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상어 (r1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범상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범상어라는 어뢰에 대한 내용은 범상어(어뢰) 문서
범상어(어뢰)번 문단을
범상어(어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멸종 위기 동물
[ 펼치기 · 접기 ]
파일:IUCN 멸종위기등급.svg
가나다 순으로 항목 정렬>
※ 문서가 없는 동물은 멸종 위기 동물/목록 참고
※ # 표시가 뒤에 붙어있는 동물은 아종
야생 절멸 (EW)
바바리사자# · 사불상 · 칼상어 · 케이프사자#
위급 (CR)
가는부리대머리수리 · 가래상어 · 가비알 · 갠지스상어 · 거친우산문어 · 검은머리촉새 · 검은볏긴팔원숭이 · 검은짧은꼬리원숭이 · 검은코뿔소 · 검자주복 · 구티 사파이어 오너멘탈 · 귀천산갑 · 남중국호랑이# · 넓적부리도요 · 다마가젤 · 동부고릴라 · 두건독수리 · 둥근귀코끼리 · 디윈턴황금두더지 · 레드테일블랙샤크 · 레무르잎개구리 · 루펠독수리 · 매부리바다거북 · 메콩자이언트메기 · 모래뱀상어 · 목화머리타마린 · 바베이도스실뱀 · 바키타 · 방사거북 · 베타 루틸란스 · 베타 미니오핀나 · 베타 부르디갈라 · 베타 오메가 · 베타 크라켄스 · 베타 클로로파링스 · 베타 푸스카 · 베타 핑귀스 · 베타 헨드라 · 벵골대머리수리 · 보르네오오랑우탄 · 보르네오코끼리# · 보트롭스 인술라리스 · 부세 · 북부흰코뿔소# · 붉은가슴흰죽지 · 붉은늑대 · 붉은머리독수리 · 붉은정강이두크 · 뿔제비갈매기 · 사올라 · 샴악어 · 서부고릴라 · 서부로랜드고릴라# · 서인도양실러캔스 · 수마트라오랑우탄 · 수마트라코뿔소 · 스쿱헤드귀상어 · 시베리아철갑상어 · 시베리아흰두루미 · 아닥스 · 아라비아표범# · 아무르표범# · 아시아대왕자라 · 아시아치타# · 아시아큰거북 · 아프리카야생당나귀 · 아홀로틀 · 안고노카거북 · 알프레디리코리스구라미 · 앤더슨도롱뇽 · 양쯔강대왕자라 · 양쯔강돌고래 · 양쯔강악어 · 에스키모쇠부리도요 · 오르나티카우다리코리스구라미 · 오리노코악어 · 원앙사촌 · 유럽뱀장어 · 유황앵무 · 이리오모테삵# · 이집트땅거북 · 이토 · 인도독수리 · 인도차이나표범# · 자바코뿔소 · 자이언트바브 · 작은눈귀상어 · 장완흉상어 · 전자리상어 · 중국장수도롱뇽 · 중국줄무늬목거북 · 징기스칸 · 철갑상어 · 카카포 · 카스피해늑대# · 칼루가철갑상어 · 캘리포니아콘도르 · 켐프각시바다거북 · 쿠바악어 · 쿠프레이 · 큰귀상어 · 큰머리거북 · 큰철갑상어 · 타파눌리오랑우탄 · 페르시아놀란도마뱀붙이 · 필리핀수리 · 필리핀악어 · 학교상어 · 홍살귀상어 · 홍살보닛헤드귀상어 · 흰등독수리 · 흰머리독수리 · 흰배중부리도요 · 히롤라
위기 (EN)
