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일 (r20220720판)
문서 조회수 확인중...
1. 개요[편집]
2. 사건[편집]
2.1. 실제[편집]
- 284년 -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로마 제국 43대 황제로 즉위했다.
- 1933년 - 중화민국에서 복건사변이 발생했으며 중화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금방 멸망했다.
- 1947년 -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공주와 필립 마운트배튼 공작이 결혼했다.
- 1985년 - Microsoft Windows 1.0이 발매되었다.
- 1990년 - 마이클 크라이튼의 SF 소설이자 대표작인 <쥬라기 공원>이 출간됐다.
- 1994년 - 남산 제모습 찾기 캠페인의 일환으로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 있던 남산외인아파트가 폭파 철거됐다.
- 1998년 - ISS의 첫 모듈 자랴가 프로톤-K에 실려 발사되었다.
- 2002년 - 경기도교육청에서 고2(1985년생)와 고1(1986년생)을 대상으로 2002년 11월 모의고사를 시행했다. 이 모의고사는 사상 첫 11월 모의고사이기도 하다.
- 2003년 - 유명한 쓰레기 게임 Big Rigs: Over the Road Racing가 출시되었다.
- 2004년 - 감동의 골마 사건이 일어났다.
- 2011년 - 여성가족부의 셧다운제가 시행되었다.
- 2012년 - 경원선 신탄리~철원 복원
- 2016년 - K리그 7회 우승에 빛나던 성남 FC가 승강 PO에서 강원 FC에게 1:1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1차전 스코어 0:0과 통합한 스코어로 1:1을 기록하면서 원정 다득점에 의거해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었다.
- 2018년 - 불법 만화 번역 사이트 마루마루가 폐쇄되었다.
- 2019년 - 경기도교육청에서 고2(2002년생)와 고1(2003년생)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모의고사를 시행했다.
- 2020년
2.2. 가상[편집]
3. 기념일 및 절기[편집]
- 세계 어린이의 날: 어린이의 기본 권리를 인정하고 보호하기 위해 1954년 12월 14일 유엔이 11월 20일로 제정한 기념일로, 1989년 11월 20일에는 'UN 아동권리협약'이 채택됐다. 우리나라는 1991년에 이 협약을 비준하고 2003년부터는 11월 20일이 있는 주를 '아동권리주간'으로 선포하고 매년 기념하고 있다.
4. 축일[편집]
- 성 그레고리오
- 성 네르사
- 성 다시오
- 성 디오니시오
- 복녀 마리아 포르투나타 비티
- 성녀 막센시아
- 성 바소
- 성 베니뇨
- 성 베른바르도
- 성 솔루토르
- 성 실베스테르
- 성 심플리치오
- 성 아가피오
- 성 아가피토
- 성 아나톨리오
- 성 아드벤토르
- 복자 암브로시오 트라베르사리
- 성 암펠리오
- 성 에드문도
- 성 에우스타키오
- 성 옥타비오
- 성 카이오
- 성 테스페시오
- 성 펠릭스
5. 생일[편집]
5.1. 실존 인물[편집]
- 270년 - 막시미누스 다이아(~313년): 로마 제국의 황제
- 1688년 - 경종(조선)(~1724년): 조선 제 20대 왕
- 1889년 - 에드윈 파월 허블(~1953년): 미국의 천문학자
- 1902년 - 잔피에로 콤비(~1956년): 이탈리아의 전 축구선수
- 1907년 - 아니 레본(~1987년): 카를 브란트의 아내
- 1908년 - 빈체 예뇌(~1988년): 헝가리의 전 축구감독
- 1911년 - 파울 지엘린스키(~1966년): 독일의 전 축구감독
- 1912년 - 오토 폰 합스부르크(~2011년): 합스부르크 왕가의 마지막 황태자
- 1925년 - 로버트 F. 케네디(~1968년): 미국의 前 법무장관, 존 F. 케네디의 동생
- 1928년 - 권희로(~2010년): 김의 전쟁의 주인공
- 1942년 - 조 바이든: 미합중국 제46대 대통령
- 1946년 - 이노세 나오키: 일본의 정치인
- 1948년
- 1949년 - 남성우: 대한민국의 前 방송인, 방송 프로듀서
- 1953년 - 홍준표[2] : 대한민국의 정치인
- 1954년 - 시마다 빈: 일본의 성우, 배우
- 1957년 - 박노해: 한국의 시인, 노동운동가
- 1958년 - 힉슨 그레이시
- 1960년 - 최일구: 한국의 前 기자이자 앵커
- 1963년 - 밍나 원
- 1964년 - 이철희(1964): 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
- 1965년
- 1967년 - 홍익표: 대한민국의 정치인
- 1970년
- 1973년 - dj nagureo: 일본의 작곡가, BEMANI 시리즈의 아티스트[3]
- 1975년
- 1979년 - 현미진: 대한민국의 바둑기사
- 1980년 - 코이케 에이코: 일본의 배우
- 1983년 - 퓨처: 미국의 래퍼
- 1984년
- 1985년 - 남호연: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 1986년
- 1988년 - 오주한: 케냐 태생 대한민국의 마라톤 선수
- 1989년
- 1990년
- 1991년
- 킴변: 대한민국의 변호사 겸 유튜버, 본명 김지수
- 1992년
- 염지나: 그룹 단발머리의 前 멤버
- 임찬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1993년 - 사토 스미레: 일본의 아이돌
- 1995년
- 마이클 클리포드: 오스트레일리아의 팝펑크 밴드 5 세컨즈 오브 서머의 멤버
- 박재석: 대한민국의 보이그룹 골든차일드의 前 멤버
- 1996년
- 김태현: 대한민국의 범죄자, 노원 세 모녀 살인사건의 범인.
