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 관련 정보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이 문서는 지구에 실제로 존재하는 지역을 다루고 있다. 애니메이션, 만화나 게임에 관련된 지역은 만화 및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게임 관련 정보에 등록한다. 실존하지 않는 국가에 대해서는 가공의 국가를 참조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자연지리 관련 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굵은 글씨는 상위 문서가 지방자치단체인 경우 시/도청 소재지, 나라인 경우는 수도를 의미한다.


2. 자연지리 [편집]




3. 인문지리[편집]


지도학
Cartography
[ 펼치기 · 접기 ]
투영방식원통방식정적도법 · 정형도법 · 정방위도법 · 정거도법 · 절충 도법
원추 방식정거 원추 도법 · 정형 원추 도법 · 정적 원추 도법 · 정방위 원추 도법
방위 방식정사 도법 · 평사 도법 · 심사 도법 · 정거 방위 도법
도법 람베르트 정적 도법 · 메르카토르 도법 · 횡축 메르카토르 도법 · 시누소이드 도법 · 몰바이데 도법 · 구드 도법 · 로빈슨 도법 · 람베르트 정형 원추 도법 · 앨비스 정적 원추 도법 · 판데그린텐 도법 · 빈켈-트리펠 도법 · 밀러 원통 도법 · 버크민스터-풀러 다이막시온 도법 · 카일 나비 지도 · 카브라이스키 7 도법 · 바그너 6 도법 · 체임벌린 삼각 도법 · 갈-페터스 도법 · 등장방형 도법 · 밀러 원통 도법
왜곡률 티소 인디카트릭스
분야&관련분야 지리학 · 미분기하학



3.1. 지명[편집]


방향에 따른 세부 지역
북서부북부북동부
서부중부동부
남서부남부남동부



3.2. 인구지리[편집]



3.3. 정치지리[편집]







3.3.1. 행정구역[편집]









3.4. 경제지리[편집]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국가산업단지
[ 펼치기 · 접기 ]






3.4.1. 국가별 화폐[편집]




3.5. 사회지리[편집]




3.6. 문화지리[편집]




3.7. 도시지리[편집]


'''도시지리학

Urban Geography
'''
[ 펼치기 · 접기 ]
기본 이론도시 모델버제스의 동심원 모델 · 호이트의 선형모델 · 울만-해리스의 다핵심 모델
도시 구조중심 업무 지구 · 도심 · 원도심 · 부도심 · 중간 지대 · 주거지역 · 슬럼(게토 · 노고존) · 위성도시 · 교외산업단지 · 근린(최근린비)
도심 생애 과정주택여과과정 · 젠트리피케이션 · 스프롤 현상 · 교외화 · 탈도시화 · Knox의 주거 단계 · 역도시화
분야지리학 · 사회학



3.8. 촌락지리[편집]



3.9. 교통지리 [편집]




3.9.1. 도로 [편집]




3.9.2. 철도 [편집]




3.9.3. 버스 [편집]




3.9.4. 기타[편집]




3.10. 역사지리[편집]








3.10.1. 전적지[편집]




3.10.2. 한국의 옛 지명[편집]