가이양 · 갈라파고스물개 · 갈라파고스펭귄 · 강거두고래 · 개리 · 검은잎원숭이 · 고래상어 · 골리앗개구리 · 굿펠로우나무타기캥거루 · 귀머거리도마뱀 · 그레비얼룩말 · 그물무늬기린 · 긴칼뿔오릭스 · 까치상어 · 나무타기천산갑 · 나일리추에 · 난쟁이도요타조 · 난쟁이푸른양 · 날개귀상어 · 남방참다랑어 · 남부돼지꼬리원숭이 · 남생이 · 납작머리삵 · 노란눈펭귄 · 노란배측범잠자리 · 노란뺨긴팔원숭이 · 뉴질랜드장어 · 느시 · 단순청상아리 · 달마수리 · 대왕고래 · 대왕쥐가오리 · 돌묵상어 · 돼지코거북 · 드릴 · 디블러 · 딩기소 · 따오기 · 떡붕어 · 레드 슬레이트 오너멘탈 · 레서판다 · 로즈라인바브 · 리코리스구라미 · 림가젤 · 마운틴가젤 · 마운틴리드벅 · 말레이가비알 · 말레이맥 · 말레이천산갑 · 말레이큰박쥐 · 말레이호랑이# · 몽골야생말# · 문조 · 바바리원숭이 · 바위뉴질랜드굴뚝새 · 반텡 · 뱀잡이수리 · 뱀장어 · 버마승냥이# · 베이사오릭스 · 베타 리비다 · 베타 안토니 · 베타 알비마르기나타 · 베타 칸노이데스 · 베타 키니 · 베타 투시아이 · 베타 페르세포네 · 베타 포이르스키 · 베타 피 · 베타 힙포시데로스 · 벵골호랑이# · 보노보 · 보닛헤드귀상어 · 보르네오황금고양이 · 보리고래 · 보세마니무지개고기 · 북미흰두루미 · 북방긴수염고래 · 북부바위뛰기펭귄 · 북부승냥이# · 붉바리 · 붉은무지개고기 · 붉은스틴브라스 · 붉은어깨도요 · 블래키스톤물고기잡이부엉이 · 사바나천산갑 · 사자꼬리원숭이 · 산니알라 · 산악고릴라# · 산호두꺼비고기 · 상괭이 · 설카타거북 · 세인트루시아보아 · 수원청개구리 · 수달사향고양이 · 수마트라승냥이# · 스텔렛철갑상어 · 스피키가젤 · 승냥이 · 시베리아호랑이# · 아마존강돌고래 · 아시아사자# · 아시아아로와나 · 아시아코끼리 · 아이아이 · 아프리카들개 · 아프리카코끼리 · 아프리카펭귄 · 안데스산고양이알락꼬리마도요 · 알락꼬리여우원숭이 · 야생말 · 얼룩말상어 · 오네이트파라다이스피쉬 · 오카피 · 왕눈물떼새 · 우수리승냥이# · 이베리아스라소니 · 이집트독수리 · 인도강돌고래 · 인도차이나호랑이# · 자바공작 · 자바뿔매 · 저어새 · 점박이거북 · 조프루아거미원숭이 · 주름얼굴독수리 · 주머니개미핥기 · 중국악어도마뱀 · 쥐가오리 · 청다리도요사촌 · 청상아리 · 초원수리 · 침팬지 · 카구 · 카스피물범 · 케아 · 코모도왕도마뱀 · 코주부원숭이 · 큰긴팔원숭이 · 큰민어 · 큰수달 · 큰양놀래기 · 큰천산갑 · 태즈메이니아데블 · 토바베타 · 토쿠원숭이 · 페르시아다마사슴 · 푸른나무왕도마뱀 · 푸른무지개고기 · 푸른바다거북 · 프랑수아랑구르 · 플레임테트라 · 피그미하마 · 필리핀원숭이 · 하르베이리코리스구라미 · 하와이몽크물범 · 해달 · 헨다손매 · 호랑이 · 호사비오리 · 호주폐어 · 환도상어 · 황금들창코원숭이 · 황금볏과일박쥐 · 황새 · 회색관두루미 · 후흔 · 흉상어 · 흑상어 · 흰뺨상어 · 흰손긴팔원숭이 · 흰점배무늬수리 · 히말라야잉어
취약 (VU)
