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4년
덤프버전 : r20230302
1. 개요[편집]
2. 사건[편집]
2.1. 실제[편집]
- 현 서울대학교의 전신인 경성제국대학이 설립됐다.
- 한국 최초의 창작동요인 반달이 발표되었다. 작사 및 작곡은 윤극영.
- 1월 24일: 일본 제국의 히로히토 황태자와 구니노미야 나가코 여왕이 결혼식을 올렸다.
- 5월 4일: 1924 파리 올림픽이 개최 되었다.
- 5월 19일: 평안북도 강계군[2] 고산면 남상동 마시탄 강변에서 이의준 등 8명이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한 마시탄 사건이 일어났다.
- 7월 27일: 1924 파리 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 8월 10일: 장제스가 쑨원의 지시에 따라 광저우 상단이 홍콩에서 밀수한 총기 9천정과 탄약 350만발을 압수하면서 광저우 상단 사건이 일어났다.
- 8월 23일: AS 모나코가 창단되었다.
- 9월 3일: 강절전쟁 발발.
- 9월 13일: 2차 직봉전쟁 발발.
- 10월 13일: 루융샹의 망명, 강절전쟁 종결.
- 10월 15일: 광동정부가 상단군을 궤멸시켰다.
- 10월 16일: 상인단이 항복하면서 광저우 상단 사건이 종결되었다.
- 10월 23일: 북경정변
- 11월 2일: 중화민국 6대 대총통 차오쿤 하야.
- 11월 3일: 2차 직봉전쟁 종결.
- 11월 5일: 핍궁사건 발생.
- 12월 11일: 강소독군 치셰위안이 파면되고 루융샹이 소환선무사에 임명되면서 제노전쟁이 일어났다.
- 12월 20일: 뮌헨 폭동을 일으켰던 아돌프 히틀러가 란츠베르크 형무소에서 석방되다.
2.2. 가상[편집]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의 분기연도. 아인슈타인이 타임머신으로 시간여행에 성공, 란츠베르크에서 석방된 히틀러를 제거하여 나치 독일이 사라지나 훗날 스탈린이 서유럽을 침공한다.
- 사쿠라 대전 2의 배경연도.
- 야인시대의 본격 첫시작이 되는 배경연도.
3. 탄생[편집]
3.1. 실제[편집]
3.1.1. 1월[편집]
- 1월 3일 - 현시학(~1989년): 대한민국의 군인
- 1월 6일 - 김대중(~2009년): 대한민국의 15대 대통령
- 1월 8일 - 론 무디(~2015년): 영국의 배우
- 1월 9일 - 세르게이 파라자노프(~1990년): 소련/아르메니아의 영화 감독
- 1월 14일 - 현준극(~1997년): 조선로동당 국제부장.
- 1월 17일 - 신의철(~2003년)
3.1.2. 2월[편집]
- 2월 6일
- 2월 8일 - 쿠메 아키라(~2020년): 일본의 성우 겸 배우
- 2월 15일 - 박화목(~2005년):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
- 2월 18일 - 진순신(~2015년): 일본의 소설가, 역사저술가
- 2월 19일 - 리 마빈(~1987년): 미국의 배우
- 2월 21일 - 로버트 무가베(~2019년): 독재자
1대 짐바브웨 대통령 - 2월 22일 - 성낙현(~2022년):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 2월 23일 - 이후락(~2009년):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6대 중앙정보부장. 일명 제갈조조
- 2월 26일 - 타케시타 노보루(~2000년): 일본의 74대 총리
3.1.3. 3월[편집]
3.1.4. 4월[편집]
- 4월 3일 - 말론 브란도(~2004년): 미국의 배우
- 4월 8일 - 프레데릭 백(~2013년): 캐나다의 애니메이터
- 4월 16일 - 헨리 맨시니(~1994년)
- 4월 20일 - 레슬리 필립스(~2022년): 잉글랜드의 영화배우
- 4월 22일 - 남덕우(~2013년):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장관,국무총리
- 4월 29일 - 아베 신타로(~1991년): 일본의 외무성 장관, 전직 정치인
3.1.5. 5월[편집]
- 5월 11일 - 재키 밀번(~1988년): 잉글랜드의 축구선수
