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양숙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제1-3대제4대제5-8대제10대
공덕귀육영수홍기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 윤보선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최규하
제11·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이순자김옥숙손명순이희호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 노태우
대통령 김영삼
대통령 김대중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
권양숙김윤옥-김정숙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 문재인
제20대
김건희
대통령 윤석열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배우자
권양숙
權良淑 | Kwon Yang-sook
파일:external/www.pa.go.kr/L_GYS_02.jpg
출생1948년 2월 2일[1] (76세)
경상남도 창원군 진전면 오서리 동대마을[2][3]
사저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봉하로 135 (본산리)
현직재단법인 아름다운 봉하 이사장
활동기간제16대 대통령 배우자
2003년 2월 25일 ~ 2008년 2월 24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안동 권씨 (安東 權氏)[1]
부모아버지 권오석, 어머니 박덕남
배우자노무현
자녀아들 노건호, 딸 노정연
학력진영대창국민학교[2] (37회 / 졸업)
혜화여자중학교 (졸업)
훈성여자상업고등학교 (중퇴)
경력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제2대 명예회장
대한암협회 제2대 명예회장
국제백신연구소 한국후원회 제2대 명예회장
방송통신대학교 명예후원회장
국립극장후원회 명예고문
예술의전당후원회 명예후원회장
국립암센터 명예후원회장
종교불교 (법명: 대덕화)[3]
[1] 복야공파 응경(應慶)계 36세.[2] 現 진영대창초등학교[3] 박정희 전 대통령의 배우자 육영수와 법명이 같다.
1. 개요
2. 생애
3. 논란
4. 여담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노무현 전 대통령배우자이자 대한민국의 제16대 영부인.

남편이 세상을 떠난 직후인 2009년, 봉하재단의 이사장으로 취임하여 재직 중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이후에도 봉하마을에 계속 거주하였으나 2018년 5월 1일, 사저가 개방되면서 진영읍 내에 새로운 자택으로 거처를 옮겼다.

봉하마을에 정치인이 방문할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이전의 사저에서 접견을 하고 있다.

2. 생애[편집]


1948년 2월 2일 경상남도 창원군 진전면 오서리 동대마을(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동대마을)에서 빨치산이자 비전향 장기수였던 아버지 권오석[4]과 어머니 밀양 박씨 박덕남(朴德南, 1920. ~ 2017.2.24.)[5] 사이의 1남 3녀 중 차녀로 태어났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진영대창국민학교를 졸업하고 부산 혜화여자중학교를 졸업, 훈성여자상업고등학교(현 계성여자고등학교)를 중퇴하였다.[6]
권양숙과 노무현의 결혼식 사진
노무현과는 1973년 결혼했으며, 노무현의 사법시험 준비를 뒷바라지했다. 노무현은 권양숙의 도움을 받고 1975년에 사법시험에 합격하였으며, 1976년 사법연수원 시절 꽤 준수한 성적[7]을 올린 덕에 1977년, 1978년 두 해에 걸쳐 대전지방법원 판사를 역임할 수 있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 가족
노무현과의 결혼 이후 슬하에 아들 노건호와 딸 노정연 1남 1녀를 두었다. 1997년부터 2003년 2월 24일까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1가 현대하이츠빌라에서 거주했으며 이후 노무현이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2003년 2월 25일부터 2008년 2월 24일까지 대통령 배우자 신분으로 청와대에서 생활하였다.
마지막으로 함께 찍은
권양숙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진
2008년 2월 25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퇴임 이후 함께 봉하마을로 귀향해 거주하며 전원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권양숙 본인에게서 비롯된 박연차 게이트에 남편 노무현 전 대통령도 연루되었고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 주도 하에 검찰 조사를 받던 남편 노무현이 조사 도중 끝내 부엉이바위에서 투신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당시 권양숙은 병원에서 두부외상으로 사망한 남편 노무현의 주검을 확인하고 그 자리에서 실신하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영결식의
권양숙과 김대중 전 대통령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영결식에서 부인 이희호와 함께 휠체어를 끌고 자리에 참석한 말년의 김대중 전 대통령은 권양숙의 손을 붙잡고 위로를 했다. 당시 권양숙 앞에서 오열하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모습은 국민들에게도 대단히 인상적인 모습으로 다가왔다.