가봉북살무사 · 가시고기 · 갈라파고스땅거북 · 갑상선가젤 · 개복치 · 검은관두루미 · 검은머리갈매기 · 검은발고양이 · 고기잡이삵 · 고대갈매기 · 고라니 · 고슴도치해마 · 고퍼거북 · 구름표범 · 귀상어 · 그리스거북 · 그린란드상어 · 금개구리 · 기린 · 긴꼬리천산갑 · 긴수염올빼미 · 난쟁이악어 · 남방호랑고양이 · 남부땅코뿔새 · 남부바위뛰기펭귄 · 남아메리카맥 · 남아프리카치타# · 넓적부리황새 · 네뿔영양 · 노랑부리검둥오리사촌 · 노랑부리백로 · 녹색혹비늘돔 · 눈다랑어 · 눈표범 · 느림보곰 · 늪악어 · 닐기리담비 · 다이아몬드거북 · 대서양대구 · 대서양타폰 · 덴텍스 · 도르카스가젤 · 동굴영원 · 돛새치 · 두루미 · 듀공 · 레몬상어 · 마사이사자# · 마카로니펭귄 · 말레이곰 · 매가오리 · 맨드릴 · 메가칠레 플루토 · 메추라기도요 · 무태상어 · 미흑점상어 · 바가리우스 야렐리 · 바다꿩 · 바다이구아나 · 바다코끼리 · 바라싱가 · 바바리양 · 백기흉상어 · 백상아리 · 버마비단뱀 · 베이라영양 · 베타 디미디아타 · 베타 미다스 · 베타 브로우노룸 · 베타 시모룸 · 베타 우베리스 · 베타 이바노룸 · 베타 코키나 · 볏도마뱀붙이 · 병어 · 보넷원숭이 · 보르네오구름표범 · 본테복 · 부채머리수리 · 북극곰 · 북방물개 · 북부돼지꼬리원숭이 · 북중국표범# · 불도롱뇽 · 붉은가슴기러기 · 붉은얼굴원숭이 · 붉은이마가젤 · 비악상어 · 빈투롱 · 뿔쇠오리 · 사무라이개미 · 사자 · 사향노루 · 산양 · 산얼룩말 · 샛별돔 · 서인도제도매너티 · 샴싸움고기 · 세가락갈매기 · 세동가리혹돔 · 셸리수리부엉이 · 소말리아동굴고기 · 소코가오리 · 순록 · 숲꺅도요 · 스네어스펭귄 · 시로 · 실버샤크 · 쑥새 · 아라비아오릭스 · 아마존매너티 · 아메리카악어 · 아시아흑곰 · 아카메 · 아프리카매너티 · 아프리카황금고양이 · 악어거북 · 안경곰 · 안데스콘도르 · 안데스홍학 · 알다브라땅거북 · 알락뜸부기 · 알류샨제비갈매기 · 야자집게 · 연지느러미상어 · 오렌지러피 · 웨카 · 은상어 · 은지느러미상어 · 이주갈색가오리 · 인도네시아고래상어 · 인도네시아실러캔스 · 인도들소 · 인도별거북 · 인도코뿔소 · 일본장수도롱뇽 · 자라 · 자바리 · 자이언트일런드 · 작은발톱수달 · 장수거북 · 재두루미 · 죄머링가젤 · 줄꼬리뱀 · 중국살쾡이 · 지중해몽크물범 · 참고래 · 참수리 · 청호반새 · 체리바브 · 치사상어 · 치타 · 칠성상어 · 칼꼬리영원 · 케이프독수리 · 코뿔바다오리 · 코뿔새 · 코뿔소살무사 · 코알라 · 코드코드 · 콜로라도파이크미노우 · 쿼카 · 퀴비에가젤 · 큰갑옷도마뱀 · 큰개미핥기 · 큰빌비 · 클라크가젤 · 킹코브라 · 타이멘 · 타킨 · 턱자바리 · 토피영양# · 틸라피아 · 파란농어 · 파타고니아해마 · 파푸아수리 · 판다 · 팔색조 · 펜두상어 · 포사 · 표범 · 필리핀수리부엉이 · 하마 · 항라머리검독수리 · 해밀턴개구리 · 향유고래 · 헬벤더 · 호랑고양이 · 호스필드거북 · 호주쏘가리 · 황갈색수리 · 황금타킨# · 황소상어 · 훔볼트펭귄 · 흑기흉상어 · 흑두루미 · 흰선두꺼비고기 · 흰올빼미 · 흰점박이두꺼비고기 · 흰죽지 · 흰죽지수리 · 흰철갑상어