한국 행정구역의 시대별 변천사
[ 펼치기 · 접기 ]
삼국시대 ~ 고려시대수도 5부 지방 5부
3경
고구려
5부 5방
22담로
백제
6부 5주
2소경
신라
중앙집권체제 확고 - 삼국통일전쟁
5경 15부 62주
발해
9주 5소경
115군 201현
통일신라 - 고려 경종
10도
성종 - 현종
5도 양계
현종 - 공양왕
조선시대 - 남북분단1부 8도
조선건국 ~ 고종
파일:조선 국기.svg
23부제
고종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1부 13도
고종 - 경술국치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13도
경술국치 - 남북분단
남북분단 ~ 1963년파일:북한 국기.svg
1특별시 6도
1946년 - 1949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5-1948).svg
1특별자유시 9도
1946년 - 1949년
파일:북한 국기.svg
1특별시 7도
(자강도 설치)
1949년 - 1951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9도
(서울특별시로 개칭)
1949년 - 1963년
파일:북한 국기.svg
1특별시 7도 1지구
(개성지구 설치)
1951년 - 1952년
파일:북한 국기.svg
1직할시 7도 1지구
(평양시를 직할시 승격)
1952년 - 1954년
파일:북한 국기.svg
1직할시 9도 1지구
(량강도 설치, 황해남도·황해북도 분도)
1954년 - 1957년
파일:북한 국기.svg
2직할시 9도
(개성시를 직할시 승격)
1957년 - 1960년
파일:북한 국기.svg
3직할시 9도
(함흥시를 직할시 승격)
1960년 - 1963년
1963년 ~ 1995년파일:북한 국기.svg
4직할시 9도
(청진시를 직할시로 승격)
1963년 - 1970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1직할시 9도
(부산직할시로 승격)
1963년 - 1981년
파일:북한 국기.svg
2직할시 9도
(함흥시, 청진시를 일반시로 격하)
1970년 - 1977년
파일:북한 국기.svg
3직할시 9도
(청진시를 직할시 승격)
1977년 - 1979년
파일:북한 국기.svg
4직할시 9도
(남포시를 직할시로 승격)
1979년 - 1985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3직할시 9도
(인천직할시대구직할시로 승격)
1981년 - 1986년
파일:북한 국기.svg
3직할시 9도
(청진시로 격하)
1985년 - 2000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4직할시 9도
(광주직할시로 승격)
1986년 - 1989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5직할시 9도
(대전직할시로 승격)
1989년 - 1995년
1995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5광역시 9도
(지방자치제 실시 및 행정구역 대개편)
1995년 - 1997년
파일:북한 국기.svg
4직할시 9도
(라선시가 직할시로 승격)
2000년 - 2003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특별시 6광역시 9도
(울산광역시로 승격)
1997년 - 2006년
파일:북한 국기.svg
3직할시 9도
(개성시가 특급시로 격하)
2003년 - 2004년
파일:북한 국기.svg
1직할시 9도
(남포시, 라선시가 특급시로 격하)
2004년 - 2010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특별시 6광역시 8도 1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로 승격)
2006년 - 2012년
파일:북한 국기.svg
1직할시 2특별시 9도
(남포시, 라선시가 특별시로 승격)
2010년 - 2019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특별시 6광역시 1특별자치시 8도 1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로 승격)
2012년-
파일:북한 국기.svg
1직할시 3특별시 9도
(개성시가 특별시로 승격)
2019년-





{{{+1 [[변한|{{{#fbe673 변한의 국가}}}]]}}}













3.11. 여행/관광지리 [편집]




3.12. 사진지리[편집]




3.13. 풍수지리[편집]




3.14. GIS[편집]




3.15. 보건지리[편집]



3.16. 건축/토목지리 [편집]


건축 관련 정보

4. 지역지리[편집]



4.1. 주소[편집]



4.2. 국내 - 대한민국[편집]






4.2.1. 지명[편집]




4.3. 국외[편집]





4.3.1. 아시아[편집]



4.3.1.1. 동아시아[편집]




4.3.1.2. 동남아시아[편집]




4.3.1.3. 남아시아[편집]




4.3.1.4. 서아시아[편집]




4.3.1.5. 중앙아시아[편집]




4.3.1.6. 북아시아[편집]




4.3.1.7. 그외[편집]



4.3.2. 유럽[편집]




4.3.2.1. 서유럽[편집]




4.3.2.2. 동유럽[편집]




4.3.2.3. 북유럽[편집]




4.3.2.4. 중부유럽[편집]




4.3.2.5. 남유럽[편집]




4.3.2.6. 그외[편집]



4.3.3. 아메리카[편집]




4.3.3.1. 북아메리카/중앙아메리카/카리브[편집]






4.3.3.2. 남아메리카[편집]




4.3.4. 아프리카[편집]




4.3.4.1. 북아프리카[편집]




4.3.4.2. 동아프리카[편집]




4.3.4.3. 서아프리카[편집]




4.3.4.4. 중앙아프리카[편집]




4.3.4.5. 남아프리카[편집]




4.3.5. 오세아니아[편집]








4.3.6. 남극[편집]





5. 기타[편집]



5.1. 인물[편집]



5.2. 지리교육[편집]





[1] 한국의 도시권은 지역지리-국내 문단의 도시권 틀을, 외국의 도시권은 도시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