- 5월 17일 - 로이 벤틀리(~2018년): 잉글랜드의 축구선수
- 5월 26일 - 서종철(~2010년): 한국의 전 군인, 20대 국방장관, KBO 초대~2대 총재
3.1.6. 6월[편집]
- 6월 8일 - 케네스 월츠(~2013년): 미국의 국제정치학자
- 6월 12일 -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2018년): 41대 미국 대통령
- 6월 13일 - 이해연(~2019년): 대한민국의 가수
- 6월 20일 - 체트 앳킨스(~2001년): 미국의 기타리스트
3.1.7. 7월[편집]
- 7월 1일 - 안토니 라마예츠(~2013년): 스페인의 축구 선수
- 7월 4일 - 에바 마리 세인트(~생존 중): 미국의 배우
- 7월 7일 - 메리 포드(~1977년): 미국의 가수. 그룹 레스 폴 & 메리 포드의 멤버
- 7월 9일 - 박종길(~2008년)
- 7월 15일 - 강범구(~생존 중):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3.1.8. 8월[편집]
3.1.9. 9월[편집]
- 9월 9일 - 장창국(~1996년): 대한민국의 군인
- 9월 13일 - 모리스 자르(~2009년): 프랑스의 작곡가
- 9월 15일 - 김영관(~생존 중): 사단법인 한국광복군동지회 제12·15대 회장
- 9월 16일 - 로렌 바콜(~2014년): 미국의 배우
- 9월 28일 -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1996년): 이탈리아의 배우
- 9월 29일 - 장민호(~2012년): 한국의 배우[3]
3.1.10. 10월[편집]
3.1.11. 11월[편집]
- 11월 1일 - 문인구(~2013년): 한국의 변호사이자 6월 항쟁 당시 호헌철폐 운동을 이끈 인물
- 11월 3일 - 야마사키 도요코(~2013년): 일본의 소설가
- 11월 11일 - 천경자(~2015년): 한국의 화가
- 11월 14일 - 역도산[4] (~1963년): 일본의 재일교포 프로레슬러
- 11월 21일 - 크리스토퍼 톨킨(~2020년): 영국의 영문학자이자 톨키니스트
- 11월 30일 - 셜리 치좀(~2005년): 미국의 정치인
3.1.12. 12월[편집]
- 12월 15일 - 장지량(~2015년): 대한민국의 군인, 전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 12월 17일 - 김용철(~생존 중): 대한민국의 정치인
- 12월 19일 - 미셸 투르니에(~2016년): 프랑스의 소설가
- 12월 25일 - 도예종(~1975년): 인민혁명당 사건 사형수
- 12월 29일
3.1.13. 일자불명[편집]
3.2. 가상[편집]
4. 사망[편집]
4.1. 실제[편집]
- 1월 21일 - 블라디미르 레닌(1870년~): 소련의 초대 최고권력자
- 1월 27일 - 하세가와 요시미치(1850년~): 일본의 군인, 정치인, 제2대 조선총독
- 2월 3일 - 우드로 윌슨(1856년~): 제28대 미국 대통령
- 3월 1일 - 루이즈 마리 아멜리(1858년~): 벨기에 레오폴드 2세의 장녀
- 3월 25일 - 황비홍(1847년~): 중국의 무술가
- 6월 3일 - 프란츠 카프카(1883년~): 독일어 문학의 거장
- 6월 8일 - 조지 말로리(1886년~): 영국의 등산가
- 7월 12일 - 니쓰충(1868년~): 중화민국의 군벌
- 9월 6일 - 마리 발레리 마틸데 아말리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프란츠 요제프 1세의 3녀
- 11월 29일 - 자코모 푸치니(1858년~): 이탈리아의 작곡가
4.2. 가상[편집]
- 일자불명: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 아돌프 히틀러
5. 달력[편집]

[1] Before Present[2] 또는 위원군.[3] 한극 연극계의 대부로 이름난 배우로서 대중에는 태극기 휘날리며의 노년의 이진석으로 유명한 배우이다. 2012년 타계.[4] 1922년생이라는 얘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