뱀상어
(배암상어, 범상어, 호랑이상어, 타이거 샤크)
Tiger shark
학명 Galeocerdo cuvier
(Péron & Lesueur, 1822)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연골어강(Chondrichthyes)
흉상어목(Carcharhiniformes)
흉상어과(Carcharhinidae)
뱀상어속(Galeocerdo)
뱀상어(G. cuvier)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준위협.svg
1. 개요
2. 생김새 및 특징
3. 생식
4. 크기
5. 서식지
6. 먹이와 사냥
7. 경쟁과 천적
8. 인간과의 관계
8.1. 사육 현황
9. 대중 매체




1. 개요[편집]




흉상어목 흉상어과 상어의 일종. 지구상에서 두번째로 큰 포식성 상어류이다. 독특한 줄무늬와 아무거나 주워먹는 습성으로 사람들에게 인지도가 있는 상어 중 하나이다.


2. 생김새 및 특징[편집]


이름의 어원은 단순하다. 한국에서는 두상이 을 닮아 뱀상어라고 부르고 영미권에서는 줄무늬가 호랑이를 닮아 타이거 샤크(Tiger shark:호랑이상어)라고 부른다.

뱀상어는 다른 흉상어과 상어들처럼 눈꺼풀이 있는 고양이눈을 하고 있다. 또한, 몸 색깔의 경우, 몸 위쪽은 짙은 갈색에 줄무늬가 있고 아래쪽은 연한 흰색이다. 줄무늬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옅어진다. 이러한 배색은 바다에 몸을 숨기는 데 도움을 준다.

파일:뱀상어 윗니.jpg
뱀상어 윗니
파일:뱀상어 아랫니.jpg
뱀상어 아랫니
다른 상어들과 마찬가지로 뱀상어의 턱 역시 부정교합 상태이며, 마치 회전톱처럼 생긴 이빨을 가졌다.[1] 윗니와 아랫니는 각각 24개씩 존재한다. 뱀상어는 이 독특한 이빨 덕분에 바다거북의 등껍데기 같은 단단한 물체를 쉽게 깨부술 수 있다.


3. 생식[편집]


수컷의 경우 2.3~2.9m, 암컷의 경우 2.5~3.5m 정도 자라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북반구 개체군은 3년에 한번 3~5월에 생식 주기가 찾아오며 남반구의 개체군은 3년에 한번 11~12월에 생식 주기가 찾아온다. 북반구 개체군의 출산은 이듬해 4~6월, 남반구 개체군의 출산은 이듬해 12~1월에 있다. 대부분의 상어와 마찬가지로 뱀상어 역시 교미할 때 수컷이 암컷을 긴장성 부동 상태로 만들고 수컷의 기각을 암컷의 자궁에 삽입한다. 특이하게도 흉상어과에 속하는 상어들이 대부분 난생으로 번식하지만 뱀상어는 예외적으로 난태생 번식을 한다.


