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데렐라 일레븐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유은혜(신데렐라 일레븐) 문서
유은혜(신데렐라 일레븐)번 문단을
유은혜(신데렐라 일레븐)#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파일:부총리 겸.svg>
파일:교육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교육부장관 (1990~2001)
31대
윤형섭
32대
조완규
33대
오병문
34대
김숙희
35대
박영식
36대
안병영
37대
이명현
38대
이해찬
39대
김덕중
40대
문용린
41대
송자
42대
이돈희
교육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 (2001~2008)
43대
한완상
44대
이상주
45대
윤덕홍
46대
안병영
47대
이기준
48대
김진표
49대
김병준
50대
김신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2008~2013)
51대
김도연
52대
안병만
53대
이주호
54대
서남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2013~현재)
55대
서남수
56대
황우여
57대
이준식
58대
김상곤
59대
유은혜
파일:교육부 MI 가로형.png


유은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제18대
백성운
제19대
유은혜
선거구 개편
유은혜[A]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고양시 병)
선거구 개편
유은혜[A]
제20대
유은혜
제21대
홍정민
[A] A B 제20대 국회에서 고양시 일산동구 선거구가 고양시 병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대한민국 제59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
兪銀惠 | Yoo Eun-hye
파일:유은혜전장관.jpg
출생1962년 10월 2일[1] (61세)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거주지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동
본관기계 유씨
현직재단법인 김근태재단 이사장
재임기간제59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2018년 10월 2일 ~ 2022년 5월 9일
서명
파일:유은혜 서명.svg
SNS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형제자매1남 4녀 중 넷째
배우자장안식(1960~2024, 사별)[1]
자녀장녀(1990년생)
장남(1997년생)
학력서울휘경국민학교[2] (졸업)
동대문여자중학교 (졸업)
송곡여자고등학교 (6회 / 졸업)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동양철학[3] /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 / 석사)
종교천주교 (세례명: 아녜스)
신체175cm, 56kg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9, 20
경력제19~20대 국회의원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사회분과 위원
김근태 국회의원 보좌관
열린우리당 부대변인
민주당 수석부대변인
성균관대학교 총동창회 상임이사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1] 2024년 6월 5일 주차장 내 차량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2] 現 서울휘경초등학교[3]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는 1967년 유학대학으로 승격되면서 유학과와 철학과로 분리되었다가, 1981년 다시 철학과에서 분리하여 유학대학 동양철학과로 분과되었다. 이후 1996년 3월 중국철학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 개요
2. 약력
2.1. 의정 활동
5. 여담
6. 선거 이력
7. 소속 정당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 前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정계에 입문해 제19·20대 국회의원,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간사를 엮임하고 문재인 정부의 두 번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을 지냈다.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의 보좌관 출신으로 민평련계로 분류된다.

2018년부터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을 맡았고, 2022년 2월 24일에 종전 최장수 장관인 이규호 전 장관(1241일 재직)을 제치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역대 최장기 사회부총리 및 교육부장관으로 역임했다.

장관으로서 재임기간에 유치원의 공공성 확보, 사립대학 고강도 감사를 진행했다. 조국 전 법무부장관의 딸인 조민 씨의 입시 의혹 수사 지시와 당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배우자 김건희 씨의 논문 감사 지시 등의 행보로 양쪽 진영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2020년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 이후 온라인 개학 시행과 함께 원격수업이 확대되면서 증가된 교육격차, 돌봄공백, 청소년 우울감, 가정에서의 아동 학대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2021년 이후 학사 운영에서 대면수업 원칙을 유지하기 시작했다.