2009년 9월 1일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과 봉하재단이 분리되면서, 봉하재단의 이사장으로 취임하여 재직하고 있다. 정치적인 문제를 주로 다루며 민주당계 정당과 진보정당의 싱크탱크 역할도 겸하는 노무현재단과 달리 봉하재단은 순수히 봉하마을 시설관리와 농작물 사업 등 민간 차원의 사업에 집중한다.
파일:김건희와 권양숙 사진.jpg
권양숙과 김건희
2022년, 윤석열 대통령 취임 직후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배우자가 된 김건희가 대선배 격인 권양숙을 예방하기 위해 봉하마을을 찾았다. 자신을 만나러 온 김건희와 90분 가까이 환담을 나눴고 함께 봉하마을에 자리한 노묘역(노무현대통령 묘역)을 방문해 참배하기도 했다.


3. 논란[편집]


  • 노무현 전 대통령 퇴임 이후인 2009년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되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 노무현 전 대통령의 딸 노정연 씨는 권양숙이 건넨 13억 원을 불법적인 환치기를 통해 송금했으며, 이에 대해 노정연 씨는 유죄 판결을 받았고, 권양숙은 입건 유예되었다. 노정연 씨는 13억 원은 어머니가 보내준 돈이라고 밝혔으며, 권양숙 이 13억 원의 출처에 대해 "(노무현 전 대통령) 재임 때 청와대를 방문한 지인들과 퇴임 이후 봉하마을 사저로 찾아 온 지인들이 준 돈을 모아서 보관해 오던 것”, "‘지인’에 대해서는 “인간적 정리상 구체적 신원을 밝힐 수 없다” 라고 밝혔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공개된 재산 규모를 감안할 때 13억 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공개한 전 재산의 1.4배나 되는 규모[8]이기 때문에 재임 중 지인에게 돈을 받았고, 그게 누구인지 공개할 수 없다는 태도에 대해 비판하는 시각이 있다. 금전을 받은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통령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전 대통령도 인정한 사실이다. #


4. 여담[편집]


  • 영화 변호인에서는 장수경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이항나가 연기했다.[9]

  •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5년 2월 안검하수 증세로 쌍커풀 수술을 받았을 때 같이 수술을 받았다. #

  • 권양숙의 모친이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모인 박덕남이 2017년 2월 24일에 사망했다. 향년 96세.

  •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호감도 조사에서 최상위권이자 민주당계에서 작은 어른으로 대우받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배우자지만, 남편과는 달리 이미지가 전혀 좋지 않은 편이다. 보수 진영에게는 영원한 정적인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배우자이며 부친 권오석빨치산 활동 논란과 부패 논란으로 인해 찍혀 있고, 민주당계 진영에게는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되어 남편인 노무현이 자살하는 원인을 제공했다고 하여 원한을 샀기 때문이다.[10] 그래서인지 노무현 전 대통령과 함께 역대 대통령 영향력 순위에서 항상 최상위권을 차지하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배우자 육영수가 보수 진영에서 가졌던 이미지, 육영수 사후 대통령 배우자 직무 수행을 한 박근혜가 박정희의 후광으로 대통령에 올라선 점,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배우자 이희호[11]문재인 정부더불어민주당에게 마지막까지 진보의 큰어른 대우를 받아왔다는 것과 비교하면, 권양숙은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이후 언론에 드러나지 않고 조용히 처신하고 있다. 현재는 봉하마을 사저를 떠나 진영읍 내의 다른 마을에 거주하고 있다고 하고, 사저가 개방된 이후로는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이나 유력 정치인들이 예방할 때 얼굴을 비추는 것 말고는 공개적인 활동은 피하고 있다.

  • 갑론을박을 떠나 국정원에 의한 미행 피해자이다. 원세훈국정원장이 이 건으로 관련하여 재판을 받고 있으며 대법원에서 국정원 직원에게 박 전 시장과 권양숙을 미행하게 한 부분을 유죄로 판단했다(#).


  • 도전 골든벨 300회, 독서골든벨에 나와서 문제를 직접 낸 적이 있었다.