4. 크기[편집]


파일:뱀상어와 인간의 크기 비교.png
뱀상어와 인간의 크기 비교
대부분의 상어와 마찬가지로 뱀상어 역시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크케 자란다. 평균 몸길이는 3.25~4.25m 정도이고 평균 체중은 175~635kg 정도이다. 공식적인 기록 상에서 가장 큰 암컷 개체는 몸길이가 5m를 넘기도 했으며, 비공식적인 기록 상에서 가장 큰 암컷 개체의 몸길이는 6m를 넘기도 했다. 또한 플라이오세 때 살았던 일부 뱀상어는 몸길이가 7~8m를 넘기도 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2]


5. 서식지[편집]


뱀상어는 전세계의 열대·아열대 해역에 서식한다. 암초 해역에 서식하지만, 다른 해역으로 이동할 때는 수로를 통해 약 34km~64km 정도를 이동한다. 수온이 높을 때는 난류가 흐르는 수로를 통해 적도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반대로 수온이 낮을 때는 적도 안쪽으로 이동한다. 주로 표해수층에 서식하지만 드물게 중심해수층에 서식하기도 한다. 서식 수심도 광범위한지라 3m 정도의 얕은 수심에서부터 900m 정도의 깊은 수심에 발견되기도 한다.

주로 북미와 남미의 카리브해나 오세아니아의 태즈먼해에 출몰하며, 드물게 아시아의 중국해에 출몰하기도 한다.


6. 먹이와 사냥[편집]


귀상어를 포식하는 뱀상어
바다거북을 포식하는 뱀상어
과장 안하고 정말로 아무거나 다 주워먹는다. 물고기, 바다거북 등의 생물들 말고도 다양한 쓰레기를 먹은 사례가 잘 알려져 있다. 어느 정도냐면, 뱀상어의 뱃속에서 사슴의 뿔과 머리, 말의 머리, 신발 두 켤레와 맥주 캔, 차량의 타이어와 번호판, 드럼통과 탄약, 심지어는 중세시대의 갑옷이 발견된 적이 있다. 또한 사람의 팔도 발견된 적이 있다. 샤크 암 사건 참조.

어류의 경우 다양한 종을 가리지 않고 포식한다. 청어과의 청어, 정어리나 고등어과의 고등어, 다랑어처럼 연안과 먼 바다에 사는 대형 어류라던지, 곰치대왕곰치, 턱자바리처럼 연안과 가까운 바다에 사는 대형 어류를 포식한 사례가 많다. 턱자바리를 포식하는 뱀상어 심지어 복어쏠배감펭 같은 독성이 있는 어류를 포식한 사례도 적지 않은 편.
연골어류 또한 예외는 아니다. 여러 종류의 가오리귀상어, 황소상어를 먹잇감으로 삼은 사례가 많으며, 심지어 같은 뱀상어를 포식한 사례도 있다. 황소상어를 포식하는 뱀상어, 같은 뱀상어를 포식하는 뱀상어
  • 해양 무척추동물
두족류, 갑각류, 해파리류를 먹기도 한다.
파일:돌고래를 포식하는 뱀상어 2.jpg파일:돌고래를 포식하는 뱀상어.jpg
돌고래를 포식하는 뱀상어
물개, 바다표범, 바다사자 같은 기각류나 참돌고래, 큰돌고래, 점박이돌고래 같은 돌고래과를 포식한 사례도 많다. 일례로 샤크 만에 서식하는 돌고래들 중 35% 정도가 뱀상어에 의한 상처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파일:혹등고래를 포식하는 뱀상어 2.jpg파일:혹등고래를 포식하는 뱀상어.jpg
늙고 병든 성체 혹등고래를 포식하는 뱀상어 무리[3]
수염고래류의 경우 덩치 차이 때문에 주로 아성체나 사체를 노리며 경우에 따라서는 늙고 병든 성체를 사냥하기도 한다.
듀공, 매너티 같은 바다소류를 포식한 사례가 많다. 특히 바다소류와 뱀상어 둘 다 수로에 서식하다보니 자주 마주치기도 하며, 수로에서 뱀상어 85마리 중 15마리 정도가 듀공을 포식한 사례가 존재한다.