2. 약력[편집]


  • 1998~2001 국회의원 김근태 후원회 사무국장
  • 1999 국민정치연구회 이사
  • 2001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 2002~2003 김근태 국회의원 보좌관
  • 2002 제16대 대통령선거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환경위원회 부위원장
  • 2003 한반도재단 사무국장
  • 2004.04~2009 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통합민주당 부대변인
  • 2006 김대중도서관후원회 기획위원
  • 2009 한신대학교 외래교수
  • 2009~2010 민주당 수석부대변인
  • 따뜻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나눔운동본부 운영위원
  • 성균관대학교 총동창회 상임이사
  • 우석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 2010~민주당→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고양시 일산동구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4.05~2014.10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
  • 2015.02~2016.02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대변인
  • 2016.01~2016.04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위원
  • 2016.11~2017.04 더불어민주당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특별위원회 위원장
  • 2017.02~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 부위원장
  • 2017.04~2017.05 제19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
  • 2017.05~2017.07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사회분과 위원
  • 2017.05~2017.06 더불어민주당 제5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 2017.06~2018.09 더불어민주당 제6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 2018.10~2022.05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2018.10~2022.05 대통령직속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당연직위원
  • 2018.10~2022.05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당연직위원
  • 2018.10~2022.05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당연직 위원
  • 2018.10~2022.05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당연직위원
  • 2018.10~2022.05 녹색성장위원회 당연직위원
  • 2018.10~2022.05 대통령 직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당연직 위원
  • 2018.10~2022.05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정부위원
  • 2018.10~2022.05 2050 탄소중립위원회 당연직 위원


2.1. 의정 활동[편집]


  • 2012.05~2016.05: 제19대 국회의원(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 2012.07~2013.03: 제19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
  • 2013.03~2016.05: 제19대 국회 전반기, 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 2014.06~2014.10: 제19대 국회 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
  • 2016.05~2020.05: 제20대 국회의원(경기 고양시 병, 더불어민주당)
  • 2016.06~2017.06: 제20대 국회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 2016.07~2018.03: 제20대 국회 평창동계올림픽 및 국제경기대회지원 특별위원회 위원
  • 2017.06~2018.05: 제20대 국회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
  • 2018.07~2018.10: 제20대 국회 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 2018.10~2019.08: 제20대 국회 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 2019.08: 제20대 국회 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
  • 2019.08~2020.05: 제20대 국회 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3. 생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유은혜/생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비판과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유은혜/비판 및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여담[편집]


  • 김현미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는 공통점이 많으며 상당히 친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두 의원 모두 1962년생이라는 점, 일산이 지역구라는 점, 문재인 정부에서 의원과 장관을 겸직하고 있다가 21대 총선 불출마 선언을 했다는 점 등 공통점이 여럿 있다. 덕분에 두 사람은 20대 총선에서 공동으로 공약을 발표하고 공동유세를 하기도 했다. 그리고 김현미 장관이 청년 주거 문제를 점검하기 위해 현장에 나갔을 때엔 일부 주민들이 김현미를 교육부장관으로 알고 건의/비판을 했는데, 김 장관이 그걸 유 장관에게 전달했다고 한다.#

  • 2024년 6월 5일, 유은혜 전 부총리의 배우자가 숨진 채 발견되었다. 경찰에 따르면 유 전 부총리의 남편인 60대 남성 장모 씨는 5일 오전 8시 20분경 고양시 일산동구의 한 아파트 단지 내 주차된 승용차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아버지가 연락이 안 된다는 아들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은 숨진 장모씨를 발견하고 신원을 확인했다. 밀폐된 차량 안에는 번개탄 2장이 탄 흔적과 "가족을 잘 부탁한다" 등 유서로 추정되는 발송되지 않은 문자가 담긴 휴대전화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장씨는 평소 연이은 사업실패 등으로 생활고에 시달렸으며, 최근까지도 킨텍스 내 푸드코트에서 아들과 함께 매장을 운영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A 씨가 극단적인 선택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자세한 경위를 조사 중이다. ###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4,313,645 (25.17%)낙선 (19번)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고양 일산동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60,236 (51.59%)당선 (1위)초선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고양 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2,886 (47.73%)재선



7.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 - 2007정계 입문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7 - 2008합당[2]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합당[3]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 2011당명 변경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1 - 2013합당[4]

[[민주당(2013년)|
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3 - 2014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014 - 2015합당[5]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현재당명 변경
  • 열린우리당 입당 이후 단 한 번도 탈당한 적이 없다.


8. 둘러보기[편집]















[1] 음력 1962년 9월 4일[2]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합당[3] 민주당과 합당[4]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5]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