- 이동근: LOL 프로게이머 'Ignar'.
- 이승주: LOL 프로게이머 'Stitch'.
- 1997년
- 김태양: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All iN'
- 야마자키 에리이: 일본의 성우
- 2000년
- 코니 탤벗
- 다윤: 걸그룹 보너스베이비의 멤버
- 2001년 - 김준서
- 2003년 - 김인혜: 방과후 설렘 참가자
- 2012년 - 백강현
5.2. 가상 인물[편집]
- 각청 - 원신
- 거북이 아유미(유미) - 천사의 꼬리
- 니노치카 - ēlDLIVE
- 니쿠사 - Friday Night Funkin': ENTITY
- 마나카 라라, 에히메 나오[5] - 프리파라
- 미쇼 마이 -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 민다예 - 우리들의 날개는 언제부턴가 부서졌다
- 베포 - 원피스
- 샤오론 - KOF 시리즈
- 사쿠라이 아카네 - 걸 프렌드(베타)
- 시궁 - 천지해
- 시어도어 카를로스 - 스도리카
- 아키카제 루이 -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 안도 루루카 - 단간론파 3 -The End of 키보가미네 학원-
- 에스텔 - 킹스레이드
- 유아 - 학생회장의 권력 ~그것은 학교 구조조정입니다~
- 유피 키사라기 - 파이널 판타지 7
-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 Fate/stay night
- 이와타 카즈에 - 미니어스: 작지만 놀라운 모험
- 체슬리 니콜스 - 버디 미션 BOND
- 카이 키스크[6] - 길티기어 시리즈
- 쿠자크 마이 - 유희왕
- 토키와 카즈미 -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
- 한서경 - 오른눈이 보는 세계
- 허블 - 소녀전선: 뉴럴 클라우드
6. 기일[편집]
6.1. 실존 인물[편집]
- 1506년 - 연산군(1476년~): 조선 10대 국왕
- 1883년 - 텐쇼인(1836년~): 일본 에도 막부 1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부인
- 1910년 - 레프 톨스토이(1828년~)
- 1925년 - 덴마크의 알렉산드라(1844년~): 크리스티안 7세의 장녀이자 에드워드 7세의 왕비
- 1938년 - 모드 샬럿 메리 빅토리아(1869년~): 영국의 공주, 노르웨이의 왕비
- 1949년 - 와카쓰키 레이지로(1866년~)
- 1971년 - 토마스 다니엘 라이언(1907년~): 아일랜드의 가톨릭 신부
- 1974년
- 1975년 - 프란시스코 프랑코(1892년~): 스페인의 독재자
- 1995년 - 김성재(1972년~): 듀스의 멤버
- 2010년
- 2014년 - 카예타나 피츠하메스 스투아르트(1955년~): 스페인의 제18대 알바 공작
6.2. 가상 인물[편집]
7. 그 외[편집]
비마니 시리즈의 곡 - 20,november
Apple의 아이폰12 Pro Max와 Mini모델이 정식출시한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2 00:01:16에 나무위키 11월 20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pple의 아이폰12 Pro Max와 Mini모델이 정식출시한다.

[1] 배드엔딩 루트에선 배신자에게 살해당한다.[2] 다만 호적상 생일은 1954년 12월 5일이다.[3] 그의 대표곡 20, November는 여기서 따왔다.[4] 밑에 나와 있는 미쇼 마이 및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한국판 성우인데. 생일이 똑같다.[5] 71화에서 라라와 같은 생일이라는 게 밝혀졌다.[6] 성우와 생일이 동일[7] 취소선이 그어진 이유는 문서 참조.