  • 육상 포유류
하와이에 서식하는 뱀상어의 위 속에서 염소, , , 고양이, 박쥐 같은 육상 포유류의 유해가 발견된 사례가 존재한다.[4]

  • 바닷새
파일:바닷새를 포식하는 뱀상어.jpg파일:바닷새를 포식하는 뱀상어 2.jpg
알바트로스를 사냥하는 뱀상어
수면 위에 착지하는 바닷새를 사냥하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알바트로스 같은 대형 바닷새가 먹잇감이 되는 일이 흔하다.

파일:바다거북을 포식하는 뱀상어.jpg파일:바다거북을 포식하는 뱀상어 2.jpg
바다거북을 포식하는 뱀상어
해양 파충류 중 바다거북이 주로 잡아먹히며, 상어들 중 바다거북을 가장 많이 포식하는 종이 바로 뱀상어이며, 무려 전체 식단 중 약 20% 정도가 바다거북일 정도다.
드물지만 바다뱀을 사냥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바다뱀을 사냥하려고 하는 뱀상어


7. 경쟁과 천적[편집]


파일:뱀상어를 포식하는 범고래.jpg파일:뱀상어를 포식하는 범고래 2.jpg
뱀상어를 포식하는 범고래
치어는 동족을 비롯한 다수의 천적에 의해 잡아먹힐 수 있으며, 성어는 백상아리, 범고래 같은 극소수의 천적에 의해 잡아먹히기도 한다.

주요한 먹이 경쟁 상대는 앞서 언급한 백상아리와 범고래. 다만 체급 차이가 좀 있다 보니 보통은 서로를 건들지 않으며 뱀상어가 먼저 자리를 피하는 편이다. 특히 뱀상어가 고래 사체를 청소할 때 백상아리가 나타나면 이를 피해 해당 장소를 잠시 떠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백상아리를 피해 영역에서 사라지는 뱀상어

드물게 바다악어와 마주한 사례가 존재하는데, 해당 영상에서 보다시피 고래 사체를 함께 뜯어먹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둘이 먹어도 충분히 남을 정도로 사체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서로를 견제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8. 인간과의 관계[편집]


인간을 공격하는 뱀상어
인간에게 적대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하와이에서 1년에 한번 정도 뱀상어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어느 정도 뱀상어에 의한 인명 피해가 발생한다.

파일:뱀상어를 쓰다듬는 다이버.jpg
뱀상어를 쓰다듬는 다이버
비록 뱀상어가 사람을 습격한 사례가 있긴 하지만 모든 뱀상어가 사람에게 적대적인 행동을 보인 것은 아니다. 엠마(Emma)라는 이름이 붙은 개체는 유독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굴어 다이버들과 함께 헤엄쳐왔는데, 특히 20년간 짐 애버네시(Jim Abernethy)라는 다이버를 특별히 따랐다고 한다.

하와이에서는 1년에 한번 정도 뱀상어와 교류하는 풍습이 있는데, 이 풍습에서 뱀상어는 한동안 특정 생물을 먹이로 삼았을 때 다른 종류의 생물을 먹이로 삼지 않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인명 피해를 막는다. 이 때는 개가 인간이 쓰다듬는 것을 꺼리지 않는 것처럼 뱀상어 역시 인간이 쓰다듬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뱀상어는 멸종위기종으로 취급되어 보호받는다. 근대에 개체수가 점점 감소해왔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보호 정책에 의해 개체수가 어느 정도 회복되었기 때문에 뱀상어의 보전은 다른 상어의 보전에 비해 사정이 양호한 편이다.[5]

2023년 2월, CITES 당사국총회에서 회원국 표결에 의해 뱀상어 및 상어 54종을 국제거래에 금지 및 제한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8.1. 사육 현황[편집]


백상아리는 사육이 거의 불가능한 반면, 뱀상어는 어느정도 튼튼하고 환경변화에 예민하지 않은 흉상어목이다보니 사육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일본의 유명한 수족관인 츄라우미 수족관에서 뱀상어의 사육과 번식을 성공하기도 했다. 2017년에는 아성체, 2019년에는 성체를 전시했다.