5. 둘러보기[편집]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49년8월 15일이승만대통령대한민국
1960년8월 13일윤보선대통령대한민국
1963년12월 5일12월 17일박정희대통령대한민국
1967년6월 23일육영수영부인대한민국
1979년12월 7일최규하대통령대한민국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12월 7일홍기영부인대한민국
1980년8월 29일8월 29일전두환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8월 29일8월 29일이순자영부인대한민국
1988년2월 24일2월 25일노태우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2월 24일2월 25일김옥숙영부인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김영삼대통령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손명순영부인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김대중대통령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이희호영부인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노무현대통령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권양숙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이명박대통령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김윤옥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9일박근혜대통령대한민국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64년12월 3일12월 8일하인리히 뤼프케대통령독일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12월 3일12월 8일빌헬미네 뤼브케영부인독일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2월 1일2월 7일이스마일 나시루딘국왕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7일틍쿠 인탄 자하라왕비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10일푸미폰 아둔야뎃국왕태국
1966년2월 1일2월 10일시리낏 끼띠야콘왕비태국
1966년2월 1일2월 15일장제스총통중화민국
1968년5월 10일5월 18일하일레 셀라시에황제에티오피아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반티에우총통남베트남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티마이아인제1부인남베트남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하마니 디오리대통령니제르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아이샤 디오리영부인니제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대통령엘살바도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영부인엘살바도르
1975년6월 27일7월 5일오마르 봉고대통령가봉
1975년6월 27일7월 5일조세핀 봉고영부인가봉
1979년4월 17일4월 23일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대통령세네갈
1979년4월 17일4월 23일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영부인세네갈
1980년5월 11일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국왕사우디아라비아
1980년5월 14일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1981년6월 25일수하르토대통령인도네시아
1981년6월 25일시티 하티나영부인인도네시아
1981년6월 29일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국왕말레이시아
1981년6월 29일틍쿠 아프잔왕비말레이시아
1981년7월 6일페르디난드 마르코스대통령필리핀
1981년7월 6일이멜다 마르코스영부인필리핀
1981년10월 13일로드리고 카라소대통령코스타리카
1981년10월 13일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영부인코스타리카
1982년5월 10일사무엘 도국가원수라이베리아
1982년6월 7일모부투 세세 세코대통령자이르
1982년6월 7일보비 라다와영부인자이르
1982년8월 25일압두 디우프대통령세네갈
1982년12월 21일케난 에브렌대통령터키
1983년3월 10일3월 15일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대통령수단
1983년3월 10일3월 15일부띠나 칼릴 압불핫산영부인수단
1983년9월 10일후세인 1세국왕요르단
1983년9월 10일누르왕비요르단
1984년4월 9일하사날 볼키아국왕브루나이
1984년4월 21일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국왕카타르
1984년8월 30일9월 13일다우다 자와라대통령감비아
1984년8월 30일9월 13일치렐 자와라영부인감비아
1985년5월 17일무함마드 지아울하크대통령파키스탄
1985년5월 20일루이스 알베르토 몽헤대통령코스타리카
1986년9월 4일4월 10일엘리자베스 2세국왕영국
1986년9월 4일4월 16일보두앵국왕벨기에
1987년4월 7일아메드 압달라대통령코모로
1988년11월 3일이스칸다르국왕말레이시아
1988년11월 3일자나리아왕비말레이시아
1989년11월 3일11월 20일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대통령서독
1989년11월 3일11월 30일프랑수아 미테랑대통령프랑스
1989년11월 3일11월 30일다니엘 미테랑영부인프랑스
1990년6월 21일안드레스 로드리게스대통령파라과이
1990년11월 5일괸츠 아르파드대통령헝가리
1991년9월 13일아즐란 샤국왕말레이시아
1991년9월 13일투안쿠 바이눈왕비말레이시아
1991년9월 25일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대통령멕시코
1992년8월 13일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대통령과테말라
1993년5월 20일5월 25일피델 발데즈 라모스대통령필리핀
1993년5월 20일5월 25일이멜리타 마르띠네즈 라모스영부인필리핀
1994년11월 7일11월 21일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대통령칠레
1994년12월 5일12월 9일레흐 바웬사대통령폴란드
1995년2월 7일2월 16일이슬람 카리모프대통령우즈베키스탄
1995년2월 21일3월 6일로만 헤어초크대통령독일
1995년3월 28일4월 3일젤류 미테프 젤레프대통령불가리아
1995년6월 26일7월 7일넬슨 만델라대통령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9월 26일9월 29일카를로스 메넴대통령아르헨티나
1996년7월 23일9월 4일알바로 아르수대통령과테말라
1996년7월 23일페르난두 엔히크 카르도주대통령브라질
1996년10월 8일10월 20일후안 카를로스 1세국왕스페인
1996년10월 8일10월 20일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왕비스페인
1996년11월 26일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국왕말레이시아
1996년12월 10일12월 15일레오니드 쿠치마대통령우크라이나
2000년2월 22일3월 3일카를로 아첼리오 참피대통령이탈리아
2000년2월 22일3월 6일자크 시라크대통령프랑스
2006년3월 12일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대통령알제리
2007년3월 26일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2007년3월 28일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국왕카타르
2009년5월 13일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대통령카자흐스탄
2009년11월 12일알란 가르시아대통령페루
2012년5월 30일칼 16세 구스타프국왕스웨덴
2012년11월 21일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대통령아랍에미리트
2018년10월 8일에마뉘엘 마크롱대통령프랑스
2019년하랄 5세국왕노르웨이
2021년6월 14일알렉산더 판데어벨렌대통령오스트리아
2021년6월 16일펠리페 6세국왕스페인
2021년6월 16일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왕비스페인
2021년8월 25일이반 두케대통령콜롬비아
2021년9월 21일보루트 파호르대통령슬로베니아


