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
- 오니시로 키스케 - 절망 프리즌
- 오니지시 - 은혼
- 오오가미 리츠코 - 마브러브 얼터너티브
- 유메오오지 후미 -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 오피나 - 백야극광
- 임선호 - 검은방
- 잉게 나이오비 - 사이퍼즈
- 카스가 츠바키 - 블루 아카이브
- 카자하나 마시로 - 마이히메
- 코코노세 미미 - ēlDLIVE
- 코다마 후미카 - 요괴워치
- 코오리 치카게 - 노기 와카바는 용사다
- 쿠 - 팡야
- 키사라기 미오 - 도키메키 메모리얼
- 타카미자와 아리사 - 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
- 토오사카 린 - Fate/stay night[6]
- 프림 - 에버소울
- 하스미 우라라 - 배틀걸 하이스쿨
- 하시모토 칸나 - 걸 프렌드(베타)
- 하윤철 - 펜트하우스 시리즈
- 히루가미 사치로 - 하이큐!!
- 히메노 후미 - 마이히메
- 히스 - 블랙스타 -Theater Starless-
- 히이라기 아야코 - 왈큐레 로만체 -소녀기사 이야기-
- 크루엘 하르트 - 저 그런 인재 아닙니다
6. 기일[편집]
6.1. 실존 인물[편집]
- 479년 - 자비 마립간: 신라 제 20대 임금
- 1399년 - 제1대 랭커스터 공작 곤트의 존(1340년~): 영국의 왕족, 랭커스터 공작
- 1468년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1398년 경~): 활판 인쇄 기술을 개발한 독일의 세공업자
- 1573년 - 무라카미 요시키요(1501년~): 일본 전국시대의 다이묘
- 1809년 - 고트헬프 자무엘 슈타인바르트 (1738년–); 독일의 신신학자
- 1890년 - 보이스 발로트: 네덜란드의 과학자
- 1924년 - 우드로 윌슨(1856년~): 미국의 제28대 대통령
- 1931년 - 쑨바오치(1867년~): 중화민국 국무총리, 외교관.
- 1959년 - 버디 홀리(1936년~): 미국의 전설적인 록큰롤 싱어송라이터
- 1966년 - 순정효황후 윤씨(1894년~): 순종의 계후(繼后),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
- 2012년 - 벤 가자라(1930년~): 미국의 배우
- 2020년
- 2021년 - BJ메텔(1985년~):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6.2. 가상 인물[편집]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12:15:11에 나무위키 2월 3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인민해방군과 한국의 독립군이 지린성 퉁화시에서 일본군들이 일으킨 반란을 진압한 사건이다. 인민해방군과 방호산 휘하의 조선의용군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당했다.[2] 파라과이의 군인 출신 독재자로, 무려 35년 동안 파라과이의 대통령으로 집권했었다.[3] 특히, 제 2회(2022) 한국 수어의 날에서는 KBS 앵커와 수어 통역사가 같은 비율로 클로징 멘트를 진행해 화제였다.[4] 조용필의 미워 미워 미워, 허공. 한혜진의 갈색추억 등을 작사 작곡하였다.[5] 주민등록상 생일은 1975년 2월 3일, 실제로는 1973년 6월 24일생이다.[6] 과거 작품에는 2월 4일로 적혀 있으나 오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