9. 대중 매체[편집]


흉상어과 상어들 중 가장 유명한 편이다.

  • 죠스에서 뱀상어가 페이크 최종보스로 등장하고 백상아리가 최종보스로 등장한다.


  • 베어 그릴스와 만난 적이 있다. 다른 상어는 베어 그릴스를 보고 소극적인 성향을 보인 반면, 뱀상어는 적극적인 성향을 보인다.

  • 모아나에서 폴리네시아 신화 속 상어 신의 자손 마우이가 뱀상어로 변신하고 뱀상어의 머리, 꼬리로 변신한다.

  • 데미안 허스트라는 예술가는 <살아있는 자의 마음속에 있는 죽음의 물리적 불가능성(The Physical Impossibility of Death in the Mind of Someone Living)>이라는, 포름알데히드에 뱀상어 시체를 푹 재워 만든 작품을 만들기도 했다.

  • 이 상어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로는 '오픈 워터'가 있지만 흥행은 망했다. 유혈 낭자한 장면도 없고 뱀상어 무리에 포위당해 절망에 빠져가는 부부의 심리에 초점을 맞춘 영화인데 막강한 상어떼와 무차별적 습격인 것처럼 광고가 돼서 낚인 사람이 많았다고... 아예 낚였다고 생각한 관객들이 극장에서 집단 항의를 해서 환불을 받아간 황당사건이 있다.

  • 죠스 아류작인 '크루얼 죠스' 란 영화에 나오는 녀석도 타이거 샤크다. 길이가 10미터에 달하고, 크루즈 선을 들이박는 말도 안 되는 설정으로 나온다.


  • 딥 블루 씨라는 영화에서 거대 청상아리 3마리의 먹이로 던져지고 한입에 잡아먹힌다. 하지만 모습을 보면 청상아리에게 뱀상어 줄무늬만 입힌거다.

  • Don't Starve의 확장팩인 난파선에 보스로 나온다. 하지만 다리가 존재하고 고양이 수염과 귀가 있다.

  • Depth에서 플레이 가능한 상어로 나온다.

  • 타이거 샤크라는 애니에서 주인공 마코가 이 생물로 변신한다.

  • 사람들을 공격하는 다양한 종류의 상어들이 나오는 영화 샤크 나이트에서는 범상어(Tiger Shark)라는 이름으로 뒷부분에서 등장하는데 크기도 크고 정말 호랑이를 연상시키는 무시무시한 얼굴을 한 맹수 같은 상어로 나온다.

  • 국산 게임 데이브 더 다이버에서는 블루홀 중앙수역의 필드 보스처럼 나온다. 심해의 메가마우스 상어와 크기가 비슷한 정도로 필드 생물 중 덩치가 가장 큰 편에 속하며 공격력과 체력도 튼튼한 편이다.


[1] 하와이 원주민들은 상어의 이빨로 다양한 무기들을 만들었는데 뱀상어의 이빨로는 레이오마노(Leiomano)라는 무기들을 만들었다.[2] Pimiento, C.; Cantalapiedra, J.L.; Shimada, K.; Field, D.J.; Smaers, J.B. (2019). "Evolutionary pathways toward gigantism in sharks and rays"[3] 25마리가 늙고 병든 성체 혹등고래를 죽인 것이다.[4] Lowe, Christopher G.; Wetherbee, Bradley M.; Crow, Gerald L.; Tester, Albert L. (1996). "Ontogenetic dietary shifts and feeding behavior of the tiger shark, Galeocerdo cuvier, in Hawaiian waters"[5] 백상아리, 청상아리의 ICUN 멸종위기등급은 취약(VU), 위기(EN)에 속하지만 뱀상어의 멸종위기등급은 취약 근접(NT)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