노무현 가문
[ 펼치기 · 접기 ]
노무현의 배우자, 형제자매, 처가 및 직계 가족 일람
고조부
노응호
증조부
노상호
조부
노학용
부친
노판석
장형
노영현
차형
노건평
노무현
(아내 권양숙[1])
아들
노건호
손녀
노서은
[1]: 권오석의 딸.
상위 문서: 틀:노무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5:43:47에 나무위키 권양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포털 인물정보에는 1947년생으로 나온다.[2]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동대마을[3]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 #[4] 노무현이 정계에 입문했을 당시 이로 인해 정치적으로 공격받기도 했다. 이에 노무현은 그 유명한 '이런 아내를 제가 버려야 합니까'라는 내용의 연설로 강경하게 대응했고, 이것이 오히려 득이 되어 순조롭게 정치인으로 데뷔할 수 있었다. 참고로 노무현은 장인어른의 빨치산 경력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5] 박희진(朴熙進)의 딸이다.[6] 노무현 전 대통령 재임 시 학력 문제로 정치적 반대파 및 우익 세력들로부터 온갖 비하와 음해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저 당시에는 여성이 고등학교까지(중퇴이긴 하지만) 갔다는 것만 해도 지금의 대졸자 급의 취급을 받던 시대였다. 권양숙이 재학하던 1960년대 초반 훈성여자상업고등학교(계성여자고등학교)는 부산 서구 학교 밀집지역에 소재한 중위권 사립학교에 속했다. 정치적 반대파와 우익 세력들이 계성여자고등학교를 훗날의 실추된 이미지를 가져와서 똥통 학교라고 비하하지만, 계성여자상업고등학교가 지금의 수준으로 몰락한 것은 1974년 고교평준화로 인해 부산의 고등학교 서열이 완전히 뒤엎어진 이후였다. 1974년 이전에는 명문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럭저럭 괜찮았던 학교였다.[7] 여기서 '꽤 준수한'이라는 말은 노무현 자신이 한 말이다. 예나 지금이나 사법연수원 성적 순서대로 판사가 뽑혀나가고 그 다음으로 검사가 뽑혀나간다. 그래도 당시에는 사법시험 선발 인원 자체가 100명 미만으로 극히 적었기 때문에 사법시험 합격 자체가 먼치킨으로 취급받던 시절이었다. 특히 노무현이 합격한 17회 사법시험 합격 인원은 60명으로 다른 해보다도 유난히 적었다. 사법시험 합격자가 300명으로 늘어난 23회 사법시험 (연수원 13기) 이전에는, 사법시험 합격자는 과거 민주화운동 전과등 결격사유가 없는 한 거의 100% 판사나 검사로 임용되었다. 노무현이 본격적으로 돈을 벌어보기 위해 판사를 그만두고 부산으로 와서 변호사 개업을 했을 때도 그 자신을 포함해서 부산직할시 내 전체 변호사가 3명에 불과하던 시절이었다.[8] 2008년 2월 말 공개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재산규모는 노건호(예금 5,400만 원), 손녀 노서은(2,700만 원)의 예금까지 다 더해도 9억 7,200만 원이었다.[9] 작중 노무현 전 대통령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노무현이라는 이름이 아닌 송우석이라는 이름으로 나왔듯이 권양숙은 장수경이라는 이름으로 대체되었다.[10] 이런 이유 때문에 역대 대통령 배우자 중에서는 10대~20대에게 인지도가 가장 높다. 물론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행하는 노무현 비하 밈에 의한 것이라 좋은 이미지는 절대 아니다.[11] 이희호는 이미 김대중과의 결혼 이전부터 여성계에서 꽤 지명도가 높았고, 대통령 배우자 치고는 정치적 성격이 강한 인물이었다. 오히려 김대중과의 결혼 및 내조로 인해 사회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았으면 여성계의 더 큰 거물로 성장했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을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